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466A -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466A
KR20040041466A KR1020020069833A KR20020069833A KR20040041466A KR 20040041466 A KR20040041466 A KR 20040041466A KR 1020020069833 A KR1020020069833 A KR 1020020069833A KR 20020069833 A KR20020069833 A KR 20020069833A KR 20040041466 A KR20040041466 A KR 2004004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omputer
keyboard
computer system
cradle
web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012B1 (ko
Inventor
손경선
김윤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012B1/ko
Priority to US10/375,119 priority patent/US6952340B2/en
Priority to EP03006229A priority patent/EP1418487A3/en
Priority to CNB031577687A priority patent/CN1316396C/zh
Publication of KR2004004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1Power saving in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복수의 패널 및 메인 시스템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와; 후단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의 중첩 및 상기 중첩된 휴대용 컴퓨터를 지점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 키며 키 패드를 갖는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 및 휴대용 컴퓨터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닥킹 스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각각의 입력장치 즉, 스타일러스 팬 또는 키보드 등으로 입력장치를 전환시켜 데이터를 입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상기 닥킹 스테이션을 소정각도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사용목적에 맞게 화면모드가 전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Portable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패드 기능과 노트북 기능이 조합되어 복수의 입력장치 즉, 스타일러스 팬 또는 키보드 등 각각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시스템 본체를 거쳐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화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편리하게 키보드 입력을 통해 휴대용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 입력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을 통해 휴대용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와 시스템 본체만이 연결된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편리하게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할 수 있는 닥킹 스테이션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닥킹 스테이션은 각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휴대용 컴퓨터의 형태 또는 특수한 사용목적, 구동상태에 맞게 별도의 닥킹 스테이션을 설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 구조의 경우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각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 중 일예로, 일본 도시바에서 제조된 전자기기의 기능확장장치(특개평 5-189086호, 이하 닥킹 스테이션이라 함)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일본 도시바에서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이하, 휴대용 컴퓨터라 함)(1)가 장착된 장착부(22)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휴대용 컴퓨터(1)의 기능을 확장한 확장수단(17)을 갖는 본체(16)와, 상기 확장수단(17)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6)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22)에 장착된 컴퓨터 커넥터(12)가 착탈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본체 커넥터(26)와, 상기 본체 커넥터(26)가 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의 계탈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6) 내에는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를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트 기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젝터 기구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커넥터(26)의 좌/우측 하단부에 설치된압박 레버(58)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젝터 기구의 조작 손잡이(60)를 X 방향으로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이젝터 기구의 기구적 연동에 의한 압박 레버(58)가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가 본체(16)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체(16)와 휴대용 컴퓨터(1)와의 결합과정 및 분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6)에 휴대용 컴퓨터(1)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본체(16)에 휴대용 컴퓨터(1)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1)를 상기 본체(16)의 재치면(18)에 안치시킨 다음, 상기 재치면(18)의 좌/우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1a)(21b)을 통해 슬라이딩시키는데, 이 때 상기 컴퓨터 커넥터(12)는 본체 커넥터(26)와 정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와 상기 본체 커넥터(26)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휴대용 컴퓨터(1)를 상기 본체(16)의 커넥터(26)부분까지 밀어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와 상기 본체 커넥터(26)와의 결합을 통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본체(16)에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를 분리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본체(16)에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6)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젝터 기구의 조작 손잡이(60)를 X 방향으로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이젝터 기구의 기구적 연동에 의한 압박 레버(58)가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가 본체(16)에서 분리되게 되고, 원래 위치인 대기 위치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닥킹 스테이션 구조의 경우, 단지 휴대용 컴퓨터(1)를 거치하고 상기 본체 커넥터(26)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1)가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장치(기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 있을 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기구적 작동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의 화면모드 즉,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 형태로 전환되는 화면전환모드 및 별도의 입력장치(PDA 단말기의 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기능이 가능한 특정화면모드로 전환시켜주는 기능이 전무한 상태로서, 상기 닥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를 사용하는데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착탈식 키보드 장치의 상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개인용 정보 단말기 혹은 웹패드등을 별도의 착탈식 키보드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동중에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웹패드등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문자등 데이터들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소프트웨어로써 구현되어 스크린 상에 나타난 가상의 키보드를 탭핑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상에서 직접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쓰기 작업을 해야 하므로, 문자 입력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압력에 민감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쓰기 작업에 의하여 문자를 기록하더라도 문자 인식에 있어서 발생하는 많은 오류로 인하여 근본적으로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종래의 착탈식 키보드 장치는, 키패드(811)의 상단부에 웹패드등을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812)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인터페이스부(812)는 키패드를 덮는 덮게(8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게(813)의 일단부에 구비된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착탈식 키보드 장치는, 웹패드등을 상기의 인터페이스부(812)에 삽입하여 키패드(811)를 이용하여 문자등 데이터를 입력하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착탈식 키보드 장치는 키보드 장치의 커넥터부에 웹패드등을 연결하면, 상기의 키보드는 문자입력이 가능한 모드로 무조건 전환되면서 문자등 데이터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키보드에는 항시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문자입력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키보드 덮게에 웹패드등을 장착하고 나서 키보드 덮게를 덮으면 웹패드의 사용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웹 패드 기능과 노트북 기능이 조합되어 복수의 입력장치 즉, 스타일러스 팬 또는 키보드 등 각각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시스템 본체를 거쳐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화상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스템 본체와 키보드와의 회전시 센서의 접점에 따라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상기 키보드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키보드로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종래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핫 플러그 방식을 통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키보드를 통해 계속적으로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키보드 입력을 통해 휴대용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 입력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을 통해 휴대용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와 시스템 본체만이 연결된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형 컴퓨터 즉, 상기 키보드가 결합된 시스템 본체를 경우에 따라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시켜 데스크탑 형태의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본체와,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화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장치인 키보드부와, 상호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시스템 본체가 거치되는 닥킹 스테이션부로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형 컴퓨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 이하 키보드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300)는, 웹 패드로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100)에 간단히 부착하므로써, 필요시 선택적으로 키보드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데이터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키보드가 부착된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 키보드가 시스템 본체(100)에 결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는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 제한되어 단순히 웹 패드의 기능만을 가능케 하므로써 키보드를 활성화(enable)한 상태에서 키입력을 대기하느라 소요되던 종래의 전력소모가 없도록 하므로써 절전을 실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시스템 본체(100)와 키보드 장치(300)의 결합방향을 정방향 및 역방향 모두 가능케 하므로써, 키입력을 하지 아니하고 장시간 휴대/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300)를 시스템 본체(100)에 역방향으로 결합시켜 시스템 본체의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 이하 크래들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복합형 컴퓨터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복합형 컴퓨터(이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라 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되는 크래들부와,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탱하는 스텐드부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는 아암부로 구성된 본 발명인 휴대용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가 결합되는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착탈식 키보드 장치에 웹패드 장착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가 중첩된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재와 키보드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a, 9b는 본 발명 키보드부의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 키보드부에 있어 힌지 조립체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 키보드부에 있어, 숫 커넥터부가 제 1 커넥터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휴대용 컴퓨터 본체를 열어서 키보드 입력모드 위치로 절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 프론트 케이스를 일부 절단한 상태에서 보호커버 착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닥킹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분해 사시도.
도 19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거치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20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거치대 리어커버의 평면 사시도.
도 21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회전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22 는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전(前) 상태.
도 23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회전되는 상태.
도 24는 본 발명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기 전(前)인 포트레이트 모드 상태.
도 25는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화면모드가 포트 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
도 26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7은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크래들부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로서,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
도 28은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
도 29는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
도 30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31 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 힌지부와 원통 힌지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32 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3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아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4 및 도 35는 스텐드부에 크래들부를 밀착시 아암부의 스위치 접촉홈에 의해 스텐드부의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4는 크래들부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상태.
도 35는 아암부 회전을 통해 스위치 접촉홈과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휴대용 컴퓨터200...스타일러스
300...키보드 장치320...키패드
330...회전부재335...키보드 디스크
343...숫 커넥터부390...회전 감지 장치
391...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
400...닥킹 스테이션
410...크래들부 420...웹 패드 거치대
421...거치 플레이트437... 오리엔테이션 스위치
450... 회전 가이드 부재451... 회전 가이드 상판
500. 스텐드부600. 아암부
700...컴퓨터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스타일러스 및 외부 입력 장치에 대응하여 컴퓨터 기능의 수행 및 기능 수행 결과를 소정 크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용 컴퓨터와;
필요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되고 부착시 배면 중심을 지점으로 180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중첩 결합된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가 탈/부착된 휴대용 컴퓨터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상태에서 화면 모드를 랜드스케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닥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보드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이루어진 키보드 케이스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 하부에 장착되는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를 지점으로 하여 웹패드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상기 키보드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웹패드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와 상기 웹패드를 상호연결되도록 하는 숫 커넥터부와; 상기 키보드부가 상기 웹패드 측면과 결착시 상기 키보드부가 상기 웹패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 일측에 형성된 키보드 결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놓여지는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와 상기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에 나사로 결합시키며, 전면의 일정위치에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를 구비한 하부 회전 가이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닥킹 스테이션은 키보드가 탈/부착되는 휴대용 컴퓨터가 거치되는 크래들부와; 무게 중심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의 무게를 지탱하는 스텐드부와; 상기 크래들부 저면 및 상기 스텐드부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는 아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안치되는 웹 패드 거치대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의 배면에 고정되는 거치대 리어커버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삽착 고정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소정각도로 회전(원주방향)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와;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 내측에 고정되며, 분리 손잡이에 작용된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단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착설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탈리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 패드 거치대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상판이 삽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면착되는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플레이트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거치 홀더부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저면에 삽착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부와; 상기 고정 돌기부 내측에 삽착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확장기기)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과 결합되는 드라이브 커넥터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의 관통홀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의 관통홀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모드를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주는 오리엔테이션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 보다 긴 포트레이트 방향을 디폴트 모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런트 커버(110)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리어 커버(210)는 마그네슘 재질로 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기기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먼저, 프런트 커버(110)는 내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고 전면 외측 둘레면으로 투명 패널 삽입홈(111a)이 형성되어, 전면으로 투명 패널(120)을 부착시키고, 내부에 LCD 패널(122) 및 디지타이저 패널(126)이 결합된다.
