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626A - 사료 배합기 - Google Patents

사료 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626A
KR20040043626A KR1020020071996A KR20020071996A KR20040043626A KR 20040043626 A KR20040043626 A KR 20040043626A KR 1020020071996 A KR1020020071996 A KR 1020020071996A KR 20020071996 A KR20020071996 A KR 20020071996A KR 20040043626 A KR20040043626 A KR 2004004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mixing
screw
cylind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락
Original Assignee
전제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제락 filed Critical 전제락
Priority to KR102002007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3626A/ko
Publication of KR2004004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2Vehicle-mounted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26D1/29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with cutting member mounted in the plane of a rotating disc, e.g. for slicing b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8Mixing animal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합통의 적재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료가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시 자체적으로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질긴 볏짚을 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사료 배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a)과 바퀴(1b)가 구비된 배합통(1), 배합통(1)의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도어(2), 사료를 배합시키는 스크류(3)(4), 스크류(3)(4)를 구동시키는 구동축(5), 배합통(1)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도어(6)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배합통(1)의 배합실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배합통(10); 보조배합통(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20); 스크류(3)(4)의 중앙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사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30); 분산부재(30)를 좌우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재(40); 스크류(4)에 연결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50); 배합통(1)의 배합실 양측벽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절단유도구(60); 스크류(3)(4)에 탈착가능하게 각각 부착되어 절단유도구(60)를 통과하면서 볏짚을 잘게 절단하게 다수개의 커터(70); 프레임(1a)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합통(1)을 지면에 받쳐주는 받침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료 배합기{APPARATUS FOR MIXING FEED}
본 발명은 사료와 건초 및 볏짚을 혼합하여 배합시키는 사료 배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합통의 적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료 배합시 사료가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료 배합기의 구동시 자체적으로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질긴 볏짚을 용이하고도 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사료 배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추수가 완료되면 상당량의 볏짚이 발생하게 되는바, 농가에서는 가축에 대한 영양의 균형과 사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볏짚들을 잘 모아 두었다가 농축사료 및 건초와 함께 혼합하여 가축의 먹이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볏짚을 가축의 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기존에는 작업자가 볏짚을 직접 절단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였으나, 일정한 축사가 마련하여 소와 같은 가축들을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볏짚을 수작업으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구동하면서 자동으로 볏짚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볏짚과 다양한 영양분을 가지는 농축사료 및 건초를 한조의 스크류로 혼합하고 배합시키는 사료 배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료 배합기는 구조적으로 배합통의 적재용량이 일정한 크기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많은 량의 사료를 한번에 배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배합통의 용량크기를 확대시킬 수 없어 가축들을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 사료 배합기를 여러번 구동시켜야 하므로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료 배합기는 단순히 한쌍의 스크류를 구동시켜 사료를 배합시켰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배합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배합시 사료가 스크류의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쌓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료를 균일하게 배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사료 배합기는 한조의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배합기의 모든 유압장치를 트랙터의 구동력으로 작동시켰기 때문에 구동시 소요동력이 크고 이로 인해 수명단축 및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질긴 볏짚을 잘게 절단할 수 없어 사료를 완벽하게 배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배합통의 적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배합통의용량크기를 확대 및 축소시키고, 사료 배합시 사료가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사료를 한층 더 균일하게 배합시키며, 사료 배합기의 구동시 자체적으로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적은 동력으로 구동시키고, 질긴 볏짚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잘게 절단하여 완벽하게 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배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합통의 배합실 내부에 보조배합통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보조배합통을 실린더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를 통해 승강시키고, 스크류의 중앙 상부에 사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분산부재를 실린더와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를 통해 좌우로 왕복 구동시키며, 상기 스크류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배합통의 배합실 양측벽 하부에 다수개의 절단유도구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며, 상기 스크류에 절단유도구를 통과하면서 볏짚을 잘게 절단하게 다수개의 커터를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배합통의 전방에는 배합통을 지면에 받쳐주는 받침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부재와 구동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a,8b는 도 7의 유압펌프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유도구와 커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배합통 1a : 프레임
