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710A -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710A
KR20040046710A KR1020020074710A KR20020074710A KR20040046710A KR 20040046710 A KR20040046710 A KR 20040046710A KR 1020020074710 A KR1020020074710 A KR 1020020074710A KR 20020074710 A KR20020074710 A KR 20020074710A KR 20040046710 A KR20040046710 A KR 2004004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uel
valve
valve housing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820B1 (ko
Inventor
조영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8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연료유입구멍(51a) 및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이 형성되면서 상단면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51c)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51)과, 이 밸브하우징(51)의 플랜지(51c)와 중첩되는 플랜지(52a)와 다수개의 증발가스통과구멍(52b)과 깔대기 모양의 출구(52c)가 형성되는 중간마개부재(52)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내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볼밸브(53)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하단측과 암수결합을 통해 끼워지면서 설치되는 중간마개캡부재(54)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55a)를 이용하여 중간마개부재(52)의 플랜지(52a)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상부마개부재(55)와, 상기 밸브하우징(51)의 플랜지(51c)와 중간마개부재(52)의 플랜지(52a) 및 상부마개부재(55)의 플랜지(55a)를 일체로 감싸면서 결합시키는 플랜지결합부재(56)와, 상기 밸브하우징(51)내에 설치되면서 밸브하우징(51)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승하강되는 뜨개부재(57)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중공부(52d)내에서 압축스프링(58)을 매개로 탄설되면서 상기 뜨개부재(57)의 승강시 볼밸브(53)를 승하강시켜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로드부재(59)로 구성되어져, 차량의 주행중 연료탱크(1)의 흔들림으로 인해 일부의 연료가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을 통해 밸브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하우징캡(12)으로 이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니스터측으로의 역류현상을 미리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vent valve of fuel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중 연료탱크의 흔들림으로 인해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는 현상을 미리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원치않는 시동꺼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자동차의 연료탱크와 연료주입구등과 같은 연료계통에서는 가솔린연료중 일부가 기화하여 대기중으로 증발하는 것이 다반사였던 바, 이와 같은 연료증발가스는 이의 성분이 대개 탄화수소(HC)이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주유시와 같이 대기중으로 누출되는 연료증발가스는 인체에도 심각한 폐해를 줌에 따라 점차 규제를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북미지역에서는 환경오염의 방지대책의 일환으로 ORVR(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시스템이 이미 적용되고 있는 바, 이는 연료중 기화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연료증발가스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의 연료계통에서 증발하는 유해가스인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였다가 이를 다시 강제로 흡기계통으로 유도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유해한 연료증발가스를 재연소시켜 덜 유해한 배기가스로 전환시키도록 된 연료증발가스의 누출방지장치인 것이다.
한편, 북미법규(ORVR)를 만족시키는 차량의 연료탱크(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밸브(10;vent valve)와 컷앤드투웨이밸브(20;cut & 2way valve)등의 안전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밸브(10)와 컷앤드투웨이밸브(20)는 각각의 파이프(31,33)를 통해 세퍼레이트(35)를 경유한 다음 캐니스터(도시않됨)측으로 포집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벤트밸브(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측의 외주면으로는 다수개의 연료유입구멍(11a)이 형성되고 상단측의 외주면으로는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깔대기 모양의 출구(11c)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11)과, 이 밸브하우징(21)의 상측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세퍼레이트(35)를 경유하여 캐니스터측으로 연결되는 밸브파이프(31)와도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캡(12)과, 상기 밸브하우징(11)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뜨개부재(13)와, 이 뜨개부재(13)의 작동에 연동하여 밸브하우징(11)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증발가스유입구멍(11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와, 이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의 이동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15)과,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상에 고정설치되는 로드부재(16)와,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내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로드부재(16)의 작동에 연동하여 출구(11c)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볼밸브(17)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료탱크(1)내에 연료가 충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뜨개부재(13)가 연료의 양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11)의 아래쪽으로 내려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는 볼밸브(17)의 자중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서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는 밀폐된 상태이고 반대로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연료의 주입이 시작되면 상기 뜨개부재(13)는 밸브하우징(11)의 상측으로 점차 상승하게 되고, 또한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 및 로드부재(15)도 점차 상승하여 볼밸브(17)를 상승이동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는 점차적으로 개방되게 되고 반대로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은 점차적으로 밀폐되게 된다.
