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394A -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무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무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394A
KR20040044394A KR10-2003-7008294A KR20037008294A KR20040044394A KR 20040044394 A KR20040044394 A KR 20040044394A KR 20037008294 A KR20037008294 A KR 20037008294A KR 20040044394 A KR20040044394 A KR 20040044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data block
identifier
window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306B1 (ko
Inventor
시폴라주시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4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5Combining techniques, e.g. code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서로 무선으로 접촉하는 제1 트랜시버(260)와 제2 트랜시버(264)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 트랜시버(260)는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을 위한 식별자들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송신을 위한 데이터 블록들을 형성하는 수단(500, 504)을 포함한다. 제2 트랜시버(264)는 제1 트랜시버에 의해 송신되거나 재송신된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는 수단(512) 및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 실패를 검출하는 수단(524)을 포함한다. 제2 트랜시버(264)는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수단(530), 재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들과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을 서로 비교하여 데이터 블록들을 동일한 것으로 정의하는 수단(530), 및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 데이터 블록들을 결합하는 수단(52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무선 시스템{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SYSTEM}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기 및 수신기는 통상적으로 트랜시버를 형성하며, 이의 예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가입자 단말기의 트랜시버 및 기지국의 트랜시버가 있다.
데이터 송신의 목적은 흔히 트랜시버들간에 그 송신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 송신은 흔히, 송신측에 전송 에러를 통지하고 그런 다음 송신측은 그 에러 정보를 재송신하는, 재송신 에러 정정을 사용한다. 공지의 한 방법은 선택적 거부 ARQ(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이며, 이 방법에서는 송신기가 이전의 블록이 확인되기 전에 새로운 블록을 송신할 수 있고 그 송신기는 수신 실패의 블록들만을 재송신할 수 있다. 송신기가 수신기로부터의 확인 없이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그룹을 이 프로토콜에서는 송신 윈도우라 칭한다.
EGPRS는 패킷 교환 송신을 활용하는 GSM(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반의 시스템이다. EGPRS는 EDGE(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속도: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 용량을 증가시킨다. GMS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GMSK(가우시안 최소-시프트 키잉:Gaussian Minimum-Shift Keying) 변조 이외에, 8-PSK(8-위상 시프트 키잉:8-Phase Shift Keying) 변조가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주로, 파일 복사 및 인터넷 브라우저의 사용과 같은, 비실시간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또한, 음성 및 비디오를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패킷 교환 실시간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데이터 송신 용량은 초 당 수 킬로비트에서 초 당 400 킬로비트까지 가변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시스템에서의 에러 정정의 예를 두 개의 트랜시버들간의 접속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제1 트랜시버는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으로 하여 제2 트랜시버로 송신한다. 제1 트랜시버는 식별자들이 유한 식별자 공간(finite identifier space)에 보존되는 방식으로, 수신 동안 식별을 위해 상기 송신될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자들을 부착한다. 상기 식별자들은 최종 식별자가 사용되었을 때, 주기가 그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게 하는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보존된다. 제2 트랜시버에서 데이터 블록의 수신이 실패하면, 그 블록은 재송신될 필요가 있다. 제1 및 제2 트랜시버간의 양방향 접속은 제2 트랜시버가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 요청을 송신할 수있게 한다. 수신된 재송신 요청에 근거해서, 제1 트랜시버는 데이터 블록을 제2 트랜시버에 송신하고 제2 트랜시버는 그 블록을 식별자에 근거해서 이전의 실패 블록을 재송신하는 블록으로서 식별한다. 제2 트랜시버는 ARQ 프로토콜과 관련된 수신기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식별자 공간의 일부이며, 아직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제1 블록으로부터 항상 시작한다. 통상적으로, 윈도우의 크기는 식별자 공간의 절반이다. 제2 트랜시버가 윈도우 내에 그의 식별자가 없는 블록을 수신하면,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블록이 이미 한 번 수신되었으며 무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증분 리던던시(incremental redundancy)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서는 제2 트랜시버에 수신 메모리가 장착되며 이 수신 메모리에 수신 실패의 모든 데이터 블록들이 저장된다. 수신의 실패는 예를 들어, 사용된 무선 채널의 상태들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무선 시스템이 인입 송신(incomming transmission)에 대해 미리 코딩 속도를 옵션에 따라 선택할 수 없다는 사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증분 리던던시의 사용은 변화하는 상태들에 대해 우수한 적응성을 갖게 한다.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들은 제1 트랜시버로부터 재송신된다. 재송신 데이터 블록들과 동일한 식별자들을 갖는 저장 데이터 블록들이 서로 결합되며, 그 후 제2 트랜시버는 그 결합된 데이터 블록들을 디코딩한다. 상기 결합 동안, 디코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정보의 양은 단일 데이터 블록에서의 정보의 양에 비해 증가하여, 디코딩의 성공 확률이 더 높아진다.
따라서 본 의도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서로 다른 송신들을 결합하는 것이다.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하다는 것은 이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들을 갖는다는 사실에서 결정된다.
