KR20040047389A -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 Google Patents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389A
KR20040047389A KR1020020075596A KR20020075596A KR20040047389A KR 20040047389 A KR20040047389 A KR 20040047389A KR 1020020075596 A KR1020020075596 A KR 1020020075596A KR 20020075596 A KR20020075596 A KR 20020075596A KR 20040047389 A KR20040047389 A KR 2004004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plate
plate
spr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순
Original Assignee
정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순 filed Critical 정석순
Priority to KR102002007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389A/ko
Publication of KR2004004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린 문이 스스로 닫히도록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은,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문에 고정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을 연결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와;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됨으로써 문을 여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문이 스스로 닫히도록 하는 복귀수단;을 갖는데, 복귀수단은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여 문이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는 회전판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은, 열린 문이 스스로 닫히는 것은 물론 스프링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여 문이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어 문이 부드럽게 회전됨으로써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THE AUTOMATIC RETURNING HINJI FOR DOOR}
본 발명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린 문이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고, 스프링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여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 가능하며, 회전판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문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경첩은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문에 고정되어 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을 고정판에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기존의 경첩은 열린 문을 닫을 때 일일이 손으로 당겨서 닫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문과 문틀에 유압을 사용한 도어락을 설치해야만 열린 문이 스스로 닫히도록 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 경첩의 연결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됨으로써 문을 여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자동 닫힘 경첩(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7990호) 등이 다수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첩도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없어 철문과 같은 무거운 문은 천천히 닫히고, 목재 문과 같이 가벼운 문은 너무 빠르게 닫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고정판과 접촉되는 회전판의 마찰력이 커 소음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여닫이문을 설치할 때 문의 수평과 수직상태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비전문가가 문을 설치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문을 설치할 때는 문이 문틀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문과 문틀이 수직과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인들에게는 문의 수직,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문을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작업이어서 문의 설치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문의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문의 하부에 말굽이라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스프링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여 문이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회전판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베어링을 설치하여 문이 회전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문을 설치할 때 문의 수직, 수평상태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설정할 수 있어 문의 설치가 간편하고, 문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첩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의 사시도1
도 2는 본 발명의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의 사시도2
도 3은 도 1및 도 2와 같이 구성된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의 단면도
도 4는 문의 설치시 문이 밑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문이 윗부분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판 11. 결합홀
20. 회전판 21. 관통된 홀
22. 너트부 23. 결합홀
30. 연결부 40. 복귀수단
41. 스프링 42. 스프링고정체
43. 회전체 43a. 연결핀체결구
44. 연결핀 50, 55. 베어링
60, 65. 끼움판 70. 브레이크수단
71. 고정핀 72. 홈
80. 중심축 90, 95. 체결너트
본 발명은 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문을 여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경첩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또, 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문이 닫힌 상태에서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또, 문을 열고 닫을 때 문이 부드럽게 회전되는 동시에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첩의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는 베어링을 설치한다.
또한, 복귀수단에 의하여 문이 복귀될 때 소정의 위치이상 복귀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한다.
또, 문의 설치시 문과 문틀의 수직, 수평상태를 간단하게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판 중 문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너트부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은, 복귀수단을 갖는 통상의 경첩과 같이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문에 고정되는 회전판(20)과 회전판(20)을 고정판(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30)를 갖는다.
또, 회전판(20)이 회전될 때 스프링(41)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됨으로써 문을 여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복귀수단(40)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복귀수단의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철문과 같이 무거운 문은 서서히 닫히게 되고, 나무문과 같이 가벼운 문은 너무 빠르게 닫혀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린 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열린 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회전판(20)의 마찰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과 복귀수단(40)의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회전판(20)의 마찰력을 높여주는 방법을 사용하면 소음 등이 발생되므로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때는 문이 닫혀 있을 때 스프링(41)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야 문이 닫히는 전 구간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문이 닫혀 있을 때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귀수단(40)에 사용된 스프링이 판스프링일 때에는 판스프링의 양끝 간격을 좁혀 탄성력을 강하게 하거나 양끝의 간격을 넓혀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약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되 그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음)
복귀수단(40)에 사용된 스프링이 코일형 스프링(41)일 때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방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코일형 스프링(41)의 일측이 스프링고정체(42)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타측이 회전 가능한 회전체(43)에 고정되어 회전체(43)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체(43)의 가장자리에는 연결핀(44)이 체결되는 연결핀체결구(43a)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판(20)과 회전체(43)는 연결핀(44)에 의하여 연결되어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으로 회전체(43)가 회전될 때 회전판(20)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즉, 스프링(41)의 일측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41)을 비틀어 스프링(41)이 횡방향으로 복귀되려는 힘을 형성시키고, 그 힘이 연결핀(44)에 의하여 회전판(2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결핀(44)은 회전체(43)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회전체(43)를 1회전(360°) 또는 2회전(720°) 등의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회전체(43)에 결합하여 스프링(41)의 복귀되려는 힘이 강하거나 약한 범위로 설정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문에 결합된 회전판(20)은 연결부(30) 등에 접촉되고, 문의 무게로 인하여 그 접촉부는 마찰력이 비교적 크므로 부드럽게 열리지 못하며, 심한 경우 소음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10)과 회전판(20) 사이에 회전판(20)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베어링(5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의 작용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경첩을 설치한다.