1b : 바퀴 2 : 투입도어
3,4 : 스크류 5 : 구동축
6 : 배출도어 10 : 보조배합통
20 : 승강부재 30 : 분산부재
40 : 구동부재 50 : 유압펌프
60 : 절단유도구 70 : 커터
80 : 받침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료 배합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a)과 바퀴(1b)가 구비된 배합통(1), 배합통(1)의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도어(2), 배합통(1)에 설치되어 사료를 배합시키는 한조의 스크류(3)(4),스크류(3)(4)를 구동시키는 구동축(5), 배합통(1)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도어(6)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합통(1)의 배합실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배합통(10); 상기 보조배합통(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20); 상기 스크류(3)(4)의 중앙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사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30); 상기 분산부재(30)를 좌우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재(40); 상기 스크류(4)에 연결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50); 상기 배합통(1)의 배합실 양측벽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절단유도구(60); 상기 스크류(3)(4)에 탈착가능하게 각각 부착되어 절단유도구(60)를 통과하면서 볏짚을 잘게 절단하게 다수개의 커터(70); 상기 프레임(1a)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합통(1)을 지면에 받쳐주는 받침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합통(1)은 사료 배합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합통(1)의 내부에는 사료와 건초 및 볏짚을 수용하는 배합실이 형성되고, 배합통(1)의 전방에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는 프레임(1a)이 구비되고, 배합통(1)의 하부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바퀴(1b)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합통(1)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투입도어(2)는 배합통(1)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합통(1)의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투입도어(2)에는 유압으로 투입도어(2)를 개폐시키는 실린더(2a)가 연결된다.
상기 한조의 스크류(3)(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배합통(1)내로투입된 사료를 혼합하여 배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한조의 스크류(3)(4)는 배합통(1)의 배합실 하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류(3)(4)에는 배합통(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3a)(4a)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5)은 트랙터 등의 PTO축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축(5)은 수개의 스프로킷(S)과 수개의 체인(C)을 통해 축(3a)(4a)과 연결되어 한조의 스크류(3)(4)를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구동시킨다.
상기 배출도어(6)는 배합통(1)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도어(6)에는 유압으로 배출도어(6)를 개폐시키는 실린더(6a)가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6a)가 작동하여 배출도어(60)가 개방되면 배출구를 통해 배합된 사료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보조배합통(10)은 상하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합통(1)의 배합실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배합통(10)은 배합통(1)의 용량크기를 확대시킨다. 즉, 보조배합통(10)을 상승시키면 상승된 높이만큼 배합통(10)과 보조배합통(10)내로 보다 많은 용량의 사료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적재용량은 커지고, 반대로 보조배합통(10)을 하강시키면 배합통(10)의 적재용량은 작아지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20)는 보조배합통(1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부재(20)는 도 4에서와 같이 배합통(1)의 전방에 설치되어 와이어고정구(2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2)와, 상기 배합통(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23)와, 상기 와이어고정구(21)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각각 연결되어그 타단은 가이드롤러(23)를 거쳐 보조배합통(10)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승강와이어(24)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실린더(22)를 작동시켜 와이어고정구(21)를 화살표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면 다수개의 승강와이어(24)들이 화살표와 같이 안쪽으로 당겨지므로 보조배합통(10)은 상부로 서서히 상승하게 되고, 상기의 역동작으로 실린더(22)를 작동시키면 보조배합통(10)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상기 분산부재(30)는 스크류(3)(4)의 중앙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사료를 분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분산부재(3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배합통(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1)이 구비되고, 분산부재(30)의 하부에는 사료를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분산판(32)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재(40)는 분산부재(30)를 좌우로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부재(40)는 도 5에서와 같이 분산부재(30)의 회전축(31)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작동레버(41)와, 상기 작동레버(41)의 타단에 연결되는 실린더(42)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실린더(42)를 작동시키면 작동레버(41)에 의해 분산부재(30)가 좌우로 왕복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사료 배합시 분산판(32)이 좌우로 왕복 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몰리면서 쌓이는 사료를 사방으로 분산시킨다.
