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632A - 멀티-스테이지 프로토콜 프로세싱에 의하여 다수의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스테이지 프로토콜 프로세싱에 의하여 다수의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632A
KR20040041632A KR10-2004-7004525A KR20047004525A KR20040041632A KR 20040041632 A KR20040041632 A KR 20040041632A KR 20047004525 A KR20047004525 A KR 20047004525A KR 20040041632 A KR20040041632 A KR 2004004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units
signals
uni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382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키르스태터
요헨 그리밍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4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2Multiprotocol ro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60Software-defined switches
    • H04L49/602Multilayer or multiprotocol switching, e.g. IP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1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using crossbar or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71Provisions for the electrical-optical lay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7Labelling aspects,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G-MPLS, MP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네트워크들(18, 19) 내에서 다수의 패킷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특히 네트워크들(18, 19)에서 스위칭하고 라우팅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15)를 포함하는 다수의 포트 유닛들(14)로서, 상기 포트들은 상기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 스위치의 기능을 갖는 전송 유닛(16); 그리고 상기 신호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분석하고 그들의 착신지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프로토콜 유닛(12)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으로서의 디바이스는 다수의 다른 프로토콜 유닛들(17)을 포함하는 바, 상기 다른 프로토콜 유닛들은 상기 포트 유닛들(14)과 직접 관련되고, 독립적으로 패킷들의 일부를 위한 프로토콜 프로세싱을 다루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부분을 위한 프로토콜 프로세싱을 상기 제 1 프로토콜 유닛으로 이전하기 위하여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신호들을 분석한다.

Description

멀티-스테이지 프로토콜 프로세싱에 의하여 다수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IGNALS BY MEANS OF MULTI-STAGE PROTOCOL PROCESSING}
그러한 데이터 네트워크들의 경우, 송신자로부터 착신지까지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라우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에서, 적절한 전송 시스템이 요구된다. 최근, 네트워크들에서 전송 용량, 또는 데이터 전송 속도는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그 결과 이러한 전송 시스템들에 대한 요구 역시 계속 증가되었다. 이는 멀티-기가 비트 또는 테라비트 범위의 데이터 처리량 성능을 보이는 전송 설비들, 스위치들 및 라우터들을 개발할 필요성을 야기한다. 그러한 빠른 전송 속도와 관련하여, 필요한 응답 속도를 성취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요구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을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이러한 빠른 전송 속도를 위한 전송 설비들은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액티브 백플레인(active backplane)의 사용을 통하여 구현된다. 이 상황에서, 전체적으로 병렬적으로 작동하는 크로스바 아키텍처가 주로 사용되며, 이 형태의 설비들에 의하여 성취되는 처리량은 상기 크로스바의 스위칭 작동 속도, 개별 포트들의 개수, 및 내부적으로 사용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제한된다.
크로스바 아키텍처들은 통상 인터페이스들에 의하여 중앙 크로스바 칩에 연결되는 다수의 포트 칩들과 공동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지된 크로스바 칩들은 충돌이 발생한 경우 패킷들 또는 셀들을 위한 중간 저장(intermediate storage)을 제공하는 버퍼 메모리들 편입한다.
전송 설비들의 또다른 컴포넌트들은 하나의 포트가 다수의 다른 포트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려고 하는 경우 개별 포트들 사이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경합 해결 유닛(contention resolution unit)들(셀 충돌 해결 유닛(cell conflict resolution unit)들)이다. 참조된 간행물과 더불어 특허 명세서 19935127.9와 19935126.0은 그러한 셀 충돌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들을 설명한다.