설치된 문이 느리게 닫히는 경우에는 문을 조금 열어 연결핀(44)이 드러나도록 한 후 연결핀(44)을 회전체(43)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와 같이 연결핀(44)을 회전체(43)로부터 이탈시킨 후 회전체(43)를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체(43)에 형성된 연결핀체결구(43a)에 봉을 넣어 젖힘으로써 회전체(43)를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43)가 회전되면 스프링(41)의 양측 끝부분 중 회전체(43)에 연결된 부분은 회전되고, 스프링고정체(42)에 연결된 부분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41)은 보다 많이 비틀리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 즉, 복귀되려는 힘은 보다 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 후 회전체(43)의 연결핀체결구(43a)에 연결핀(44)을 체결한 후 회전체(43)를 잡고 있는 힘을 해제시키면 회전체(43)는 스프링(41)이 비틀려져 있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회전체(43)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핀(44)은 회전판(20)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체(43)는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문을 열고 있는 힘이 해제되면 회전판(20)을 회전시키면서 회전되어 문을 닫는다.
이때, 고정판(10)과 회전판(20) 사이에 회전판(20)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베어링(50, 55)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판(20)은 보다 부드럽게 회전됨으로써 문이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닫힌다.
상기와는 반대로 스프링(41)에 작용하는 힘이 강하여 문이 빠르게 닫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과는 반대로 스프링(41)에 작용하는 비틀림의 강도를 낮추어 문의 닫힘 속도를 늦춘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후 문을 열게 되면 문이 열릴 때 문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이 연결핀을 밀게되고, 스프링은 횡방향으로 비틀려 보다 강한 복귀력을 갖는다.
문을 여는 힘이 해제되면 비틀려져 있는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하여 회전체와 회전판이 회전됨으로써 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고정판(10)과 회전판(20)에는 문틀이나 문과 접촉되는 면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설치시 문틀과 문 사이의 틈새부분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끼움판(60, 65)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문의 설치시에 끼움판(60, 65)을 문틀과 문 사이의 틈새부분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경첩이 문틀이나 문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회전을 위한 적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는 상태를 간단한 방법으로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부(30)에는 복귀수단(40)에 의하여 문이 복귀될 때 회전판(20)이 걸려 문이 소정의 위치 이상 복귀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브레이크수단(7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수단의 예로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판(10) 또는 연결부(30)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핀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판(20)이 고정핀에 걸려 소정의 위치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핀을 소정의 위치에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고정핀이 다른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분실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수단(70)은 도 1과 같이 위치 조절이 가능한 고정핀(71)에 회전판(20)이 걸려 소정의 위치 이상 회전되지 못함으로써 문이 소정의 위치이상 복귀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브레이크수단(70)은 고정핀(71)이 연결부(30)의 외주 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연결부(30)의 외주 면을 따라 이동된 고정핀(71)은 소정의 위치에서 홈((72)에 걸려 이동이 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판(20)에는 소정의 위치에 관통된 홀(21)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71)이 소정의 위치에 놓이는 경우 고정핀(71)이 관통된 홀(21)을 통과함으로써 회전판(20)에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수단(70)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문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때는 이동 가능한 고정핀(71)을 원하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놓은 후 문을 열고 있는 힘을 해제하면 회전판(20)이 복귀될 때 홈(72)에 걸려있는 고정핀(71)에 걸려 복귀되지 못한다.
따라서, 문의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문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지 않을 때는 고정핀(71)을 회전판(20)의 관통된 홀(21)로 통과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핀(71)이 회전판(2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판(20)에는 문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관통된 너트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문의 설치시 고정판(10)을 문틀에 고정시킨 후회전판(20)을 문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너트부(22)에 볼트를 체결하여 문의 측면을 밀어 문틀과 문의 수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문이 밑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문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첩의 회전판(20)에 형성된 너트부(22)에 볼트를 체결하여 문의 밑부분을 전진시킴으로써 문의 수직,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또, 도5와 같이 문이 윗부분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첩의 회전판(20)에 형성된 너트부(22)에 볼트를 체결하여 문의 상부를 전진시킴으로써 문틀과 문의 수직,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1은 문틀에 고정판(10)을 고정하기 위하여 못 등을 박기 위한 결합홀이고, 23은 문에 회전판(20)을 결합하기 위하여 못 등을 박기 위한 결합홀이다.
