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082A -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082A
KR20040047082A KR1020020075157A KR20020075157A KR20040047082A KR 20040047082 A KR20040047082 A KR 20040047082A KR 1020020075157 A KR1020020075157 A KR 1020020075157A KR 20020075157 A KR20020075157 A KR 20020075157A KR 20040047082 A KR20040047082 A KR 2004004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ver
hook
filter unit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161B1 (ko
Inventor
허정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161B1/ko
Priority to CNB031104290A priority patent/CN1254634C/zh
Priority to JP2003110795A priority patent/JP3854938B2/ja
Priority to EP03252427A priority patent/EP1424527A3/en
Priority to US10/455,374 priority patent/US6897420B2/en
Publication of KR2004004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주위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가 개시된다. 공기정화장치는 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와 조리실의 상부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조리실의 전방으로 토출시킨다.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 사이에는 공기 유로부가 마련되며, 공기 유로부의 전방에는 필터 유니트가, 그리고 공기 유로부의 내부에는 송풍팬이 설치된다.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가 후크 결합된다. 공기 유로부는 공기 흡입구와 마주하여 개방된 입구부와 공기 토출구와 마주하여 개방된 출구부를 가지며 조리실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에 형성된다. 입구부의 양측에는 몸체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경사져서 형성된 안내홈이 마련되어서 필터 유니트가 안내홈들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경사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Cooker Having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정화장치가 장착되어 주위공기를 간편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나 가스오븐과 같은 조리기는 주방에 배치되어 음식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기들로부터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음식냄새와 배기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어 주방공간, 더 나아가서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조리기에는 주위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조리가 완료된 후에도 주위공간에 음식냄새나 가스냄새가 배여 있게 된다.
한편, 조리시 발생하는 이러한 음식냄새와 배기가스 등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서 주방에는 통상적으로 배기용 덕트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배기용 덕트만을 가지고서는 조리시 발생하는 음식냄새와 배기가스를 신속하고 완전하게 배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배기용 덕트에 의해서는 주방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지는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들이 설치된 주방에는 음식냄새 등이 배여있게 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위생에도 좋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리기들이 설치된 주방의 공기가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음식물에 먼지 등이 유입되어 음식물이 청결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날로 악화되는 실외환경에 기인하여 실외로부터 많은 오염물질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커지는 현실정에서는 음식물을 깨끗하게 조리함과 동시에, 주위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조리기가 더욱 절실하게 요청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당한 높이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위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유니트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와 몸체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IV-I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도 4A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B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선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조리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20a: 공기정화장치 30: 덮개
31: 공기 흡입구 32,32a: 후크
41: 공기 토출구 53: 안내홈
54: 공기유로 55,55a: 후크홀
60: 필터 유니트 70: 송풍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둘러쌓아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조리실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마련되어 주위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부와, 상기 공기 유로부의 전방에 설치된 필터 유니트와, 상기 공기 유로부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가 분리가 용이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리실의 상면 위에는 상기 공기 유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마주하여 개방된 입구부와 상기 공기 토출구와 마주하여 개방된 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로부는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팬은 크로스 플로 타입(cross-flow type)으로 한다.