리어 커버(210)에는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시스템 본체(HDD, 메인보드 등) 및 배터리 착탈장치(265) 및 HDD 착탈장치(250), 스타일러스(200)가 수납되는 스타일러스 홀더(220), 그리고 각 종 기능 제어를 위한 버튼(242,243) 및 전원스위치(2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커버(110)에 실장되는 전면 투명 패널(120)과 LCD 패널(122)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리닝 룸(cleaning room)에서 투명 패널(120)과 LCD 패널(122)의 결합 공정을 수행한다.
프런트 커버의 구성요소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패널(120)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의 투명패널 삽입홈(111a)에 부착된다. 실시 예로서, 부착부재는 양면 테이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양면 테이프(121)는 가로 대비 세로의 폭이 다른 띠 모양을 이루며, 투명 패널(120)의 저면 외측 테두리 면에 먼저 부착되고, 양면 테이프(121)가 부착된 투명 패널(120)은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투명 패널 삽입홈(111a)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투명 패널(120)은 프런트 커버(110)에 별도의 나사 체결 없이 밀착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LCD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외주변 프레임(123)의 좌/우측으로는 고정 프레임(124)을 나사(101)로 체결해 준다. 즉, 외주변 프레임(123)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고정 프레임(124)의 나사구멍(102)을 정렬시킨 후 LCD 패널(122)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나사(101)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준다.
이러한 LCD 패널(122)과 외주변 프레임(123) 사이에 띠 모양의 밀봉부재(gasket:125)를 부착시키고, 프런트 커버(110)에 밀착시키면 LCD 패널(122)에 부착된 밀봉부재(125)는 상기 투명 패널(120)의 테두리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121)에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124)의 상/하에 가공된 나사구멍(102)을 통해서 나사(101)로 프런트 커버(110)의 보스(미도시)에 체결하여 줌으로써, LCD 패널(122)을 프런트 커버(110)에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121)는 외부 영역으로는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 삽입홈(111a)을 일체화시켜 고정하고, 내부 영역으로는 투명 패널(120)과와 밀봉부재(125)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LCD 패널(122)은 화면부가 소정 두께를 갖는 밀봉부재(125), 양면 테이프(121), 투명 패널(120)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타이저 패널(126)을 LCD 패널의 배면으로 적층시켜 주기 위해 프레임(123, 124)에 형성된 나사구멍(102)을 통해서 나사(101)로 체결하여 줌으로써, LCD 패널(122)과 디지타이저 패널(126)이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LCD 체결 구조는 LCD 패널(122)을 일차로 내부에서 프레임으로 지지한 후, 내부 보스에 체결함으로써, 나사 체결 구조가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으로 투명 패널(120)을 결합하기 때문에, LCD 패널(122)에 외부 충격을 분산시켜 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면 테이프(121), 밀봉부재(125)가 외부 충격에 대해 소정의 완충 작용을 하여 패널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LCD 패널(122)의 전면 및 측면 부위에서 LCD 패널(122)의 표시 부분을 밀봉해 줌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커버(110)에 결합되는 이종의 디스플레이상기 패널들(122,126)을 배면 중심부를 “L” 자 형태로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미도시)를 프런트 커버(110)에 나사(101)로 체결해 준다. 이로써, 패널 체결 작업은 완료된다.
그리고, LCD 패널(122)의 구동을 위한 인버터 회로기판과 인버터 케이블을 접속시키고, LCD 인버터 회로기판 및 디지타이저 제어기판을 디지타이저 패널(126) 배면에 위치 및 결합시킨다. 또한 LCD 패널(122) 및 디지타이저 패널(126)에는 상부 내측에 인버터를 설치하여 적정 전압을 각각 공급해 주며, 인버터에 전기적으로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주 배터리의 교체시에나 배터리의 용량 부족시 시스템의 정보 손실을 막는 등의 최소한의 작업을 위해 시스템에 수초에서 수분간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과정을 마친 프런트 커버(110)는 리어 커버(210)와 결합되는데, 상기 리어 커버(210)에는 메인보드(180),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HDD 및 배터리가 함께 결합된다. 상기 HDD는 HDD 착탈장치(250) 및 배터리는 배터리 착탈장치(265)에 각각 결합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터(또는 웹패드)(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프런트 커버 내부를 보면 전면으로 LCD 패널은 전면으로 강화 유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측면으로 양면 테이프와 부직포 개스킷이 놓이기 때문에 전면 및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전 방향으로의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컴퓨터(100)에는 LCD 패널(121)과 디지타이저 패널(122), 그리고 시스템 운용을 위한 메인보드(180)가 하나의 패드 내부에 결합되고, 입력 수단으로서 스타일러스를 구비한 구조이다.
이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100) 단독으로 휴대하면서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키보드를 휴대용 컴퓨터(100)에 장착시켜 필요시 키보드 및 마우스와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문서의 편집 및 웹을 액세스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100)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시에는 상기 스타일러스(20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RF signal)에 대응하는 디지타이저 패널(122)의 좌표를 디지타이저 제어부에서 해독한 후, 메인보드(180)로 전달해 준다. 그러면 메인보드(180)가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키 신호를 입력하면, USB 포트 및 키보드 커넥터를 통해서 입력된 키 신호는 USB 버스를 통해서 중앙 처리부에 전달된다. 중앙 처리부는 상기 키 신호에 응답하여 LCD 패널(121)에 표시해 준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100)만을 이용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면, 화면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된다. 즉, 디스플레이 정보에서 1024*768로 선택 또는 768*1024로 선택할 경우 해당 화면모드로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프런트 커버와 리어 커버 분리시켜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커버의 분해 및 부품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책상 등에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도킹 스테이션과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휴대용 컴퓨터를 도킹 스테이션에 거치하여 경사 각도에 따라 두 가지의 모드로 동작하고, 또한 경사 각도에 따라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와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있다.
여기서, LCD 모니터 경사 각도가 어느 정도(예컨대, 30도 이상) 있을 때를 제 1 모드로 하고, 경사 각도가 거의 없을 때를 제 2모드로 칭하고, 휴대용 컴퓨터 상의 LCD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제 3모드로 하고, 세로 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제 4모드로 칭한다.
제 1모드는 도킹 스테이션에 휴대용 컴퓨터를 결합하여 일정 경사 각도에서 단순하게 모니터 기능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에는 제 3모드와 제 4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 1모드와 제 3모드의 이용시에는 일정 경사 각도에서 LCD 모니터를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사용할 때이고, 제 2모드와 제 4모드의 이용시에는 일정 경사 각도에서 LCD 모니터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사용할 때이다.
제 2모드는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한 상태이나, LCD 모니터의 경사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LCD 화면에 직접 입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를 위해서, 제 2모드와 제 3모드의 이용시에는 LCD 모니터의 경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LCD 화면을 랜드 스케이스프 모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제 2 모드와 제 4모드의 이용시에는 LCD 모니터의 경사 각도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LCD 화면을 포트 레이트 모드로 이용하게 한 것이다. 화면 표시 모드의 디폴트는 포트레이트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의 절환을 위해서는 두 개의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서 USB 포트로 입력받는다. 두 개의 스위치는 경사 각도 유무를 인식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와, LCD 화면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Orientation S/W)로 구성된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화면 모드\스위치 오리엔테이션 S/W 슬라이드 S/W
포트레이트 모드 0 0
포트레이트 모드 0 1
랜드스케이프 모드 1 0
랜드스케이프 모드 1 1
그리고, 키보드 장치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랩팝(laptop) 신호를 펌웨어부에서 감지하여, 키보드 장치에서 입력 신호를 USB로 변환하여, 휴대용 컴퓨터에 전달하면,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고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의 착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키보드 장치(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311)와 리어 케이스(312)로 이루어진 키보드 케이스(310)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320)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가 시스템 본체와 소정각도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부재(330)와, 상기 키 패드(320)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시스템 본체(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320)와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숫 커넥터부(343)와, 상기 키보드 장치(300)가 상기 시스템 본체(100) 저면과 결착시 상기 키보드부가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330) 일측에 형성된 키보드 결합돌기(3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컴퓨터(100)을 키보드부(30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부재(330)의 전 방향에서 후 방향으로 밀쳐서 결합하면 도 5의 (a)와 같이 하부에 키보드부(300)이 위치하고 상부에 휴대용 컴퓨터(100)이 적층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키보드부(300)을 사용하려고 할 때 회전부재(330)을 이용하여 키보드부(300)을 지점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도 5의 (b)와 같이 키보드부(330) 상에 일정 경사각도를 갖고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도 5의 (a)와 같이 사용할 때에는 포트레이트(portrait) 또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를 모두 제공하며, 도 5의 (b)와 같이 사용할 때에는 키보드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이므로 랜드스케이프 모드만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원발명은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휴대용 컴퓨터(100) 내부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휴대용 컴퓨터를 일체로 갖고, 후단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330)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100)와 키보드부(300)을 중첩시키고, 상기 중첩된 휴대용 컴퓨터(100)를 키보드부(300) 지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며 키 패드(320)를 사용 가능케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700)에 키보드부(300)가 결합, 중첩된 상태에서는 스타일러스(200)을 입력장치로 하고, 키보드부(300)를 지점으로 휴대용 컴퓨터(1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스타일러스(200)와 더블어, 키보드부(300)로 전환되면서 종래 노트북과 같이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많은 양의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100)는 첫 번째로 스타일러스(200)으로 입력할 수 있어, 펜으로 문자를 라이팅하여 입력하거나, 화면상에 제공되는 키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더블어, 화면의 특정 위치에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마우스 기능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는, 포트레이트 모드를 기본 표시 모드로 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화면 종/횡비를 변경하여,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는, 고속 통신 모듈(IEEE802.11a, IEEE802.11b)을 내장하여, 고속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네 번째는 음성 인식 모듈이 내장되어, 음성 명령 및 음성 웹 브라우징이 가능하다.
