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557A -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 Google Patents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557A
KR20040041557A KR1020040026408A KR20040026408A KR20040041557A KR 20040041557 A KR20040041557 A KR 20040041557A KR 1020040026408 A KR1020040026408 A KR 1020040026408A KR 20040026408 A KR20040026408 A KR 20040026408A KR 20040041557 A KR20040041557 A KR 2004004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thickness
width
secti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흥석
Original Assignee
채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흥석 filed Critical 채흥석
Priority to KR102004002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557A/ko
Publication of KR2004004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557A/ko
Priority to KR1020040091343A priority patent/KR20050101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D35/046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the filtering element being mounted in the faucet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 지지된 철골보를 합성보(Composite Beam)로 설계, 시공함에 있어 기 생산되는 H형강(Wide Flange Shapes)과는 달리 상부 플렌지(8)와 하부 플렌지(9)의 두께 또는 폭을 다르게 하여 합성보가 갖는 구조적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단면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합성보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가 보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부담하게 되므로 철골보의 상부 플렌지(8)는 국부좌굴에 대한 폭, 두께비를 만족하는 최소의 두께로 하고, 인장응력을 지지하는 하부 플렌지(9)의 두께 또는 폭을 증가시켜 합성단면에 의한 단면2차 모멘트 및 단면계수를 향상시켜 철골보의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H Shape Steel Beam of Deformed Flange}
본 발명은 단순 지지된 철골보를 합성보(Composite Beam)로 설계, 시공함에 있어 기 생산되는 H형강의 상,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을 다르게 하여 합성보가 갖는 구조적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단면성능을 향상시켜 강재량을 절약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얻기 위한 것이다.
합성보 구조는<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와 철골보(3)를 전단 연결재(2)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가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하여 단면성능을 향상시킨 구조이므로 철골보(3)의 상부(6)플렌지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1)와 같이 압축응력을 부담하게 되므로 단면에 여유가 많은 반면, 하부 플렌지(7)는 인장응력을 모두 부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면의 여유가 있는 상부 플렌지(6)는 국부좌굴에 대한 폭, 두께비를 만족하는 최소의 두께로 감소시키고 하부 플렌지(7)의 두께 또는 폭을 증가시키게 되면 단면성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 생산되는 H 형강의 경우<도 2>와 같이 상부 플렌지(6)와 하부 플렌지(7)의 두께가 동일하게 생산됨에 따라 합성보에 있어서는 강재의 효율이 감소 될 수 밖에 없다.
단순 지지보를 합성보로 설계, 시공하는 H형강에 대하여 합성보의 구조적 장점을 이용하여<도 3>과 같이 상부(8) 플렌지는 국부좌굴에 대한 폭, 두께비를 만족하는 최소의 두께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하부 플렌지(9)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도 4>와 같이 상부(8) 플렌지는 국부좌굴에 대한 폭, 두께비를 만족하는 최소의 두께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하부 플렌지(9)의 폭을 증가시키게 되면 단면성능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하부 플렌지(9)의 단면 증가 한계치는 콘크리트 슬래브(1)의 허용압축 응력값 이내로 하여야 하며, 두께에 따른 항복강도 제한치인 40mm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제1도는 합성보의 단면도 및 중립축
제2도는 일반적인 H형강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부 플렌지 폭을 두껍게 제작한 이형 플랜지 H 형강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부 플렌지 폭을 넓게 제작한 이형 플랜지 H 형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슬래브
2. 전단 연결재
3. 철골보
4. 중립축
5. 철골보 밑면에서 합성보 중심까지의 거리
6. 기 생산되는 H형강의 상부 플렌지
7. 기 생산되는 H형강의 하부 플렌지
8.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형 플렌지 H 형강의 상부 플렌지
9.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렌지 두께를 두껍게 제작한 이형 플렌지 H 형강의 하부 플랜지
10.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렌지 두께를 두껍게 제작한 이형 플렌지 H 형강
11.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렌지 폭을 넓게 제작한 이형 플렌지 H 형강
12.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렌지 폭을 넓게 제작한 이형 플렌지 H 형강의 하부 플랜지
콘크리트 슬래브(1)와 철골보(3)를 전단연결재(2)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가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합성보에 있어서 철골량을 동일하게 하는 조건으로<도 3>과 같이 상부 플렌지(8)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하부플렌지(9)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하부플렌지(12)의 폭을 증가시키게 되면<도 1>의 철골단면에서보다 중립축(4)이 아래로 내려오게 됨에 따라 합성 단면에 의한 단면2차 모멘트 및 인장측 단면계수가 10~15% 정도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인 철골구조물의 경우 합성보로 설계되는 단순지지보가 많게는 50% 정도 차지하는 구조물도 있어 플렌지의 두께를 합성보의 강재량을 최소 10% 이상 절감 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상당하리라 본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형 플렌지 H 형강의 경우<도 3><도 4>와같이 상, 하부 플렌지(8, 9)의 두께 또는 폭을 조정하게 되므로 기존의 H형강 생산라인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Claims (2)