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이 마련되어서 상기 필터 유니트가 상기 안내홈들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착탈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홈들은 일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상기 필터 유니트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유로부에 대해 경사져서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 유니트는 미세먼지를 걸러 주는 전기집진 필터와 냄새를 흡착하는 탈취필터 등이 일체로 결합되어 다층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필터 유니트가 상기 안내홈들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니트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덮개의 일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입구부의 일단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에 후크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후크가 형성된 상기 덮개의 타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입구부의 타단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후크와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덮개의 일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조작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조작돌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로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상기 덮개의 개폐에 따라 상기 조작돌기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필터 유니트에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조리실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전면에 배치된 공기 토출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부재는 상기 몸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 유니트는 상기 덮개의 내면에 일체로형성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몸체의 안내홈들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의 일단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입구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기 위한 후크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잡고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끼워져서 상기 덮개가 상기 필터 유니트와 함께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홀로부터 빠져 나와서 상기 덮개가 상기 필터 유니트와 함께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의 외관 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조리기에 설치되어 주위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전자렌지나 가스오븐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조리기에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자렌지에 적용된 공기정화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조리기는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와 양측면을 둘러쌓아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와, 개방된 조리실(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3)와, 본체(10)의 전면에서 도어(13)와 나란히 배치되는 콘트롤 패널(14)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는 케이스(12)의 상면에 설치되며 공기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30)와, 조리실(11)의 상부와 케이스(12)의 상부 사이에서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공기 토출구(41)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토출부재(40)를 구비하여 케이스(12)의 상면에서 주위공기를 흡입하여 조리실(11)의 전방을 향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 흡입구(31)가 케이스(12)의 상면에 마련되고 공기 토출구(41)가 조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된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이에 한정됨이 없이 공기 흡입구(31)와 공기 토출구(41)가 케이스(12)의 상부에서 배면이나 측면들에 마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의 구조를 보이기 위해 케이스(12)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와 양측면을 덮도록 상부면(12a)과 양측면(12b)(12c)을 구비한다. 본체(10)의 일측면과 케이스(12)의 측면(12c) 사이에는 조리원인 고주파를 제공하기 위한 마그네트론(15a)과 같은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전장품실(15)이 조리실(11)과 구획되어 마련된다.
케이스(12)의 상부면(12a)과 조리실(11)의 상부 사이에는 상술한 덮개(30)와 공기 토출부재(4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를 구성하는 몸체(50)와, 상기 몸체(50)에 설치되는 필터 유니트(60) 및 송풍팬(70)이 설치된다.
덮개(30)는 케이스(12)의 상부면(12a)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16)에 분리가 용이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분리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한다.
몸체(50)는 케이스(12)의 개구부(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개방되어 형성된 입구부(51)와, 공기 토출부재(40)와 마주하여 개방된 출구부(52)(도 3 참조)와, 상기 입구부(51)와 출구부(52)를 연결하는 공기 유로부(53)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부(51)의 양측에는 상기 공기 유로부(53)와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져서 마련된 한 쌍의 안내홈(54)이 마련되어서 이 안내홈(54)들을 따라 필터 유니트(60)가 끼워져서 착탈되도록 한다. 즉, 필터 유니트(60)는 그 양측단이 경사진 각 안내홈(54)에 끼워져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입구부(5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필터 유니트(60)가 몸체(50)의 입구부(51)에서 덮개(30)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31)와 마주하도록 경사져서 배치됨으로써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에 비해 필터 유니트(60)의 흡입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가 공기 유로부(53)를 향해 유동할 때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는 것이다.
필터 유니트(6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 주기 위한 전기집진 필터와 조리시에 발생되는 냄새를 흡착하기 위한 탈취필터,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켜서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 또는 제습 또는 오일제거 기능을 가진 필터 등이 일체로 결합되어 다층구조를 이룸으로써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공기의 정화기능이 우수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필터 유니트(60)의 상단에는 손잡이(61)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 손잡이(61)를 잡고 필터 유니트(60)를 안내홈(54)들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필터유니트(60)가 몸체(50)의 입구부(51)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입구부(51)와 출구부(52)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부(53)의 내부에는 이 공기 유로부(53)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송풍팬(70)이 설치된다. 