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193A -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193A
KR20040034193A KR1020020064280A KR20020064280A KR20040034193A KR 20040034193 A KR20040034193 A KR 20040034193A KR 1020020064280 A KR1020020064280 A KR 1020020064280A KR 20020064280 A KR20020064280 A KR 20020064280A KR 20040034193 A KR20040034193 A KR 2004003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hdd
stylus
portable compu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4193A/ko
Publication of KR2004003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과 제조 공정상의 효율이 개선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들의 결합 구조,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장착구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지지구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착탈구조 등의 구조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공정에서 효율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수단으로 구성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 단자와; 상기 접점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이동접촉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접촉수단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를 압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접촉수단이 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과; 상기 전원스위치를 압입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으로 구성된 그러한 스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Structure for power switch of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과 제조 공정상의 효율이 개선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들의 결합 구조,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의 장착구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지지구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착탈구조 등의 기계적 구조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공정에서 효율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들의 시스템은 작고 가벼우며 휴대하기에 편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Note Book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스마트 폰(Smart Phone)등이 그것들이다.
통상 휴대용 컴퓨터인 노트북 컴퓨터나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는 입력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형태를 갖는다. 한 형태는 기본 입력장치인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키보드를 중심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며, 펜은 포인팅 디바이스로 보조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키보드 패드 타입이 있으며, 또 다른 형태는 이동 중에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 손으로 컴퓨터를 잡고 다른 손으로 펜이나 손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패드 타입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노트북 컴퓨터로 지칭되는 휴대용 컴퓨터는 일반 데스크탑형 컴퓨터에 비해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쉽게 휴대할 수 있어 일반 데스크탑형 컴퓨터에서는 얻을 수 없는 많은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 장소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아 컴퓨터의 활용 범위를 한층 확장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 월릿 P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월릿 PC(10)의 하드웨어는 프런트 하우징(20), 리어 하우징(30), 프레임(40), 스크린(60), 그리고 보드(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40), 스크린(60), 그리고 보드(70) 등은, 상기 프런트 하우징(20)과 리어 하우징(30)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60)과 보드(70)는 상기프레임(40)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60)과 보드(70)는 상기 프런트 하우징(20) 또는 리어 하우징(30)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들(20,3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충격이 상기 스크린(60)과 보드(7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 구조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60)과 보드(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프런트 하우징(20) 및 리어 하우징(30)에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프레임(40)은 스크류(76)에 의해서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76)는 상기 프레임(40)에 형성된 고정 리브를 통하여,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형성된, 보스(24)에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 월릿 PC에서, 상기 프레임(40)은, 오직 하나의 상기 스크류(76)에 의해서,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프레임(40)을 상기 프런트 하우징(20) 또는 리어 하우징(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은 서로 반대되는 면인 제 1 면(42)과 제 2 면(44)을 갖고 있다. 상기 제 1 면(42)과 제 2 면(44)은 상기 프레임(40)상에서 임의의 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42)에는 상기 스크린(60)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면(44)에는 상기 보드(70)가 결합된다. 상기 스크린(60)의 표시 화면은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형성된 오프닝(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스크린(60)과 보드(70)를 상기 프레임(4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다수 개의 서포팅 리브들(46)을 사용하였다. 상기 서포팅 리브들(46)은 상기 프레임(40)의 측면으로부터 형성된다. 즉, 상기 서포팅 리브들(46)은 상기 제 1 면(42)과 제 2 면(44)의 측면으로부터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프레임(40)상에 다수 개의 디바이스들을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라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드(70)는 상기 제 2 면(44)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드(70)의 양면에 전자 회로가 설치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성도 다양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종래에서는 상기 제 2 면(44) 상에 리브들(48)을 형성하여 상기 보드(70)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프레임(40)에는 배터리 케이스(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배터리 케이스(52)에는 배터리(도시 않음)가 장착된다. 이 배터리는 상기 리어 하우징(30)에 설치된 도어(32)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52)에/로부터 장착/탈착된다.
종래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52)가 위치되는,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의 내면에 스피커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스피커 장착부(28)를 형성하였다. 이 구조는 상기 월릿 PC(1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월릿 PC(10)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32)를 통하여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보드(70)에 배터리 단자들(74)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단자들(74)은 상기 보드(70)를 상기 프레임(40)에 결합시킬 때, 상기 배터리 케이스(52)에 바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드(70)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스위치들(72)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월릿 PC(10)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제공된다. 이 스위치들(72)은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설치되는 버튼들(26)에 의해서 작동된다. 상기 버튼들(26)과 스위치들(27)의 구성 및 작동은 생략한다. 상기 월릿 PC(10)는,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 전자 회로를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 스위치들(72)을 작동시키는 상기 버튼들(26)의 위치는 상기 스위치들(72)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들(72)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버튼들(26)의 운동 범위에 있어야 한다. 만일, 상기 스위치들(72)이 상기 버튼들(26)의 운동 범위에 들지 않는다면, 상기 스위치들(72)은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종래에서는 상기 스위치들(72)이 상기 버튼들(26)의 운동 범위에 있지 않을 경우, 미디엄들(mediums)(50)을 사용하였다. 상기 미디엄들(50)은 상기 프레임(4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미디엄들(50)은 상기 스위치들(72)과 버튼들(26)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외부에서 사용자가 소정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버튼들(26) 중에서 어느 하나를 누르면, 그 버튼과 대응되는 미디엄이 동작된다. 그러면, 이 미디엄과 대응되는 스위치가 작동된다. 상기 미디엄들(50)에 의해서, 스위치들(72)이 버튼들(26)의 운동 범위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상기 스위치들(72)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월릿 PC(10)는 스타일러스(stylus)(80)로 스크린(60)상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80)는 펜(pen) 또는 펜 첨필(pen stylus)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타일러스 입력 방식에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타일러스 입력 방식에서 컨덕티브 스타일러스(conductive stylus)를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상기 컨덕티브 스타일러스는 코드(cord)에 의해서 월릿 PC에 연결된다. 상기 코드는, 스크린 상의 쓰기 기능(write function)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타일러스와 월릿 PC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컨덕터(conductor)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월릿 PC(10)는 코드가 필요 없는 스크린 쓰기 기술(screen write technology)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기술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 종래의 월릿 PC(10)는 상기 스타일러스(80)를 월릿 PC(10)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타일러스(80)는 상기 프레임(40)에 형성된 서포터(54)에 장착된다. 상기 서포터(54)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4)는 상기 스타일러스(8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타일러스(80)는 상기 서포터(54)에 장착되었을 때, 훅(hook)(56)에 의해서 고정되어 임의로 상기 서포터(5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훅(56)은 상기 스타일러스(80)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그루브(82)에 결합되어, 상기 스타일러스(80)가 상기 서포터(54)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훅(56)은 상기 스타일러스(80)가 상기 서포터(54)에/으로부터 장착/착탈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훅(56)은 자유단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자유단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훅(56)은 상기 서포터(54)의 내부면상에서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 이 훅(56)은 상기 스타일러스(8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는 제 1 노치(29)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30)에는 제 2 노치(34)가 형성된다. 이 제 1노치(29) 및 제 2 노치(34)는, 상기 프런트 하우징(20)과 리어 하우징(30)이 결합되었을 때, 오프닝을 형성한다. 이 제 1 노치(29) 및 제 2 노치(34)에 의한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스타일러스(80)는 상기 서포터(54)에/로부터 장착/착탈된다.