식별자들의 주기(cycling)는 문제를 일으키는 바, 그 이유는 데이터 블록들이 서로 결합될 때, 데이터 블록들이 실제로는 서로 다르지만, 동일한 데이터 식별자들을 갖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데이터 송신에서,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데이터 블록들은, 이 데이터 블록들이 서로 다름에도, 결합 목적을 위해 동일한 것으로 잘못 간주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데이터 블록들이 결합되면, 트랜시버 동작은 실패한다.
증분 리던던시(IR) 결합은 채널 코딩 전에 행해지고, 반면에 선택적 거부 ARQ 프로토콜은 상위 프로토콜 층(higher protocol layer)에서 동작한다는 사실로 인해 또 하나의 문제가 야기된다. 실제로, IR 결합 및 ARQ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위치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물리적으로 상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ARQ 프로토콜에서의 정보는 IR 결합에서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서 제1 트랜시버로부터 제2 트랜시버로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하는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하는 무선 시스템 모두는 특히 EGPRS(향상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 적합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조 도시도.
도 1b는 가입자 단말기와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간의 회로교환 송신 링크의 확립에 대한 도시도.
도 1c는 패킷교환 송신 링크에 대한 도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예에 대한 도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2 실시예의 방법 블록도에 대한 도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의 예에 대한 도시도.
도 5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의 구조의 예에 대한 도시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잘못된 데이터 블록들의 결합을 회피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무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무선 시스템에서 제1 트랜시버로부터 제2 트랜시버로 데이터 블록들을 송신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이 방법에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송신될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을 위한 식별자들을 부착하고 상기 식별자들은 유한 식별자 공간에 주기적으로 보존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블록의 수신을 실패하면 상기제2 트랜시버는 그 데이터 블록을 수신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원래의 송신과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한다.
상기 방법에서, 제2 트랜시버는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며, 상기 제2 트랜시버가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할 때, 그 재수신 데이터 블록과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를 갖고,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까지 상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음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블록들은 동일한 것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 그 데이터 블록들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무선 시스템은 서로 무선 접촉하는 제1 트랜시버와 제2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을 위한 식별자들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송신을 위한 데이터 블록들을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식별자들은 유한 식별자 공간에 주기적으로 보존되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송신된 송신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제2 트랜시버에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에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제1 트랜시버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며 상기 제1 트랜시버에 의해 재송신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수단과,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에 실패를 검출하는 수단과, 수신이 실패한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수신메모리와, 상기 제1 트랜시버에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과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을 서로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를 갖고,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까지 상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윈도우 내에 유지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블록들을 동일한 것으로 정의하는 수단, 및 상기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 데이터 블록들을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서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2 트랜시버가 식별자 공간에 윈도우를 유지하고 수신된 데이터 블록들의 식별자들을 윈도우 내의 식별자들과 비교하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상기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내에 없는 데이터 블록을 상기 트랜시버가 수신하면, 상기 윈도우는 상기 식별자 공간에서 시프트되어, 상기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로 옮겨진다. 데이터 블록이 재수신된 데이터 블록이면, 그 재수신 데이터 블록 및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고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은, 상기 식별자가 전체 송신-재송신 프로세스 동안 상기 윈도우에 있었을 경우,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방법으로,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블록들이,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정보를 실제로 포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따른 솔루션들은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잘못된 데이터 블록들의 결합들을 방지하는 바, 그 이유는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며 동일한 주기 내에 있는 데이터 블록들만이, 즉 정확하게 동일한 데이터 블록들만이,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들인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잘못된 데이터 블록들은 결합되지 않아 접속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들에 의해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조와, 고정 전화 네트워크와 패킷 교환 네트워크와의 그 인터페이스를 도 1a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필수적인 블록들만을 포함하고 있지만, 종래의 셀룰러 패킷 네트워크 역시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는 다른 기능 및 구성을 포함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EGPRS에 가장 양호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모두에서 동작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고정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즉 네트워크 부분과, 트랜시버들(260)과 같이 차량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 가입자 단말기들 또는 휴대형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부분은 기지국들(100)을 갖는다. 수 개의 기지국들(100)에 기지국 제어기(102)가 접속되어 있어 중앙 집중 방식으로 기지국들을 제어한다. 기지국(100)은 트랜시버들(264)을 갖는다. 기지국(100)은 전형적으로 1 내지 16개의 트랜시버들(264)을 갖는다. 하나의 트랜시버(264)는 1 TDMA(시분할다중접속) 프레임, 즉 전형적으로 8 시간슬롯의 무선 용량을 제공한다.
기지국(100)은 트랜시버들(264)과 멀티플렉서(1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18)을 갖는다. 멀티플렉서(116)는 수 개의 트랜시버들(264)에 의해 사용되는 트래픽 및 제어 채널들을 하나의 송신 링크(160)에 위치시킨다. 송신 링크(160)의 구조는 엄밀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Abis 인터페이스라 칭해진다.
기지국(100)의 트랜시버들(264)은 가입자 단말기(260)에 대해 양방향 무선 링크(170)를 확립하는 안테나 유닛(112)에 접속되어 있다. 양방향 무선 링크(170)를 통해 송신되는 프레임들의 구조는 또한 엄밀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라 칭해진다.