다 섯번째는 휴대용 컴퓨터(100)와 키보드부를 커넥터로 직접 접속하고, 컴퓨터 배면으로 키보드를 평행하게 중첩 결합시키고, 상기 키보드를 지점으로 휴대용 컴퓨터(100)를 회전시켜 키보드 평면에서 일정 경사 각도를 갖고 휴대용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입력 장치로서 스타일러스(200) 뿐만 아니라 키보드 및 마우스도 함께 이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휴대용 컴퓨터(100)와 키보드부를 중첩 결합시켜 휴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7은 키보드 장치와 휴대용 컴퓨터의 회전 및 인터페이스 구조를 나타낸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탈착장치는, 키보드 케이스(310)가 웹패드등과 같은 시스템 본체(100)와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펜 입력모드로부터 키보드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모드로 절환 되도록 하는 회전부재(330)와 상기 키패드(320)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시스템 본체(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320)와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숫 커넥터부(343) 그리고 시스템 본체(100)와 결합되되 장기간 키 입력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 결합되는 키보드 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키보드 결합돌기(360)를 구비한 것 등이 특징이며, 상기의 키보드 케이스(310) 일측에는 고정돌기부 삽착홀(313)이 형성되는데 이는 시스템 본체와 키보드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확장장치인 닥킹시스템에 결합되는 때에 상기 닥킹시스템의 커넥터측과 시스템 본체측이 상호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키보드 케이스(3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확장장치인 크래들부(410)과 결합시, 상기의 크래들부(410)와 시스템 본체(100)간에 결합을 확실히 하기위하여 사용되는 웹패드 안착돌기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착돌기 통과홈(314)을 다수개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는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면을 구비하고 배면은 밧데리 커버(미도시)등이 부착되는 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면과 배면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은 측면부이며, 특히 이들중 후방의 일측면은 상기의 키보드 장치(300)를 결합하기 위한 키보드 결합돌기 삽착구(미도시)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보드 결합돌기 삽착구를 통하여 키보드 장치(300)의 숫 커넥터부(343)와 키보드 결합돌기(360)가 삽입 고정되는데, 키보드 장치(300)를 시스템 본체(100)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의 키보드 결합돌기(360)는 상기의 키보드 결합돌기 삽착구를 통과한 후, 제1 프레임(155)의 끝단에 있는 걸림돌기 착탈편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키보드 결합돌기(360)의 인접한 곳에는 역삽 방지 돌기(360a)를 1개 형성시키고, 시스템 본체(100)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의 역삽 방지 돌기(360a)가 통과할 수 있는 홈(미도시)을 1개소 형성시키는데, 이러므로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면이 항상 외부로 향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의 배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조립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역삽 방지를 적용치 않을 경우에는, 상기의 역삽 방지 돌기(360a)를 형성시키지 않으면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면이 외부로 나타나도록 조립될 수도 있고, 역으로 상기의 디스플레이면이 키보드 장치를 향하여서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배면이 외부로 나타나도록 조립될 수도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장치(300)를 지점으로 하여시스템 본체(100)를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특별히 회전 부재(330)가 사용되며, 이때 상기의 회전부재(330)는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케이스(311)의 배면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의 회전부재(33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311)의 배면에 놓여지는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331)와;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331)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가이드 레일(331a)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와;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331)와 상기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를 상기 프론트 케이스(311)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에 나사로 체결/결합시키며, 전면의 일정위치에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333)를 구비한 하부 회전 가이드부재(334)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의 안내 가이드 레일(331a)은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331)의 배면에 형성되되 동심원 형상의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 면으로서, 이는 상기의 하부 회전 가이드부재(334)의 윗면에 형성된 가이드 면과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의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331)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의 프론트 케이스(311)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가 관통되며 상기 보스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홀(33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9a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를 기능별로 간략히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c는 힌지 조립체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331)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는,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배면에는 회전에 따라서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333)를 접촉하도록 하는 돌기부(335a)를 구비한 키보드 디스크(335)와;
상기 키보드 디스크(335)에 나사 체결되는 힌지 프레임(336)과;
상기 힌지 프레임의 일측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힌지 조립체(337)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의 힌지 조립체(337)는, 제 1 커넥터 커버(338)와;
상기 제 1 커넥터 커버(338)에 대향되게 조립되는 제 2 커넥터 커버(339)와;
상기 제 2 커넥터 커버(339)가 상기 제 1 커넥터 커버(338)에 결합될 때 이들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며 대략 양 끝단에 나사로써 체결되는 제 1 힌지(340) 및 제 2 힌지(341)와;
상기의 제 1 및 제 2 힌지(340,341)를 상기 힌지 프레임(336)에 나사 체결 시킴과 동시에 덮게 역할을 하는 힌지 커버(342)로 구성된다.
이들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키보드 디스크(335)의 상단에는 힌지 프레임(336)이 얹혀져서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힌지 프레임(336)의 상단부 끝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트 장치(300)와 시스템 본체(100)간에 일정한 범위의 각도에서 회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힌지 조립체(337)가 결합된다.
상기의 힌지 조립체(337)의 제 1 컨넥터 커버(338)와 제 2 컨넥터 커버(339)는 대향되는 상태에서 나사에 의하여 상호간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 결합후 나사의 머리부를 포함한 일정 범위를 덮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범퍼(344)를 접착처리 한다.
또한 상기 힌지 조립체(337)의 대략 중앙부에는, 키보드 장치(30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시스템 본체(100)로 접속/전달시키기 위한 숫 커넥터부(343)가 구비된다. 상기의 숫 커넥터부(343)는 상기 제 1 커넥터 커버(338)의 배면으로부터 숫 커넥터 홀(345)을 통과하여 전면방향으로 숫 커넥터(346)가 향하도록 나사로써 조립되는데, 상기의 숫 커넥터는 소형의 보조 인쇄회로기판(347)상에 납땜이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347) 일측에는 키보드 장치(30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시스템 본체(100)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34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보조 인쇄회로기판(347)은 별도의 판 스프링(349)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커버(338)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에 나사로써 조립/고정된다.
이때 상기 숫 커넥터(346)는 상기 제 1 커넥터 커버(338)에 조립/고정됨에 있으며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토록 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의 키보드 장치(300)가 시스템 본체(100)와 결합될 때의 결합의 용이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숫 커넥터(346)와 상대부품인 암 커넥터와의 결합 동작시 각각의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코자, 상호간의 결합시 서로간의 결합되는 대향면 간에 가이드 되면서 조립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의 신호 케이블(348)의 타단은 상기 키보드 디스크(335)상에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홈(335e)에 가이드 되면서 상기 키보드 디스크(335)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335d)을 통과하여 키보드 장치내의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디스크(335)의 배면 일정위치에는 제1, 2 돌기부(335a, b)가 형성되어, 이들 돌기부는 상기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의 상측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스위치(333)이 절환 레버를 작동시켜, 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모드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모드로의 절환이 이루어 지게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키로 한다. 또한 상기의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스위치(333)는 상기 키보드 장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는 상부 회전 가이드 부재(331)와 가이드 홈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 후,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에 의하여 나사 체결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311)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의 프론트 케이스(311)는 나사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312)와 체결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키보드 지점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 장치(300)와 시스템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하거나 사용하다가, 적어도 상호 록킹되어 있는 키보드 장치(300)를 열려고 하는 때에는 상기의 키보드 개폐버튼(371)을 작동하여 키보드 장치(300)의 힌지 조립체(337)를 지점으로 시스템 본체(100)를 열게된다.
이때에는 시스템 본체(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가 아닌 배면이 사용자를 향하게 되므로,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회전시켜 위치를 고정시켜야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본체(100)의 회전은, 상기의 키보드 케이스(310)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와의 연동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보드 장치(300)로부터 열려진 시스템 본체(100)를 사용자의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는, 상기의 키보드 장치(300)가 책상등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의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를 회전시키는데 이때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를 대략 180도 가량 회전시키면 된다.
반면에 키보드 장치(300)와 시스템 본체(100)가 결합된 채로 휴대중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제품은 단지 휴대용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수행케 되는데, 이는 키패드(320)가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지 아니하여 키패드(320)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며, 더욱이 상기와 같이 키보드 장치(300)와 시스템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의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시스템 본체의 제어부가 제어하기 때문이다.