월릿 PC(10)의 스크린(60)과 보드(70)는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상기 월릿 PC(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크린(60)과 보드(70)는 상기 월릿 PC(10)의 프런트 하우징(20) 및 리어 하우징(30)과 결합 관계를 갖지 않는다. 상기프레임(40)은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하나의 스크류(76)에 의해서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60) 및 보드(70)는 상기 프레임(4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스크린(60)이 상기 프런트 하우징(20)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탄성 성질을 갖는 절연체(도시 안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0)에는 배터리 케이스(5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배터리 케이스(52)에 설치되는 배터리 단자들(74)(도 2참조)은 상기 보드(7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단자들(74)은 상기 보드(70)를 상기 프레임(40)에 장착할 때, 바로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일측 케이스(top 또는 bottom case)에서 시작하여 스크린, 보드 등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나머지 케이스가 체결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은 제조 공정에서 모든 부품을 한 번에 결합해야 하고, 보드 또는 스크린 부분만을 쉬할 때에도 모두 분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측의 충돌에 대비한 서포팅 리브가 존재하나 스크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는 약하다. 즉, 스크린이 월릿 PC의 오프닝 부분을 통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 가능성이 크고, 또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해 파손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들의 결합 구조,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타일러스 펜의 장착구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지지구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착탈구조 등의 구조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공정에서 효율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세하게 버튼 어셈블리는 리어 커버와 훅크 및 훅크 걸림홈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어 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 수단이 필요없어 제조 및 수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에 있다.
상세하게 전원 스위치는 전원 스위치를 소정 힘으로 눌러 전원 온시킴과 동시에 텐션 작용에 의해 원 위치를 복원되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다수개의 디바이스들을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을 갖는 휴대형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커버에 다수개의 디바이스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체결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결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홀더의 동작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의 수납/인출 상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착탈장치를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절연 및 분리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절연 및 분리 구조의 결합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브라켓에 슬라이딩 결합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결합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경사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경사각도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경사각도 조절장치의 결합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경사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휴대용 컴퓨터110...프런트 커버
120...투명패널 121...양면 테이프
122...LCD 패널 126...디지타이저 패널
170...경사각도조절장치 200...스타일러스
210...리어커버 220...스타일러스 홀더
230...전원 스위치 240...버튼 어셈블리
250...HDD 착탈장치 254...HDD
265...배터리 착탈장치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파워 스위치 구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수단;으로 구성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 단자와;
상기 접점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이동접촉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접촉수단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를 압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접촉수단이 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과;
상기 전원스위치를 압입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으로 구성된 그러한 스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접촉수단은 상기 전원스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며;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가이드홈 상에 형성된 단차이며;
상기 탄성복귀수단은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에 형성된 텐션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는 내향 돌출된 텐션 돌기 홈 및 이에 경사지게 연장된 텐션 바를 일체로 갖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와 대응하는 곡면 조립체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 돌기 홈에 체결되어 탄성력에 의한 압입/복원되는 버튼 기판의 텐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의 결합 상태도이며, 도 4내지 도 8은 버튼 어셈블리 및 전원 스위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내지 도 11은 스타일러스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내지 도 19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착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 내지 도 23은 경사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내측에 디스플레이수단 등이 장착되는 프런트 커버(110)와 메인보드 등 정보처리부품 등이 장착되는 리어커버(201)가 결합되어 기기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프런트 커버(110)에는 상부에 양면 테이프로 부착된 투명 패널(120)과, 프런트 커버 내부에 적층되어 결합된 LCD 패널(122) 및 디지타이저 패널(126)과,LCD 패널(122)의 가장자리와 투명 패널(120) 사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밀봉 부재(125)등이 장착되고, 상기 리어 커버(210) 내부 일측에 메인 보드(180), 일측면으로 버튼 어셈블리(240), 전원 스위치(230) 및 스타일러스 홀더(220), 내부 타측에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수납하는 HDD 착탈장치(250), 배터리 착탈장치(265) 등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여 프론트 커버(110)에 장착되는 부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 보다 긴 포트레이트 방향을 디폴트 모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런트 커버(110)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리어 커버(210)는 마그네슘 재질로 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기기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먼저, 프런트 커버(110)는 내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고 전면 외측 둘레면으로 투명 패널 삽입홈(111a)이 형성되어, 전면으로 투명 패널(120)을 부착시키고, 내부에 LCD 패널(122) 및 디지타이저 패널(126)이 결합된다.
리어 커버(210)에는 시스템 구동을 위한 시스템 본체(HDD, 메인보드 등) 및 배터리 착탈장치(265) 및 HDD 착탈장치(250), 스타일러스(200)가 수납되는 스타일러스 홀더(220), 그리고 각 종 기능 제어를 위한 버튼(242,243) 및 전원스위치(2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커버(110)에 실장되는 전면 투명 패널(120)과 LCD 패널(122)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리닝 룸(cleaning room)에서 투명 패널(120)과 LCD 패널(122)의 결합 공정을 수행한다.