이 송풍팬(70)은 그 일단에 설치된 구동모터(71)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70)은 여러 타입의 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유동방향의 변화없이 가로질러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크로스 플로 타입(cross-flow type)으로 하여 설치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덮개가 몸체의 입구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의 하면의 후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 쌍의 후크(32)가 마련되어 있으며, 덮개(30)의 하면의 선단에는 상기 후크(32)들과 함께 덮개(30)를 몸체(50)의 입구부(51)에 결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결합돌기(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크(32)들은 상향으로 당기면 약간 들려지고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그 하단은 내측으로 약간 돌출한 돌기를 가진다. 이 후크(32)들이 몸체(50)에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해 몸체(50)의 입구부(51)의 후단에는 상기 후크(32)들에 대응하는 후크홀(55)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32)들을 대응하는 후크홀(55)에 끼워서 누르게 되면 후크(32)들의 하단이 후크홀(55)에 걸려져서 빠지지 않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후크(32)들을 상향으로 당기게 되면 후크(32)들이 후크홀(55)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30)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돌기(33)들을 몸체(50)에 결합시키기 위해 몸체(50)의 입구부(51)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돌기(33)들에 대응하는 결합홀(56)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33)의 하단은 외측으로 약간 굽어진 형상을 이루어서 대응하는 각 결합홀(56)에 끼워져서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덮개(30)는 먼저 결합돌기(33)들을 대응하는 결합홀(56)에 끼워서 걸려지게 한 상태에서 후크(32)를 대응하는 후크홀(55)에 끼워서 누르게 되면 후크(32)의 하단이 후크홀(55)에 후크 결합되어 몸체(50)의 입구부(51)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30)를 몸체(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크(32)를 상향으로 잡아당겨서 덮개(30)의 후단이 후크홀(55)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 후에, 결합돌기(33)가 결합홀(56)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덮개(30)를 후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덮개(30)는 몸체(5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에서는 후크(32)들이 덮개(30)의 후단에 마련되고, 결합돌기(33)들이 덮개(30)의 선단에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후크(32)들을 덮개(30)의 선단에 마련되도록 하고, 결합돌기(33)들을 덮개(30)의 후단에 마련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덮개(30)의 후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하나의 조작돌기(3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몸체(50)의 입구부(51)에는 덮개(30)가 몸체(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돌기(34)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홀(5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돌기(34)는 덮개(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필터 유니트(60)에서 고전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입구부(51)의 후단에 형성된 관통홀(57)의 하부에는 필터 유니트(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터 유니트(6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62)가 설치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가 몸체(50)로부터 분리되어 조작돌기(34)가 관통홀(57)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62)의 버튼(62a)이 상향으로 돌출하여 마이크로 스위치(62)가 오프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필터 유니트(60)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필터 유니트(60)로부터는 고전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필터 유니트(60)를 분리하여 점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를 몸체(50)에 결합시켜서 조작돌기(34)가 관통홀(57)을 관통하여 마이크로 스위치(62)의 버튼(62a)을 누르게 되면 마이크로 스위치(62)가 온상태로 되어서 필터 유니트(6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20)는 조리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실(11)에서 음식물이 조리될 때 함께 작동하거나, 또는 음식물이 조리되지 않는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주위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즉, 필터 유니트(60)와 송풍팬(70)의 구동모터(71)에 전원을 인가하여 필터 유니트(60)에 고전압이 발생하게 함과 동시에, 송풍팬(7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주위의 공기가 덮개(30)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31)를 통해서 몸체(50)의 입구부(51)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공기는 경사져서 배치된 필터 유니트(60)를 통과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냄새 등이 걸러지게 되고, 다량의 음이온이 포함된 상태로 공기유로(53)로 보내지게 되며, 계속해서 공기 토출부재(40)의 공기 토출구(41)를 통해서 다시 주위공간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조리기가 설치된 주위의 공간이 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각각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2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a)는 필터 유니트(60a)가 덮개(30a)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유니트(60a)와 덮개(30a)의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니트(60a)는 덮개(30a)의 배면에서 공기 흡입구(31)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필터 유니트(60a)가 덮개(30a)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덮개(30a)가 몸체(50)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동작과 함께 필터 유니트(60a)도 몸체(50)의 안내홈(54)들에 끼워지거나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 유니트(60a)를 점검하거나 소제하기 위해 