버퍼 메모리들은 전송 시스템의 추가적 컴포넌트이다; 이들은 다양한 데이터 전송율을 가지는 시스템들 - 예를 들어 여러 서비스들이 동일한 회선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 시스템들의 경우 전송율의 최대값들에 대한 제어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하여 요구된다. 나아가, 이 버퍼 메모리 상의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대응 칩들은 정보 패킷 또는 셀이 전달되어질 다음 포트를 확인한다. 상기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은 패킷 또는 셀이 어디로 포워딩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헤더(header)와 대응 테이블들을 사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ATM , MPLS 및 IP 프로토콜들을 프로세싱할 때 적용될 필요가 있는 멀티-프로토콜 환경을 위하여 다수의 테이블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들의 단점은, 빠른 전송속도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모든 프로토콜 매커니즘들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현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자원들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특히, 버퍼 메모리들과 상기 버퍼 메모리들로부터의 그리고 상기 버퍼 메모리들로의 내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관련 고속 전송 경로들의 설비가 그러한 유형의 전송 설비의 구현에 포함되는 전체 자원 요구의 상당부분을 야기한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packet-switched network)들 및 그들의 엘리먼트를 위한 전송 시스템들의 다수는 상기 전송 시스템들에 의한 패킷의 홉 바이 홉 포워딩(hop-by-hop forwarding)에 기초한다. 이 상황에서, 결정(decision)의 기초가 되는, 프로토콜 계층과 복잡도(complexity)가 높아질수록, 더 큰 프로세싱 노력(effort)이 유발된다. 대체로, 결정은 통신 계층들의 계층 1 또는 계층 2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계층들은 대체로 전송 유닛들을 상호연결하는 특정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에 의존한다. 상기 계층들은 대체로 중복 토폴로지(overlapping topology)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거에는, 부분적으로 중복 토폴로지 모드에 사용되는 MPLS, ATM(대응되는 RFCs 참조) 등과 같은 단순화된 패킷 포워딩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제한된 메모리 대역폭 때문에, 보다 큰 전송 유닛들이 커플링 유닛(coupling unit)(예를 들어 상술된 액티브 크로스바 백플레인)들에 의하여 상호연결되는 다수의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DE 19935126.0 참조). 그것들에 단순한 구조 및 작은 메모리 크기가 요구되기 때문에(커플링 유닛들에 의한 패킷 스트림 통과의 조정을 통하여 가능함), 이러한 목적의 커플링 유닛들은 테라비트 범위까지 바로 확장되는 매우 강력한 성능을 갖는다. 역시 매우 강력한 성능을 갖는, 교환기를 위한 대응구조는 2000년 12월에 발간된 간행물 IEEE Communications Magazine의 pp.78-84에 수록된 J Chao wj "Saturn: A terabit Packet Switch Using Dual Round Robin"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간행물은 대응 출력 포트들이 입력 포트들에 할당되는 것에 따른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법을 설명한다.
ATM과 MPLS와 같은 단순화된 프로토콜들을 개발하는 중요한 이유는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에서의 경로 결정을 단순화하고 단축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선행 기술을 기초로 하면, 패킷들은 언제나 먼저 동일한 개수의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을 수반하는 동일 프로세싱 유닛들을 통과하였다. 프로토콜 유닛들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패킷은 서로 다른 형태의 프로세싱 형태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프로토콜들 유형에 따라 구별된다.
그러나,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에서의 패킷 버퍼 메모리들의 제한된 대역폭은 추가적으로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 당 전체 패킷 처리량을 제한한다.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의 대응 상호연결(1.에서 언급됨)은 메모리 관리 영역에서 모듈들간의 추가적인 대응 프로토콜에 의하여 조정되어야 한다(다시 말해, 필수적으로 대형, 분산형, 가상 전체 패킷 버퍼가 따라서 형성된다, DE 19935127.9 참조). 그러나, 이는 한편으로는 이 추가적인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위한 넓은 대역폭의 요구를 야기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대응 분산형 메모리 조정 프로토콜들을 위한 추가적인 통신 유닛들을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에 통합시킬 필요성을 야기한다.