프런트 커버의 구성요소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패널(120)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의 투명패널 삽입홈(111a)에 부착된다. 실시 예로서, 부착부재는 양면 테이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양면 테이프(121)는 가로 대비 세로의 폭이 다른 띠 모양을 이루며, 투명 패널(120)의 저면 외측 테두리 면에 먼저 부착되고, 양면 테이프(121)가 부착된 투명 패널(120)은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투명 패널 삽입홈(111a)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투명 패널(120)은 프런트 커버(110)에 별도의 나사 체결 없이 밀착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LCD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외주변 프레임(123)의 좌/우측으로는 고정 프레임(124)을 나사(101)로 체결해 준다. 즉, 외주변 프레임(123)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고정 프레임(124)의 나사구멍(102)을 정렬시킨 후 LCD 패널(122)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나사(101)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준다.
이러한 LCD 패널(122)과 외주변 프레임(123) 사이에 띠 모양의 밀봉부재(gasket:125)를 부착시키고, 프런트 커버(110)에 밀착시키면 LCD 패널(122)에 부착된 밀봉부재(125)는 상기 투명 패널(120)의 테두리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121)에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124)의 상/하에 가공된나사구멍(102)을 통해서 나사(101)로 프런트 커버(110)의 보스(미도시)에 체결하여 줌으로써, LCD 패널(122)을 프런트 커버(110)에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121)는 외부 영역으로는 투명 패널과 상기 투명 패널 삽입홈(111a)을 일체화시켜 고정하고, 내부 영역으로는 투명 패널(120)과와 밀봉부재(125)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LCD 패널(122)은 화면부가 소정 두께를 갖는 밀봉부재(125), 양면 테이프(121), 투명 패널(120)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타이저 패널(126)을 LCD 패널의 배면으로 적층시켜 주기 위해 프레임(123, 124)에 형성된 나사구멍(102)을 통해서 나사(101)로 체결하여 줌으로써, LCD 패널(122)과 디지타이저 패널(126)이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LCD 체결 구조는 LCD 패널(122)을 일차로 내부에서 프레임으로 지지한 후, 내부 보스에 체결함으로써, 나사 체결 구조가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으로 투명 패널(120)을 결합하기 때문에, LCD 패널(122)에 외부 충격을 분산시켜 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면 테이프(121), 밀봉부재(125)가 외부 충격에 대해 소정의 완충 작용을 하여 패널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또한 LCD 패널(122)의 전면 및 측면 부위에서 LCD 패널(122)의 표시 부분을 밀봉해 줌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커버(110)에 결합되는 이종의 디스플레이상기패널들(122,126)을 배면 중심부를 “L” 자 형태로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미도시)를 프런트 커버(110)에 나사(101)로 체결해 준다. 이로써, 패널 체결 작업은 완료된다.
그리고, LCD 패널(122)의 구동을 위한 인버터 회로기판과 인버터 케이블을 접속시키고, LCD 인버터 회로기판 및 디지타이저 제어기판을 디지타이저 패널(126) 배면에 위치 및 결합시킨다. 또한 LCD 패널(122) 및 디지타이저 패널(126)에는 상부 내측에 인버터를 설치하여 적정 전압을 각각 공급해 주며,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주 배터리의 교체시에나 배터리의 용량 부족시 시스템의 정보 손실을 막는 등의 최소한의 작업을 위해 시스템에 수초에서 수분간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과정을 마친이러한 프런트 커버(110)는 리어 커버(210)와 결합되는데, 상기 리어 커버(210)에는 메인보드(180),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HDD 및 배터리가 함께 결합된다. 상기 HDD는 HDD 착탈장치(250) 및 배터리는 배터리 착탈장치(265)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스타일러스(200)를 수납/인출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홀더(220)를 실장하며, 일측으로 각 종 기능 제어를 위한 버튼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240)를 결합시켜 준다.
리어 커버(210)에 장착된 메인보드(180)의 하단에는 CD-ROM 드라이브, 및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소켓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소켓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물질의 유입을방지하기 위해 드라이브 커넥터를 결합할 때 열리고 드라이브 커넥터를 분리시킬 때 닫히는 소켓 보호레버를 포함한다.
메인보드(180)에는 상단 우측으로 PCMCIA 카드 수납부(183)와 USB 포트, 그 중심부에 시리얼 통신 포트, 랜 포트를 포함하는 통신 포트(18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우측으로 DC 입력 잭 및 적외선 통신을 위한 적외선 통신 포트(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가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 포트를 보호하기 위한 포트 커버가 결합된다.
프런트 커버(110)와 대향 결합되는 리어 커버(210)에 실장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타일러스,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리어 커버(210)의 상부 우측에는 버튼 어셈블리(240) 및 스타일러스 홀더(220)가 결합되고, 하부 일측에는 HDD 착탈장치, 저면 상단부에는 경사각도 조절장치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버튼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버튼 어셈블리(240)는 리어 커버(210)의 상부 우측에 결합되고, 버튼 어셈블리(240)의 내측으로 스타일러스(200)를 수납하기 위해 스타일러스 홀더(220)가 결합된다.
