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733A -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733A
KR20040041733A KR1020020069590A KR20020069590A KR20040041733A KR 20040041733 A KR20040041733 A KR 20040041733A KR 1020020069590 A KR1020020069590 A KR 1020020069590A KR 20020069590 A KR20020069590 A KR 20020069590A KR 20040041733 A KR20040041733 A KR 20040041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usb
data
memory chip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송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그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그라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그라피
Priority to KR102002006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733A/ko
Publication of KR2004004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USB 케이블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과 연결된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상기 USB 케이블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 커넥터; 상기 호스트 플랫폼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USB 디바이스 커넥터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USB 디바이스 커넥터로 전송하는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 및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받아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USB/IEEE1394 flash memory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host platform}
본 발명은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IEEE1394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서 플래시라는 의미는 일순간에 데이터를 삭제, 읽기, 쓰기를 한다는 것이며,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전원을 꺼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이다.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기존의 EPROM이 자외선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삭제하던 방식에서 전기적인 방식으로 삭제가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다. 기존의 EPROM은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 자외선을 쏘여야 하기 때문에 패키지 상에 자외선이 투과하도록 별도의 창을 만들어야만 하는 비싼 공정단가와 제조상의 어려움 때문에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및 소거를 할 수 있는 EEPROM이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이 EEPROM은 바이트 및 비트 단위로 소거가 가능한 반면 EPROM에 비해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다. 이에 반해,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섹터나 혹은 페이지 단위로만 소거가 가능하고, 크기도 작고, 가격도 저렴하다.
즉, EPROM은 메모리 셀이 1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서 셀 면적이 작고 자외선으로 전체 데이터를 소거해야만 하며, EEPROM은 전기적 소거가 가능하며 메모리 셀이 2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셀 면적이 큰 단점을 지니고 있는데,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이들 2개의 장점을 조합한 것으로서 1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EPROM의 프로그램 입력 방법과 EEPROM의 소거 방법을 수행한다.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는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에 비해서 시스템을 더욱 작고 얇게 만들 수 있으며, 진동과 같은 외부 환경에 더욱 더 안정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는 일반 DRAM이나SRAM과는 메모리 데이터의 변경 방법이 틀려서 호스트 플랫폼 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바로 변경할 수 없다. 이것은 DRAM과 SRAM 등은 쓰기 동작에서 입력 주소를 지정하고, 동시에 바이트 또는 워드 단위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지만,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변경은 항상 변경하고자 하는 영역을 먼저 소거한 후에 프로그램 동작을 하여야지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호스트 플랫폼에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를 연결하는 방식은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PCMCIA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PCMCIA 인터페이스를 장착하고 있는 것이 노트북 정도이고, 일반 PC나 MAC에서는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지 않아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서 PCMCIA 인터페이스를 구매해야 하는 등 비용이 증가되고, 그 크기가 커서 사용하기 불편한 점등을 야기 시킨다.
이보다 더 나은 방법은 모든 PC나 MAC 그리고 노트북에 기본으로 장착되고, 크기도 작은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USB는 직렬 포트의 일종인 기존의 시리얼, 패러럴 포트 등의 느린 속도와 연결 장치의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IBM, Intel, Microsoft, Compaq, DEC, Northern Telecom, NEC와 같은 7개 업체가 모여서 만든 인터페이스이다.
USB는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모뎀 등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었던 것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최대 127개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자동인식이 되어서 재부팅이나 셋업과정 없이 연결이 되고,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USB는 버전 1.1에서 현재 2.0까지 나와 있으며, 크게 호스트, 허브. 디바이스 이렇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USB 호스트는 모든 USB 디바이스 연결의 중심 역할을 하며, USB 허브는 여러 개의 USB 디바이스들이 USB 호스트에서 나온 하나의 출력을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USB 호스트는 각기 다른 USB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파이프의 대역폭을 관리하는 데, 4가지의 전송 모드가 있다. 4가지 전송모드는 Isochronous, interrupt, bulk, control 이며, 전송 속도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버스가 Busy 혹은 Idle 인지와 4가지 전송 모드 중에서 어떤 모드가 사용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빠른 전송모드는 전송 버스가 Idle 이고, bulk 데이터 전송 모드를 사용할 때이다.