도 14은 회전감지 장치의 주요구성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키보드 개폐버튼(371)을 작동하여 키보드 장치(300)의 힌지 조립체(337)를 지점으로 시스템 본체(100)를 열고 나서, 키보드 디스크조립체(332)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를 대략 180도 가량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 내에 구비된 회전 감지 장치(390)에 의하여 상기의 시스템 본체는 키보드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입력 모드로 전환되게 되는데, 상기의 회전 감지 장치(390)의 구성요소와 회전감지 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상기의 회전감지 장치(39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312)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리어 케이스(312)를 향하는 전면의 일정위치에 고정되는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391)를 구비한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와; 상기의 리어 케이스(312)와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의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스템 본체와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면 상기의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391)를 접촉시켜 스위칭 신호를 발생토록 하는 돌기부(335a)를 구비한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와; 상기의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391)의 스위칭 신호를 시스템 본체(100)로 전달하는 숫 커넥터부(343)로 이루어 진다.
키보드 개폐버튼(371)을 작동하여 키보드 장치(300)의 제1, 제2 힌지(340,341)를 지점으로 시스템 본체(100)를 열고서,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332)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의 시스템 본체(100)를 대략 180도 가량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감지 장치(390)의 돌기부(335a)와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391)의 접촉에 의해 스위칭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의 스위칭 신호는 상기의 숫 커넥터부를 통하여 시스템 본체(100)의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된다. 상기의 스위칭 신호에의하여 상기의 시스템 본체는 비로소 키보드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입력 모드로 절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 상측면의 일측에는 멈춤 스프링(335c)이 지지/고정 되는데 상기의 키보드 조립체가 180도 회전함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2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멈춤 스프링(335c)은 각각 상기의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의 중심에서 같은 거리상(동심원상)에 고정되되 이들은 서로간에 180도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 상측면에 고정된 멈춤 스프링(335c)에 대향되게 키보드 디스크(335)의 배면에는 제2 돌기부(335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의 멈춤 스프링(335c)과 제2 돌기부(335b)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본체부를 상기의 키보드 장치에서 180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키보드 디스크(335)와 하부 회전 가이드 부재(334)의 상대운동에 따라서 상기의 멈춤 스프링(335c)의 안착홈에 상기의 제2 돌기부(335b)의 돌출부가 지나면서 걸리게 되고 이때에는 "딸각"하는 클릭음과 클릭감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때의 감각에 의하여 180도 회전이 되었음을 알고 그 자리에서 멈추게 된다.
도 15는 프론트 케이스를 일부 절단한 상태에서 보호커버 착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시스템 본체를 본 발명인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치와 결합하여 이동중에 휴대하고자 하는 때에는 특히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본체에 흠집이 생기기 쉬우며 특히 디스플레이면에 이러한 흠집이 생기면사용상 많은 불편이 야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체상의 디스플레이면측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의 키보드 케이스(310) 후방 측면부에는 상기 키보드 장치(300)와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결합하여 닫은채로 이동하고자 할 때 상기 시스템 본체(100)상의 보호 유리면을 덮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 착탈 장치(3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보호커버 착탈 장치(380)는, 리어 케이스(312)에서 슬라이딩 되며 작동하는 보호커버 착탈 버튼(381)과; 상기의 보호커버 착탈 버튼에 의하여 연동되는 연동 레버(382)와; 상기의 연동레버에 연동되어 작동하며 일측면에 보호커버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면을 갖는 걸림 버튼(383)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의 보호커버 착탈 버튼(381)은 복귀용 스프링(384)에 탄성 지지되어 작동후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호커버 착탈 장치(380)에는 시스템 본체(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디스플레이부의 보호 유리면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385)가 걸리도록 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시스템 본체(100)를 이동하기 위하여 휴대코자 할 경우에는 보호커버(385)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부(386)를 상기 키보드 케이스(310)에 형성된 걸림홈(315)을 통하여 삽입하면 상기의 걸림부(386)가 상기 걸림버튼(383)에 걸리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의 보호 커버(385)를 벗기어 내려면 상기의 보호커버 착탈 버튼(381)을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386)를 상기의 걸림버튼(383)으로부터 해제하여 벗겨내면 된다. 이때 당겼던 걸림버튼(383)을 놓으면 복귀용 스프링(384)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버튼(383)은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 기능과 일반 노트북 피씨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복합형의 휴대용 컴퓨터에 사용 하기에 적합한 키보드 장치로서, 시스템 본체에 쉽게 부착하여 특히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텍스트 또는 데이터 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컴퓨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키보드를 탈거시킬 수 있어서 이동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한편, 상술한 휴대용 컴퓨터 또는 키보드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닥킹 스테이션에 결합시켜, 데스크 탑 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 예로서 도 16 내지 35에 제시하고자 한다.
즉, 닥킹 스테이션은 키보드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하, 컴퓨터 시스템이라 함)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되는 크래들부(410)와;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의 무게를 지탱하는 스텐드부(500)와; 상기 크래들부(410) 저면 및 상기 스텐드부(500)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를 지지하는 아암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닥킹 스테이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400)은, 키보드(300)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00)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작업을 할 때 사용되며, 특히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또는 복합형 컴퓨터)(700)을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70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400)에 거치되는 컴퓨터 시스템(700)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을 데스크 탑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크래들부(410), 스텐드부(500), 아암부(600)로 이루어진 닥킹 스테이션(400)에 거치시키는데, 이에 대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400)의 세부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거치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0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거치대 리어커버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1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회전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크래들부(410)는, 도 1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안치되는 웹 패드 거치대(420)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배면에 고정되는 거치대 리어커버(440)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및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422)(442)에 삽착 고정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착설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소정각도로 회전(원주방향)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가이드 부재(450)와;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내측에 고정되며, 분리 손잡이(461)에 작용된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단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착설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탈리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는, 도 18 및 도 1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상판(451)이 삽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면착되는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421)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플레이트(421)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거치 홀더부(425)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 저면에 삽착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부(429)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측에 삽착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확장기기)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결합되는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436)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모드를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주는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 형성된 관통홀(422)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24)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 선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내에 위치한 커넥터 PCB(435)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422)에 착설된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24)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길이가 절개된 곡면 돌출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거치 홀더부(425)의 일측 내/외부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거치시, 고무재질의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크래들부(410)를 잡아당겨 바닥면에 밀착시킬 경우, 상기 크래들부(410)가 밀착된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탄성밴드(426)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하단 거치 홀더부(425)에는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완전히 고정시킬 있도록 훅크 형태의 고정돌기(427)가 삽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단 거치 홀더부(425) 내부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키보드부(300)를 가이드 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키보드부(300)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웹 패드 안착돌기(428)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웹 패드 안착돌기(428)의 경우, 상기 키보드부(300)가 분리된 휴대용 컴퓨터(100)와 상기 키보드부(300)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간의 안착높이가 상호 수평을 이룰 수 있게 상기 고정 돌기부(429)와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측에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접지시키는 접지부재(430)가 내삽되어 있고, 상기 고정 돌기부(429) 소정위치엔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분리시키는 상기 분리장치(460)의 체결부재(468) 및 탈리부재(472)가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4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 돌기부(429)의 경우, 그 내면에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삽착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면에 면착되면서 상기 커넥터 PCB(435)가 소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단부와 동일한 높이의 커넥터 안착돌기(432)가 돌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432) 상단에 돌출된 암나사부(433)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삽착시, 상기 커넥터 PCB(435)의 두께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암나사부(433)에 삽입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커넥터 PCB(435)의 경우, 그 외주변에 상기 돌출된 암나사부(433)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관통홀(435a)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암나사부(433)에 나사 체결된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 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의 체결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상기 커넥터 PCB(435)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 암나사부(433)의 여유공간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 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는, 도 18 및 도 2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관통홀(4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하판(452)이 삽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4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커버부재(441)와; 상기 관통홀(442)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타격부재(44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버부재(441)에 형성된 관통홀(442)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43)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타격부재(444)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하판(452)이 삽착되는 관통홀(442)의 외주면 선단 일측에 위치되도록 결착부재(448)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타격부재(444)의 경우,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한 압입 또는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형성된 타격홈(456)을 타격할 수 있도록 결착부재(448) 일측 요입홈(449)엔 전방 돌기부(445)가 삽착 고정되고, 상기 결착부재(448) 타측 요입홈(449a)엔 스프링(447)에 의해 상기 전방 돌기부(445)를 지지하는지지대(445a)가 삽착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전방 돌기부(445)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돌출 복원될 때 상기 전방 돌기부(445)가 상기 결착부재(448)의 일측 요입홈(449)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착부재(448)에 의해 고정된 타격부재(444)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을 통해 압축/복원되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형성된 타격홈(456)을 타격하므로서 발생된 타격음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는, 도 18 및 도 2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관통홀(422)에 삽착되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상판(451)과;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관통홀(442)에 삽착되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하판(452)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451)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452) 사이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 PCB(435)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맞닿은 원주면에 소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절개홈(453)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451) 및 하판(452)의 원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크래들부(41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를 스위칭하는 원주 돌기부(454)와;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각도 제한 돌기부(436)에 걸려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원주 돌기부(454)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 돌기부(455)와; 상기 크래들부(41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일측 상단에 장착된 타격부재(444)의 타격작용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소정각도만큼 회전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타격홈(456)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452) 중앙에 일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아암 장착홈(459) 내부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가 상기 아암부(6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부(600) 상단 타측과 나사로 고정되는 크래들 힌지부(457)와; 상기 아암 장착홈(459)을 통해 유출된 커넥터 PCB(435) 선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 힌지부(457)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장착홈(459) 일측에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45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주 돌기부(454)는 상기 크래들부(410) 소정회전각도의 1/3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시,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된 각도 이전인 2/3 지점까지는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오프(off)상태로 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모드가 원래 상태인 포트레이트 모드 그대로 유지되게 되고,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각도가 상기 원주 돌기부(454) 접촉지점인 2/3 이상부터는 상기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상기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온(on) 되면서 상기 휴대용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미 설명 부호(458a)는 상기 원통 힌지부(458)을 고정시키는 원통 힌지부 고정부재(458a)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 즉, 웹 패드 거치대(420) 및 거치대 리어커버(44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 및 도 23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2는 크래들부를 회전시키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3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 및 도 25는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4 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기 전인 포트레이트 모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5는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화면모드가 포트 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포트레이트 모드로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도 2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관통홀(442) 외주면 선단 일측에 장착된 타격부재(444)의 전방 돌기부(445)가 압입되면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가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형성된 일측 타격홈(456)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해 압입되었던 타격부재(444)의 전방 돌기부(445)가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출 복원되면서 상기 타격홈(456)을 타격함에 따라 발생된 타격음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어 더 이상 상기 크래들부(410)를 회전시키지 않게 된다.