  1. 합성보에 있어 H형강의 상부플렌지의 두께는 감소시키고 하부 플렌지의 두께를 증가시켜 상부플렌지보다 하부플렌지의 두께가 두껍게 제작되어 단면성능을 극대화한 이형플렌지 H형강(H Shape Steel Beam of Deformed Flange)
  2. 합성보에 있어 H형강의 상부플랜지의 두께는 감소시키고 하부 플렌지의 폭을 증가시켜 상부플렌지보다 하부플렌지의 폭이 넓게 제작되어 단면성능을 극대화한 이형플렌지 H형강(H Shape Steel Beam of Deformed Flange)
KR1020040026408A 2004-04-17 2004-04-17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KR2004004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08A KR20040041557A (ko) 2004-04-17 2004-04-17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KR1020040091343A KR20050101102A (ko) 2004-04-17 2004-11-10 하부 플렌지의 두께가 상부 플렌지의 두께보다 두꺼운 h형강과,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08A KR20040041557A (ko) 2004-04-17 2004-04-17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557A true KR20040041557A (ko) 2004-05-17

Family

ID=372797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408A KR20040041557A (ko) 2004-04-17 2004-04-17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KR1020040091343A KR20050101102A (ko) 2004-04-17 2004-11-10 하부 플렌지의 두께가 상부 플렌지의 두께보다 두꺼운 h형강과,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43A KR20050101102A (ko) 2004-04-17 2004-11-10 하부 플렌지의 두께가 상부 플렌지의 두께보다 두꺼운 h형강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0041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66B1 (ko) * 2009-07-09 2014-01-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압연 h형강
CN114960941A (zh) * 2022-05-19 2022-08-30 中国建筑东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效能的焊接h型钢及其应用技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978B2 (en) * 2015-07-05 2017-11-07 Constantine Shuhaibar Structural system and method using monolithic beams having improved streng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66B1 (ko) * 2009-07-09 2014-01-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압연 h형강
CN114960941A (zh) * 2022-05-19 2022-08-30 中国建筑东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效能的焊接h型钢及其应用技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102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93643B (zh) 一种加固钢梁及组合梁的预应力cfrp板张拉锚固装置
KR101349649B1 (ko) 조립철골거더에 의한 변단면 단부보강 합성구조
CN102839769A (zh) 一种波折钢板组合剪力墙
CN105275092A (zh) 一种型钢混凝土梁与外包钢板组合剪力墙耗能型节点
KR20010036486A (ko) 다단계 긴장식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설계 방법 및 거더의 제조방법
WO2006031001A1 (en) Steel-concrete sandwitch type hybrid beam and high strengh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CN105625585A (zh) 屈曲约束钢结构梁柱连接节点和钢结构建筑
CN104278775A (zh) 一种加劲的波形钢板剪力墙
KR101547538B1 (ko) 복합형 파셜 거더
EP3450748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teel tube truss and tower barrel of lattice wind power generation tower
KR20040041557A (ko)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의 두께 또는 폭이 다른 이형플렌지 에이치형강
CN109137757B (zh) 一种大跨度波形钢腹板箱梁抗屈曲结构及施工方法
CN105239691B (zh) 一种带有一字型内芯的防屈曲支撑构件
KR100559764B1 (ko) 아치리브가 부착된 스틸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CN105568789A (zh) 一种磁悬浮抱轨式轨道交通双线轨道梁
KR101198116B1 (ko) 교량용 강재 거더
CN113482160B (zh) 用于钢混组合梁的钢梁与翼缘板的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202401384U (zh) 钢桁斜拉桥压重构造
KR20220102953A (ko)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 및 그 시공 방법
CN211548384U (zh) 一种高强钢管约束高强型钢混凝土组合柱
KR200253561Y1 (ko) 트러스보강재가 부착된 강재
CN109898713B (zh) 一种快速装配化的全螺栓连接半刚性波纹形抗剪连接件
KR20110065731A (ko)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CN110821041A (zh) 一种高强钢管约束高强型钢混凝土组合柱
CN201588313U (zh) 双矩形管约束型h形截面装配式防屈曲耗能支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