한편, 연료 주입시 발생되는 연료증발가스는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을 통해 밸브하우징(11)으로 유입되고 또한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 및 밸브파이프(31)를 통해 캐니스터측으로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충만되어 더 이상의 연료가 주입되지 않게 되면 상기 뜨개부재(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11)의 상측으로 완전히 상승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볼밸브(17)도 완전히 상승이동 되어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가 되며, 반대로 상기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은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의 상승이동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태에서는,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는 더 이상 벤트밸브(10)를 통해 방출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는 컷앤드투웨이밸브(20)를 통해 캐니스터측으로 계속해서 방출되게 된다.
한편, 차량이 전복되면 볼밸브(17)는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면서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되지만,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부재(14)는 자체적으로 지닌 자중과 압축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밸브(17)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을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역류되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노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비포장도로)를 주행할 때 연료탱크(1)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 일부의 연료는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을 통해 밸브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종래의 벤트밸브(10)는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을 통해 밸브하우징(11)으로 유입된 연료가 하우징캡(12)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하우징(11)으로 유입된 연료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M과 같이 하우징캡(12)과 밸브파이프(31)를 경유하여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캐니스터의 활성탄이 연료에 의해 젖게 되어 주행중 차량의 시동이 급작스럽게 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차량의 시동꺼짐현상은 특히 고속주행시 각종 추돌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으로도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증발가스유입구멍을 통해 밸브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하우징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켜 결과적으로는 연료가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미리 예방함으로써, 주행중 운전자의 원치않는 차량의 시동꺼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벤트밸브는, 하단측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연료유입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측의 외주면에는 증발가스유입구멍이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연료탱크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과,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밸브하우징의 플랜지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측으로 위치된 하단측에는 다수개의 증발가스통과구멍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밸브하우징의 외측으로 위치된 상단측에는 단면이 깔대기 모양의 출구가 형성되는 중간마개부재와, 상기 중간마개부재의 출구내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볼밸브와, 상기 중간마개부재의 하단측과 암수결합을 통해 끼워지면서 설치되는 중간마개캡부재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중간마개부재를 감싸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중간마개부재의 플랜지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부는 캐니스터측으로 연결되는 밸브파이프와도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상부마개부재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플랜지와 중간마개부재의 플랜지 및 상부마개부재의 플랜지를 일체로 감싸면서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플랜지결합부재와, 상기 밸브하우징내에 설치되면서 밸브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밸브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뜨개부재와, 상기 중간마개부재의 중공부내에서 압축스프링을 매개로 탄설되면서 일단은 중간마개부재의 출구를 관통하여 볼밸브와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중간마개캡부재를 관통하여 뜨개부재를 향하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뜨개부재의 승강시 이에 연동되면서 볼밸브를 승하강시켜 중간마개부재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로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탱크의 평면도,
도 2와 도 3은 종래의 벤트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탱크 31 - 밸브파이프
50 - 벤트밸브 51 - 밸브하우징
52 - 중간마개부재 53 - 볼밸브
54 - 중간마개캡부재 55 - 상부마개부재
56 - 플랜지결합부재 57 - 뜨개부재
