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187A -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187A
KR20040046187A KR1020020074026A KR20020074026A KR20040046187A KR 20040046187 A KR20040046187 A KR 20040046187A KR 1020020074026 A KR1020020074026 A KR 1020020074026A KR 20020074026 A KR20020074026 A KR 20020074026A KR 20040046187 A KR20040046187 A KR 2004004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egment
vehicle
display de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187A/ko
Publication of KR2004004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1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의 차량에 착신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운전자가 직접 전화기를 보고 착신번호를 확인하게 되므로 착신번호의 확인 도중 교통사고의 위험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3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지역번호 또는 착신전화의 호출번호를 나타내는 A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국번을 나타내거나 시각을 표시하는 B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착신번호를 나타내는 C섹션으로 구성되고; 차량의 대쉬패널 중앙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이동전화에 걸려온 전화의 착신번호를 대쉬 패널의 착신번호 표시장치에 나타낼 수 있어 상대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므로 전화 상대의 확인 과정에서 증대되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전화가 걸려오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시계로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Phone number display for vehicle }
본 발명은 운전중에 걸려온 전화의 번호를 표시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운전 도중 눈을 돌리지 않고도 곧바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도중 이동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교통사고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이동전화의 사용의 법으로 금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이동전화를 잡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handsfree)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핸즈프리는 자동차에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최근에 개발되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핸즈프리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에 내장되는 핸즈프리의 경우는 자동차의 내장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통화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확산 추세에 있으나 그 이상으로 사제 핸즈프리와 구별되는 점은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최근 이동전화 사용자 및 전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각 이동전화 사업자 및 일반 전화 사업자들이 발신번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발신번호 서비스는 전화를 받는 사람이 자신의 전화로 전화를 건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에 전화를 받거나 받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착신자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착신된 전화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착신번호가 확인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신번호 서비스, 혹은 착신번호 서비스는 안전을 위하여 핸즈프리를 사용하는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교통사고의 위험이 커지게 한다. 즉,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차량을 운전할 경우에도 이동전화를 끄지 계속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전화가 오는 경우 전화를 곧바로 받지 않고 착신번호를 확인하여 발신자의 신원에 따라 전화를 받거나 받지 않게 된다. 여기서, 걸려온 전화의 착신번호를 확인하는 동안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주의력 분산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이는 운전자가 핸즈프리를 사용하는 것에 상관없이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으로, 운전자가 운전에만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핸즈프리를 사용하여 이동전화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교통사고의 위험이 결코 줄어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으면서도 운전자가 걸려온 전화의 발신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번호 표시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현재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여러 전장품 중에는 디지털 시계가 있으며, 이 디지털 시계를 응용하면 착신번호 표시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디지털 시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세그먼트로 구성된 4개의 자판(11)으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 시계(10)의 중심 부분에는 시와 분을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기호(12)가 표시되어 있다.
디지털 시계(10)의 자판(11)으로 7-세그먼트 형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7-세그먼트의 각 세그먼트를 필요에 따라 점멸시키면 0에서 9에 이르는 한자리의 숫자를 모두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디지털 시계(10)의 자판(11)중 구분기호(12) 앞쪽의 두 자판은 시(時)를 나타내고, 구분기호(12) 뒤쪽의 두 자판은 분(分)을 나타낸다. 특히, 디지털 시계(10)는 운전석 앞쪽의 대쉬패널에 설치되는데, 운전석과 조수석 중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을 하는 도중에 잠깐만 눈을 돌리면 현재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시계(10)를 구성하는 7-세그먼트는 숫자를 나타내기에 적합하므로, 7-세그먼트를 이용할 경우 전화번호를 나타내기도 용이하다.
그러나, 현재의 차량에는 착신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운전자가직접 전화기를 보고 착신번호를 확인하게 되므로 착신번호의 확인 도중 교통사고의 위험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운전자가 핸즈프리를 사용할 때 전화가 걸려오면 대쉬패널에 착신번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전화기를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착신번호를 알 수 있게 하여 착신번호 확인 도중의 교통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디지털 시계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착신번호 표시장치 51 : 자판
52 : 구분 세그먼트 53 : 구분기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3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지역번호 또는 착신전화의 호출번호를 나타내는 A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국번을 나타내거나 시각을 표시하는 B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착신번호를 나타내는 C섹션으로 구성되고; 차량의 대쉬패널 중앙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내부 앞쪽 대쉬패널의 중앙 부분, 즉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대쉬패널에 설치되며, 3개의 7-세그먼트 자판(51)으로 구성되고 지역번호 또는 착신전화의 호출번호를 나타내는 A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51)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국번을 나타내거나 시각을 표시하는 B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51)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착신번호를 나타내는 C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A섹션과 B섹션 사이 및 상기 B섹션과 C섹션 사이에는 하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어 각 섹션을 구분하는 구분 세그먼트(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B섹션은 그 중앙에 시와 분을 구분하는 구분기호(5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B섹션은 전화가 왔을 경우에는 착신전화의 국번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시각을 표시하게 된다.
