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600B1 -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600B1
KR101138600B1 KR1020050022950A KR20050022950A KR101138600B1 KR 101138600 B1 KR101138600 B1 KR 101138600B1 KR 1020050022950 A KR1020050022950 A KR 1020050022950A KR 20050022950 A KR20050022950 A KR 20050022950A KR 101138600 B1 KR101138600 B1 KR 10113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washing machine
monitoring
pow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085A (ko
Inventor
이훈봉
김용태
권용환
최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2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600B1/ko
Priority to US10/592,871 priority patent/US8217752B2/en
Priority to DE112006000263.5T priority patent/DE112006000263B4/de
Priority to PCT/KR2006/000250 priority patent/WO2006080792A1/en
Publication of KR2006010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및 건조기 등과 같은 제품의 동작제어 및 전원 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과 상관없이 전원 상태에 따라 모니터링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전원이 오프된 제품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아닌 다른 동작중인 제품이 존재하면 해당 제품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전원 인가가 감지되면 다시 복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오프가 감지된 제품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일 경우 동작중인 다른 제품으로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전원 오프가 감지되더라도 사용자의 별도 키 입력없이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전원 오프

Description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격 모니터링부 101 : 제 1 키입력부
102 : 전원부 103 : 제 1 마이컴
104 : 통신부 105 : 제 1 디스플레이부
106 : 경고음 발생부 200 : 세탁기
201 : 제 1 통신모듈 202 : 제 2 키 입력부
203 : 제 2 마이컴 204 : 제 1 부하구동부
205 : 제 2 디스플레이부 206 : 제 1 메모리
300 : 건조기 301 : 제 2 통신모듈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및 건조기 등과 같은 제품의 동작제어 및 전원 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과 상관없이 전원 상태에 따라 모니터링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사용자가 오염된 세탁물을 세탁조에 투입하면 세제와 세탁수가 적절히 혼합되어 세탁행정을 수행한 후 헹굼 및 탈수행정을 거쳐 세탁작업을 완료하도록 한 기기이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 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행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기 및 건조기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실내에 설치하여 동작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유럽이나 남미, 미국과 같은 외국의 경우는 집안과 별도로 외부 창고, 지하 세탁실 등과 같이 별개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외국인들은 우리나라와 같이 아파트 생활이 아니라, 넓은 공간의 주택생활을 많이 즐기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가정용 기기를 인터넷 환경에 연결하여 그 동작이 필요시 될 때마다 원격지에서 운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상 및 시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손쉽게 각종 가사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하나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제품에의 적용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통상적인 세탁기는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써 일정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자동적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기능을 내장하여 전력 소비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즉 세탁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을 경우에는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PC 등이 계속 전원 온 상태가 되어야 할 뿐더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여 제조단가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기 및 건조기가 집안에 설치되지 않고 외부창고, 지하 등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더러, 사용자가 세탁기 및 건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세탁물을 들고 세탁기 및 건조기가 설치된 장소까지 가서 세탁물을 투입시킨 후 동작명령을 입력 해야하며, 동작명령 입력 이후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설치 장소를 방문하여 동작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동작 중에 발생되는 에러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세탁 또는 건조 행정 도중에 발생된 에러로 인해 동작이 멈추었는데도 사용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또한,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가 설치된 장소에 이동해서만이, 가능하였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20) 및 건조기(3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집안에는 모니터링 장치(10)가 장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모니터링 장치(Remote Laundry Monitor, RLM)의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1),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한 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2~S13).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도중 전원오프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상기 판단 결과(S14), 상기 전원오프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5),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면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오프시킨다(S16).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5),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아니면 오프상태는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동작상태만을 계속해서 표시한다(S17).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모니터링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동작상태만이 표시됨으로써 전원이 꺼진 제품이 선택되어 있을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가 꺼지게 된다.
따라서 동작중인 제품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제품을 선택하여 전원 오프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및 건조기 등과 같은 제품의 동작제어 및 전원 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원 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과 상관없이 전원 상태에 따라 모니터링을 유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세탁기 및 건 조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 받아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유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 중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키 입력부와,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에 장착된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통신 결과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전원 오프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상태가 유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마이컴과, 상기 제 1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구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중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전원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는, 상기 선택된 기기가 건조기 이고, 상기 건조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될 때 까지 상기 모니터링부의 선택 제품을 세탁기로 변경하여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기가 세탁기 이고, 상기 세탁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될 때 까지 상기 모니터링부의 선택 제품을 건조기로 변경하여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니터링부의 제 1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 이외의 별도 공간에 설치되는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와,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 (3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링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부(100)는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중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키 입력부(101)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2)와,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등과 통신을 하기 위한 제 1 통신부(104)와, 상기 제 1 키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요구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부(104)를 통해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에서 전원오프가 발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 1 마이컴(103)과, 상기 제 1 마이컴(10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행정 종료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105)와, 상기 제 1 마이컴(10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200) 및 건조기(300)의 에러 발생을 표시하기 위한 경고음 발생부(10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기(200) 또는 건조기(300)의 동작 상태등을 각각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5)와, 상기 세탁기(200) 또는 건조기(300)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부(10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5)는 상기 세탁기(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창(105a)과, 상기 건조기(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창(105b)과, 동작시간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 3 표시창(105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200)는 상기 모니터링부(100)의 통신부(104)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모듈(201)과,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키 입력부(202)와, 상기 키 입력부(20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통신모듈(201)를 통해 입력되는 모니터링 명령에 따라 현재 동작상태 등이 상기 리모컨(100)의 통신부(104)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2 