버튼 어셈블리(240)는 우측 상단부에 다수개의 기능 버튼이 결합된다. 이러한 기능 버튼은 전원 스위치, 퀵 버튼, 탭(Tap) 버튼, Esc 버튼, 개인정보 관리 버튼(242)을 포함하는 누름 조작수단과 조그 스위치(243) 등으로 구성된 회전 조작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그 스위치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OSD 조정을 위해 엔터 및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업/다운 기능으로 레벨 조정 및 메뉴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기능 버튼 중의 하나인 개인정보 관리버튼은 전원 오프시 또는 다른 프로그램 실행시에, 팝업 메뉴로 동작하여, 팝업 메뉴 상에서의 정보를 화면상에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팝업 메뉴 정보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또는 스케쥴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커버(210)의 우측 상단 제 4곡면 조립체(144)에는 전원 스위치(230)가 결합되고, 상단면으로 스타일러스 홀더(220)에 수납되는 스타일러스(200)가 관통할 수 있는 펜 관통구멍(22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튼 어셈블리(240)는 우측 상단부에 다수개의 기능 버튼을 갖는 버튼 커버(241)와, 다수개의 접점 스위치를 갖는 버튼 기판(24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튼 커버(241)에는 전원 버튼, 퀵 버튼, 탭(Tap) 버튼, Esc 버튼, 개인정보 관리 버튼를 포함하는 버튼(242), 조그 다이얼(243) 등의 기능 버튼이 형성되며, 각 버튼은 결합 구조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또한 버튼 커버(241)는 각 종 기능 버튼(242)이 일체로 형성되며, 조그 스위치(243)는 별도로 결합된다. 버튼 커버(241)에는 상기 버튼 기판(244)과 결합되기 위한 기판 고정 훅크(245), 하단부에 내향 돌출된 제 1훅크 걸림홈(246) 및 제 2훅크 걸림턱(247)이 형성되며, 일측에 안착 돌기 홈(248)이 형성된다. 이에 대향하는 버튼 기판(244)에는 훅크 홈(245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버튼어셈블리(240)가 결합되는 리어 커버(210)에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 1 및 제 2훅크(246a,247a), 그리고 좌/우에는 안착홈(248)과 결합되는 안착 돌기(24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버튼 커버(241)와 버튼 기판(244)의 결합시에는, 버튼 커버(241)에 버튼 기판(244)을 밀착시키면 상기 버튼 커버(241)에 형성된 기판 고정 훅크(245)가 버튼 기판(242)의 훅크 홈(245a)에 걸려 결합되며, 버튼 커버(241)의 각 기능 버튼이 버튼 기판(242)의 접점 스위치와 대응하며, 조그 스위치(243)를 조그 접점 스위치와 대응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버튼 어셈블리(24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커버(210)에 위치시킨 후, 상기 버튼 커버(241)를 도 6과 같이 일정 경사(θ=30도)지게 하여 리어 커버(210)의 결합부분에 위치시킨다. 이때 버튼 커버(241)의 하단 중심부에 내향 돌출된 제 1훅크 걸림홈(246)을 리어 커버(210)의 중심부에 내향 돌출된 제 1훅크(246a)에 끼운 후, 상기 버튼 커버(241)를 세우면 상기 제 1훅크(246a)의 좌/우측에서 외향 돌출된 제 2훅크(247a)에 상기 버튼 커버(241)의 제 2훅크 걸림턱(247)이 걸려진다. 즉, 제 1훅크 걸림홈(246) 및 제 2훅크 걸림턱(247)은 버튼 커버의 하단에서 동일 선상으로 소정 이격되어 내향되게 돌출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훅크(246a)와 제 2훅크(247a)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시 서로 간에 지지하는 힘이 발생된다.
이때, 버튼 커버(241)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248)에는 리어커버(210)로부터 상향 돌출된 안착돌기(248a)가 끼워지고, 나사를 나사 관통구멍에 체결하여 줌으로써, 상기 훅크 방식의 결합 부분과 함께 버튼 어셈블리를 고정시켜 준다. 본 실시예와 같은 훅크 방식의 결합 방법은 나사등 별도의 체결수단을 최소화함으로써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착돌기(248a)를 생략하고 훅크방식 체결만을 채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전원 스위치(230)에는 내향 돌출된 텐션 돌기 홈(233) 및 그 홈(233)의 양측에 형성된 훅크(234), 그리고 상기 텐션 돌기 홈(233)으로부터 좌측에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텐션 바(235)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조립체(144)의 전원 스위치 가이드 홈(231)을 통해 전원 스위치(230)를 끼워 결합하면, 상기 전원 스위치(2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훅크(234)가 전원 스위치 가이드 홈(231)에 끼워져 걸리고, 전원 스위치(230)에 내향 돌출된 텐션 돌기 홈(233)이 버튼 기판(244)의 텐션 돌기(236) 사이로 끼워져 전원 스위치(23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돌기(236)는 일측에 내삽된 스프링(237)과 연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230)를 온/오프 시킬 경우, 전원 스위치(230)를 약간 누른 상태에서 우측으로 밀치면 전원 스위치 가이드 홈(23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텐션 돌기 홈(233)에 끼워진 텐션 돌기(236)가 스프링을 압입시키면서 이동하고, 동시에 전원 스위치의 내측에 형성된 텐션 바(235)가 버튼 기판(244)과 면 접촉하여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이로써 전원 스위치는 접점되어 기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전원 스위치(230)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가온/오프되며, 발광된 상태는 투명한 전원 스위치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된다.
그리고, 압입되는 스프링(237)의 복원력에 의해 텐션 돌기(236)가 다시 반대 방향(좌측)으로 이동하므로 텐션 돌기 홈(233)을 원 위치로 이동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텐션 돌기 홈(233)의 일측에 형성된 텐션 바(235)에 전달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 위치로 전원 스위치(230)를 다시 원 위치로 이동하는데 일조를 한다. 한편, 버튼 기판(244)의 타측에는 조그 스위치(243)가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OSD 조정을 위해 엔터 및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업/다운 기능으로 레벨 조정 및 메뉴 이동을 수행한다. 작동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전원 스위치 가이드 홈(231)의 중간부분에 단차(231a)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230) 누른 상태에서만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230)가 누른 상태에서 원상 복귀하는 탄성력은 텐션 바(235)가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230)에 외력을 가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텐션 돌기 홈(233)과 상기 텐션 돌기(236)가 떨어져 있고, 상기 전원 스위치(230)를 누르면 상기 텐션 돌기 홈(233)과 상기 텐션 돌기(236)가 결합하여 그 상태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230)를 오른쪽으로 밀어야만 전원 스위치(230)가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이 상기 전원 스위치(230)가 눌러진 상태에서만 작동을 할 수 있도록 안전 스위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200)를 수납하기 위한 홀더(220)에 대하여 도 9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타일러스(200)를 수납하기 위해서, 도 2와 같이 리어 커버(210)의 상부 우측으로 스타일러스 홀더(220)와 여러 가지의 기능 버튼 및 조그 스위치가 결합된다. 그리고, 리어 커버(210)의 우측 상단 곡면 조립체(144)에는 우측면으로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단면으로 스타일러스 홀더(220)에 수납되는 스타일러스(200)가 관통할 수 있는 펜 관통구멍(220a)이 형성되어 있다.