다른 측면에서, 커플링 유닛들이 계속하여 점점 더 강력해졌으나, 단지 내부 인터페이스들만이, 각 패킷에 대해 완전하고 고가의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는 개별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패킷 신호(packet-oriented signal)들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와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전송 유닛의 상세한 디자인을 도시하는 바, 상기 전송 유닛의 커플링 유닛은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포트들을 가지며, 보다 낮은 복잡도의 프로토콜들을 위한 프로토콜 유닛들이 상기 커플링의 각 포트에서 구현되며, 보다 높은 복잡도의 프로토콜을 위한 프로토콜 모듈들은 상기 커플링 유닛에 연결되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전송 유닛들의 상세한 디자인을 도시하는 바, 상기 2개의 전송 유닛들은 광학 크로스 커넥터와 E/O 컨버터에 의하여 광네트워크(optical network)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르고 보다 비용-효율적인 전송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의 범위의 독립항에서 설명되는 특징을 갖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의하여 성취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 및 그들의 특징이 종속항에서 명시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적어도 2개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프로세싱 절차(procedure)의 실행에 있다. 따라서, 커플링 유닛의 각 포트는 들어오는 패킷(incoming packets)들의 단순한 분류를 수행하고 단순한 프로토콜들을 신속히 프로세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유닛을 갖는다. 또한, 커플링 유닛들로부터의 연결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커플링 유닛들은, 전송 유닛의 내부 또는 외부의 네트워크에 의하여, 보다 복잡한 레벨을 갖는 프로토콜들을 위하여 보다 복잡한 분석들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프로토콜에 연결된다. ATM 및 MPLS와 같은 단순화된 프로토콜 개념들에 대응하는 패킷들은 따라서 커플링 유닛에서 직접 프로세싱되고 즉시 포워딩된다. 그러한 패킷들 또는 상기 패킷들과 관련된 정보만이 이제 네트워크에 의하여 보다 복잡한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에 라우팅되며, 보다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서 처리될 필요가 있다; 커플링 유닛들에 의하여 대응패킷 포워딩이 이루어진다. 커플링 유닛들은 또한 출력 포트 또는 착신지 포트가 복잡한 프로토콜들을 위한 프로토콜 유닛에 의하여 결정된 후에 패킷의 포워딩을 다룬다. 현대적인 단순화된 프로토콜 개념들은 제어/시그널링(signaling)과 데이터 전송 사이의 엄격한 분할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LPD/RSVP-TE를 수반한 MPLS(Internet Draft), (MPLS 경로들의 초기화를 위한 방법), (I-PoverWDM 개념들, 예를 들어 RFC3031/3032/3034/3035 참조)). 본 발명의 결과, 데이터 전송 워크로드(workload)는 매우 단순하게 유지되며, 버퍼링 워크로드(메모리 및 메모리 속도)는 매우 제한되며, 분산 버퍼들 간의 조정 워크로드는 매우 현저히 감소한다(트래픽 엔지니어링(traffic engineering)과 연결 승인/확립에 의하여). 상기 제어/시그널링 트래픽은 따라서 복잡도가 다를 수 있고, 부하상황(load situation)(연결 유지시간(duration of connection maintenance))에 의존하는 프로세싱 요구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이내믹하고 유연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들의 결과로서, 패킷 프로세싱의 대부분은 더이상 통상적인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대신 우선 매우 단순화되고 빠른 분류 및 식별(identification)의 시작이 내부의 커플링 유닛들에서 일어나는 바, 이는 그 성질상 전기적일 수도 광학적일 수도 있다. 공지된 전송 유닛들은 예외적인 경우들에서만 여전히 사용된다. 따라서, 프로토콜 프로세싱 유닛들은 단지 상위 레벨에서 다루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시그널링이 요구되는 패킷들만을 다룰 필요가 있다. 커플링 매트릭스(coupling matrix)는 패킷 포워딩과 관련된 주된 워크로드를 견디며 대체로 매우 단순하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들(점대 점)에 의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심플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Simple Data Link Protocol)(SDL, Bell Labs Technical Journal, pp. 85-104, Vol.4, No.1의 Doshi, B. 등이 저술한 "A Simple Data Link Protocol for High Speed Packet Networks" 참조)와 같은, HDLC-같은 프로토콜들이 고려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포트들은 광커넥터들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실행 가능한 멀티-스테이지 방법에 관하여, 파장 변환기가 없는/있는 순수 광학 람다 크로스 커넥터(purely optical cross-connect)들이 MPLS/ATM 커플러(coupler)들과 IP 라우터 엔진들에 연결된다. 장래의 실시예들에서는, 적절한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의 사용을 통하여 보다 높은 복잡도의 장래의 프로토콜에 맞추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 프로세서들이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칙은 전체 아키텍처의 패킷 프로세싱 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감소시킨다. 전체 처리량과 관련되는 경우, 완전한 프로토콜 프로세싱, 다시 말해 복잡한 프로토콜들과 관련된 것은 순전히 예외들을 다루는 문제가 된다. 유연한 다수의 프로토콜 모듈들은 필요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전체 처리량은 거의 대부분 커플링 유닛들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상기 커플링 유닛들은 성능에 있어서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완전히 새로운 전송 설비들에 관한 고안이 제공된다. 커플링 모듈들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포트들을 가지며, 데이터 패킷들을 커플링 유닛 자체 내에서 부가적으로 완전히 프로세싱되는 패킷들 및 프로토콜 프로세싱 모듈들로 포워딩될 패킷들로 빠른 분류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유닛들을 갖는다. 이 네트워크는 단순히 프로토콜 유닛들과의 통신을 책임진다. 따라서 유닛들과 모듈들의 레벨에서 제어 및 전송 데이터 트래픽간에 엄격한 분할이 있다.