상기 유압펌프(50)는 스크류(4)에 연결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유압펌프(50)는 사료 배합기의 구동시 자체적으로 유압을 발생시켜 각 실린더(2a)(6a)(22)(42)에 유압을 공급한다. 이때, 도 7과 도 8a,8b에서와 같이 상기 스크류(4)의 축(4a)에는 편심축(4b)이 설치되고, 상기 유압펌프(50)에는 편심축(4b)에 끼워지는 장공(51)이 구비된 작동레바(52)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료 배합시 구동축(5)에 의해 스크류(3)(4)가 구동하게 되면 도 8a와 도 8b에서와 같이 스크류(4)의 편심축(4b)에 끼워진 장공(51)에 의해 작동레버(52)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유압펌프(50)가 승강작동을 수행하면서 유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절단유도구(60)는 배합통(1)의 배합실 양측벽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단유도구(60)는 도 9에서와 같이 커터(70)가 질긴 볏짚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ㄷ'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터(70)는 한조의 스크류(3)(4)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볼트(71) 체결을 통해 각각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커터(70)는 도 9에서와 같이 사료 배합시 절단유도구(60)를 통과하면서 질긴 볏짚을 용이하고도 잘게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커터(70)는 스크류(3)(4)에 탈착가능하게 볼트(71) 체결을 통해 부착되므로 볏짚을 배합할 경우에는 커터(70)를 스크류(3)(4)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한편 절단이 불필요하거나 분말사료 및 건초 등을 배합할 경우에는 볼트(71)를 풀어 스크류(3)(4)에서 커터(70)들을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상기 받침부재(80)는 프레임(1a)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합통(1)을 지면에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재(80)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a)에 고정되어 볼트(81)가 끼워지는 볼트공(82a)이 수직으로 관통된 고정관(82)과, 상기 볼트공(82a)에 대응하는 볼트공(83a)(83b)을 구비하여 고정관(82)내로 끼워지는 연결관(83), 상기 연결관(83)에 그 중앙부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지지관(84), 상기 지지관(84)의 내경에 나사결합으로 조립되어 핸들(85a)을 구비하는 받침봉(85), 상기 받침봉(85)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받침판(8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관(82)의 볼트공(82a)과 연결관(83)의 볼트공(83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 볼트공(82a),볼트공(83a)으로 볼트(81)를 끼우면 도 10의 실선과 같이 지지관(84)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받침봉(85)의 핸들(85a)을 돌려 받침판(86)을 지면에 밀착시키면 배합통(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편 고정관(82)의 볼트공(82a)과 연결관(83)의 볼트공(83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 볼트공(82a),볼트공(83b)으로 볼트(81)를 끼우면 도 10의 가상선과 같이 지지관(84)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받침판(86)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배합통(1)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료 배합기도 상기 투입도어(2)를 통해 배합통(1)의 배합실 내부로 사료와 건초 및 볏짚 등을 투입하고, 상기 구동축(5)을 트랙터 등의 PTO축과 연결하여 한조의 스크류(3)(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배합통(1)에 투입된 사료를 자동으로 혼합하여 배합시키며, 상기 사료의 배합이 완료되면 배출도어(6)를 개방시켜 배합된 사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동관계는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배합통(1)의 배합실에 별도로 보조배합통(10)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배합통(1)의 적재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량의 사료를 한번에 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배합통의 용량크기를 확대시킬 수 없어 가축들을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 사료 배합기를 여러번 구동시켜야 하므로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승강부재(20)로 보조배합통(10)을 상부로 상승시키면 상승된 높이 만큼 배합통(1)의 용량크기가 확대되어 한번에 많은 량의 사료를 배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3)(4)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분산부재(30)가 구동부재(40)를 통해 좌우로 왕복 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사료를 사방으로 분산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사료의 배합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료 