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242A - 건조기 공용화 모듈 - Google Patents

건조기 공용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242A
KR20040046242A KR1020020074083A KR20020074083A KR20040046242A KR 20040046242 A KR20040046242 A KR 20040046242A KR 1020020074083 A KR1020020074083 A KR 1020020074083A KR 20020074083 A KR20020074083 A KR 20020074083A KR 20040046242 A KR20040046242 A KR 2004004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module
gas
drier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435B1 (ko
Inventor
김상두
양재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435B1/ko
Priority to US10/718,029 priority patent/US6810602B2/en
Publication of KR2004004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공용화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식 및 가스식 건조기의 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건조기 모듈의 관리 및 생산비를 효율화할 수 있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건조기 공용화 모듈은, 건조기 내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건조기의 가스/전기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부와, 상기 건조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히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와, 가스 제어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제 2 커넥터에 상기 히터 또는 가스제어회로 접속시 상기 선택 스위치의 모드에 따른 오류 발생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하나의 모듈에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조기 공용화 모듈{Dryer Module}
본 발명은 건조기 공용화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식 및 가스식 건조기의 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건조기 모듈의 관리 및 생산비를 효율화할 수 있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물에 충격 등의 에너지를 가하여 오염물을 박리시키는 장치로서, 세탁물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방식 세탁기, 드럼방식 세탁기및 애지테이터방식 세탁기로 나눌 수 있다. 즉 펄세이터 또는 애지테이터에 의하여 세탁물에 충격을 주거나,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낙하시켜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물을 세탁한다. 그리고 여기에 세제의 작용이 추가되어 세탁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세탁기들은 의류 등과 같은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세탁기의 사용자는 세탁 완료후에 세탁물을 세탁기에서 꺼내어 햇볕에서 건조시켜야 했다.
근래에는 아파트에서의 생활이 널리 보급되고 또한 생활 패턴의 변화로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빠른 시간내에 인공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건조기가 개발되었다.
건조기가 개발됨으로써 세탁기에서 세탁 완료된 세탁물을 간단히 그리고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가스식과 전기식으로 나누어 생산되고 있다.
가스식은 세탁물을 건조시킬 때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전기식은 히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스식 건조기와 전기식 건조기는 기본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가스식과 전기식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상이하므로 건조기를 제어하는 회로의 커넥터 역시 회로 모듈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구성되거나, 커넥터 구조 자체가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어 일반적으로 다른 PCB를 이용하여 조립하였다.
따라서 가스식과 전기식 각각의 PCB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제품 생산 특성상 동일한 라인에서 가스식 건조기를 조립하거나 전기식 건조기를 조립하다가, 필요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를 조립하거나 가스식 건조기를 조립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 모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건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는 동일한 반면 기본 구조가 다르므로 가스식과 전기식 각각에 대한 건조기 모듈을 생산하여야 하므로 각각의 경우에 대한 생산, 관리 및 그에 따른 부대 비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가스식과 전기식 건조기 조립시 서로 다른 라인에서 작업하여야 조립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라인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식과 전기식 건조기의 모듈을 공용화하여 조립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공용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용화 모듈11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선택스위치부13 : 디스플레이부
14 : 전원공급부15 : 키 입력부
16,17 : 센서부18, 19 : 커넥터
20 : 히터30 : 가스 제어 회로
40 : 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건조기의 가스/전기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부와, 상기 건조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히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와, 가스 제어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와, 상기제 1, 제 2 커넥터에 상기 히터 또는 가스제어회로 접속시 상기 선택 스위치의 모드에 따른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하나의 모듈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커넥터 사이에는 상기 전원을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전원을 건조기 모터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 릴레이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류발생 여부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건조기는 세탁물 건조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공용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공용화 모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기 내부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14)와, 건조기의 가스/전기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부(12)와, 건조기의 현재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와, 사용자로부터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15)와, 전기식 건조기의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2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를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19)와, 가스 제어회로(3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를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18)와, 상기 제 1, 제 2 커넥터(19,18)에 상기 히터(2) 또는 가스제어회로(30) 접속시 상기 선택 스위치(12)의 모드에 따른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가 하나의 공용화 모듈(10)에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와 제 1 커넥터(19) 사이에는 상기 전원을 상기 히터(2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릴레이(RELAY2)와, 상기 전원을 건조기 모터(4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릴레이(RELAY2)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키 입력부(15)의 키 입력은 제 2 커넥터(15)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전송되며, 그 외에도 건조기내부의 다양한 기능, 상태 등을 센싱하는 센서부(제 1, 제 2 센서부(16,17))역시 제 2 커넥터(15)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가스 제어회로(30)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Igniter)(33)와, 점화장치(33)의 타측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전원(A1)을 스위치와 브리지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다이오드(D1)와, 점화장치(33)와 다이오드(D1)의 에노드 사이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턴온되는 포토커플러(PC)와,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가스식 건조기의 가스를 공급하는 밸브를 개방시키는 복수의 코일 등으로 구성된다.
전기식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서 전원공급부(14)의 전원을 릴레이(RELAY2)를 통해 제 1 커넥터(19)에 공급하여 히터(20)를 구동시킴으로서 세탁물등을 빠른시간내에 건조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식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서 전원공급부(14)의 전운을 릴레이(RELAY2)를 통해 제 1 커넥터(19)에 공급하면 A1 라인을 통해 점화장치(33)를 점화시키고, 일정시간후 스위치(34)가 턴온되면 다이오드(D1)의 캐소드를 통해 애노드로 공급된 전원이 브리지다이오드의 일측 입력단에 전달된다. 또한 브리지 다이오드의 타측 입력단에는 A1라인에서 공급된 전원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브리지 다이오드는 브리지다이오드 출력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코일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에 따라 밸드들이 오프되면서 가스가 공급되고, 가스에 불이 붙으면서 열을 발생시켜 세탁물을 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공용화 모듈은 우선 선택 스위치부(12)가 전기식 모드로 선택된 경우, 조립시 공용화 모듈(10)의 제 1 커넥터(19)에 히터(20)와 모터(40)가 연결되어 출시되고, 제 2 커넥터(18)에는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 입력부(15), 제 1, 제 2 센서부(17)만이 연결되고, A2 라인은 제 2 커넥터(18)에 연결되지 않는다.
그리고 선택 스위치부(12)가 가스식 모드로 선택된 경우, 조립시 공용화 모듈(10)의 제 1 커넥터(19)에는 모터(40)만이 연결되고, 제 2 커넥터(18)에는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 입력부(15), 제 1, 제 2 센서부(17) 및 가스 제어회로(30)의 포터커플러(33)의 일측이 A2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선택 스위치부(12)를 가스식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생산 라인에서 모듈(10)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스 제어회로(30)만을 연결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전기식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히터(20)만을 연결하면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선택 스위치부(12)가 전기식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조립 또는 사용시 가스식 제품에 취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선택스위치부(12)의 선택 모드를 알고 있으므로, 이를 감시하여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경보한다.
따라서 조립시뿐 아니라 사용시에도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가스식 건조기에 전기식을 사용하는 경우와 전기식 건조기에 가스를 공급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공용화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스식과 전기식 각각에 대한 건조기 모듈을 공용화하여 생산함으로써 각각의 경우에 대한 생산, 관리 및 그에 따른 부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가스식과 전기식 건조기 조립시 동일한 라인에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라인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셋째, 조립 공정 또는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히터 또는 가스 제어회로 취부시 이를 검출하여 경보함으로써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1. 건조기 내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건조기의 가스/전기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부와;
    상기 건조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히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제 1 커넥터와;
    가스 제어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제 2 커넥터에 상기 히터 또는 가스 제어 회로 접속시 상기 선택 스위치의 모드에 따른 오류 발생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하나의 모듈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 1 커넥터 사이에는 상기 전원을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전원을 건조기 모터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 릴레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발생 여부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세탁물 건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공용화 모듈.
KR10-2002-0074083A 2002-11-26 2002-11-26 건조기 공용화 모듈 KR10045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83A KR100457435B1 (ko) 2002-11-26 2002-11-26 건조기 공용화 모듈
US10/718,029 US6810602B2 (en) 2002-11-26 2003-11-21 Drie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83A KR100457435B1 (ko) 2002-11-26 2002-11-26 건조기 공용화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242A true KR20040046242A (ko) 2004-06-05
KR100457435B1 KR100457435B1 (ko) 2004-11-16