커플링 유닛들에는 추가적인 로직(logic) 엘리먼트가 제공되는 바, 상기 로직 엘리먼트는 과거에는 프로토콜 유닛들에 의하여 다루어졌던 결정들의 대부분을 조정한다. 보다 복잡한 프로토콜들에 의하여 전송된 정보의 흐름은 공지된 프로토콜 유닛들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 결과, 프로토콜 모듈들에서 패킷들의 대부분을 조정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패킷 로드의 대부분은 이미 가장 낮은 프로토콜 레벨에서 프로세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행 가능한 전송 유닛의 구조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수히 전기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커플링 유닛들로서 언급되기도 하는 포트 유닛(14)들이 10-기가비트 인터페이스들 또는 포트(15)들에 의하여 외부, 다시 말해 외부 네트워크(18)에 직접 연결된다. 이들 포트 유닛들 내에서, 패킷들의 대부분이 MPLS에 따라 이미 포워딩된다. 패킷들의 프로세싱은 보다 낮은 복잡도의 프로토콜들을 위한 프로토콜 유닛(17)들에 의하여 다루어진다. IP 라우팅을 요구하는, 패킷들 또는 그들의 헤더 정보는 우선 연결된 프로토콜 모듈(12)들에서 프로세싱되고, 그 후, 커플링 유닛들 또는 포트 유닛들(14)에 의하여 포워딩된다. 개별적인 프로토콜 유닛들(12 및 17) 사이의 연결은 제어 정보의 교환을 위하여 사용되는 네트워크(13)에 의하여 보증된다. 라우팅 테이블들과 MPLS 테이블들이 여기서 교환된다. 또한, 상술된 상기 프로토콜들의 도움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관련된 네트워크는 계층 네트워크인 바, 상기 계층 네트워크는 기대되는 프로토콜 로드(load)에 따라 대응 프로토콜들을 책임지는, 서로 다른 개수의 프로토콜 유닛들을 갖는 상이한 레벨들을 갖는다. 개별 레벨들은 포트 유닛들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배치된다. 최대 프로토콜 유닛들을 갖는 레벨은 포트 유닛들에 바로 인접한다.
도 2는 추가적으로 파장 변환기(및 추가적인 파장-의존 스플리터(splitter)들 컴바이너(combiner)들)들을 갖는 광학 크로스 커넥터에 의한 데이터 포워딩에 기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른바 멀티-프로토콜 람다 스위칭(multi-protocol lambda switching)(Internet Draft, draft-awduche-mpls-te-opticla-0 1 .txt의 D.Awduche 등이 저술한 "Multi-Protocol Lambda Switching: Combining MPLSTraffic Engineering with Optical Cross Connects" 참조)에 대한 기본 개념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존재하는 대역폭-집중(bandwidth-intensive) MPLS 경로들이 분리된 파장들 상으로 맵핑되고, 그 후, 상기 파장들은 회선 분배기(10)에서 단독으로 포워딩된다. 소정의 파장들은 통상적인 패킷 트래픽을 위하여 이전과 같이 보전된다. 그들의 비트 스트림들은 광-전기적으로 변환되어 그 후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MPLS-가능 크로스바에서 프로세싱된다(및 프로토콜 모듈들에서 상기 경우가 발생하여야 한다). 포트 유닛들(14)과의 연결은 E/O 컨버터(1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특별한 분석 유닛이 사용되는 바, 상기 분석 유닛은 어느 프로토콜들이 포함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들 또는 정보 패킷들의 선행-분석을 수행한다. 일단 이것이 확인되면, 대응 패킷이 대응 프로토콜 유닛으로 포워딩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MPLS 또는 ATM과 같은 단순한 프로토콜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는 프로토콜 유닛이 이 분석 유닛과 즉시 일체를 이룬다. 이 방법은 정보가 읽혀짐과 동시에 분석 프로세스로 상기 정보가 두 번 읽혀질 필요 없이 평가되는 것을 확실히 한다.