배합시 사료가 스크류(3)(4)의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쌓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료를 한층 더 균일하게 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3)(4)의 구동시 유압펌프(50)가 자체적으로 유압을 발생시켜 각 실린더(2a)(6a)(22)(42)에 유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적은 동력으로 사료 배합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수명을 연장시키고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절단유도구(60)와 커터(70)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질긴 볏짚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잘게 절단할 수 있어 사료를 보다 완벽하게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배합기는 배합통의 적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시 배합통의 용량크기를 확대 및 축소시킬 수 있으며, 사료 배합시 사료가 중앙이나 어느 한쪽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료를 한층 더 균일하게 배합시킬 수 있으며, 사료 배합기의 구동시 자체적으로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동력으로 사료 배합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질긴 볏짚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사료를 완벽하게 배합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프레임(1a)과 바퀴(1b)가 구비된 배합통(1), 배합통(1)의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도어(2), 배합통(1)에 설치되어 사료를 배합시키는 스크류(3)(4), 스크류(3)(4)를 구동시키는 구동축(5), 배합통(1)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도어(6)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합통(1)의 배합실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배합통(10); 상기 보조배합통(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20); 상기 스크류(3)(4)의 중앙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사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재(30); 상기 분산부재(30)를 좌우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재(40); 상기 스크류(4)에 연결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50); 상기 배합통(1)의 배합실 양측벽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절단유도구(60); 상기 스크류(3)(4)에 탈착가능하게 각각 부착되어 절단유도구(60)를 통과하면서 볏짚을 잘게 절단하게 다수개의 커터(70); 상기 프레임(1a)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합통(1)을 지면에 받쳐주는 받침부재(80)를 포함하는 사료 배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20)는 배합통(1)의 전방에 설치되어 와이어고정구(2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2)와, 상기 배합통(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23)와, 상기 와이어고정구(21)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각각 연결되어 그 타단은 가이드롤러(23)를 거쳐 보조배합통(10)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승강와이어(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배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40)는 분산부재(30)의 회전축(31)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작동레버(41)와, 상기 작동레버(41)의 타단에 연결되는 실린더(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배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4)의 축(4a)에는 편심축(4b)이 설치되고, 상기 유압펌프(50)에는 편심축(4b)에 끼워지는 장공(51)이 구비된 작동레바(5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배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80)는 프레임(1a)에 고정되어 볼트(81)가 끼워지는 볼트공(82a)이 수직으로 관통된 고정관(82)과, 상기 볼트공(82a)에 대응하는 볼트공(83a)(83b)을 구비하여 고정관(82)내로 끼워지는 연결관(83), 상기 연결관(83)에 그 중앙부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지지관(84), 상기 지지관(84)의 내경에 나사결합으로 조립되어 핸들(85a)을 구비하는 받침봉(85), 상기 받침봉(85)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받침판(8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배합기.
KR1020020071996A 2002-11-19 2002-11-19 사료 배합기 KR2004004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96A KR20040043626A (ko) 2002-11-19 2002-11-19 사료 배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96A KR20040043626A (ko) 2002-11-19 2002-11-19 사료 배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626A true KR20040043626A (ko) 2004-05-24

