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558A -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558A
KR20040040558A KR1020020068720A KR20020068720A KR20040040558A KR 20040040558 A KR20040040558 A KR 20040040558A KR 1020020068720 A KR1020020068720 A KR 1020020068720A KR 20020068720 A KR20020068720 A KR 20020068720A KR 20040040558 A KR20040040558 A KR 2004004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user
terminal
result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798B1 (ko
Inventor
김성훈
장철수
이경호
김중배
정승욱
서범수
노명찬
박중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798B1/ko
Priority to JP2003153409A priority patent/JP2004157973A/ja
Publication of KR2004004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798B1/ko
Priority to JP2006229412A priority patent/JP2007035053A/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 등에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변경하여 접속하여도 동일한 사용자임을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세션을 유지시켜 주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 해석 결과에 따라 세션키를 추출하고, 상기 세션키 추출 결과에 따라 세션을 검색하여 세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면 응용컴포넌트 호출시 정보로 제공하여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키와 세션을 신규로 생성한 후, 상기 세션 정보를 멀티세션관리부에 저장하여, 이후에 상기 인증한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The method of multi-modal session management}
본 발명은,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 등에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변경하여 접속하여도 동일한 사용자임을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세션을 유지시켜 주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에서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즉 사용자의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어느 응용서버에서나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인터넷 서비스에서 세션 관리의 중요성은 웹 브라우저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단점에서 비롯되었다. 현재 웹 브라우저의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이하 "HTTP"라 한다.)은 프로토콜 제정 때부터 세션과 같은 연결성을 고려하지 않은 프로토콜이다. 비록 이미지와 같은 여러 문서를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에 대해 연결을 재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역시 사용자의 이전 상태 정보를 보관하는 메커니즘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접속된 사용자가 계속 세션을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인지 아니면 새롭게 접속한 사용자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재작성, 히든 폼 필드의 사용, 쿠키의 사용 및 서버 측 세션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세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응용서버 단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한편,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현재와 미래에는 개인이 여러 단말기를 가지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단일 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세션 유지 관리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단말기 사이에서 사용자가 동일할 경우 응용서버의 세션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사용자가 특성과 상황에 맞는 여러 대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필수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동일한 세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말기의 특성상 세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쿠키 정보를 단말기에 보관할 수 없는 경우나 URL 재작성시 소요되는 리소스를 감당할 수 없는 단말기에도 안정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기술이 응용서버 내에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 유무선의 응용서버들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에 단말기를 변경하여 하나의 응용을 이용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에 따라 다중 단말기간의 세션 및 세션 정보에 대한 일관성 유지를 위한 기술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단지 단일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경우에만 세션과 세션 데이터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국내의 이동 통신 업체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에서는 단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서로 다른 단말기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뷰를 통해 제공하고 있을 뿐이며,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단말기를 변경할 경우 세션이 새롭게 생성됨으로써 기존에 유지되던 정보들을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변경하여 접속하여도 동일한 사용자임을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세션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응용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2 : 요청관리부121 : 프로파일관리부
122 : 멀티세션관리부123 : 세션관리부
124 : 컴포넌트관리부125 : 컨텐츠변환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 해석 결과에 따라 세션키를 추출하고, 상기 세션키 추출 결과에 따라 세션을 검색하여 세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면 응용컴포넌트 호출시 정보로 제공하여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키와 세션을 신규로 생성한 후, 상기 세션 정보를 멀티세션관리부에 저장하여, 이후에 상기 인증한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멀티세션관리부를 포함하는 응용서버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기능;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 해석 결과에 따라 세션키를 추출하고, 상기 세션키 추출 결과에 따라 세션을 검색하여 세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에서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면 응용컴포넌트 호출시 정보로 제공하여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키와 세션을 신규로 생성한 후,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에 저장하여, 이후에 상기 인증한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응용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일예로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서버는 크게 단말기의 요청 수신과 결과 반환을 관리하는 요청송수신부(111)와 요청에 대한 처리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요청관리부(112)를 포함하는 요청처리기(110)와, 사용자 단말기의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관리하는 프로파일관리부(121), 다중 단말기간 세션관리와 가상쿠키를 관리하는 멀티세션관리부(122), 세션의 생성 및 소멸을 관리하는 세션관리부(123), 응용 컴포넌트의 호출을 관리하는 컴포넌트관리부(124), 컨텐츠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변환부(125),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126), 응용컴포넌트를 저장하는 컴포넌트저장소(127)를 포함하는 응용처리기(120)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유선단말기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하며, 웹서버는 응용서버의 요청처리기(110)의 요청송수신부(111)와 접속하여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무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을 거쳐 웹서버에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고, 유선단말기(101)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한다.