Claims (9)

  1. 네트워크들(18, 19) 내에 다수의 패킷 신호(packet-oriented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특히 네트워크들(18, 19)내에서 스위칭하고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 1 또는 그 이상의 포트들(15)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들은 상기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포트 유닛들(14),
    -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의 기능을 갖는 전송유닛(16), 및
    - 상기 신호들의 적어도 일부를 분석하고 상기 신호들의 착신지(destination)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프로토콜 유닛(12)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 유닛들(14)과 직접 관련되고, 독립적으로 상기 패킷들의 일부를 위한 프로토콜 프로세싱을 다루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부분을 위한 프로토콜 프로세싱을 상기 제 1 프로토콜 유닛으로 넘기기 위하여 신호들을 분류하는 다수의 다른 프로토콜 유닛들(17)이 존재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프로토콜 유닛(17)은 단지 상기 신호들의 착신지를 정하기 위하여 메모리-집약적 및/또는 시간-집약적 작동이 요구되지 않는 프로토콜들만을 프로세싱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MPLA 및/또는 ATM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신호들만이 상기 다른 프로토콜 유닛(17)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로토콜 유닛(17)이 각 포트 유닛과 관련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유닛들(17, 12) 각각은, 상기 프로토콜 유닛들이 네트워크(13)에 연결되어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및/또는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토콜 유닛들(17, 12)이 제어 신호들을 서로 교환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 유닛(12)은 IP 기반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유닛들(14)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이러한 부분을 위한 스위칭 및/또는 라우팅 작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E/O 컨버터(11)에 의하여 광학 크로스 커넥터(optical cross-connect)(10)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패킷 신호 전송 디바이스.
  9. 네트워크들 내에서 다수의 패킷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특히 네트워크들(18, 19)에서 스위칭하고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특히 제 1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프로토콜 유닛들의 계층을 나타내며,
    상기 프로토콜 유닛들의 개별적인 계층들이, 사용된 프로토콜들에 따라 프로토콜과 관련되고, 상기 계층의 프로토콜 유닛들의 개수는 상기 사용된 프로토콜의 빈도수에 의존하며, 그에 의하여 제 1 단계로서 상기 신호를 상기 프로토콜과 관련된 상기 계층의 프로토콜 유닛에 할당하는 정보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프로토콜을 정하기 위한 신호가 분석되고, 다음으로 상기 신호를 상기 전송 유닛에 포워딩하기 위하여 대응 프로토콜 유닛이 착신지를 정하는, 패킷 신호 전송 방법.
KR1020047004525A 2001-09-27 2002-09-24 멀티-스테이지 프로토콜 프로세싱에 의하여 다수의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0850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7750.3 2001-09-27
DE10147750A DE10147750A1 (de) 2001-09-27 2001-09-27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mittlung einer Mehrzahl von Signalen unter Verwendung einer mehrstufigen Protokollverarbeitung
PCT/DE2002/003593 WO2003030582A2 (de) 2001-09-27 2002-09-2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mittlung einer mehrzahl von signalen unter verwendung einer mehrstufigen protokollverarbei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632A true KR20040041632A (ko) 2004-05-17
KR100850382B1 KR100850382B1 (ko) 2008-08-04

Family

ID=770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525A KR100850382B1 (ko) 2001-09-27 2002-09-24 멀티-스테이지 프로토콜 프로세싱에 의하여 다수의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50044264A1 (ko)
EP (1) EP1430745B1 (ko)
KR (1) KR100850382B1 (ko)
CN (1) CN1559159A (ko)
AT (1) ATE293345T1 (ko)
AU (1) AU2002339322A1 (ko)
CA (1) CA2461904C (ko)
DE (2) DE10147750A1 (ko)
ES (1) ES2237698T3 (ko)
MX (1) MXPA04002745A (ko)
RU (1) RU2299529C2 (ko)
WO (1) WO2003030582A2 (ko)
ZA (1) ZA2004020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5958B2 (en) * 2004-04-08 2009-04-2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stage packet classification using most specific filter matching and transport level sharing
US8458280B2 (en) * 2005-04-08 2013-06-04 Intel-N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transmission over a high speed network supporting remote direct memory access operations
US7889762B2 (en) * 2006-01-19 2011-02-15 Intel-N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line insertion and removal of markers
US8078743B2 (en) * 2006-02-17 2011-12-13 Intel-Ne, Inc. Pipelined processing of RDMA-type network transactions
US7849232B2 (en) * 2006-02-17 2010-12-07 Intel-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single multi-function adapter with different operating systems