가입자 단말기(260)는 예를 들어 통상의 이동 전화기, 및 확장 카드에 의해이 가입자 단말기에 부착되어 패킷 송신 시에 패킷들을 순서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휴대형 컴퓨터가 될 수 있다.
기지국 제어기(102)는 교환국(switching field)(120)과 제어 유닛(124)을 포함한다. 교환국(120)은 음성 및 데이터를 교환하고 시그널링 회로들을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기지국(100)과 기지국 제어기(102)로 구성되는 기지국 시스템은 또한 트랜스코더(12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스코더(122)는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re)(132)에 가능한 가까이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트랜스코더(122)와 기지국 제어기(102)간의 셀룰러 네트워크 포맷으로 음성을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신 용량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랜스코더(122)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와 무선 전화 네트워크간에 사용되는 다양한 디지털 음성 코딩 포맷들을 변환시켜, 예를 들어 64 kbit/s 포맷의 고정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 포맷(예를 들어, 13 kbit/s)로, 또한 그 역으로, 서로 적합시킨다. 제어 유닛(124)은 통화 제어, 이동도 관리(mobility management), 통계 수집 및 시그널링을 책임진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국(120)에 의해, 이동 교환국(120)을 통하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134)와 패킷 교환 네트워크(142) 모두에 대해 접속들(검은 점으로 도시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134)에서의 전형적인 단말기(136)는 종래의 전화기나 ISDN(종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전화기이다.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과 교환국(120)간의 접속은 서빙 GPRS 지원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SGSN)(140)에 의해 확립된다.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140)의 임무는 기지국 시스템과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144)간에 패킷을 송신하고, 그 영역 내의 가입자 단말기(260)의 위치를 기록하는 것이다.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144)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146)와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를 접속시킨다. 이 인터페이스에 인터넷 프로토콜이나 X.25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144)는 캡슐화(encapsulation)에 의해, 공중 패킷 송신 네트워크(146)에게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의 내부 구조를 은폐함으로써, 공중 패킷 송신 네트워크(146)에 대해서는, 상기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이 서브 네트워크처럼 보여지며 공중 패킷 송신 네트워크(146)는 그 안에 있는 가입자 단말기(260)에 패킷들을 송신하고 이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는 통상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시그널링 및 피터널링 사용자 데이터(signalling and tunnelled user data)를 전달하는 사설 네트워크이다. 오퍼레이터에 따라,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의 구조는 그 아키텍처, 및 인터넷 프로토콜 층 아래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변경될 수 있다.
공중 패킷 송신 네트워크(146)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접속된 서버와 같은 단말기(148)는 가입자 단말기(260)에 패킷들을 송신한다.
도 1b는 회로교환 송신 링크가 가입자 단말기(260)와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 단말기(136)간에 어떻게 확립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굵은 실선은 데이터가 어떻게 시스템을 통해 에어 인터페이스(170)를 거쳐 안테나로 송신되고, 이 안테나로부터 트랜시버(264)로 송신되며, 그리고 이 트랜시버(264)로부터, 멀티플렉서(116)에서의 멀티플렉싱 후, 송신 링크(160)를 거쳐 교환국(120)으로 송신되는지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교환국(120)은 이 교환국과 트랜스코더(122)간의 접속에 대한 출력을 갖는다. 데이터는 접속을 통해 이동 교환국(132)으로부터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134)에 접속된 단말기(136)로 송신된다. 기지국(100)에서는, 송신을 실행하는데 있어 제어 유닛(118)이 멀티플렉서(116)를 제어하고, 기지국 제어기(102)에서는, 트랜스코더(122)에 대한 정확한 접속을 행하는데 있어 제어 유닛(124)이 교환국(120)을 제어한다.
도 1c는 패킷 교환 송신 링크를 도시한다. 휴대형 컴퓨터(152)가 가입자 단말기(260)에 접속되어 있다. 굵은 실선은 송신되는 데이터가 어떻게 서버(148)로부터 휴대형 컴퓨터(152)로 송신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는 또한 반대의 송신 방향, 즉 휴대형 컴퓨터(152)로부터 서버(148)로도 송신될 수 있다. 데이터는 시스템을 통해 에어 인터페이스, 즉 Um 인터페이스를 거쳐, 안테나(112)로부터 트랜시버(264)로, 그리고 이 트랜시버(264)로부터, 멀티플렉서(116)에서의 멀티플렉싱 후에, Abis 인터페이스 내의 송신 링크(160)를 거쳐 교환국(120)으로 송신되며, 이 교환국(120)으로부터 Gb 인터페이스 내의 서빙 GPRS 지원 노드(140)로의 출력에 접속이 확립된다. 서빙 GPRS 지원 노드(140)로부터, 데이터는 패킷 송신 네트워크(142)로부터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144)를 통해 공중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46)에 접속된 서버(148)로 송신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b 및 도 1c에는 회로 교환 데이터 및 패킷 교환 데이터모두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를 도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것은 완전히 가능하고 통상적인 것인 바, 그 이유는 회로 교환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패킷 교환 송신으로의 사용에 자유 용량이 유연성 있게 고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패킷 데이터만이 송신되는 네트워크 역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의 구조가 간략화될 수 있다.