스타일러스 홀더(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가 관통되는 펜 통(221)과, 상기 펜 통(221)의 끝단에 삽입되고 펜 팁을 압입하는 펜 팁 압입부(223) 및 리어 커버에 고정되고 탄성력에 의한 압입/복원력을 상기 펜 팁 압입부(223)에 전달하는 푸쉬 버튼부(224)를 포함하는 푸쉬-푸쉬 버튼(2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홀더에 스타일러스를 수납하는 동작을 보면, 상기 곡면 조립체(144)에 형성된 펜 관통구멍(220a) 및 이에 연장되는 펜 통(221)에 스타일러스(200)가 관통되어 삽입되면, 삽입된 스타일러스(200)의 펜 팁이 푸쉬-푸쉬 버튼(222)의 펜 팁 압입부(223)에 압입되어 수납된다.
여기서, 펜 팁 압입부(223)는 내부에 펜 팁 수납홈(223a)을 갖고, 상기 펜 팁 수납홈(223a)으로 펜 팁이 수납되면 상기 펜 팁 수납홈(223a)의 내측 둘레면으로 설치된 압입 바(223b)가 스타일러스(200)의 펜 팁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압입시켜 지지한다.
그리고, 도 10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팁 압입부(223)는 푸쉬 버튼부(224)에 대해 외부의 힘이 유입되는 순간 마다 푸쉬-푸쉬 방식으로 동작하고, 스타일러스를 스타일러스 홀더(220)로 수납 및 인출하게 된다.
이러한 펜 팁 압입부(223)와 푸쉬 버튼부(224) 사이에는 펜 팁 압입부가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224b)이 압입 및 복원되며, 펜 팁 압입부(223)와 푸쉬 버튼부(224)의 좌/우 측면에는 가이드를 위한 홈(224a) 및 돌기(223c)가 형성되어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스타일러스(200)를 수납할 때, 펜 팁이 결합된 펜 팁 압입부(223)가 상기 가이드 홈 및 돌기(223c,224a)에 의해 후 방향으로 완전하게 밀리면 푸쉬 버튼부(224)에 결합되고, 내부의 스프링(224b)은 압입된다. 이때 펜 팁 압입부(223)의 일측면에서 회동하는 멈춤 돌기(223d)가 푸쉬 버튼부(224)의 내부 가이드 턱(224c)을 따라서 그 끝단에 형성된 멈춤 홈(224e)에 걸려 도 10의 (b)와 같이 펜 팁 압입부(223)가 멈추게 된다.
반대로, 스타일러스(200)를 인출하려고 하면 스타일러스 홀더(220)에 삽입된 스타일러스(200)를 한 번 더 밀면, 펜 팁을 수납한 펜 팁 압입부(223)가 다시 후 방향으로 밀린다. 이때 상기 멈춤 홈(224e)에 걸린 멈출돌기(223d)가 이탈하고, 이에 따라 펜 팁 압입부(223)는 푸쉬 버튼부(224)로부터 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타일러스(20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만큼 앞으로 밀어줌으로써, 도 11의 (b)와 같이 스타일러스가 인출된다.
여기서, 펜 팁 압입부(223)의 멈춤 돌기(223d)는 T자 형상으로서, 수직(1)한 반구형 회전축(223e)이 45도의 반구 형상으로 경사져 스프링(224b)을 결합되는 내부에 끼워져 스프링 사이에 끼워지고, 수평(-)한 멈춤 바(223f)는 그 전단에 상향 돌출된 돌기가 푸쉬 버튼부(224)의 내부 가이드 턱(224c)을 따라서 가이드된 후“V"자 형상의 멈춤 홈(224e)에 걸리고, 반대로 펜 팁 압입부(223)에 외부힘이 가해지면 멈춤 홈(224e)으로부터 돌기가 이탈하여 상기 가이드 턱(224c)의 외측면을 따라 다시 원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의 (a)와 같이 스타일러스(200)를 장착할 경우, 스타일러스(200)를 펜 통(221)으로 관통시키면 스타일러스(200)의 펜 팁 부분이 푸쉬-푸쉬 버튼(222)의 펜 팁 압입부(223)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펜 팁 압입부(223)가 외부 힘에 의해 안쪽으로 밀린 후 푸쉬 버튼부(224)에 삽입된다. 이때 멈춤돌기의 회전축(223e)이 회전하여 45도로 튀틀린 상태로 놓이며, 펜 팁 압입부(223)의 끝단에 돌출된 멈춤 돌기(223d)가 가이드 턱에 가이드된 후 푸쉬 버튼부(224)의 멈춤 홈(224e)에 걸려 고정된다. 더블어, 펜 팁 압입부(223)와 푸쉬 버튼부(224) 상호간에는 내부의 스프링(224b)이 압입되어 상호간에 탄성력을 전달해 준다.
그리고 도 10의 (b)와 같이 스타일러스(200)를 인출할 경우, 스타일러스(200)를 전 방향으로 한 번 푸쉬시키면, 펜 팁이 수납된 펜 팁 압입부(223)가 푸쉬 버튼부(224)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멈춤돌기(223d)가 멈춤 홈(224e)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펜 팁 압입부(223)와 푸쉬 버튼부(224)의 상호간에 작용한 탄성력에 의해 펜 팁 압입부(223)가 전방향으로 밀려서 이동하고, 스타일러스(200)를 스타일러스 홀더(220)의 전단으로 최초의 수납 위치로 밀어 줌으로써, 스타일러스(20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정도까지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푸쉬 버튼부와 펜팁 압입부는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푸쉬-푸쉬 동작의 다른 실시 예로서, 스타일러스(200)가 스타일러스홀더(220)에 수납 및 인출될 때의 푸쉬-푸쉬 동작으로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즉, 푸쉬 버튼부(224)의 내부에 전원 스위치를 장착한 후 스타일러스의 인출 및 수납시에 펜 팁 압입부(223)와 연동하여, 전원 스위치가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시 예로서, 스타일러스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 바가 펜통의 특정 위치의 둘레면에 설치되고, 압입되는 스타일러스의 몸통부분을 압입시켜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압입 스프링은 전/후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며, 또 대향되는 스타일러스럿의 몸통부분에 띠를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
실시 예로서 압입 바는 그 재질이 고무 또는 철사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20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착탈 구조와 그 구조에서의 HDD의 절연 및 분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45)는 리어 커버(210)의 하부 일측에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데, HDD(254)를 수납하기 위한 HDD 착탈장치는 다음과 같다.