마이컴(203)과, 상기 제 2 마이컴(203)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하를 구동시키는 제 1 부하 구동부(204)와, 상기 제 2 마이컴(203)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205)와, 상기 동작관련 각종 메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20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기(300)는 상기 모니터링부(100)의 통신부(104)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모듈(301)과,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 3 키 입력부(302)와, 상기 제 3 키 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통신모듈(301)을 통해 입력되는 모니터링 명령에 따라 현재 동작 상태 등이 상기 모니터링부(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3 마이컴(303)과, 상기 제 3 마이컴(303)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하를 구동시키는 제 2 부하 구동부(304)와, 상기 제 3 마이컴(303)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 3 디스플레이부(305)와, 상기 동작관련 각종 메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30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신부(104)와 제 1 및 제 2 통신모듈(201)(301)은 전력선 통신, 유선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로 통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게이트 웨이(gate way) 같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서도, 상기 모니터링부(100)와 세탁기 및 건조기(200)(300)와 직접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모니터링부(100)는 상기 제 1 키입력부(101)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 즉 세탁기 또는 건조기중에서 선택된 제품의 동작 상태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05)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중 전원 오프가 감지되는지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전원 오프상태인지에 따라 동작중인 다른 제품이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1),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건조기를 선택한다(S102).
그리고 건조기 및 세탁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한다(S103).
여기서 상기 건조기 및 세탁기에 전원오프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판단 결과(S104), 상기 전원오프가 감지되었으면 감지된 기기가 건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 결과(S105), 상기 건조기에서 전원오프가 감지되면 선택제품을 세탁기로 변경한다(S106).
그리고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S107).
이어서 건조기의 전원이 다시 온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건조기가 전원 온 되면 선택제품을 건조기로 재 변경한 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08~S109).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링 부에 전원 연결이 해제되면 종료한다(S110).
또한 상기 판단 결과(S104), 상기 전원 오프가 감지되지 않았으면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표시한다(S111).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5), 상기 건조기가 전원 오프상태가 아니면 상기 세탁기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것이므로 계속해서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표시한다(S112).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01),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세탁기를 선택한다(S202).
그리고 건조기 및 세탁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한다(S203).
여기서 상기 건조기 및 세탁기에 전원 오프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상기 판단 결과(S204), 상기 전원 오프가 감지되었으면 감지된 기기가 세탁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상기 판단 결과(S205), 상기 세탁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선택 제품을 건조기로 변경한다(S206).
그리고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S207).
이어서 세탁기의 전원이 다시 온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세탁기가 전원 온 되면 선택 제품을 세탁기로 재 변경한 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208~S210).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링 부에 전원 연결이 해제되면 종료한다(S211).
또한 상기 판단 결과(S204), 상기 전원 오프가 감지되지 않았으면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표시한다(S212).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05), 상기 세탁기가 전원 오프상태가 아니면 상기 건조기가 전원오프 상태인 것이므로 계속해서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표시한다(S2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전원이 오프 된 제품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아 닌 다른 동작중인 제품이 존재하면 해당 제품을 모니터링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원 오프가 감지된 제품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일 경우 동작중인 다른 제품으로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전원 오프가 감지되더라도 사용자의 별도 키 입력없이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전원 오프 상태에 따라 모니터링을 유동적으로 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모니터링을 하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 받아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기기의 동작상태를 유동적으로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 중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키 입력부와,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에 장착된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통신 결과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이 전원 오프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상태가 유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구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기 및 건조기중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제1단계;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전원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제2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모니터링이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기가 건조기 이고, 상기 건조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될 때 까지 상기 모니터링부의 선택 제품을 세탁기로 변경하여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세탁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상기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기가 세탁기 이고, 상기 세탁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될 때 까지 상기 모니터링부의 선택 제품을 건조기로 변경하여 건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기에서 전원 오프가 감지되면 계속해서 상기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22950A 2005-01-25 2005-03-19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950A KR101138600B1 (ko) 2005-03-19 2005-03-19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592,871 US8217752B2 (en) 2005-01-25 2006-01-23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DE112006000263.5T DE112006000263B4 (de) 2005-01-25 2006-01-23 Verfahren zum Steuern eines Fernüberwachungssystems
PCT/KR2006/000250 WO2006080792A1 (en) 2005-01-25 2006-01-23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950A KR101138600B1 (ko) 2005-03-19 2005-03-19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085A KR20060101085A (ko) 2006-09-22
KR101138600B1 true KR101138600B1 (ko) 2012-05-10

Family

ID=3763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950A KR101138600B1 (ko) 2005-01-25 2005-03-19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04095B2 (en) 2017-01-13 2019-08-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999701B1 (ko) * 2018-07-18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47A (ko) *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 및 그 외부신호 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47A (ko) *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 및 그 외부신호 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085A (ko) 200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8679A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s
US20110041258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JP6250981B2 (ja) 家電機器の情報報知システム
US8217752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EP2824230B1 (en) Washing machin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washing machine
KR101138600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22053B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54185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747816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8043031A (ja) 家電機器の情報報知システム
KR100717459B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6068B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71494B1 (ko)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20050066451A (ko)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69865B1 (ko) 가전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US20070123177A1 (en) Home appliance with radio reception function
KR101054195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50066458A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6454A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261657B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6460A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62151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50066452A (ko) 모니터링 시스템
KR20050116265A (ko) 가전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50066457A (ko) 원격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