도 1c를 다시 참조하면, 셀룰러 패킷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부분은 이에 따라 기지국(100) 및 이 기지국(100)에서의 Um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트랜시버(264)를 포함한다.
이 이외에, GPRS는 2개의 특정한 요소들, 즉 채널 코덱 유닛 CCU 및 패킷 제어 유닛 PCU를 갖는다. CCU의 임무는 FEC(포워드 에러 코딩)를 포함하는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증분 리던던시 결합, 그리고 수신 신호의 품질 레벨, 수신 신호의 수신 전력, 및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와 같은 무선 채널 측정 기능을 포함한다. PCU의 임무는 LLC(논리 링크 제어) 프레임 세그멘테이션 및 리어셈블리, ARQ(자동 반복 요청) 기능, PDCH(패킷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채널 액세스 제어, 및 무선 채널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CCU(182)는 기지국(100) 내에 상주하며, 그 구현에 따라, 시간 슬롯에 특정하거나 트랜시버에 특정한 유닛이 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Abis 인터페이스를 통해 PCU 180A/180B가 CCU(182)에 접속되어 있다. PCU는 기지국(100), 기지국 제어기(102)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1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c는 기지국 제어기(102)나 서빙 GPRS 지원 노드(140) 내에 PCU가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00)에 있는 것은 도시하지 않는다.
다음의 예들에서는, 제1 트랜시버가 가입자 단말기이고 제2 트랜시버는 기지국 트랜시버이지만, 이러한 솔루션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트랜시버는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들로 하여 제2 트랜시버에 송신한다. 제2 트랜시버가 상기 데이터 블록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트랜시버는 유한 식별자 공간에 데이터 블록 식별자를 부착한다. 이 예에서, 상기 식별자 공간은 식별자 0, 1, 2 및 3을 포함한다. 데이터 블록들과 마찬가지로, 식별자들 역시 비트 포맷으로 되어 있다. 식별자들은, 최종 식별자가 사용되었을 때, 주기가 그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게 하는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보존된다.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다. 이 예에서, 윈도우의 크기는 2개의 식별자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윈도우의 크기는 식별자 공간의 크기의 거의 절반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식별자들은 데이터 블록들로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환언하면,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주기의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이고 서로 다른 데이터 블록들이지만, 이 서로 다른 주기의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면 이에 따라 윈도우 공간 내의 식별자들에 따른 위치들을 갖는다. 동일한 주기로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데이터 블록들은 동일한 데이터 블록들이다.
도 2는 양호한 실시예의 방법을 테이블로 보인 것이다. 가장 좌측 열의 숫자들은 다양한 시간 순간들(time instants)을 나타내고, 그 다음 열은 각각의 시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를 나타내고, 그 다음 열은 수신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에 대한 성공 여부를 나타내고, 그 다음 열은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유지되는 윈도우의 위치를 나타내며, 가장 우측 열은 제2 트랜시버의 메모리의 컨텐트를 나타낸다. 식별자 공간은 식별자 0, 1, 2 및 3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시간 순간 0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0을 갖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이 수신은 성공이다.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유지되는 윈도우는 이 상황에서 식별자 0 및 1을 포함한다. 도 2의 테이블에서, 윈도우는 W로 표시되어 있다.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비워져 있다. 시간 순간 1에서, 제2 트랜시버에 대한 식별자 1을 갖는 데이터 블록의 수신은 실패한다. 이 때, 이 데이터 블록은 수신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2 트랜시버는 제1 트랜시버에 재송신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송신한다. 시간 순간 2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1을 갖는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한다. 수신기는 수신 메모리 내에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데이터 블록이 존재함을 알고 있으며, 해당 식별자 1은 윈도우 내에 항상 있었으므로, 데이터 블록들은 동일하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고 수신 메모리는 이제 비워질 수 있다.
시간 순간 3에서, 제2 트랜시버는 예를 들어 장애 시그널링으로 인해 제1 트랜시버가 오류로 송신한 식별자 1을 갖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한다. 이 데이터 블록의 수신은 실패이므로 그 데이터 블록은 수신 메모리에 저장된다. 시간 순간 4에서, 제1 트랜시버는 식별자 2를 갖는 블록을 송신하며, 제2 트랜시버는 그것을 디코딩하는데 실패한다. 식별자 2는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유지되는 식별자 공간 윈도우 내에 없으므로, 윈도우는 시프트되어 식별자 2가 그 안으로 옮겨진다. 상기 시프트 후, 윈도우는 1 및 2의 값을 포함한다. 수신 실패의 블록은 수신 메모리에 저장된다. 시간 순간 5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2를 갖는 블록을 재수신한다. 수신 메모리는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며, 식별자 2는 항상 윈도우 내에 있었으므로, 데이터 블록은 동일하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고 블록은 수신 메모리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시간 순간 6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3을 가진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다. 식별자 3은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유지되는 식별자 공간 윈도우 내에 없으므로, 상기 윈도우는 시프트되어 식별자 3이 그 안으로 옮겨진다. 상기 시프트 후, 상기 윈도우는 2 및 3의 값을 포함한다. 그래서 식별자 1은 윈도우의 외부에 있다. 디코딩 실패의 식별자 1을 갖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 블록은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시간 순간 7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0을 갖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윈도우는 식별자 3 및 0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시프트한다. 시간 순간 8에서,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1을 갖는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하지만, 이것을,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며 시간 순간 3에서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 블록과 결합시키지 않는 바, 그 이유는 식별자 1이 시간 순간 3에서의 송신으로 인해 윈도우의 외부에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식별자가 시간 순간 6에서 윈도우의 외부로 벗어날 때 상기 블록이 이미 메모리로부터 삭제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이 방지되었다.