HDD 착탈장치는 크게 HDD 착탈장치(250), 이에 수납되는 HDD(254), HDD 덮개(255)로 구성된다.
HDD 착탈장치(250)는 HDD 커넥터(181)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이 개방된 HDD 수납홈(253)을 갖고, 내측면 상/하부에는 HDD(254)의 착탈을 위해 L자 형상의 착탈돌기 가이드 홈(251)이 형성된다. 또 외측면의 좌/우측 중심부에 하향 돌출된 훅크(252)와, 외측면 상/하부에 안착 홈(257) 및 나사 관통구멍(259)이 각각 형성된다.
리어 커버(210)의 하부 일측에 개방된 부위에는 HDD 착탈장치(250)가 결합되며, HDD 브라켓 결합구멍(250a)의 좌/우측 중심부에는 상기 HDD 착탈장치(250)의 훅크(252)가 걸리도록 하는 훅크 걸림홈(252a) 및 내향 돌출된 안착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HDD 착탈장치(250)를 HDD 브라켓 결합구멍(250a)의 내측에서 외부 방향으로 결합하면, HDD 착탈장치(250)는 억지 끼움 형태로 HDD 브라켓 결합구멍(250a)에 끼워지며, 동시에 상기 HDD 착탈장치(250)의 훅크(252)는 훅크 걸림홈(252a)에 걸리고, 외부의 안착홈(257)이 안착돌기에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HDD 착탈장치(250)는 리어 커버(210)에 완전히 고정하기 위해 내측에서 나사 관통구멍(259) 및 나사구멍(259a)을 통해서 나사(258)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HDD(254)의 결합 동작을 보면, HDD 착탈장치(250)의 내부 HDD 수납홈(253)에 HDD(254)를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HDD(254)의 외측 상/하부에 돌출된 착탈 돌기(254a)를 L 자 형상의 착탈돌기 가이드 홈(251)에 끼우고, 전 방향으로 밀면 착탈돌기(254a)는 L자 형상의 착탈돌기 가이드 홈(2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됨으로써, HDD(254)가 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밀착된다. 이때 HDD(254)의 숫 커넥터(254b)가 메인보드(180)의 HDD용 암 커넥터(181)에 접속된다. 즉, L자 형상의 착탈돌기 가이드 홈(251)의 수직한 부분을 따라 HDD 착탈돌기(254a)를 삽입한 후, 수평한 부분을 따라 전 방향으로 밀치면 HDD(254)에 구비된 HDD 숫커넥터(254b)가 메인보드에 연결된 HDD용 암 커넥터(181)에 접속하게 된다. 이는 별도의 나사 체결 없이 HDD를 HDD 수납장치에 수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보드의 커넥터(181)와 HDD 숫 커넥터(254b) 상호간이 별도의 케이블 없이 직접 접속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HDD 수납 홈(253)은 HDD(254)의 길이와 L 자 형상의 착탈돌기 가이드 홈(251)을 더한 길이와 거의 동일하며 HDD가 완전하게 결합되면 L자 형상의 착탈돌기 홈(251)의 길이 만큼 HDD 수납홈(253)의 뒷 부분에 공간이 남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2와 같이 리어 커버(210)의 외측에서 HDD 덮개(255)로 이용하여 덮어줌으로써, HDD 덮개(255)의 측면에 형성된 덮개 결착돌기(256)가 덮개 결착돌기 홈(256a)에 끼워지고 반대측에서 나사(258)로 체결하여, HDD(254)의 수납 작업은 완료하게 된다.
이때, HDD 덮개(255)의 배면 후단부에 돌출된 이탈 방지턱(255a)이 메인보드(180)와 접속한 HDD(254)의 후단면에 걸쳐짐으로써, HDD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후 방향으로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HDD 절연 및 분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D(254)의 절연을 위한 절연 필름(260), 절연 필름(260)의 고정을 위한 "ㄷ“자형 필름 고정판(261), HDD(254)의 분리를 위한 분리 손잡이(262)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필름(260)은 HDD의 상단면과 같은 크기로 하고 그 양측고정부(260a)가 접혀 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필름 고정판(261)은 양측이 내향되게 절곡되어 절곡된 부위에 상기 HDD(254)의 착탈돌기(254a)에 대응하게 착탈돌기 관통구멍(261a)이 형성된다.
도 15와 같이 절연 필름(260)의 중심부는 필름 고정판(261)의 내면으로 밀착되고 그 양측 고정부(260a)는 필름 고정판(261)의 외부 양측으로 접혀져서 부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필름 고정판(261) 내면에 밀착된 절연 필름(260)에는 도 16과 같이 HDD(254)가 체결되는 반대측으로 분리 손잡이(262)가 부착하고, 분리 손잡이(262)의 일부분은 절연 필름 고정판(26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절연필름이 부착된 절연필름 고정판(261)은 HDD의 상단면 및 좌/우측면에 밀착되며, 착탈돌기(254a)로 착탈돌기 관통구멍(261a)을 통하여 체결하면 도 17과 같이 절연필름 고정판(261)은 HDD(254)에 고정된다. 여기서 착탈 돌기(254a)는 실시 예로서 나사이다.
즉, 착탈 돌기(254a)를 HDD(254)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필름 고정판(261)을 HDD(254) 상부에 위치시킨 후 복수개의 착탈돌기 관통구멍(261a)을 통해 상기 분리된 복수개의 착탈돌기(254a)를 원 위치로 체결하게 되면 필름 고정판(261)이 HDD(254)에 밀착되고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HDD(254)의 회로 소자와 필름 고정판(261) 사이에는 절연 필름(260)이 놓이게 되며, 분리 손잡이(262)는 HDD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HDD(254)는 도 18과 같이 HDD 착탈장치(250) 상에 위치시킨 후,힘(F1) 방향으로 밀치면 HDD(254)의 착탈돌기(254a)는 HDD 착탈장치(250)의 착탈돌기 가이드홈(251)을 따라 전 방향(F1)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 이때 HDD(254)가 HDD 착탈장치(250)에 결합됨에 따라 커넥터 상호간은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도 19와 같이 HDD(254)가 체결된 HDD 착탈장치(250)를 덮개(255)로 덮어주게 됨으로써, 이탈 방지턱(255a)은 HDD(25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HDD 분리 손잡이(262)는 HDD 덮개(255)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HDD 덮개(255)를 분리시킬 경우 분리 손잡이(262)는 도 17과 같이 외부에 노출되며, 노출된 분리 손잡이(262)를 잡아당길 경우 커넥터 상호간이 분리되고 HDD(254)는 HDD 착탈장치(250)로부터 후 방향(F2)으로 이탈하여 분리된다. 이로써, HDD의 분리는 쉽게 가능해 진다.