또, 상기 A섹션과 B섹션 및 C섹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물론, 반드시 가로방향으로만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A섹션은 상기 B섹션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C섹션은 상기 B섹션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세로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섹션 사이에 추가적인 구분 세그먼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폭이 좁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는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에는 착신번호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B섹션을 이용하여 시각을 표시하게 된다.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운전하는 도중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전화를 건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착신번호 표시장치(50)에 나타나게 된다. 이동전화로부터 걸려온 전화인 경우에는 A섹션에 011이나 016,017,019와 같은 이동전화회사의 호출부호가 나타나게 되고, 일반전화로부터 걸려온 전화인 경우에는 지역번호가 나타나게된다. B섹션에는 착신된 전화를 건 상대방의 국번이 나타나게 되고, C섹션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나타난다.
이때, 상기 착신번호 표시장치(50)가 대쉬패널의 중앙 부분, 즉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장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자는 큰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눈을 돌려 곧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가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를 건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핸즈프리를 이용한 통화가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각 섹션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각 섹션 사이에 형성된 구분 세그먼트(52)를 이용하여 호출부호 또는 지역번호와, 국번 및 전화번호를 독립적으로 나타낼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전화를 건 상대방을 매우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섹션이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구분 세그먼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호출부호 또는 지역번호와, 국번 및 전화번호를 구분하여 확인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만약, 전화가 걸려오지 않은 경우에는 A섹션과 C섹션은 작동을 중지하여 전원이 낭비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B섹션이 디지털 시계로 작동된다. 상기 B섹션에는 구분기호(53)가 있으므로, 구분기호(53)를 중심으로 하여 앞쪽은 시(時)를 나타내고 구분기호(53)의 뒤쪽은 분(分)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쉬패널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착신번호 표시장치(50)를 이용하여 걸려온 전화의 상대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전화가 걸려오지 않는 경우에는 B섹션을 디지털 시계로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는 이동전화에 걸려온 전화의 착신번호를 대쉬 패널의 착신번호 표시장치에 나타낼 수 있어 상대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므로 전화 상대의 확인 과정에서 증대되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전화가 걸려오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시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3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지역번호 또는 착신전화의 호출번호를 나타내는 A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국번을 나타내거나 시각을 표시하는 B섹션과, 4개의 7-세그먼트 자판으로 구성되고 착신전화의 착신번호를 나타내는 C섹션으로 구성되고; 차량의 대쉬패널 중앙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섹션과 B섹션 사이 및 상기 B섹션과 C섹션 사이에는 하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어 각 섹션을 구분하는 구분 세그먼트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섹션은 그 중앙에 시와 분을 구분하는 구분기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섹션은 전화가 왔을 경우에는 착신전화의 국번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시각을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섹션과 B섹션 및 C섹션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섹션은 상기 B섹션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C섹션은 상기 B섹션의 하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KR1020020074026A 2002-11-26 2002-11-26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KR20040046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26A KR20040046187A (ko) 2002-11-26 2002-11-26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26A KR20040046187A (ko) 2002-11-26 2002-11-26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87A true KR20040046187A (ko) 2004-06-05

Family

ID=3734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26A KR20040046187A (ko) 2002-11-26 2002-11-26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1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49B1 (ko) * 2005-10-12 2008-12-05 권영우 발신번호표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7531A1 (en) * 1987-07-03 1989-01-04 Nardino Righi Electronic parking time indicator for autovehicles
KR970049159A (ko) * 1995-12-30 1997-07-29 한승준 자동차의 디지탈시계
KR970049154A (ko) * 1995-12-26 1997-07-29 전성원 외기온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시계
KR19980013309U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용 디지탈시계
KR20020046102A (ko) * 2000-12-12 2002-06-20 김홍기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7531A1 (en) * 1987-07-03 1989-01-04 Nardino Righi Electronic parking time indicator for autovehicles
KR970049154A (ko) * 1995-12-26 1997-07-29 전성원 외기온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시계
KR970049159A (ko) * 1995-12-30 1997-07-29 한승준 자동차의 디지탈시계
KR19980013309U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용 디지탈시계
KR20020046102A (ko) * 2000-12-12 2002-06-20 김홍기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49B1 (ko) * 2005-10-12 2008-12-05 권영우 발신번호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499B2 (en) Hands free vehicle mounted mobile telephone with audio
JP2826470B2 (ja) 自動車電話装置
US20100233998A1 (en) In-vehicle apparatus having handsfree function and cellular phone having handsfree function
MXPA05004887A (es) Sistema para mostrar informacion.
CN201238328Y (zh) 一种车载免提电话来电和信息显示装置
US20040204192A1 (en) Automobile dashboard display interface for facilitating the interactive operator input/output for a standard wireless telephone detachably mounted in the automobile
KR20040046187A (ko) 자동차용 착신번호 표시장치
KR100539920B1 (ko) 2개의 착신 램프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를이용한 gps 서비스 방법
Nowakowski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using automotive HUDs to reduce driver distraction while answering cell phones
JP3824186B2 (ja) 自動車電話システム
CN115516844A (zh) 车载免提电话连接系统
WO2002058964A1 (en) Telematic rear view mirror and telephone
CN114312624A (zh) 一种车载交互系统
KR101271823B1 (ko)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통화상태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2000052810A (ja) 携帯電話機等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ー装置
KR200214828Y1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Walker Mobile telephone control unit design guidelines for the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JPH04246925A (ja) 車載型自動車電話装置
CN217074222U (zh) 一种车载交互系统及新型车辆
KR20010109628A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KR100217509B1 (ko) 이동공중전화 요금 부과방법
KR20230044569A (ko)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10003092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의 통화시스템
CN2822045Y (zh) 车载手持两用无线电话
KR200185640Y1 (ko) 차량 내장형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