USB는 속도에 따라 저속모드, 풀모드 및 고속모드 분리하는 데, 저속모드는 1.5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고, 풀모드는 12Mbps 전송 속도를 가진다. 고속모드는 48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진다. USB 1.1은 저속모드와 풀모드만을 지원하며, USB 2.0은 모두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는 USB 디바이스 커넥터(111),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121) 및 플래시 메모리 칩(131)을 구비한다.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121)는 USB 디바이스 커넥터(111)를 통하여 수신된 최소한 1개의 패킷을 가지고 USB 디바이스 커넥터(111)를 제어하며, USB 디바이스 커넥터(111)에 연결되는 USB 케이블에 연결되는 호스트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되는데이터 패킷 및 커맨드(command)를 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 칩(131)으로부터 읽혀지거나, 쓰여지도록 플래시 메모리 칩(131)을 제어하고, 플래시 메모리 칩(131)의 상태 및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모든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데이터 통신만을 담당해야할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121_가 플래시 메모리 칩(131)의 제어까지 담당하게 되어 플래시 메모리 칩(131)의 읽기 및 쓰기 실행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빨라지는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빨라지는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이에 연결된 호스트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읽기 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쓰기 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이에 연결된 호스트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USB 케이블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과 연결된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상기 USB 케이블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 커넥터; 상기 호스트 플랫폼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USB 디바이스 커넥터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USB 디바이스 커넥터로 전송하는 USB 디바이스콘트롤러; 및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받아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IEEE1394 케이블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과 연결된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상기 IEEE1394 케이블에 연결된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 상기 호스트 플랫폼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IEEE1394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로 전송하는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 및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받아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USB/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이에 연결된 호스트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는 USB 디바이스 커넥터(211),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 및 플래시 메모리 칩(241)을 구비한다.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는 USB 케이블(L1)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251)과 연결되며, 호스트 플랫폼(251)으로부터 USB 케이블(L1)을 통하여 데이터, 제어 및 전원을 공급받는다.
호스트 플랫폼(251)은 USB 호스트 콘트롤러(253)와 USB 커넥터(255)를 구비한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253)는 USB의 버스상에서의 모든 USB 전송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호스트 플랫폼(251)은 토큰 패킷을 발행하며, 토큰 패킷은 다음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USB 호스트 콘트롤러(253)는 USB 표준에 따라 USB 기능을 지원하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USB 호스트 콘트롤러(253)는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에 실행되어야 할 다음 커맨드를 전달하도록 표준 또는 특허된 수개의 가능한 프로토콜 중의 하나를 사용한다.
플래시 메모리 칩(241)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시 메모리 칩(241)은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의 어드레스 공간에 매핑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USB 디바이스 커넥터(211)는 USB 케이블(L1)에 연결된다. USB 디바이스 커넥터(211)는 USB 케이블(L1)로 패킷을 전송하고, USB 케이블(L1)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으로는 쓰기 요구 패킷, 쓰기 상태 패킷, 읽기 요구 패킷, 읽기 상태 패킷, 소거 요구 패킷, 소거 상태 패킷 등이 있으며, 이들 패킷들은 그 특성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칩에 저장될 데이터,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주소, 패킷 식별(PID; Packet IDentification) 등을 포함한다.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는 호스트 플랫폼(251)으로부터 출력되어 USB 디바이스 커넥터(211)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플래시 메모리 칩(241)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신호로 변환하여 USB 디바이스 커넥터(211)로 전송한다.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25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커맨드를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로 전송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는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와 플래시 메모리 칩(241) 사이에 연결되며, 플래시 메모리 칩(241)의 데이터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한다.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에 포함된 주소를 해석하고 상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 칩(241)의 해당되는 주소에 기록하거나 플래시 메모리 칩(241)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로 전달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는 칩 인에이블 신호, 읽기 신호, 쓰기 신호와 같은 다양한 신호들을 통하여 플래시 메모리 칩(241)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는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로부터 플래시 메모리 칩(241)의 제어에 관련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플래시 메모리 칩(241)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플래시 메모리 칩(241)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으며, 플래시 메모리 칩(241)의 상태 및 데이터를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로 전송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는 콤팩트 플래시 콘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호스트 플랫폼(251)에 저장되어있는 어플리케이션은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가 호스트 플랫폼(251)에 연결되어 저장 장치로서 인식이 되면, 이 저장 장치에 있는 파일을 열기 및 닫기 명령, 혹은 파일을 읽거나 쓰는 명령 혹은 파일을 찾거나 삭제하는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USB 호스트 컨트롤러(253)는 이 명령을 USB가 이해할 수 있는 섹터(sector) 읽기 및 쓰기 명령으로 변환해서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에 넘겨주고,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221)는 