덮개(30a)를 분리하게 되면 필터 유니트(60a)도 덮개(30a)의 분리동작과 동시에 분리됨으로써 분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필터 유니트(60a)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30a)를 몸체(50)로부터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해 덮개(30a)의 선단에는 손잡이(35)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35)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하나의 후크(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30a)의 후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돌기(33a)들과 조작돌기(3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크(32a)에 대응하여 몸체(50)의 입구부(51)의 선단에는 후크홀(5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33a)들과 조작돌기(34)에 대응하여 몸체(50)의 입구부(51)의 후단에는 결합홀(56a)들과 관통홀(5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결합돌기(33a)가 각 결합홀(56a)에 끼워지고 필터 유니트(60a)의 양측단부가 각 안내홈(54)에 맞추어진 상태에서 손잡이(35)를 잡고서 덮개(30a)를 몸체(50)를 향해 하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필터 유니트(60a)가 안내홈(54)들에 끼워짐과 동시에, 후크(32a)가 후크홀(55a)에 걸려져서 덮개(30a)가 몸체(50)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30a)를 분리하기 위해 손잡이(35)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후크(32a)가 후크홀(55a)로부터 빠지게 됨과 동시에, 결합돌기(33a)가 결합홀(56a)로부터 분리되어 덮개(30a)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 유니트(60a)도 덮개(30a)와 함께 몸체(50)의 안내홈(54)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a)가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조리물의 조리와 동시에, 또는 조리물이 조리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방과 같이 조리기가 설치된 주위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위공간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통상적으로 사람의 눈높이에 맞추어 배치되는 조리기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사람들이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조리물을 깨끗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필터 유니트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필터 유니트를 용이하게 점검하고 소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둘러쌓아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조리실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마련되어 주위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부와, 상기 공기 유로부의 전방에 설치된 필터 유니트와, 상기 공기 유로부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가 분리가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상면 위에는 상기 공기 유로부가 형성되어있는 몸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마주하여 개방된 입구부와 상기 공기 토출구와 마주하여 개방된 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로부는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부에 설치된 상기 송풍팬은 크로스 플로 타입(cross-flow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이 마련되어서 상기 필터 유니트가 상기 안내홈들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들은 일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상기 필터 유니트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유로부에 대해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니트는 미세먼지를 걸러 주는 전기집진 필터와 냄새를 흡착하는 탈취필터 등이 일체로 결합되어 다층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니트가 상기 안내홈들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니트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입구부의 일단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형성된 상기 덮개의 타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입구부의 타단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후크와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조작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조작돌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로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상기 덮개의 개폐에 따라 상기 조작돌기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필터 유니트에 전원이 공급 또는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조리실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전면에 배치된 공기 토출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부재는 상기 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니트는 상기 덮개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구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몸체의 안내홈들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단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입구부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기 위한 후크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잡고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끼워져서 상기 덮개가 상기 필터 유니트와 함께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홀로부터 빠져 나와서 상기 덮개가 상기 필터 유니트와 함께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KR1020020075157A 2002-11-29 2002-11-29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KR10084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57A KR100848161B1 (ko) 2002-11-29 2002-11-29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CNB031104290A CN1254634C (zh) 2002-11-29 2003-04-15 带有空气清洁装置的炊具
JP2003110795A JP3854938B2 (ja) 2002-11-29 2003-04-15 空気浄化装置を備えた調理器
EP03252427A EP1424527A3 (en) 2002-11-29 2003-04-16 Cooker having air cleaning unit