이를 불문하고, 상기 크래들부(410)를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436)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걸림 돌기부(455)가 걸리게 되면서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이 더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크래들부(4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형성된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스위칭되면서 상기 스위칭된 신호가 드라이브 커넥터(434)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으로 전송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화면 즉, 포트레이트 모드로 형성된 화면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형성된 화면을 포트레이트 모드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크래들부(410)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스위칭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해제되면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도 26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는, 도 18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 힘을 작용시키는 분리 손잡이(461)와; 상기 분리 손잡이(461)와 결합되어 상기 분리 손잡이(461)를 통한 외부 힘 작용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분리될 수 있도록 캠 작용이 실행되고, 하중 제거시 스프링(4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연동부재(462)와; 상기 연동부재(462) 작동에 의한 상기 연동부재(462) 측면 캠(463)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468)를 압압하여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작용캠 부재(466)와; 상기 작용캠 부재(466) 하단의 결합돌기(475)에 삽착되며, 상기 연동부재(462)와의 캠 작용을 통해 하방으로 연동된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에 의해 압입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되거나, 또는 외부 힘 제거시 스프링(4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체결하도록 상단에 걸림돌기(469)가 형성된 체결부재(468)와; 상기 연동부재(462)의 돌출캠(465)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동부재(462)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분리시키는 탈리부재(4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68)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468)가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하단 즉,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75)에 삽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홀(471)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삽입홀(471)의 경우, 상기 연동부재(462)와의 캠 작용을 통해 하방으로 연동되는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468)가 하방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리부재(472)는 전체형상이 요철형태 즉, 부재 상측에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 양측에는 상기 연동부재(462)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탈리부재(472)가 원할히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봉(474)이 삽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리부재(472)의 경우, 상기 연동부재(462)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부재(46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462)와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상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캠(465)이 내삽된 상태로 상기 연동부재(462) 일측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분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7 내지 도 29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크래들부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7은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8은 컴퓨터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9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도 27에 도시된 상태에서 분리 손잡이(461)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분리 손잡이(461)와 결합된 연동부재(462)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재(462)의 측면 캠(463)과 작용캠 부재(46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일측 즉, 상기 연동부재(462)의 측면 캠(463)과 캠 작용이 이루어지는 작용캠 부재(466)의 일측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는 상기 체결부재(468) 측으로 연동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를 압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에 의해 압압된 체결부재(468)는 스프링(470)이 압축되면서 상기 연동부재(462)가 이동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하방으로 압입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468)의 걸림돌기(469)역시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체결하고 있는 상기 걸림돌기(469)의 체결력이 해제되게 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부재(462)가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9와 같이 연동부재(462)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캠(465)과 탈리부재(472)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양측의 가이드봉(474)을 타고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밀어 올리므로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분리 손잡이(461)에 작용하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인장력이 작용하였던 상기 연동부재(462)의 스프링(464)과 상기 압축력이 작용하였던 체결부재(468)의 스프링(470)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462)와 상기 체결부재(468)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분리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1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 힌지부와 원통 힌지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2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텐드부(500)는 도 3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511)와 하부 케이스(512)로 이루어진 스텐드 케이스(510)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의 무게에 의해 닥킹 스테이션(40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 고정되는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 소정위치에 아암부(600)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아암부(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된 아암 안착부(521)와;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아암부(600) 하단이 안착 고정되어 상기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아암부(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안착부(521)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소정위치와 상기 아암부(600) 하단 일측에 각각 나사로 고정되는 스텐드 힌지부(525)와; 상기 스텐드부(500)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암부(600)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텐드 힌지부(525)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 타측에 삽착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530)와; 상기 원통 힌지부(530) 전방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600)의 밀착시 상기 아암부(600)의 스위치 접촉홈(630)에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200)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하는 슬라이딩 스위치(535)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레버(541)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스텐드(500)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 소정위치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스텐드부(500) 별도의 통신 및 입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이 결합된 스텐드부 메인보드(560)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23)은 아암 안착부 커버를 나타낸 것이고, (565)는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의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의 경우, 아암부(600) 회전시, 상기 아암부(600) 하단에 의해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가 스크레칭(긁힘현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 안착부(521)상단에 삽착되며,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는 표면 경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삽착 고정되면서 상기 아암부(600) 하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은 오목하고, 외측은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 타측에는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531)가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5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가 상기 스텐드(500)의 아암 안착부(521)에 삽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600)가 스텐드부(500)를 회전할 경우, 상기 아암부(600) 하단에 의해 상기 아암 안착부(521)가 스크레칭 되면서 발생된 미세한 아연가루들이 상기 스텐드부(5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 장착되어 있는 스텐드부 메인보드(560)나 확장기기 분리장치(540) 등에 나쁜 영향이 미치게 되면서 스텐드부(500)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텐드 케이스(510)의 상부 커버(511) 상단에는 도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기기(570)나 또는 스텐드부 메인보드(56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5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휨 방지 플레이트(511a)가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511a)의 경우, 무게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511)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텐드 케이스(510)의 하부 케이스(51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CD-ROM이나 FDD Drive 등 컴퓨터 확장기기(570)를 삽착시킬 수 있는 확장기기 삽착홀(5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양측면에는 상기 확장기기(570)가 상기 삽착홀(513) 내부로 원할히 삽착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부재(514)가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514) 양측에는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 내삽된 확장기기(570)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운드 접지형태로 접지시키는 텐션 접지부재(51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는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아연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시,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재(514) 및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내에 형성된 삽입돌기(51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514) 및 삽입돌기(514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레일 삽입홀(522)과 삽입돌기 삽입홀(52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텐드 힌지부(525)는 상기 스텐드부(500) 상단 즉, 아암안착부(521)에 아암부(600)를 결합시켜 상기 아암부(600)가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도 3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면서 상기 아암부(600) 하단 일측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가 평면형태로 형성된 제 1 힌지부재(526)와, 상기 아암 안착부(521)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소정위치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힌지부재(526)에 삽착 고정된 제 2 힌지부재(527)로 이루어져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안착 결합된 아암부(600)가 상기 스텐드부(500)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재(526) 및 상기 제 2 힌지부재(527)의 원통부분에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안착 결합된 아암부(600)가 상기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5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 내에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착돌기(5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 즉,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일측에는 분리레버(541)의 회전력에 따라 다단의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스텐드(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스텐드(500)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540)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확장기기 분리장치(540)는, 도 30 및 도 3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단의 캠 운동이 전개될 수 있게 레버 하단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분리레버(541)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버(541) 하단 반원부(542)가 회전하면서 1차 캠부(545)를 연동시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이 1차적으로 해제되도록 연동되는 연동부재(544)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상기 연동부재(544)의 연동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544)의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546)와 접촉된 경사캠(550)이 상기 2차 캠부(54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연동되면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레버(541)의 반원부(542)가 완전히 회전하면서 상기 반원부(542)의 원주면에 의해 소정각도로 연동되어 체결력이 해소된 확장기기(570)를 상기 스텐드(500)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동부재(544)에는 도 30 및 도 3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516)에 삽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홀(547)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삽입홀(547)의 경우,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레버(541) 하단의 반원부(542)와 상기 연동부재(544)의 1차 캠부(545)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 쪽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 역시, 도 30 및 도 3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516)에 삽착되어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상기 분리레버(541) 회전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가 연동될 수 있도록 삽입홀(5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홀(552)의 경우,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분리레버(541) 회전에 의한 