이 명령을 그대로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에게 넘겨준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231)는 호스트 플랫폼(251)에서 요청한 섹터 어드레스를 플래시 메모리 칩(241)의 실제 주소로 변환한 후, 호스트 플랫폼(251)의 어플리케이션이 요청한 명령을 플래시 메모리 기술과 연관된 형식의 프로그래밍, 삭제 및 알고리즘으로 변환시켜서 실제적인 파일 삭제, 읽기, 쓰기 등의 동작을 플래시 메모리 칩(241)에 직접 실행하며, 섹터 읽기 및 쓰기를 실행할 때 발견되는 에러 상황을 표시하고, 발견된 배드 섹터(bad sector)를 다른 섹터로 변경시켜 주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의 데이터 읽기 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USB 2.0을 이용하여 랜덤 읽기(Random Read) 속도, 시퀀셜 읽기(Sequential Read) 속도 및 버퍼 읽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빗금친 막대그래프들(311)은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의 데이터 읽기 속도이고, 점으로 구성된 막대그래프들(321)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의 데이터 읽기 속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의 데이터 읽기 속도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의 데이터 읽기 속도보다 훨씬 더 빠름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의 데이터 쓰기 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USB 2.0을 이용하여 랜덤 쓰기 속도, 시퀀셜 쓰기 속도 및 버퍼 쓰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빗금친 막대그래프들(411)은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의 데이터 쓰기 속도이고, 점선으로 구성된 막대그래프들(421)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의 데이터 쓰기 속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의 데이터 쓰기 속도가 종래의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101)의 데이터 쓰기 속도에 비해 월등히 빠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속도 측정에 사용된 테스트 환경(environment)은 CPU(인텔 셀레론 1.2[GHz]), OS(윈도우 XP), 메인 보드(MSD P6VXAT), 칩셋(VIA VT82C694T Northbridge, VIA VT82C686A Southbridge),벤치마크 프로그램(SiSoftware Sandra 2002 Standard)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호스트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501)는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511),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 및 플래시 메모리 칩(541)을 구비한다.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501)는 IEEE1394 케이블(L2)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551)과 연결된다.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501)는 IEEE1394 케이블(L2)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551)과 연결되며, 호스트 플랫폼(551)으로부터 IEEE1394 케이블(L2)을 통하여 데이터, 제어 및 전원을 공급받는다.
호스트 플랫폼(551)은 토큰 패킷을 발행하며, 토큰 패킷은 다음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호스트 플랫폼(551)에 구비되는 호스트 콘트롤러(미도시)는 IEEE1394 표준에 따라 IEEE1394 기능을 지원하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플래시 메모리 칩(541)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시 메모리 칩(551)은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의 어드레스 공간에 매핑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511)는 IEEE1394 케이블(L2)에 연결된다.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511)는 IEEE1394 케이블(L2)로 패킷을 전송하고, IEEE1394 케이블(L2)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는 호스트 플랫폼(551)으로부터 출력되어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511)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플래시 메모리 칩(541)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IEEE1394 케이블(L2)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511)로 전송한다.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는 호스트 플랫폼(55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커맨드를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로 전송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는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와 플래시 메모리 칩(541) 사이에 연결되며, 플래시 메모리 칩(541)의 데이터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는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에 포함된 주소를 해석하고 상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 칩(541)의 해당되는 주소에 기록하거나 플래시 메모리 칩(541)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로 전달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는 칩 인에이블 신호, 읽기 신호, 쓰기 신호와 같은 다양한 다른 신호를 통하여 플래시 메모리 칩(541)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는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로부터 플래시 메모리 칩(541)의 제어에 관련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플래시 메모리 칩(541)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플래시 메모리 칩(541)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으며, 플래시 메모리 칩(541)의 상태 및 데이터를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로 전송한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는 콤팩트 플래시 콘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호스트 플랫폼(55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IEEE1394 플래시 메모리장치(501)가 호스트 플랫폼(551)에 연결되어 저장 장치로서 인식이 되면, 이 저장 장치에 있는 파일을 열기 및 닫기 명령, 혹은 파일을 읽거나 쓰는 명령 혹은 파일을 찾거나 삭제하는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호스트 플랫폼(551)에 구비되는 호스트 컨트롤러는 이 명령을 IEEE1394가 이해할 수 있는 섹터(sector) 읽기 및 쓰기 명령으로 변환해서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에 넘겨주고,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521)는 이 명령을 그대로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에게 넘겨준다,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531)는 호스트 플랫폼(551)에서 요청한 섹터 어드레스를 플래시 메모리 칩(541)의 실제 주소로 변환한 후, 호스트 플랫폼(551)의 어플리케이션이 요청한 명령을 플래시 메모리 기술과 연관된 형식의 프로그래밍, 삭제 및 알고리즘으로 변환시켜서 실제적인 파일 삭제, 읽기, 쓰기 등의 동작을 플래시 메모리 칩(541)에 직접 실행하며, 섹터 읽기 및 쓰기를 실행할 때 발견되는 에러 상황을 표시하고, 발견된 배드 섹터(bad sector)를 다른 섹터로 변경시켜 주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501)의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속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와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501)는 플래시 메모리 칩들(241,541)을 제어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들(231,531)을 구비함으로써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201)와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501)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비해 월등하게 빨라진다.