Family

ID=3734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996A KR20040043626A (ko) 2002-11-19 2002-11-19 사료 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36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493B1 (ko) * 2006-09-30 2008-02-21 (주) 기홍 사료배합장치
KR101248309B1 (ko) * 2012-03-06 2013-03-27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 배합기용 건초 절단장치
KR101285074B1 (ko) * 2011-08-08 2013-07-10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차수정화매트제조장치
KR101317135B1 (ko) * 2011-08-18 2013-10-08 주식회사 테코이코 반응매트와 반응혼합토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복토 방법
KR102130575B1 (ko) * 2019-10-04 2020-07-06 강성기 곡물 혼합장치
CN114082363A (zh) * 2021-11-22 2022-02-25 嘉洋然桑 一种含芫根的运动饮料制作加工设备及制作加工方法
CN114651747A (zh) * 2022-04-07 2022-06-24 宿迁市春朝禽业有限公司 基于生物饲料精细化动态调控的自动化养殖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57U (ko) * 1998-09-29 1998-12-05 이중엽 사료수평건조장치
KR19990022501U (ko) * 1999-03-09 1999-07-05 양재석 음식쓰레기분쇄건조기
KR200181117Y1 (ko) * 1999-11-26 2000-05-15 조준종 농업용 배합기의 칼날고정장치
KR200253261Y1 (ko) * 2001-08-21 2001-11-22 조기현 경운기 동력을 이용한 복합혼합사료 배합장치
KR20030025431A (ko) * 2001-09-20 2003-03-29 학교법인 두원학원 가축사료의 분쇄 및 배합장치
KR20040013898A (ko) * 2002-08-09 2004-02-14 예천군 경운기용 사료 배합기 겸용 퇴비 살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57U (ko) * 1998-09-29 1998-12-05 이중엽 사료수평건조장치
KR19990022501U (ko) * 1999-03-09 1999-07-05 양재석 음식쓰레기분쇄건조기
KR200181117Y1 (ko) * 1999-11-26 2000-05-15 조준종 농업용 배합기의 칼날고정장치
KR200253261Y1 (ko) * 2001-08-21 2001-11-22 조기현 경운기 동력을 이용한 복합혼합사료 배합장치
KR20030025431A (ko) * 2001-09-20 2003-03-29 학교법인 두원학원 가축사료의 분쇄 및 배합장치
KR20040013898A (ko) * 2002-08-09 2004-02-14 예천군 경운기용 사료 배합기 겸용 퇴비 살포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493B1 (ko) * 2006-09-30 2008-02-21 (주) 기홍 사료배합장치
KR101285074B1 (ko) * 2011-08-08 2013-07-10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차수정화매트제조장치
KR101317135B1 (ko) * 2011-08-18 2013-10-08 주식회사 테코이코 반응매트와 반응혼합토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복토 방법
KR101248309B1 (ko) * 2012-03-06 2013-03-27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 배합기용 건초 절단장치
KR102130575B1 (ko) * 2019-10-04 2020-07-06 강성기 곡물 혼합장치
CN114082363A (zh) * 2021-11-22 2022-02-25 嘉洋然桑 一种含芫根的运动饮料制作加工设备及制作加工方法
CN114082363B (zh) * 2021-11-22 2023-12-22 嘉洋然桑 一种含芫根的运动饮料制作加工设备及制作加工方法
CN114651747A (zh) * 2022-04-07 2022-06-24 宿迁市春朝禽业有限公司 基于生物饲料精细化动态调控的自动化养殖方法
CN114651747B (zh) * 2022-04-07 2024-02-27 阜平硒鸽实业有限公司 基于生物饲料精细化动态调控的自动化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8838A (zh) 一种小麦育种精密排种器
KR20040043626A (ko) 사료 배합기
CN112619515A (zh) 一种肥料加工用粉碎搅拌一体机
CN214051323U (zh) 一种高效无死角的剪切釜
CN213756272U (zh) 一种水产养殖用喂食装置
CN214973181U (zh) 一种生产饲料用搅拌设备
CN215379749U (zh) 一种具有施肥功能的旋耕机
CN211458828U (zh) 一种畜牧用饲料粉碎机
CN213376358U (zh) 一种多级混合的农业种植用水肥一体化设备
CN112121689A (zh) 一种玉米种子涂药混合装置
CN111972336A (zh) 一种小龙虾养殖用饲料投喂装置
CN213050433U (zh) 一种畜牧养殖用搅拌机
CN220214788U (zh) 一种tmr搅拌机配比喂料机构
CN212701734U (zh) 一种饲料均匀混合设备
CN210934612U (zh) 一种悬浮剂农药搅拌釜
CN211659893U (zh) 一种渔业饲料混合装置
CN218688923U (zh) 一种减少土壤重金属肥料的调配装置
CN216149582U (zh) 一种有机肥生产用可分级搅拌的有机肥搅拌机
CN213854303U (zh) 片剂原料混合机
CN215028339U (zh) 一种基质碎土搅拌机
CN211069922U (zh) 一种家禽饲料混合设备
CN219816036U (zh) 一种小龙虾饲料预混型混匀装置
CN214486694U (zh) 一种固定式全日粮饲料混合搅拌机装置
CN207897701U (zh) 一种易于对水产养殖用饵料粉碎搅拌的一体式水产养殖箱
CN214131147U (zh) 一种犁刀混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