상기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캠작용을 통한 CD-ROM이나 FDD Drive 등의 확장기기(570) 분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아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암부(600)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곡률을 갖는 전면 아암 플레이트(610)와, 후면 아암 플레이트(6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및 후면 아암 플레이트(610)(620)의 상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아암 장착홈(459) 타측에 고정된 크래들 힌지부(457)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 일측에 고정된 스텐드 힌지부(525)에 고정되어, 상기 각 힌지부(457)(525)에 고정된 아암부(600)의 상단 및 하단의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를 상기 스텐드부(500)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아암부(600)의 상단 및 하단의 경우, 상기 각 힌지부(457)(525)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원할할 수 있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 타측 즉, 상기 원통 힌지부(530) 전방(前方) 소정위치에 장착된 슬라이딩 스위치(535)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스위치 접촉홈(6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 내에는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531)가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6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아암부(600) 하단 타측 원주면에 형성된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스위칭되는 슬라이딩 스위치(535)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4 및 도 35는 스텐드부에 크래들부를 밀착시 아암부의 스위치 접촉홈에 의해 스텐드부의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4 는 크래들부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5는 아암부 회전을 통해 스위치 접촉홈과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전환된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34와 같이 상기 닥킹 스테이션(400)의 크래들부(410)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을 거치시키게 되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은 일반 마우스를 클릭하는 형태와 같이 스타일러스 팬(200)이 화면상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상태만 인식할 뿐, 상기 스타일러스 팬(200)의 쓰기 기능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 하단이 스텐드부(500) 상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크래들부(410)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아암부(600) 타측 원주면에 형성된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상기 스텐드부(500)의아암 안착부(521) 타측에 장착된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스위칭 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스위칭 되게 되면,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이 상기 스타일러스 팬(200)으로 쓰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535)의 역할을 제조회사의 특정화된 목적에 맞게 기능을 변경시켜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클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에 입력하는 모드전환 즉, 스타일러스 팬(200)을 통한 입력모드에서 키보드(300)를 통한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하거나, 또는 여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 변환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34 와 같이 상기 닥킹 스테이션(400)의 크래들부(410)에 상기 컴퓨터 시스템(700)을 거치시키게 되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700)은 일반 마우스를 클릭하는 형태와 같이 스타일러스(200)가 화면상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상태만 인식할 뿐, 상기 스타일러스(200)의 쓰기 기능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 하단이 스텐드부(500) 상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크래들부(410)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아암부(600) 타측 원주면에 형성된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 타측에 장착된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스위칭 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스위칭 되게 되면,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의 화면이 상기 스타일러스 팬(200)으로 쓰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535)의 역할을 제조회사의 특정화된 목적에 맞게 기능을 변경시켜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클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700)에 입력하는 모드전환 즉, 스타일러스 팬(200)을 통한 입력모드에서 키보드(300)를 통한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하거나, 또는 여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 변환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메인 시스템을 일체로 갖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면에는 커넥터로 인터페이스하는 키보드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키보드와 휴대용 컴퓨터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키보드의 상측 중심에는 원통형의 회전부재와, 휴대용 컴퓨터 커버와의 결합 및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위한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결합부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회전부재는 키보드 상단에 가공된 원통형 홈에 회전 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커넥터 결합부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회전부재의 회전과 별도로 전/후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키보드의 커넥터 결합부에는 중심부에 커넥터와, 좌/우에 돌출된 훅크와, 키보드의 결합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성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키보드 상에 컴퓨터를 위치시킨 후, 컴퓨터를 키보드의 커넥터 결합부방향으로 밀착시키면, 키보드 커넥터는 휴대용 컴퓨터 커버의 하부 중심부에 가공된 커넥터 결합구멍을 통해서 메인 시스템에 설치된 암 커넥터와 결합되며, 동시에 커넥터 결합부의 좌/우측 훅크가 컴퓨터 브라켓의 훅크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내부의 훅크 걸림홈으로 걸려진다. 또한 방향성 돌기는 휴대용 컴퓨터 커버의 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키보드의 회전부재에 의해 키보드 또는 휴대용 컴퓨터 커버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의 키보드가 휴대용 컴퓨터 커버 하부에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키보드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상기 키보드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키보드를 사용하려고 할 경우에는 키보드를 잡고 상단의 휴대용 컴퓨터를 회전시키면, 휴대용 컴퓨터의 회전을 키보드의 회전부재가 가이드하여 준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가 180도 회전하게 되면 키보드와 휴대용 컴퓨터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된 커넥터 결합부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휴대용 컴퓨터의 커버가 상방향으로 회동하고, 키보드는 베이스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키보드 커넥터는 이탈되지 않고 메인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에는 키보드 작동 스위치가 동작하여, 휴대용 컴퓨터의 메인 시스템으로 전달해 주고, 메인 시스템은 키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키보드를 사용 가능 상태로 만들어 준다.
그러면, 휴대용 컴퓨터의 패널이 정면에 위치하므로 그 패널을 보고 사용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키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의 휴대용 컴퓨터의 패널로는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등으로 입력이 가능한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휴대할 때에나 스타일러스 펜만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회전시켜 키보드 상으로 컴퓨터 브라켓을 결합시켜 준다.
또한, 키보드 상에 휴대용 컴퓨터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운용체제가 동작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변경을 실시하여 화면의 종횡비를 전환해 준다. 그러면, 컴퓨터의 휴대용 컴퓨터를 랜드 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된 모드로 이용 가능하게 된다.
키보드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를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닥킹 스테이션은 크래들부, 아암부, 스텐드부로 구성되며, 크래들부에는 휴대용 컴퓨터 및 키보드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이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라 함)가 거치된다. 이는 닥킹 스테이션의 아암부에 의해 스텐드부로부터 크래들부가 일정 높이를 갖고 소정 각도의 경사 높이를 조절하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크래들부에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되는 프런트 및 백커버 거치부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회전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재 및,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분리 손잡이를 포함한다.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닥킹 스테이션의 크래들부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결합되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면은 프런트 거치 부재에 의해 지지받고 프런트 거치부재의 각 모서리 부위가 홀딩되어 휴대용 컴퓨터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크래들부의 프런트 거치 부재에는 내부에 사각판상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모서리부에 일정폭의 곡면 형태로 각각 형성된 거치 홀더부가 형성된다. 하측 좌/우 거치 홀더부의 내부에는 ??자 형태의 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측 좌/우 거치홀더부의 내부에는 거치 홀더부의 높이보다 낮은 바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하측은 좌/우 거치홀더부의 내부에 돌출된 ??자 돌기 부분이 훅크 형태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커버에 가공된 홈에 끼워져 지지받고, 상측 좌/우 거치홀더부의 내부에 돌출된 바의 상면과 면 접촉하여 바 높이의 위치에서 지지 받게 된다.
또한 프런트 거치부재의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에 돌출된 훅크 형태의 고정돌기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키보드를 관통홀을 통과하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커버 저면에 결합된다.
이로써,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프런트 거치부재에 의해 삼각형 위치에 설치된 홀더에 의해 지지받게 된다.
한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하부에 결합되는 키보드는 상/하부 측면에 사각홈이 형성되어, 각 사각홈이 프런트 거치부재의 거치 홀더부의 내측에 형성된 휴대용 컴퓨터 안착돌기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크래들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다른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하려고 할 때에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때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디폴트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이므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휴대용 컴퓨터를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회전시키면 회전 가이드부재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와 크래들부가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반대로,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회전하게 될 경우에도 상기 요소들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면에 고정돌기 홈에 결합되고, 휴대용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드라이브 소켓과 크래들부에 구비된 드라이브 커넥터가 접속되어 오리엔테이션 스위치 신호 및 드라이브의 액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의 회전시 회전 가이드부재 내부에 설치된 랜드스케이프 스위치가 온 되고, 랜드스케이프 스위치의 하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휴대용 컴퓨터의 메인시스템으로 전달하게 된다.
메인 시스템의 영상 처리부는 상기 랜드스케이프 스위치 신호를 인식하여,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화면을 변경해 준다. 즉, 화면 종횡비를 모드에 따라 변경해 준다.
반대로,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로 회전시에는 랜드스케이프 스위치가 오프("low")되므로, 랜드스케이프 스위치의 로우신호를 메인 시스템이 감시하여 다시 디폴트 모드인 포트레이트 모드로 화면 종횡비를 변환시켜 준다.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만을 크래들부에 거치시켜 놓고, 키보드를 별도로 분리하여 스텐드부 또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마련된 커넥터에 직접 접속시켜,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로도 가능하다.
한편, 닥킹 스테이션의 아암부의 경사 각도를 낮춘 상태에서, 랜드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휴대용 컴퓨터를 화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닥킹 스테이션의 아암부의 경사 각도를 낮추었을 때, 아암부와 닥킹 스테이션의 결합부분에서 슬라이딩 스위치가 온 동작하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드라이브 소켓으로 전달함으로써, 메인 시스템이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 상태별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 예;
휴대용 컴퓨터는 LCD 패널과 디지타이저 패널, 그리고 시스템 운용을 위한 메인 시스템이 하나의 패드로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탈착이 가능한 키보드를 갖게 됨으로써, 휴대 가능한 컴퓨터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 단독으로 휴대하면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키보드를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시켜 필요시 키보드 및마우스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간단한 문서의 편집 및 웹을 액세스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시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RF signal)에 대응하는 디지타이저 패널의 좌표를 디지타이저 제어부에서 해독한 후, 메인 시스템으로 전달해 준다. 그러면 메인 시스템이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키 신호를 입력하면, USB 포트 및 키보드 커넥터를 통해서 입력된 키 신호는 USB 버스를 통해서 중앙 처리부에 전달된다. 중앙 처리부는 상기 키 신호에 응답하여 LCD 패널에 표시해 준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만을 이용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면, 화면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된다. 즉, 디스플레이 정보에서 1024*768로 선택 또는 768*1024로 선택할 경우 해당 화면 모드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키보드가 상측에서 상향되어 있고,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이 하측에서 상향된 상태로 중첩되어 있으므로, 키보드의 후단부를 지점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180도 회전시키고 휴대용 컴퓨터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노트북 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휴대용 컴퓨터를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켰을 경우 키보드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어 키보드를 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핫 플러그 방식이라 약칭한다.