식별자 공간 내의 윈도우의 위치를 시프트하는, 즉 갱신하는 3가지의 서로다른 방법이 있다. 제1 방법에서는, 제2 트랜시버가 윈도우에서의 그 식별자에 따른 위치를 갖지 않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면, 제2 트랜시버는 그 식별자에 따른 상기 위치가 상기 윈도우에서 최종 정착하는 방식으로 상기 윈도우를 시프트시킨다. 이 제1 방법은 도 2에서 전술하였다. 제2 방법에서는, ARQ 프로토콜 구현을 포함하는 패킷 제어 유닛 180A/180B가 상기 식별자 공간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의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채널 코덱 유닛(182)에 송신한다. 제1 방법과 비교해 보면, 제2 방법은 더 많은 시그널링을 필요로 한다. 제3 방법에서는, 상기 채널 코덱 유닛(182)이 ACK(긍정 확인) 메시지들, 즉 상기 패킷 제어 유닛 180A/180B로부터 상기 채널 코덱 유닛을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된, 더 이상의 재송신이 필요하지 않다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검사한다. 이 제3 방법의 단점은 상기 ACK 메시지들이 채널 코덱 유닛에 대해 복잡하게 되어 디코딩 시에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음, 제1 트랜시버로부터 제2 트랜시버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 3의 방법 블록도를 참조해서 서술한다. 이 방법에서, 제1 트랜시버는 정보를 데이터 블록들로 해서 제2 트랜시버로 송신한다. 상기 블록들은 유한 식별자 공간에 주기적으로 보존되는 식별자들을 포함한다. 제2 트랜시버는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고, 이 정보는 재수신 블록들을 결합할 때 활용된다. 다음의 예는 가능한 구현을 서술하지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 서술하는 시그널링 방법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방법의 실행은 블록도에서 블록(300)으로부터 개시된다. 블록(300)에서, 선택된 채널 코딩 방법을 이용해서 제1 트랜시버에서 데이터 블록들이 코딩 데이터 블록으로 채널 코딩된다. 블록(304)에서, 제2 트랜시버는 제1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이 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윈도우 내에 없다면,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공간 내의 윈도우를 시프트시켜, 해당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로 옮겨지도록 유지한다. 수신 메모리도 또한 체크되어,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 그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 내에 없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 메모리가 포함하면, 상기 데이터 블록은 수신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이것은 블록(306)에서 실행된다.
다음, 상기 수신 데이터 블록은 블록도의 블록(308)에서 디코딩된다. 블록(310)은 데이터 블록의 수신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테스트한다. 데이터 블록의 수신이 성공이면(312), 절차는 개시로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데이터 블록을 송신할 수 있다.
블록(310)에서의 테스트가 상기 디코딩이 실패했음을 보이면(블록(314)),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은 블록(316)에서 수신 메모리에 저장된다. 수신 실패는 일반적으로 제2 트랜시버가 그 수신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에러 검출 코드를 이용해서 검출되거나, 에러 정정 코드가 채널에서 발생된 에러들을 충분한 정확성으로 정정할 수 없는 경우에 검출된다. 제2 트랜시버가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할 수 없다면, 그 데이터 블록은 재송신되어야 한다.
다음, 블록(318)에서, 제2 트랜시버로부터 제1 트랜시버로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청이 송신된다. 재송신 요청은 예를 들어, NACK(부정 확인)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재송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ACK(긍정 확인)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실제로, 이것은 예를 들어, CCU가 에러를 검출하는 경우, 불량 프레임 표시자를 PCU에 송신하고 PCU는 NACK 메시지를 발생하며 무선 경로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NACK 메시지를 CCU로 송신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 재송신 요청의 결과, 제1 트랜시버는 블록(320)에서 상기 코딩 데이터 블록을 제2 트랜시버로 재송신한다.