이러한 절연 필림(260)은 HDD(254)를 충격이나 전기적으로 보호하게 되며, 필름 고정판(261)은 스테인레스 재질이다. 실시 예로서, 분리 손잡이는 HDD에 전기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부착하거나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HDD 착탈장치의 구조를 HDD를 수직으로 착탈장치에 결합한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실시 예로서, 수평으로 HDD 착탈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HDD 착탈장치의 입구 좌/우측에 “ㄱ”자형 착탈돌기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HDD의 후단으로 착탈돌기를 구비함으로써, HDD가 슬라이딩으로 착탈장치에 결합되고 마지막으로 착탈돌기 가이드홈으로 착탈돌기가 끼워져 결합이 완료되며, HDD 덮개를 후 방향 또는 상 방향에서 결합시켜 줌으로써,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컴퓨터를 장변 또는 단변으로 사용할 경우 휴대용 컴퓨터를 바닥면에 대해서 일정 경사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경사 조절 장치를 결합하게 된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경사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는 휴대용 컴퓨터를 경사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해 경사 각도의 사용 상태도이고, (b)는 휴대용 컴퓨터의 저면에 결합된 경사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 즉,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 모드에 따라 랜드 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해서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방향에 대해 전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도 20과 같은 경사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로서, 휴대용 컴퓨터를 장변(또는 단변)으로 사용할 때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서 리어 커버(210)의 저면 상부에는 양측으로 경사각도 조절장치(170)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사각도 조절 장치(170)는 휴대용 컴퓨터를 장변으로 사용할 경우에 패널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210)의 배면에서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전/후로 회동하는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 상기 경사각도 조절 레버의 회동을 위한 회전축(172)과,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의 일정 경사각도에서 접히고 꺾임을 조절하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는 판 스프링(173)과,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를 일정 경사각도에서 정지시켜 주기 위한 스톱퍼(174)로 구성된다.
여기서, 경사각도 조절레버(171)의 헤드부분에는 좌/우 회전축(172)이 결합되는 회전축 삽입홈(171a), 레버의 회전 정도에 따라 탄성편과 연동시켜 주기 위한 탄성편 걸림돌기(171b)가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173)은 몸체 부분이 판 스프링 안착부(175)에 안착되고 그 좌/우측 걸림돌기(173c)가 판 스프링 안착부(175)의 내측 턱에 걸려 결합되며, 2단 절곡된 탄성편(173a)이 "V"자 형상으로 하여 경사각도 조절레버(171)의 탄성편 걸림돌기(171b)와 결합된다.
스톱퍼(174)는 좌/우측 단에 외향 돌출된 스톱퍼 고정돌기(174a)가 판 스프링 안착부(175)의 좌/우에 형성된 스톱퍼 고정돌기 홈(175b)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판 스프링 안착부(175)는 레버 결합홈(170a)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스톱퍼 지지돌기(175a)가 상향 돌출되어, 판 스프링(173)의 몸체에 형성된 지지돌기 관통구멍(173b)을 관통하여, 스톱퍼(174)의 중심부분에 끼워져 스톱퍼(174)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경사 조절 장치는 경사 조절 장치를 리어 커버에 결합할 때에는, 도 22의 (a)(b)와 같이, 판 스프링(173)의 몸체 부분이 리어 커버(210)의 상단 레버 결합홈(170a)의 일측에 형성된 판 스프링 안착부(175)에 안착되어, 판 스프링 안착부(175)의 걸림 턱 및 판 스프링(173)의 걸림 돌기(173c)가 결합되어 판 스프링(173)이 판 스프링 안착부(175)에 안착, 고정된다.
이때, 판 스프링 안착부(175)의 중심부에 상향 돌출된 스톱퍼 지지돌기(175a)가 판 스프링(173)의 몸체 중앙에 형성된 지지돌기 관통구멍(173b)을 통해서 관통되어 돌출된다. 그러면, 스톱퍼(174)를 판 스프링 안착부(175)에 위치시킨 후 억지 끼움으로 끼워지고, 좌/우측 스톱퍼 고정돌기(174a)가 스톱퍼 고정돌기 홈(175b)에 끼위진다. 동시에 상기 스톱퍼 지지돌기(175a)가 스톱퍼(174)의 중심 지지홈에 끼워진다. 이로써, 판 스프링 안착부(175)에 판 스프링 몸체가 안착되고 그 위로 스톱퍼가 끼워지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경사 조절 레버(171)의 헤드부분 좌/우에 형성된 레버 착탈홈(171c)으로 회전축(172)에 위치시킨 후, 억지끼움 형식으로 경사 조절 레버(171)를 내부 방향으로 밀면, 도 22의 (c)와 같이 회전축(171)에 회전축 결합홈(171a)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173)의 일측에 연장된 탄성편(173a)이 상기 경사 조절 레버(171)의 헤드 상단 탄성편 걸림돌기(171b)에 결합되며, 경사 조절 레버(171)를 레버 결합홈(170a)에 안착시켜 줌으로써, 경사 조절 장치가 리어 커버(210)에 완전히 결합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휴대용 컴퓨터(100)를 일정 경사 각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리어 커버(210)에 하부에 구비된 경사 조절 레버(171)를 일정 각도 잡아당기면, 경사 조절 레버(171)의 상단 탄성편 걸림돌기(171b)에는 판 스프링(173)의 탄성편(173a)에 의해 젖히고자 하는 반대의 방향으로 장력을 전달해 줌으로써, 탄성편 걸림돌기(171b)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회전축(172)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사 조절 레버(171)는 젖히고자 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이동하여 스톱퍼(174)에 접촉하여 멈추게 된다. 여기서, 스톱퍼(174)는 경사 조절 레버(171)의 완충 및멈춤을 위해 고무 재질로 사용한다.