즉,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가 중첩되어 있을 경우에는 키보드로부터 전원 소비가 없도록 하고, 키보드를 사용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터를 키보드 지점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켰을 경우 키보드 스위치를 메인 시스템이 감지하여 키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키보드와 휴대용 컴퓨터 사이에는 직접 커넥터로 접속되어, 휴대용 컴퓨터의 회전 여부에 상관없이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고, 키보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키 신호를 인식하여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를 결합시키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필요시 스타일러스 펜 및 키보드 모두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키보드는 휴대용 컴퓨터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다.
제 2실시 예;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 그리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키보드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일정 경사 높이에서 거치하기 위한 닥킹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닥킹 스테이션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거치하고, 거치된 상태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포트 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소정 각도 회전할 때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포트레이트 모드로 사용할 지,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사용할 지를 인식하게 된다.그러므로,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닥킹 스테이션의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경사 각도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휴대용 컴퓨터를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닥킹 스테이션에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중 키보드를 분리시킨 후 휴대용 컴퓨터만을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시키고, 닥킹 스테이션의 스텐드에 키보드를 접속시킨 후, 키보드 및 마우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컴퓨터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휴대용 컴퓨터 기능과 노트북 기능이 조합되어 복수의 입력장치 즉, 스타일러스 팬 또는 키보드 등 각각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시스템 본체를 거쳐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화상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스템 본체와 키보드와의 회전시 센서의 접점에 따라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상기 키보드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키보드로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종래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핫 플러그 방식을 통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키보드를 통해 계속적으로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키보드 입력을 통해 휴대용 컴퓨터를 구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 입력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을 통해 휴대용 컴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와 시스템 본체만이 연결된 휴대용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형 컴퓨터 즉, 상기 키보드가 결합된 시스템 본체를 경우에 따라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시켜 데스크탑 형태의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에 키보드를 간단히 탈/부착하므로써, 필요시 선택적으로 키보드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데이터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키보드가 부착된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 키보드가 시스템부에 결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는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 제한되어 단순히 웹 패드의 기능만을 가능케 하므로써 키보드를 활성화(enable)하기 위한 전원소비가 필요치 않게 되므로써 절전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 본체와 키보드 장치의 결합방향을 정방향 및 역방향 모두 가능케 하므로써 키입력을 하지 아니하고 장시간 휴대/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를 시스템 본체에 역방향으로 결합 시키므로서 웹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닥킹 스테이션 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복합형 컴퓨터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스타일러스 및 외부 입력 장치에 대응하여 컴퓨터 기능의 수행 및 기능 수행 결과를 소정 크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휴대용 컴퓨터와;
    필요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되고 부착시 배면 중심을 지점으로 180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중첩 결합된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가 탈/부착된 휴대용 컴퓨터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상태에서 화면 모드를 랜드스케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닥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키보드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이루어진 키보드 케이스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 하부에 장착되는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와; 상기 키보드 케이스를 지점으로 하여 웹패드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상기 키보드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상기 웹패드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와 상기 웹패드를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숫 커넥터부와; 상기 키보드부가 상기 웹패드 측면과 결착시 상기 키보드부가 상기 웹패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 일측에 형성된 키보드 결합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놓여지는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와; 상기 상부 회전 가이드부재와 상기 키보드 디스크 조립체를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에 나사로 결합시키며, 전면의 일정위치에 데이터 입력모드 절환 스위치를 구비한 하부 회전 가이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닥킹 스테이션은 키보드가 탈/부착되는 휴대용 컴퓨터가 거치되는 크래들부와;
    무게 중심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의 무게를 지탱하는 스텐드부와;
    상기 크래들부 저면 및 상기 스텐드부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는 아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안치되는 웹 패드 거치대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의 배면에 고정되는 거치대 리어커버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삽착 고정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소정각도로 회전(원주방향)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와;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 내측에 고정되며, 분리 손잡이에 작용된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단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착설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탈리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상판이 삽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면착되는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플레이트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거치 홀더부와;
KR10-2002-0069833A 2002-11-11 2002-11-11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048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833A KR100488012B1 (ko) 2002-11-11 2002-11-11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US10/375,119 US6952340B2 (en) 2002-11-11 2003-02-28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EP03006229A EP1418487A3 (en) 2002-11-11 2003-03-20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CNB031577687A CN1316396C (zh) 2002-11-11 2003-08-28 便携式计算机及其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833A KR100488012B1 (ko) 2002-11-11 2002-11-11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466A true KR20040041466A (ko) 2004-05-17
KR100488012B1 KR100488012B1 (ko) 2005-05-06

Family

ID=3210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833A KR100488012B1 (ko) 2002-11-11 2002-11-11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52340B2 (ko)
EP (1) EP1418487A3 (ko)
KR (1) KR100488012B1 (ko)
CN (1) CN1316396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27B1 (ko) * 2006-09-29 2008-02-05 김성진 다기능 lcd모니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받침대
WO2008134001A2 (en) * 2007-04-27 2008-1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display member
KR101102511B1 (ko) * 2008-10-21 2012-01-03 백종대 양궁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양궁
WO2013019010A2 (ko) * 2011-07-29 2013-02-07 Kim Yong Sun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101341368B1 (ko) * 2011-09-30 2013-12-13 최근식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431639B1 (ko) * 2013-10-07 2014-08-20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보안 결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788B2 (en) 2002-03-25 2005-02-01 Masimo Corpor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communications adapter
US6882524B2 (en) * 2003-04-25 2005-04-19 Motion Computing, Inc. Combined modular keyboard and tablet PC protective cover
EP1501202B1 (en) * 2003-07-23 2012-03-28 LG Electronics, Inc. Internal 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internal antenna
US7298610B2 (en) * 2003-08-01 2007-11-20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US7492579B2 (en) * 2003-09-12 2009-0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with adjustable display
TWI266582B (en) * 2004-07-06 2006-11-11 Lg Electronics Inc Hinge frame for portable computer and structure for mounting the same
KR100630956B1 (ko) * 2004-08-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7787245B2 (en) * 2004-08-27 2010-08-31 Fujitsu Limited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TWI252072B (en) * 2005-03-04 2006-03-21 Tatung Co Ltd Cover positioning structure of dual-usage portable computer
US7242588B2 (en) * 2005-09-13 2007-07-10 Kitsopoulos Sotirios Constanti Multifunction modular electronic apparatus
US20070104340A1 (en) * 2005-09-28 2007-05-10 Knowles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ducer Module
US7719132B2 (en) 2005-09-28 2010-05-18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Ruggedized mobile computing device
US8907898B2 (en) 2005-10-31 2014-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overlay membrane
WO2007055750A2 (en) * 2005-11-09 2007-05-18 George Moser Portable computer with reconfigurable display
GB2432688A (en) * 2005-11-28 2007-05-30 Peter Willett Laptop Display Reorientation System
US9161696B2 (en) 2006-09-22 2015-10-20 Masimo Corporation Modular patient monitor
US8840549B2 (en) 2006-09-22 2014-09-23 Masimo Corporation Modular patient monitor
US7689820B2 (en) * 2006-09-27 2010-03-30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Rapid-boot computing device with dual operating systems
US8819483B2 (en) 2006-09-27 2014-08-26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with redundant, dissimilar operating systems
US8520377B2 (en) * 2007-05-01 2013-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adjustable display member
KR20090110707A (ko) * 2008-04-18 2009-10-22 (주)메디슨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US8724312B2 (en) * 2008-06-23 2014-05-13 Bradley Jones Mobile computer stand with integrated keyboard
US7911784B2 (en) * 2008-06-23 2011-03-22 Bradley Jones Mobile computer stand with integrated keyboard
JP4444356B1 (ja) * 2008-09-25 2010-03-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20110013351A1 (en) * 2009-07-20 2011-01-20 Mobile Monitor Technologies, Llc Portable monitor
US20110208015A1 (en) 2009-07-20 2011-08-25 Masimo Corporation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TWM380697U (en) * 2009-10-20 2010-05-11 Wistron Corp Switching unit and cover-lifting type electronic device
US9153112B1 (en) 2009-12-21 2015-10-06 Masimo Corporation Modular patient monitor
JP4714296B1 (ja) * 2009-12-25 2011-06-2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TWI439215B (zh) * 2010-05-28 2014-05-21 Asustek Comp Inc 擴充基座及使用其之電子裝置
TWI394029B (zh) * 2010-06-11 2013-04-21 Elitegroup Computer Sys Co Ltd 可拆卸式電子裝置
US11134580B2 (en) 2010-07-08 2021-09-28 Zagg Inc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638549B2 (en) * 2010-08-24 2014-01-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module
TWI426415B (zh) * 2010-09-03 2014-02-11 Primax Electronics Ltd 平板電腦用之鍵盤裝置
US8437126B2 (en) * 2010-11-10 2013-05-07 Lenovo (Singapore) Pte. Ltd. Separable hinge assembly with two component device
US8649166B2 (en) * 2011-01-11 2014-02-11 Z124 Multi-positionable portable computer
US8934219B2 (en) * 2011-03-24 2015-01-13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detachable display