제2 트랜시버는 블록(322)에서 상기 재송신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그 후 윈도우 및 수신 메모리가 블록(324)에서 체크된다. 이 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윈도우 내에 없다면, 제2 트랜시버는 식별자 공간 내의 윈도우를 시프트시켜,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로 옮겨지도록 유지한다. 수신 메모리도 또한 체크되어,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 그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 내에 없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 메모리가 포함한다면, 상기 데이터 블록은 수신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이러한 동작들은 항상 데이터 블록의 수신과 관련되어 있다. 다음, 제2 트랜시버는 블록(326)에서, 상기 재송신 데이터 블록 및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이 동일한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는, 해당 식별자에 따른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이 수신 메모리 내에 있다면, 상기 재송신 데이터 블록 및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다음, 블록(328)에서, 수신 실패의 상기 코딩 데이터 블록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상기 재수신 코딩 데이터 블록을 결합한다. 이 결합은, 양 데이터 블록들이 상기 동일한 코딩 데이터 블록의 서로 다른 버전들이기 때문에 행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308)에서, 상기 결합 코딩 데이터 블록들의 채널 코딩이 디코딩된다. 이 디코딩은 단일의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결합될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 및 주기를 갖는 데이터 블록들, 즉 동일한 데이터 블록들이라는 것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검증되었으므로, 디코딩은 성공할 것이다. 상기 채널 코딩의 디코딩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들이 아닌 다른 데이터 블록들의 경우에도, 재송신 필요가 검출될 수 있다.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지만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블록들에 대해,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들의 경우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 단계들이 행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이미 일단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면, 데이터 블록을 수신 메모리에 저장하고 결합하고 그것을 디코딩하는 것은 매우 기능적이지 못하다.
다음,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트랜시버는, 제1 트랜시버로부터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면, 디코딩할 수 있는, 즉 결함이 없는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들을 수신 성공으로 표시한다.
도 4의 예에서, 데이터 블록들의 식별자들 및 성공적인 송신들 및 디코딩들은 도 2의 예에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들은도 4의 윈도윙 테이블(windowing table)에 O으로 표시된다. 시간 순간 0에서, 식별자 O를 갖는 블록이 수신되어 성공적으로 디코딩된다. 상기 블록은 수신 성공으로 표시된다. 식별자 1을 가지며 시간 순간 1에서 에러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은 수신 성공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그것은 수신 메모리에 저장된다. 시간 순간 2에서, 식별자 1을 갖는 재송신된 블록이 수신되고 이 때, 성공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다. 이것은 수신 성공으로 표시된다. 시간 순간 3에서, 식별자 1을 가지며 불필요하게 재송신된 데이터 블록이 수신된다. 상기 데이터 블록은 이미 수신 성공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의 예에서 행해진 것과 같이, 수신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는다. 이 방법으로, 위에서 언급한 다른 예에서보다 메모리 활용이 보다 효율적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트랜시버의 구현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에 필수적인 트랜시버들의 부품들만을 서술한다. 제1 트랜시버(260) 및 제2 트랜시버(264)는 이미 도 1a 내지 1c의 예들에서 서술하였으며, 이 도면들에서 제1 트랜시버(260)는 가입자 단말기이고 제2 트랜시버(264)는 기지국 트랜시버이다.
제1 트랜시버(260)는 선택된 채널 코딩 방법을 이용해서 데이터 블록(502)을 코딩 데이터 블록으로 채널 코딩하고 그 코딩 데이터 블록을 펑처링(puncturing)하는 채널 코덱(500)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 코덱은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을 위한 식별자를 부착하는 수단(504)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식별자들은 유한 식별자 공간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선택된다. 수단(504)은 예를 들어 카운터에 의해 구현된다. 제1 트랜시버(260)는, 디지털 신호들을 무선 주파 반송파로 변조하고 데이터 170A를 제2 트랜시버(264)로 송신하며, 필요하면, 데이터 블록들을 제2 트랜시버로 재송신하는 변조기(506)를 더 포함한다. 제1 트랜시버는 또한 제2 트랜시버(264)에 의해 송신된 재송신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508)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또한 디바이스의 여러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51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블록은 전형적으로 프로세서 및 적절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부가해서, 제1 트랜시버(260)는 필터들, 전력 증폭기들 및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시버(264)는 제1 트랜시버(26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512)을 포함한다. 수신 수단(512)은 주파수들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다음, 신호는 중간 주파수로 변환되거나 직접적으로 기저대역으로 변환되고, 그 결과적인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4)에서 샘플링되고 양자화된다. 가능한 등화기(equalizer)(516)는 예를 들어 다중경로 전파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보상한다.
상기 등화기로부터, 신호는 검출기(518)로 송신되고 이 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채널 디코더(520)로 송신되며 이 채널 디코더는 상기 수신 코딩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한다. 상기 디코더로부터, 신호(522)가 트랜시버의 다른 부품들로 송신된다.
제2 트랜시버(264)는 수신 코딩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필요를 검출하는, 즉 데이터 블록이 디코딩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제어 수단(524), 및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들이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528)을 더 포함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무선 링크 170B를 사용해서 코딩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청을 제1 트랜시버(260)로 송신하는 수단(526)을 더 포함한다.
제2 트랜시버(264)는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 데이터 블록들을 결합하는 수단(524)을 더 포함한다. 채널 디코더(520)는 상기 결합 코딩 데이터 블록의 채널 코딩을 디코딩한다.