US8316156B2 (en) 2006-02-17 2012-11-20 Intel-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device drivers to single multi-function adapter
US8102857B2 (en) 2007-02-02 2012-01-2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control mess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8306478A (ja) * 2007-06-07 2008-12-18 Nec Corp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US20090274157A1 (en) * 2008-05-01 2009-11-05 Vaidya Aniruddha S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routing in multiprocessor mesh-based systems
JP5218979B2 (ja) * 2008-12-15 2013-06-2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
CN101621478A (zh) * 2009-08-07 2010-0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队列调度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0406A (en) * 1993-04-20 1995-09-12 Kabushiki Kaisha Toshiba ATM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speed connection-less service function
JP3149845B2 (ja) * 1998-03-20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Atm通信装置
US6038230A (en) * 1998-07-22 2000-03-14 Synchrodyne, Inc. Packet switching with common time reference over links with dynamically varying delays
JP3761362B2 (ja) * 1999-07-28 2006-03-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ノード制御装置、ノード装置、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光パス設定方法
US6721315B1 (en) * 1999-09-30 2004-04-13 Alcatel Control architecture in optical burst-switched networks
EP1091529A3 (en) * 1999-10-08 2004-05-19 Alcatel Telecommunication network node with multiprotocol capability, method of processing signals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multiprotocol nodes
US6674754B1 (en) * 1999-11-09 2004-01-06 Synchrodyne Networks, Inc.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ombined with time division multiplexing using a common time reference
EP1260067A1 (en) * 2000-03-03 2002-11-27 Celox Networks, Inc. Broadband mid-network server
JP2002290399A (ja) * 2001-03-26 2002-10-04 Fujitsu Ltd 加入者終端装置およびパケット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9159A (zh) 2004-12-29
DE10147750A1 (de) 2003-04-17
ATE293345T1 (de) 2005-04-15
RU2004112765A (ru) 2005-05-10
MXPA04002745A (es) 2004-07-29
RU2299529C2 (ru) 2007-05-20
CA2461904A1 (en) 2003-04-10
AU2002339322A1 (en) 2003-04-14
CA2461904C (en) 2008-06-10
DE50202797D1 (de) 2005-05-19
KR100850382B1 (ko) 2008-08-04
ZA200402053B (en) 2005-05-27
WO2003030582A2 (de) 2003-04-10
ES2237698T3 (es) 2005-08-01
US20050044264A1 (en) 2005-02-24
EP1430745A2 (de) 2004-06-23
EP1430745B1 (de) 2005-04-13
WO2003030582A3 (de) 200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4050B2 (en) Optical communication switch node
KR0132944B1 (ko) 데이터 교환장치
US6873796B1 (en) Node device and optical path setting method
JP2963316B2 (ja) パケット分配ネットワーク
US200300676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lot deflection routing
JP6605747B2 (ja) ラインカードシャーシ、マルチシャーシクラスタルータおよびパケット処理
US7324537B2 (en) Switching device with asymmetric port speeds
JP2005515735A (ja) 電気データネットワーク
US2002012666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fficient multicasting of data packets
EP1130942B1 (en) Integration of all-optical crossconnect functionality in an optical packet switching apparatus
JP2918772B2 (ja) パケット交換配置
KR100850382B1 (ko) 멀티-스테이지 프로토콜 프로세싱에 의하여 다수의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2915260B2 (ja) パケット交換配置
US20040095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networks
US5786917A (en) Optical switching network and control method for same
US7164698B1 (en) High-speed line interface for networking devices
US20060104281A1 (en) Packet routing
JP2004511992A (ja) 複数の制御回線を用いた多重最小論理網においてスループットを増大させる拡張可能な装置および方法
US6956851B1 (en) Crossbar subsystem and method
US7024114B2 (en) Photonic switching device
US69854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eviating traffic congestion in a computer network
EP0465532B1 (en) High speed data packet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CN115643224B (zh) 一种fc交换机及数据传输方法
US9031407B2 (en) Bidirectional optical data packet switching interconection network
EP1313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rmining loss characteristics in DWDM l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