US20120327580A1 (en) * 2011-06-23 2012-12-27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Protective devices and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2178168A2 (en) 2011-06-23 2012-12-27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Accessory and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CN102955504B (zh) * 2011-08-29 2015-05-20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9943269B2 (en) 2011-10-13 2018-04-17 Masimo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medical monitoring data
JP6104920B2 (ja) 2011-10-13 2017-03-29 マシモ・コーポレイション 医療用監視ハブ
TWI509385B (zh) * 2011-10-27 2015-11-21 Compal Electronics Inc 擴充底座
CN103091594B (zh) * 2011-11-03 2015-11-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便携电子装置、便携电子装置的周边装置连接感测方法
TWI481996B (zh) * 2011-12-14 2015-04-21 Wistron Corp 支撐座及具有支撐座之電子裝置
US8861187B2 (en) * 2011-12-19 2014-10-14 Lenovo (Singapore) Pte. Ltd. Convertible tablet
CN103186236B (zh) * 2011-12-31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混合架构电子设备的状态切换方法及混合架构电子设备
USD706261S1 (en) 2012-01-24 2014-06-03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DE112012005738T5 (de) * 2012-01-24 2014-10-16 Intel Corporation Mobiles Computergerät, Einrichtung und System
US10307111B2 (en) 2012-02-09 2019-06-04 Masimo Corporation Patient position detection system
US10149616B2 (en) 2012-02-09 2018-12-11 Masimo Corporation Wireless patient monitoring device
TWI514952B (zh) * 2012-05-23 2015-12-21 Asustek Comp Inc 電子裝置
US9179567B2 (en) 2012-05-23 2015-11-03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CN103455092B (zh) * 2012-06-01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电子设备系统
US9069527B2 (en) 2012-07-26 2015-06-30 Brydge Llc Tablet support apparatus
JP5935594B2 (ja) * 2012-08-24 2016-06-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715251B2 (en) * 2012-08-28 2017-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US8797724B2 (en) * 2012-09-11 2014-08-05 Tyco Fire & Security Gmbh Notification appliance enclosure
US9749232B2 (en) 2012-09-20 2017-08-29 Masimo Corporation Intelligent medical network edge router
CN103838361B (zh) * 2012-11-27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DE112012006392T5 (de) 2012-11-28 2015-03-26 Intel Corporation Gelenkkonfiguration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US9928471B2 (en) * 2013-01-24 2018-03-27 Wal-Mart Stor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mployees to cash registers
GB2524698B (en) * 2013-01-29 2020-05-1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oveable keyboard latt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502320B (zh) * 2013-02-27 2015-10-01 Wistron Corp 電子設備
US9223351B2 (en) * 2013-03-12 2015-12-29 Google Inc.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TWI535362B (zh) * 2013-05-02 2016-05-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連接組件及具有此連接組件的電子裝置
US8614886B1 (en) * 2013-05-14 2013-12-24 Ali A. A. J. Shammoh Stand for converting laptop computer to desktop computer
US10832818B2 (en) 2013-10-11 2020-11-10 Masimo Corporation Alarm notification system
US9429993B2 (en) 2013-11-21 2016-08-30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docking systems
CN103604807A (zh) * 2013-12-05 2014-02-26 无锡市同步电子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光学检测机用pcb板定位工装
TWI536142B (zh) * 2014-08-18 2016-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來可旋轉地承載攜帶式電子裝置的保護裝置
US20160120050A1 (en) * 2014-10-24 2016-04-28 Penetek Technology, Inc. Multi-directional display device
USD819629S1 (en) * 2014-12-18 2018-06-05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US9971379B2 (en) * 2015-08-26 2018-05-15 Apple Inc. Attachment features for an accessory device
KR102612874B1 (ko) 2015-08-31 2023-12-12 마시모 코오퍼레이션 무선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617302B2 (en) 2016-07-07 2020-04-14 Masimo Corporation Wearable pulse oximeter and respiration monitor
DE102016119273B3 (de) * 2016-10-11 2017-12-21 Porsche Lizenz- Und Handelsgesellschaft Mbh & Co.Kg Computeranordnung mit einem Tabletteil und einem Basisteil
WO2018071715A1 (en) 2016-10-13 2018-04-19 Masim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fall detection
JP1579644S (ko) * 2016-11-10 2017-06-26
EP3782165A1 (en) 2018-04-19 2021-02-24 Masimo Corporation Mobile patient alarm display
CN109388189B (zh) * 2018-09-30 2022-08-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2789580A (zh) * 2018-10-04 2021-05-1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设备控制装置以及设备控制方法
PL3936976T3 (pl) 2019-02-19 2023-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ł zawiasu zawierający konstrukcję zapadkową i składane urządzenie elektroniczne zawierające moduł zawiasu
JP6758442B2 (ja) 2019-02-26 2020-09-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112445294B (zh) * 2019-08-27 2024-05-24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固定组件、壳体组件以及电子装置
TWI718888B (zh) * 2020-03-05 2021-0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20210290177A1 (en) 2020-03-20 2021-09-23 Masimo Corporation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health status
USD974193S1 (en) 2020-07-27 2023-01-03 Masimo Corporation Wearabl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USD980091S1 (en) 2020-07-27 2023-03-07 Masimo Corporation Wearabl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USD1000975S1 (en) 2021-09-22 2023-10-10 Masimo Corporation Wearabl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1381C (en) * 1991-07-19 1998-12-15 Youji Satou Electronic apparatus, card-type electronic component used with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with expanding apparatus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US5355142A (en) * 1991-10-15 1994-10-11 Ball Corporation Microstrip antenna structure suitable for us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335142A (en) * 1992-12-21 1994-08-02 Ast Research,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tilt/swivel mechanism
US5796575A (en) * 1992-12-21 1998-08-18 Hewlett-Packard Company Portable computer with hinged cover having a window
KR940023270U (ko) * 1993-03-16 1994-10-22 모니터의 전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US5436792A (en) * 1993-09-10 1995-07-25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ivotable docking station for use with notepad computer systems
US5751548A (en) * 1996-05-13 1998-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provid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mputer's viewable screen in three different planes
US6556435B1 (en) * 1997-10-31 2003-04-29 Hewlett-Packard Company Adjustable height docking sta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use therewith
KR19990035626A (ko) * 1997-10-31 1999-05-15 전주범 개인 휴대용 컴퓨터 모니터의 회전장치
US6069790A (en) * 1998-01-27 2000-05-30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ejection mechanism for docking devices
US6108200A (en) * 1998-10-13 2000-08-22 Fullerton; Robert L. Handheld computer keyboard system
KR100284300B1 (ko) * 1998-10-16 2001-03-02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DE20012863U1 (de) * 2000-07-25 2000-09-28 Dosch & Amand Gmbh & Co Kg Internet-Endgerät und Tastatur für das Internet-Endgerät
KR100428794B1 (ko) * 2000-09-14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용 주변 기기 착탈용 도킹 기구
CN2473716Y (zh) * 2001-02-28 2002-01-23 神达电脑股份有限公司 显示器置放装置
CN2482140Y (zh) * 2001-05-11 2002-03-13 诠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携式电脑输入装置
CN2519962Y (zh) * 2001-07-20 2002-11-0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可调整显示器的高低位置及角度的笔记型电脑
US7542052B2 (en) * 2002-05-31 2009-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viewing orientations of a display
US8446359B2 (en) * 2002-05-31 2013-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rument-activated sub-surface computer buttons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788527B2 (en) * 2002-05-31 2004-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7025274B2 (en) * 2002-05-31 2006-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protective display cover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856506B2 (en) * 2002-06-19 2005-02-15 Motion Computing Tablet computing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docking support
KR100907989B1 (ko) * 2002-08-29 2009-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KR100924038B1 (ko) * 2002-08-29 2009-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탈착 장치
KR100858608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KR100898868B1 (ko) * 2002-10-31 2009-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보드의 활성화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모드 전환장치
KR20040041465A (ko) * 2002-11-11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키보드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27B1 (ko) * 2006-09-29 2008-02-05 김성진 다기능 lcd모니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받침대
WO2008134001A2 (en) * 2007-04-27 2008-1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display member
WO2008134001A3 (en) * 2007-04-27 2008-12-3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display member
KR101102511B1 (ko) * 2008-10-21 2012-01-03 백종대 양궁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양궁
WO2013019010A2 (ko) * 2011-07-29 2013-02-07 Kim Yong Sun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WO2013019010A3 (ko) * 2011-07-29 2013-06-13 Kim Yong Sun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101341368B1 (ko) * 2011-09-30 2013-12-13 최근식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431639B1 (ko) * 2013-10-07 2014-08-20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보안 결제 장치
WO2015053474A1 (ko) * 2013-10-07 2015-04-16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보안 결제 장치
US10157382B2 (en) 2013-10-07 2018-12-18 Woosim System Inc. Secure pay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9393A (zh) 2004-05-26
US20040090742A1 (en) 2004-05-13
CN1316396C (zh) 2007-05-16
US6952340B2 (en) 2005-10-04
EP1418487A2 (en) 2004-05-12
EP1418487A3 (en) 2011-11-09
KR100488012B1 (ko)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12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0872242B1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US5822185A (en) Ergonomic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US8896580B2 (en) Instrument-activated sub-surface computer buttons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EP1416357B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US6944012B2 (en)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7025274B2 (en) Tablet computer protective display cover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JP4809273B2 (ja) 接続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KR20040033223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0644306B1 (ko) 전자 장치
KR100891863B1 (ko)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착탈장치
KR20040035019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시스템 및 스피커 구동방법
KR20040034197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KR100898868B1 (ko) 키보드의 활성화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모드 전환장치
KR20040034199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40034192A (ko) 휴대용 컴퓨터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040034198A (ko) 휴대용 컴퓨터의 버튼 어셈블리
KR20040034193A (ko)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KR20040033222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제조방법
KR20040041911A (ko) 보호커버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40041465A (ko) 착탈식 키보드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40042052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착탈식 키보드 장치
KR20040041463A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장치
KR20040041464A (ko) 입력 모드 절환이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키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