58 - 압축스프링 59 - 슬라이드로드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따라 북미법규(ORVR)를 만족시키는 차량의 연료탱크(1)에는 컷앤드투웨이밸브(20;cut & 2way valve)와 함께 연료탱크(1)내에서 발생되는 연료증발가스를 캐니스터쪽으로 방출시키는 기능과 차량의 전복시 연료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벤트밸브(50;vent valve)가 장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5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측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연료유입구멍(51a)이 형성되고 상단측의 외주면에는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이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연료탱크(1)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51c)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51)과,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52a)를 이용하여 밸브하우징(51)의 플랜지(51c)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하우징(51)의 내측으로 위치된 하단측에는 다수개의 증발가스통과구멍(52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밸브하우징(51)의 외측으로 위치된 상단측에는 단면이 깔대기 모양의 출구(52c)가 형성되는 중간마개부재(52)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내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볼밸브(53)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하단측과 암수결합을 통해 끼워지면서 설치되는 중간마개캡부재(54)와, 상기 밸브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된 중간마개부재(52)를 감싸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55a)를 이용하여 중간마개부재(52)의 플랜지(52a)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부는 캐니스터측으로 연결되는 밸브파이프(31)와도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상부마개부재(55)와, 상기 밸브하우징(51)의 플랜지(51c)와 중간마개부재(52)의 플랜지(52a) 및 상부마개부재(55)의 플랜지(55a)를 일체로 감싸면서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플랜지결합부재(56)와, 상기 밸브하우징(51)내에 설치되면서 밸브하우징(51)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밸브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뜨개부재(57)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중공부(52d)내에서 압축스프링(58)을 매개로 탄설되면서 일단은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관통하여 볼밸브(53)와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중간마개캡부재(54)를 관통하여 뜨개부재(57)를 향하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뜨개부재(57)의 승강시 이에 연동되면서 볼밸브(53)를 승하강시켜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로드부재(5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중간마개캡부재(54)는 중간마개부재(52)의 하단측과 암수결합을 통해 끼워지면서 설치된다고 전술하였던 바, 즉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하단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52e)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마개캡부재(54)의 외주면에는 소정크기의 결합구멍(5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마개캡부재(54)가 중간마개부재(52)의 하단측으로 끼워질 때 걸림턱(52e)이 결합구멍(54a)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마개부재(55)는 그 상단부가 캐니스터측으로 연결되는 밸브파이프(31)와도 연결된다고 전술하였는데, 상기한 상부마개부재(55)는 하우징캡(12)을 매개체로 하여 밸브파이프(3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밸브파이프(31)는 하우징캡(1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캡(12)의 하단측 내주면에는 결합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개부재(55)의 외주면에는 걸림턱(55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캡(12)이 상부마개부재(55)를 감싸면서 상측으로부터 끼워질 때 상기 결합돌기(12a)와 걸림턱(55b)이 서로 암수결합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마개부재(55)는 하우징캡(12)을 매개체로 하여 밸브파이프(3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캡(12)이 상부마개부재(55)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캡(31)의 결합돌기(31a)밑에는 패킹부재(12c)가 끼워져서 함께 결합되는데, 이 패킹부재(12c)는 하우징캡(12)과 상부마개부재(55)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로드부재(59)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원판플레이트(59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판플레이트(59a)상에는 소정형상의 패킹부재(59c)가 본드(bond)와 같은 강력한 접착제를 매개체로 하여 결합되는데, 상기 패킹부재(59c)는 슬라이드로드부재(59)가 뜨개부재(57)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상승될 때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밀폐시켜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부마개부재(55)의 윗면에는 연료증발가스의 통로구멍(55c)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50)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료탱크(1)내에 연료가 충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뜨개부재(57)가 연료의 양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51)의 아래쪽으로 내려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로드부재(59)는 볼밸브(53)의 자중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서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는 밀폐된 상태이고 반대로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연료의 주입이 시작되면 상기 뜨개부재(57)는 밸브하우징(51)의 상측으로 점차 상승하게 되고, 또한 슬라이드로드부재(59)도 뜨개부재(57)의 상승력을 전달받아 점차 상승하여 볼밸브(53)를 상승이동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는 점차적으로 개방되게 되고 반대로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은 점차적으로 밀폐되게 된다.