그리고, 도 23의 (b) 상태를 중심으로 도 23의 (a) 및 (c) 상태로 회동하기 위해서, 탄성편 걸림돌기(171b) 및 탄성편(173a)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V" 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회전축(172)에 의해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가 소정 각도 이동할 때 회전축(172)에 대해 반대의 힘을 전달해 줌으로써,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가 젖혀지고 접혀지는 동작을 가능케 한다.
그러면,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조절 장치에 의해 일정 경사 각도로 위치한 상태에서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경사 조절 장치(170)의 경사각도를 없게 하여 사용할 경우이다. 이때에는 도 23의 (b)에서, 상기 경사 조절 레버(171)를 다시 원 위치로 잡아당기면, 경사 조절 레버(171)의 헤드측 탄성편 걸림돌기(171b)에는 판 스프링(173)의 탄성편(173a)에 의해 원 위치로 돌아가려는 방향의 반대의 힘을 전달받음으로써, 경사 조절 레버(171)는 탄성편(173a)이 밀치는 힘에 의해 레버 결합홈(170a)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경사각도 조절레버(171)를 일정 경사각도 만큼 젖혔을 때 내부의 탄성편(173a) 및 탄성편 걸림돌기(171b)에 의해 원하는 경사각도 만큼 이동시켜 주어, 일정 경사 각도로 사용 가능케 해 준다. 반대로,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의 경사 각도를 없게 하기 위해서,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를 잡아당기면, 내부의 탄성편(173a) 및 탄성편 걸림돌기(171b)에 의해 상기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가 리어 커버(210)의 레버 결합홈(170a)으로 삽입됨으로써, 경사각도 없이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의 헤드 양측 면에는 상기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를 탈/착시켜 주기 위한 레버 착탈 홈(17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를 직립시킨 후 잡아당기면 상기 레버 착탈 홈(171a)이 회전축(172)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즉 회전축(172)으로 경사각도 조절 레버(171)의 레버 착탈홈(171a)이 억지로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축(172)으로부터 잡아당길 경우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컴퓨터(100)에는 LCD 패널(122)과 디지타이저 패널(126), 그리고 시스템 운용을 위한 메인보드(180)가 하나의 패드로 결합된다. 더블어, 리어 커버에 각종 기능 제어를 위한 버튼 어셈블리, HDD를 착탈시켜 주는 장치, 배터리 착탈 장치, 스타일러스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한 스타일러스 홀더, 휴대용 컴퓨터의 경사 조절을 위한 경사 각도 조절을 장치를 결합시켜 줌으로써, 휴대용 컴퓨터 기능을 하는 단일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100)에 탈착이 가능한 키보드부를 결합시켜 주거나 통신 포트를 통해서 인터페이스 가능케 함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로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100) 단독으로 휴대하면서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키보드를 휴대용 컴퓨터(100)에 장착시켜 필요시 키보드 및 마우스와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100)를 이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문서의 편집 및 웹을 액세스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100)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200)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시에는 상기 스타일러스(200)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RF signal)에 대응하는 디지타이저 패널(126)의 좌표를 디지타이저 제어부에서 해독한 후, 메인보드(180)로 전달해 준다. 그러면 메인보드(180)가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키 신호를 입력하면, USB 포트 및 키보드 커넥터를 통해서 입력된 키 신호는 USB 버스를 통해서 중앙 처리부에 전달된다. 중앙 처리부는 상기 키 신호에 응답하여 LCD 패널(122)에 표시해 준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100)만을 이용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면, 화면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된다. 즉, 디스플레이 정보에서 실시 예로서 1024*768로 선택 또는 768*1024로 선택할 경우 해당 화면 모드로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하나의 패드에 LCD 패널과 디지타이저 패널과 이의 시스템 동작을 위한 메인 시스템을 실장해 줌으로써, 단일 패드로 컴퓨터 기능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한 노트 형태의 컴퓨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프런트 커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실장하고, 리어 커버에 시스템 운용을 위한 메인보드, 버튼 어셈블리, HDD, 배터리, 스타일러스 홀더를 실장함으로써, 프런트 커버와 리어 커버를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유지 보스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 어셈블리를 훅크 방식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HDD를 슬라이딩 방식을 체결하여 줌으로써, HDD의 결합에 따른 나사 체결 작업을 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스타일러스 홀더로부터 스타일러스의 인출/수납을 푸쉬-푸쉬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스타일러스의 이탈에 따른 분실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관을 깨끗하게 가져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는 기기의 일측 외관을 이루고 내측이 개방된 틀형태의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와 대향에서 결합하여 기기의 타측 외관을 이루는 리어커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며 각종 회로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메인보드와;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 수단과;
    정보를 입력하는 디지타이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수단;으로 구성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수단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 단자와;
    상기 접점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이동접촉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이동접촉수단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를 압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접촉수단이 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과;
    상기 전원스위치를 압입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으로 구성된 그러한 스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파워 스위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촉수단은 상기 전원스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31)이며;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가이드홈(231) 상에 형성된 단차(231a)이며;
    상기 탄성복귀수단은 상기 전원스위치의 일측에 형성된 텐션 바(2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파워 스위치 구조.
KR1020020064280A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KR20040034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280A KR20040034193A (ko)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280A KR20040034193A (ko)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193A true KR20040034193A (ko) 2004-04-28

Family

ID=3733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280A KR20040034193A (ko)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4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242B1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KR100488012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0655549B1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US8199476B2 (en) Notebook computer
US6944012B2 (en)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KR20040033223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US8896580B2 (en) Instrument-activated sub-surface computer buttons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985355B2 (en) Desktop computer appliance
US5233502A (en) Removable and reversible display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JPH0895669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2001034364A (ja) 複数の装置のための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6693800B1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JP2001067146A (ja) コンピューター用拡張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JPH10105281A (ja) モジュール・ロック機構
KR100891863B1 (ko)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착탈장치
KR20040034197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KR20040034199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40034192A (ko) 휴대용 컴퓨터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040034198A (ko) 휴대용 컴퓨터의 버튼 어셈블리
KR20040034193A (ko) 휴대용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 구조
KR100898868B1 (ko) 키보드의 활성화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모드 전환장치
KR100493676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제조방법
US20230097565A1 (en) Support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WO2004066131A1 (ja) 情報処理装置
JP2001067144A (ja) コネクタ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