Claims (4)

  1. USB 케이블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과 연결된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상기 USB 케이블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 커넥터;
    상기 호스트 플랫폼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USB 디바이스 커넥터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USB 디바이스 커넥터로 전송하는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 및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받아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래시 메모리 장치.
  3. IEEE1394 케이블을 통하여 호스트 플랫폼과 연결된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상기 IEEE1394 케이블에 연결된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
    상기 호스트 플랫폼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를 통해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IEEE1394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커넥터로 전송하는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 및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받아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상기 IEEE1394 디바이스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플래시 메모리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 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EEE1394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20020069590A 2002-11-11 2002-11-11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KR20040041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90A KR20040041733A (ko) 2002-11-11 2002-11-11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90A KR20040041733A (ko) 2002-11-11 2002-11-11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733A true KR20040041733A (ko) 2004-05-20

Family

ID=3733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590A KR20040041733A (ko) 2002-11-11 2002-11-11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73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987A (ko) * 2000-07-21 2002-02-01 김천국 컴퓨터 램 디스켓 드라이브
KR20020068004A (ko) * 2002-07-22 2002-08-24 아크로웨이브시스템 주식회사 유에스비 무선랜 카드와 유에스비형 플레시 메모리저장장치의 결합방법
KR20030039598A (ko) * 2001-11-13 2003-05-22 (주) 대성디지탈테크 유에스비기반의 이동형 저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2276A (ko) * 2002-09-03 200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형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갖는 유에스비 시스템
KR20040037708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메모리장치
KR20040037709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아이오셀 Usb를 이용한 외부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987A (ko) * 2000-07-21 2002-02-01 김천국 컴퓨터 램 디스켓 드라이브
KR20030039598A (ko) * 2001-11-13 2003-05-22 (주) 대성디지탈테크 유에스비기반의 이동형 저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8004A (ko) * 2002-07-22 2002-08-24 아크로웨이브시스템 주식회사 유에스비 무선랜 카드와 유에스비형 플레시 메모리저장장치의 결합방법
KR20040022276A (ko) * 2002-09-03 200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형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갖는 유에스비 시스템
KR20040037708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아이오셀 유에스비 메모리장치
KR20040037709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아이오셀 Usb를 이용한 외부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7692B2 (en) High-level bridge from PCIE to extended USB
JP4261069B2 (ja) Usb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
US7058748B1 (en) ATA device control via a packet-based interface
US6792501B2 (en) Universal serial bus flash memory integrated circuit device
US8180931B2 (en) USB-attached-SCSI flash-memory system with additional command, status, and control pipes to a smart-storage switch
US78906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ual-ported flash memory
US9164804B2 (en) Virtual memory module
US7159065B1 (en) Method for issuing vendor specific requests for accessing ASIC configuration and descriptor memory while still using a mass storage class driver
US200602536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mitting access to storage means
US20080065794A1 (en) Chained DMA for Low-Power Extended USB Flash Device Without Polling
KR20020036717A (ko)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제어 방법
JP3641239B2 (ja) メモリカード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50198425A1 (en) Combined optical storage and flash card reader using single ide or sata port and method thereof
US20070005847A1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070005813A1 (en)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for interpreting redefined frame information structure
KR100222908B1 (ko)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
KR20040041733A (ko) 호스트 플랫폼과 통신하는 usb/ieee1394 플래시메모리 장치
JP4509906B2 (ja) PCIExpressを有する仮想USBフラッシュメモリ保存装置
Eshghi et al. SSD architecture and PCI express interface
KR20010000941A (ko) 스마트미디어 카드 독출/기입 장치 및 그 방법
AU2006200756B2 (en) A USB flash memory device for connecting to a USB-defined BUS
US7730233B2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CN115576497A (zh) 数据读取方法、存储器存储装置及存储器控制电路单元
AU2012216828A1 (en) Architecture for a universal serial bus-based pc flash d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