한편, 연료 주입시 발생되는 연료증발가스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G와 같이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을 통해 밸브하우징(51)으로 유입되고 또한 밸브하우징(51)으로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는 중간마개부재(52)의 증발가스통과구멍(52b)과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중공부(52d) 및 출구(52c)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밸브파이프(31)를 통해 캐니스터측으로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충만되어 더 이상의 연료가 주입되지 않게 되면 상기 뜨개부재(5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51)의 상측으로 완전히 상승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볼밸브(53)도 슬라이드로드부재(59)의 상승력에 의해 완전히 상승이동 되어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가 된다.
한편, 연료의 충만으로 상기 슬라이드로드부재(59)가 완전히 상승이동되면 원판플레이트(59a)상에 결합된 패킹부재(59c)는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중공부(52d)의 안쪽에서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상태에서는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는 더 이상 벤트밸브(50)를 통해 방출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는 도 1에 도시된 컷앤드투웨이밸브(20)를 통해 캐니스터측으로 계속해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차량이 전복되면 볼밸브(53)는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면서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되지만, 상기 슬라이드로드부재(59)가 자체적으로 지닌 자중과 압축스프링(5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밸브(53)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중공부(52d)의 내측에서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역류되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노면이 고르지 못한 도로(비포장도로)를 주행할 때 연료탱크(1)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 일부의 연료는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을 통해 밸브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벤트밸브(10)는 증발가스유입구멍(11b)을 통해 밸브하우징(11)으로 유입된 연료가 밸브하우징(11)의 출구(11c)와 볼밸브(17)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우징캡(12)으로 유입되어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게 되지만, 본 발명의 벤트밸브(50)는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을 통해 밸브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하우징캡(12)으로 이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N과 같이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을 통해 밸브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될 때 이때의 연료는 중간마개부재(52)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중간마개부재(52)의 중공부(52d)로 유입되는 것이 예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을 통해 유입된 연료가 하우징캡(12)으로 이동되는 것이 미리 예방되며 아울러 밸브파이프(31)를 경유하여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는 것도 미리 예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중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50)에 의해 캐니스터측으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되면 캐니스터의 활성탄이 연료에 의해 젖는 현상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주행중에 차량의 시동이 급작스럽게 꺼지게 종래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50)는 주행중 운전자의 원치않는 시동꺼짐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트밸브는, 차량의 주행중 연료탱크의 흔들림으로 인해 일부의 연료가 증발가스유입구멍을 통해 밸브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하우징캡으로 이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니스터측으로의 역류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중 운전자의 원치않는 시동꺼짐현상이 예방됨으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하단측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연료유입구멍(51a)이 형성되고 상단측의 외주면에는 증발가스유입구멍(51b)이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연료탱크(1)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51c)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51)과,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52a)를 이용하여 밸브하우징(51)의 플랜지(51c)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하우징(51)의 내측으로 위치된 하단측에는 다수개의 증발가스통과구멍(52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밸브하우징(51)의 외측으로 위치된 상단측에는 단면이 깔대기 모양의 출구(52c)가 형성되는 중간마개부재(52)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내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는 볼밸브(53)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하단측과 암수결합을 통해 끼워지면서 설치되는 중간마개캡부재(54)와, 상기 밸브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된 중간마개부재(52)를 감싸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55a)를 이용하여 중간마개부재(52)의 플랜지(52a)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부는 캐니스터측으로 연결되는 밸브파이프(31)와도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상부마개부재(55)와, 상기 밸브하우징(51)의 플랜지(51c)와 중간마개부재(52)의 플랜지(52a) 및 상부마개부재(55)의 플랜지(55a)를 일체로 