또, 85는 고정판(10)과 회전판(20)을 결합하기 위한 중심축이고, 90과 95는 중심축(85)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린 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은 물론 스프링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여 문이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판의 마찰력이 줄어 문이 부드럽게 회전되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경첩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문을 설치할 때 문의 수직, 수평상태를 간단한 방법을 통해 설정할 수 있어 문의 설치가 간편하다.

Claims (5)

  1. 문에 설치되는 경첩에 있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문에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고정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서 회전됨으로써 문을 여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문이 스스로 닫히도록 되어 있고, 문이 닫혀 있을 때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여 문이 복귀되는 속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된 복귀수단과;
    상기 회전판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하여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에는 문틀 및 문에 접촉되는 면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설치시 문틀과 문 사이의 틈새부분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끼움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귀수단에 의하여 문이 복귀될 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연결핀에 회전판이 걸려 문이 소정의 위치이상 복귀되지 못하도록 하는 브레이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문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관통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문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관통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KR1020020075596A 2002-11-30 2002-11-30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KR20040047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596A KR20040047389A (ko) 2002-11-30 2002-11-30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596A KR20040047389A (ko) 2002-11-30 2002-11-30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389A true KR20040047389A (ko) 2004-06-05

Family

ID=3734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596A KR20040047389A (ko) 2002-11-30 2002-11-30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38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522A (en) * 1982-08-31 1984-12-04 Chen Youn Long Door-closing hinge having a spring and pin mechanism
KR920002381Y1 (ko) * 1988-05-02 1992-04-10 서영익 출입문 자동 닫힘 경첩
KR920003620Y1 (ko) * 1989-03-21 1992-06-01 이종래 경첩에 내설되는 여닫이장치
KR950030670U (ko) * 1994-04-27 1995-11-20 백미방 복귀장치가 형성된 경첩
KR200187430Y1 (ko) * 2000-01-31 2000-07-01 이호은 닫힘수단 및 정지수단을 갖는 도어용 힌지구조
KR200207990Y1 (ko) * 2000-05-30 2000-12-15 안영기 자동 닫힘 경첩
KR200241847Y1 (ko) * 2001-05-18 2001-10-15 안영기 경첩 스프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522A (en) * 1982-08-31 1984-12-04 Chen Youn Long Door-closing hinge having a spring and pin mechanism
KR920002381Y1 (ko) * 1988-05-02 1992-04-10 서영익 출입문 자동 닫힘 경첩
KR920003620Y1 (ko) * 1989-03-21 1992-06-01 이종래 경첩에 내설되는 여닫이장치
KR950030670U (ko) * 1994-04-27 1995-11-20 백미방 복귀장치가 형성된 경첩
KR200187430Y1 (ko) * 2000-01-31 2000-07-01 이호은 닫힘수단 및 정지수단을 갖는 도어용 힌지구조
KR200207990Y1 (ko) * 2000-05-30 2000-12-15 안영기 자동 닫힘 경첩
KR200241847Y1 (ko) * 2001-05-18 2001-10-15 안영기 경첩 스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9885C (en) Wall panel system including a retractable floor anchor and method
US20120102674A1 (en) adjustable hinge
US9074397B2 (en) Adjustable door jamb locks
CA2691550C (en) Low friction adjustable roller pin
CA2423923C (en) Automotive door hinge with structurally integrated pivot
US7650670B2 (en) Hin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120085035A1 (en) Adjustable spindle arrangement for door operating apparatus retrofit kit
US4102005A (en) Door closer arm
JP2002518615A (ja) 調節可能なヒンジ組立体
JPH02147784A (ja) キャビネットドア用止め金機構
KR20040047389A (ko) 복귀수단을 갖는 경첩
JP3291411B2 (ja) 自動閉戸装置
US5056193A (en) Non-handed shock arrestor door pivot
KR102169469B1 (ko) 스토퍼 기능이 있는 특장차용 도어 힌지
US20120117885A1 (en) Pedestrian Gate Closer
JPS6345484Y2 (ko)
KR200279549Y1 (ko)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EP4019721B1 (en) Concealed hinge and concealed glass door hinge with temporary positioning function for opening angle
GB2313405A (en) Adjuster for a vent hinge
CN217925425U (zh) 一种门窗三联动组件
CN216741130U (zh) 一种新型可调节隐藏铰链
CN216866344U (zh) 门板用防下垂超大合页装置
CN218206291U (zh) 可调式塑钢门窗合页
CN215761077U (zh) 淋浴房门铰链
CN220117954U (zh) 紧固机构及铰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