US10/455,374 US6897420B2 (en) 2002-11-29 2003-06-06 Cooker having air clean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57A KR100848161B1 (ko) 2002-11-29 2002-11-29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082A true KR20040047082A (ko) 2004-06-05
KR100848161B1 KR100848161B1 (ko) 2008-07-23

Family

ID=3675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57A KR100848161B1 (ko) 2002-11-29 2002-11-29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7420B2 (ko)
EP (1) EP1424527A3 (ko)
JP (1) JP3854938B2 (ko)
KR (1) KR100848161B1 (ko)
CN (1) CN125463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05B1 (ko) * 2007-12-12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0341A1 (en) * 2005-05-19 2006-11-23 Dan Meyvis Refrigerator with integrated air cleaner
JP4439575B2 (ja) * 2008-08-29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015287B2 (ja) * 2010-05-11 2012-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0060632B2 (en) * 2013-10-02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05728A1 (en) * 2015-01-13 2016-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wave appliances
US20160296870A1 (en) * 2015-04-13 2016-10-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ent filter and appliance utilizing such a filter
CN105066193B (zh) * 2015-08-27 2018-09-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微波烹饪装置
US10194494B2 (en) 2015-08-27 2019-01-29 Midea Group Co., Ltd. Microwave cooking device
CN205897292U (zh) * 2016-08-12 2017-01-1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除烟的烹调器具
DE102017112329A1 (de) * 2016-12-09 2018-06-14 Birnstiel Gmbh Dunstabzugshaube
DE102017223828A1 (de) * 2017-12-27 2019-06-27 Wilhelm Bruckbauer Dunstabzugs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nach unten
KR102487212B1 (ko) 2018-02-05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11285421B2 (en) 2018-04-12 2022-03-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media for filtration of cooking fumes
CN113925295A (zh) * 2021-09-30 2022-01-14 福建洲鹏实业有限公司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装配式防潮橱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3219A (en) * 1970-11-11 1974-01-01 Sharp Kk Air cooled microwave cooking oven and door
US4071738A (en) * 1976-01-06 1978-01-31 Jenn Air Corporation Ventilated range with convertible radiant convection oven
US4143646A (en) * 1977-10-27 1979-03-13 Home Metal Products Company A Division Of Mobex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and exhaust system
KR0186155B1 (ko) * 1995-12-30 1999-03-20 구자홍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의 환기구조
US6197079B1 (en) * 1996-04-25 2001-03-06 Bridgeston Corporation Pleated ai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214876B1 (ko) * 1997-03-10 1999-08-02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제인지의 정화필터 장착구조
KR100229138B1 (ko) * 1997-03-22 1999-11-01 윤종용 전자렌지의 필터장치
KR20000056753A (ko) * 1999-02-25 2000-09-15 구자홍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필터장치
KR100366023B1 (ko) * 1999-03-17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020034558A (ko) * 2000-11-02 2002-05-09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덕트
KR100402579B1 (ko) 2000-12-2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
KR100437383B1 (ko) * 2000-12-30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구조
KR100420322B1 (ko) * 2001-05-18 2004-03-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512676B1 (ko) * 2002-06-18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05B1 (ko) * 2007-12-12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04227A1 (en) 2004-06-03
JP2004184061A (ja) 2004-07-02
CN1504687A (zh) 2004-06-16
JP3854938B2 (ja) 2006-12-06
KR100848161B1 (ko) 2008-07-23
EP1424527A2 (en) 2004-06-02
CN1254634C (zh) 2006-05-03
US6897420B2 (en) 2005-05-24
EP1424527A3 (en)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161B1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조리기
US10940422B2 (en) Air purifier
KR100229138B1 (ko) 전자렌지의 필터장치
KR101792727B1 (ko) 공기청정기
KR20080040468A (ko) 공기조화기
JP2004191030A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
JP2001132956A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
JP2007333358A (ja) 換気装置付き調理台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CN107713790A (zh) 烹饪器具
KR100547673B1 (ko) 공기 청정 기능이 제공되는 전자 레인지
KR100938205B1 (ko) 오븐
KR102325563B1 (ko)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KR20070087343A (ko) 레인지 후드
KR101152459B1 (ko) 공기청정기
JP2002323243A (ja) 空気清浄機
JP415579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4570528B2 (ja) 空気清浄機
JP2007192483A (ja) レンジフード
KR101158595B1 (ko) 공기청정기
KR200246461Y1 (ko) 스탠드식 주방용 후드
KR100614460B1 (ko) 레인지 후드
KR20040056137A (ko) 공기청정기
KR102336632B1 (ko) 주방용 공기청정기
KR940007233B1 (ko) 이물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