감싸면서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플랜지결합부재(56)와, 상기 밸브하우징(51)내에 설치되면서 밸브하우징(51)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밸브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뜨개부재(57)와, 상기 중간마개부재(52)의 중공부(52d)내에서 압축스프링(58)을 매개로 탄설되면서 일단은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관통하여 볼밸브(53)와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중간마개캡부재(54)를 관통하여 뜨개부재(57)를 향하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뜨개부재(57)의 승강시 이에 연동되면서 볼밸브(53)를 승하강시켜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드로드부재(59)로 구성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로드부재(59)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원판플레이트(59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판플레이트(59a)상에는 패킹부재(59c)가 결합되는데, 상기 패킹부재(59c)는 슬라이드로드부재(59)가 뜨개부재(57)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상승될 때 중간마개부재(52)의 출구(52c)를 밀폐시켜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로 연료가 주입될 때 발생되는 연료증발가스는 밸브하우징(51)의 증발가스유입구멍(51b)과 중간마개부재(52)의 증발가스통과구멍(52b)과 중간마개부재(52)의 중공부(52d) 및 출구(52c)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밸브파이프(31)를 통해 캐니스터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KR10-2002-0074710A 2002-11-28 2002-11-28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KR10050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710A KR100509820B1 (ko) 2002-11-28 2002-11-28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710A KR100509820B1 (ko) 2002-11-28 2002-11-28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710A true KR20040046710A (ko) 2004-06-05
KR100509820B1 KR100509820B1 (ko) 2005-08-23

Family

ID=3734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710A KR100509820B1 (ko) 2002-11-28 2002-11-28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8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7A (ko) 2015-07-10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과다 부압 발생을 방지하는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
KR20170007028A (ko) 2015-07-10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
KR20170107677A (ko)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
KR20170126153A (ko)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시동중 주유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182A (ja) * 1996-09-18 1998-04-07 Nok Corp 液体遮断弁装置
KR1998005505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KR200227703Y1 (ko) * 1997-12-30 2001-10-25 이계안 연료주유차단용벤트밸브구조
KR100283335B1 (ko) * 1997-12-31 2001-03-02 정몽규 연료탱크용 벤트 밸브
US6371146B1 (en) * 2000-11-07 2002-04-16 Eaton Corporation Peelaway type rollover valve el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7A (ko) 2015-07-10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과다 부압 발생을 방지하는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
KR20170007028A (ko) 2015-07-10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
KR20170107677A (ko) 2016-03-16 2017-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
KR20170126153A (ko)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시동중 주유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9820B1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1543C (zh) 用于无帽加油管口的门锁
US7159579B2 (en) Resilient sling for mounting a carbon monolith in an evaporative emissions canister
US7152638B2 (en) Safety system for a liquid fuel tank
CN100400324C (zh) 灌注液体的中空壳体的密封及安全装置
JP2008515717A (ja) キャップレス自動車用給油システム及び自動車用給油システム
US4690293A (en) Filler cap structure for a fuel tank
CN101163606B (zh) 用于燃料箱加油口的无盖封闭组件及方法
US7051717B2 (en) Evaporative emissions canister having an internal insert
JPH08258578A (ja) 燃料貯蔵装置
CA2287727A1 (en) Two-stage fuel tank vapor recovery vent valv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5537980A (ja) 液体燃料タンク用安全システム
JP5030152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口キャップ
JPS5941143Y2 (ja) 燃料タンク用キヤツプ
KR100509820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KR100444203B1 (ko) 급유 배기 라인용 안전 밸브
CN101107144A (zh) 用于燃料箱的无盖填充颈部件
CN109399543A (zh) 加油系统
TWI551480B (zh) Filterable hydrocarbon lock device to
KR100349188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CN207140787U (zh) 油箱机构
KR100494786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안전밸브
KR200227703Y1 (ko) 연료주유차단용벤트밸브구조
JPH039465Y2 (ko)
KR100527775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컷밸브
KR102620749B1 (ko) 자동차 연료가스 제어 시스템용 차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