제2 트랜시버(264)는 유한 식별자 공간의 섹션 내에 윈도우를 유지하는 수단(530)과, 수신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식별자 공간의 윈도우에서 포함하는 식별자들에 따른 위치들로 윈도윙하며, 데이터 블록이 수신되고 그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내에 없을 때, 상기 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시프트 후의 윈도우에 있게 되는 방식으로 식별자 공간 내의 윈도우를 시프트시키는 수단(524, 530)을 포함한다.
제2 트랜시버의 제어 블록(524)은 또한,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 내에 없을 때 수신 메모리(528)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삭제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상기 제어 블록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 성공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방법 단계들은 트랜시버들 내의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개별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제어 논리와 같은 하드웨어 구현도 가능하다.
증분 리던던시 이외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또한 EGPRS 서비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현에 있어서도 활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은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패킷 제어 유닛이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예들을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서술된 독창적인 개념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1)

  1. 무선 시스템의 데이터 블록들을 제1 트랜시버(260)로부터 제2 트랜지스터(264)로 송신하는 - 여기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송신될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을 위한 식별자들을 부착하고 상기 식별자들은 유한 식별자 공간(finite identifier space)에 주기적으로 보존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블록의 수신을 실패하면 상기 제2 트랜시버는 그 데이터 블록을 수신 메모리(528)에 저장하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원래의 송신과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한다 -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264)는 상기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며,
    상기 제2 트랜시버가 데이터 블록을 재수신할 때, 그 재수신 데이터 블록과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를 갖고,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까지 상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음이 검출되면, 상기 데이터 블록들은 동일한 것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는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 그 데이터 블록들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가 상기 윈도우 내에 그 식별자가 없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때,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윈도우 시프트 후의 식별자가 상기 윈도우 내에 있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윈도우를 상기 식별자 공간쪽으로 주기적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 그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 내에 없는 데이터 블록을 상기 수신 메모리(528)가 포함하면, 상기 데이터 블록은 상기 수신 메모리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이 상기 수신 메모리(528) 내에 있다면,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 및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은 동일한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 블록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지는의 여부에 따라 상기 윈도우에 속하는 각각의 식별자에 대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수신은 실패이지만 식별자는 수신 성공의 표시를 갖는 데이터 블록은 상기 수신 메모리(528) 내에 저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 송신 방법.
  7. 서로 무선 접촉하는 제1 트랜시버(260)와 제2 트랜시버(26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시버(260)는 데이터 블록들에 식별을 위한 식별자들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송신을 위한 데이터 블록들을 형성하는 수단(500, 504)과, 상기 식별자들은 유한 식별자 공간에 주기적으로 보존되며, 상기 제2 트랜시버(508)에 의해 송신된 송신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508)과, 상기 제2 트랜시버(264)에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제2 트랜시버(264)에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수단(506)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트랜시버(264)는 상기 제1 트랜시버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며 제1 트랜시버에 의해 재송신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수단(512)과,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에 실패를 검출하는 수단(524)과, 수신 실패의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수신 메모리(528)와, 상기 제1 트랜시버(260)에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청을 송신하는 수단(526)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264)는,
    상기 유한 식별자 공간에 속하는 윈도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수단(530)과,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과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을 서로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 블록들이 동일한 식별자를 갖고,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의 수신 시간까지 상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지속적으로 상기 윈도우 내에 유지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블록들을 동일한 것으로 정의하는 수단(524), 및
    상기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 데이터 블록들을 결합하는 수단(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264)가 상기 윈도우 내에 식별자가 없는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때,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의 위치가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 내에 있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식별자 공간 내의 윈도우를 시프트시키는 수단(524, 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264)는 상기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의 위치가 상기 윈도우 시프트 후의 윈도우 내에 없으면 상기 수신 메모리(528)로부터 그 데이터 블록을 삭제하는 수단(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264)는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의 식별자에 따른 위치가 상기 윈도우 내에 있고 상기 수신 메모리가 상기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면, 상기 재수신 데이터 블록과 상기 이전의 수신 데이터 블록을 동일한 것으로 정의하는 수단(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264)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 성공으로 표시하는 수단(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
KR1020037008294A 2000-12-20 2001-12-18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무선 시스템 KR100550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02805 2000-12-20
FI20002805A FI111421B (fi) 2000-12-20 2000-12-20 Tiedonsiirto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PCT/FI2001/001122 WO2002050679A1 (en) 2000-12-20 2001-12-18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394A true KR20040044394A (ko) 2004-05-28