Family

ID=3290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83A KR100457435B1 (ko) 2002-11-26 2002-11-26 건조기 공용화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10602B2 (ko)
KR (1) KR100457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33B1 (ko) * 2002-11-26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가스밸브 제어장치
US9657433B2 (en) * 2006-04-14 2017-05-23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7390A (en) * 1961-04-03 1964-11-17 Blackstone Corp Combination gas and electric heater for a clothes drier
GB1383841A (en) * 1972-03-03 1974-02-12 British Domestic Appliances Control mechanisms
US4783908A (en) * 1986-05-09 1988-11-15 A. Monforts Gmbh & Co. Infrared dr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8345A1 (en) 2004-09-02
KR100457435B1 (ko) 2004-11-16
US6810602B2 (en) 200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269B2 (en) Domestic appliance assembly with integrated functioning
CN105155207B (zh) 洗衣机的监控方法、洗衣机和洗衣机系统
US552436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wire harness to select controller mode
CN102568169A (zh) 电子设备的远程控制方法
JP2005198246A (ja) 遠隔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モニタリング方法
US6425156B1 (en) Method for varying programs stored in a program-controlled household appliance
JP6452068B2 (ja) コンピュータボードをモジュール化した洗濯機
US8217752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0457435B1 (ko) 건조기 공용화 모듈
EP3510192B1 (en) A combination of an external device and a laundry machine
AU2007205397B2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CN101379239B (zh) 具有可变控制部件的洗衣机和具有同样部件的复式洗衣机
JPS60156492A (ja) 洗濯機
CN105718338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0722053B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175207B1 (en) Power up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KR20050066451A (ko)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38600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47816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95068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방법
KR100871494B1 (ko)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20050066458A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16265A (ko) 가전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535661B1 (ko) 세탁기의 세탁코스 결정방법
KR20030060545A (ko) 드럼 세탁기의 컨트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