KR100550306B1 KR100550306B1 (ko) 2006-02-08

Family

ID=855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294A KR100550306B1 (ko) 2000-12-20 2001-12-18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무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54412B2 (ko)
EP (1) EP1360587B1 (ko)
JP (1) JP3782396B2 (ko)
KR (1) KR100550306B1 (ko)
CN (2) CN100512088C (ko)
AT (1) ATE274265T1 (ko)
AU (1) AU2002225052A1 (ko)
BR (1) BRPI0116281B1 (ko)
CA (1) CA2432400C (ko)
DE (1) DE60105067T2 (ko)
ES (1) ES2223960T3 (ko)
FI (1) FI111421B (ko)
HK (1) HK1090772A1 (ko)
WO (1) WO20020506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80B1 (ko) * 2006-07-27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결합 방법 및 복합 재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0512B2 (ja) * 2004-08-10 2010-06-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制御装置
JP4580770B2 (ja) * 2005-02-01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JP4991117B2 (ja) * 2005-03-02 2012-08-0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CN100407702C (zh) * 2005-08-09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中分配预留捆绑标识符的方法及装置
CN100401722C (zh) * 2005-08-09 2008-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提高资源请求效率的实现方法及装置
CN100462935C (zh) * 2005-11-17 2009-02-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链接控制卡测试系统及方法
CN101202604B (zh) * 2007-08-14 2011-03-30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数据的发送方法
JP5550497B2 (ja) 2010-09-02 2014-07-1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
CN113055434B (zh) * 2021-02-02 2022-07-15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5786B (sv) * 1984-11-26 1986-07-14 Ericsson Telefon Ab L M Forfarande for att vid radiomottagning undvika att lagra ett meddelande mer en en gang samt mottagare for endamalet
SE445686B (sv) * 1984-11-26 1986-07-07 Ericsson Telefon Ab L M Forfarande for mottagning av radiosenda meddelanden samt mottagare for endamalet
US4908828A (en) * 1987-12-29 1990-03-13 Indesys, Inc. Method for error free message reception
GB8916489D0 (en) * 1989-07-19 1989-09-06 British Telecomm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EP0698974B1 (en) * 1994-03-11 2004-02-18 NTT DoCoMo, Inc. Time diversity communication system
FI98174C (fi) * 1995-05-09 1997-04-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nsiirtojärjestelmä, jossa on liukuvaan ikkunaan perustuva datavuonohjaus
FI102132B (fi) * 1995-12-01 1998-10-15 Nokia Mobile Phones Ltd ATM-solun otsikkokenttien käyttö radiovälitteisessä ATM-tiedonsiirross a
US6105064A (en) * 1997-05-30 2000-08-15 Novell, Inc. System for placing packets on network for transmission from sending endnode to receiving endnode at times which are determined by window size and metering interval
US6052812A (en) * 1998-01-07 2000-04-18 Pocketscience, Inc. Messaging communication protocol
FI108824B (fi) * 1998-06-03 2002-03-28 Nokia Corp Datasiirtomenetelmiä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EP1018821A1 (en) * 1999-01-08 2000-07-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BR9916993A (pt) 1999-01-29 2001-11-06 Nokia Networks Oy Processo para sinalizar quais blocos de dados podem ser combinador juntos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redundância incremental, e, sistema de comunicação
FI109251B (fi) * 1999-09-10 2002-06-14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radiojärjestelmä, radiolähetin ja radiovastaanotin
EP1137217A1 (en) 2000-03-20 2001-09-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RQ parameter negociation in a data packet transmission system using link adaptation
US6925096B2 (en) * 2000-09-22 2005-08-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ffic flow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80B1 (ko) * 2006-07-27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결합 방법 및 복합 재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23960T3 (es) 2005-03-01
DE60105067D1 (de) 2004-09-23
AU2002225052A1 (en) 2002-07-01
CN1481531A (zh) 2004-03-10
BR0116281A (pt) 2003-12-30
US20050101249A1 (en) 2005-05-12
EP1360587A1 (en) 2003-11-12
FI111421B (fi) 2003-07-15
CA2432400C (en) 2009-10-06
FI20002805A (fi) 2002-06-21
CN1249582C (zh) 2006-04-05
CA2432400A1 (en) 2002-06-27
KR100550306B1 (ko) 2006-02-08
BRPI0116281B1 (pt) 2016-03-15
JP3782396B2 (ja) 2006-06-07
FI20002805A0 (fi) 2000-12-20
JP2004531917A (ja) 2004-10-14
WO2002050679A1 (en) 2002-06-27
US7254412B2 (en) 2007-08-07
HK1090772A1 (en) 2006-12-29
CN100512088C (zh) 2009-07-08
ATE274265T1 (de) 2004-09-15
CN1767422A (zh) 2006-05-03
DE60105067T2 (de) 2005-08-11
EP1360587B1 (en)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67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nomous re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199173T3 (es) Transmision de datos en un sistema de radio.
EP19624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WO2007139338A1 (en) Re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84618A1 (en) Jointly encoding a scheduling request indicator and acknowledgments/negative acknowledgments
KR20010072259A (ko)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어드레싱
KR100550306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무선 시스템
CA26786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6937564B2 (en) Management of downlink TBF in an EGPRS and in a GPRS mobile station using final block indicator and relative reserved block period field
US20030177436A1 (en) Transmission of encoded data packets with determination of the coding through explicit signalling by the receiver
KR1010841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05029789A1 (en) Data flow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WO1998015140A1 (en) Two-way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200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율적인 재전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