유선 단말기(100) 또는 무선 단말기(101)의 서비스 요청을 받은 웹서버는 인터넷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HTTP를 이용하여 응용서버의 요청송수신부(111)에 전달하고 요청송수신부(111)는 다시, 요청관리부(112)에 인터넷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면, 요청관리부(112)는 인터넷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HTTP 헤더 정보를 해석하는 프로파일관리부(121)에 전달하고, 프로파일관리부(121)는 전화번호, 단말기의 쿠키 지원 여부, 쿠키 등의 HTTP 헤더 정보를 해석하여(201), 전화번호 존재여부를 판단한다(202). 상기 판단 결과(202),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접속한 경우로 상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아이디를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203),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말기로 접속한 경우로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아 사용자를인증한다(204).
이후, 프로파일관리부(121)는 HTTP 헤더 정보를 해석하여 얻어진 쿠키에서 세션키를 추출한다(205). 상기 과정을 마치면 프로파일관리부(121)는 단말기의 쿠키지원여부, 세션키 및 사용자아이디를 HTTP 헤더 해석 결과로서 요청관리부(112)로 반환한다. 그러면, 요청관리부(112)는 프로파일관리부(121)로부터 반환받은 HTTP 헤더 해석 결과에 세션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206), 세션키가 존재하면 세션관리부(123)에 상기 세션키를 기반으로 세션 검색을 요청하고, 세션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멀티세션관리부(122)로 세션키 검색을 요청한다.
그러면, 세션키 검색을 요청받은 멀티세션관리부(123)는 먼저 가상쿠키에서 세션키를 추출하여(207) 세션키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208), 세션키가 존재하면 세션관리부(123)에 상기 세션키를 기반으로 세션 검색을 요청하고, 세션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멀티세션에서 세션키를 추출하여(209) 세션키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210). 상기 확인 결과, 세션키가 존재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변경하여 접속한 경우이며, 세션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처음으로 접속한 요청이다. 멀티세션관리부(122)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변경하여 접속한 경우에 멀티세션에서 추출한 세션키를 기반으로 세션관리부(123)에게 세션 검색을 요청하여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세션을 검색할 것을 요청받은 세션관리자(123)는 요청관리부(121) 또는 멀티세션관리자(123)로부터 넘겨받은 세션키를 기반으로 세션을 검색하여(211) 세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212), 세션이 존재하면 상기 세션은 컴포넌트관리부(124)를통해 응용 컴포넌트(Component)를 호출할 때 정보로 제공되며, 호출을 받은 컴포넌트관리부(124)는 컴포넌트저장소(127)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 응용 컴포넌트를 호출하여(213) 요청 페이지를 생성한 후, 컨텐츠변환부(125)에 반환한다(214). 컨텐츠변환부(214)는 컴포넌트관리부(124)로부터 받은 요청 페이지를 단말기에 맞게 변형한 후 요청관리부(112)에 반환하고, 요청관리부는 다시 요청송수신부(111)에 반환하여 최종적으로 웹서버를 거쳐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에 결과를 반환한다(215). 상기 판단 결과(212),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한이 만료된 세션이며, 따라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접속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가 처음으로 접속한 요청인 경우에는 멀티세션관리부(123)의 멀티세션 검색 결과 세션키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세션관리부(123)에게 세션과 세션키의 생성을 요청하고, 세션관리부(123)는 세션을 생성한 후, 이후에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멀티세션관리부(122)에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더불어 세션키를 저장하도록(216) 요청한다. 이후, 상기 HTTP 헤더 해석 결과(201) 중 단말기의 쿠키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217) 단말기가 쿠키를 지원하면, 세션관리부(123)는 요청관리부(112)에 사용자 요청에 대한 응답 헤더에 쿠키를 저장(218)하도록 요청하고, 단말기가 쿠키를 지원하지 않으면 사용자 아이디와 세션키를 멀티세션관리부(122)의 가상쿠키에 저장(219)하도록 요청한다.
다른 일예로, 사용자가 처음으로 접속한 요청 또는 기한이 만료된 세션인 경우에 멀티세션관리부(123)는 세션관리부(123)에게 세션과 세션키의 생성을 요청하고, 세션관리부(123)는 세션을 생성한 후, 이후에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유지시키기 위하여 멀티세션관리부(122)에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더불어 세션키를 저장하도록(216) 요청한다. 또한, 사용자 아이디와 세션키를 멀티세션관리부(122)의 가상쿠키에 저장(219)하도록 요청한다. 이후, 상기 HTTP 헤더 해석 결과(201) 중 단말기의 쿠키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217) 단말기가 쿠키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세션관리부(123)는 요청관리부(112)에 사용자 요청에 대한 응답 헤더에 쿠키를 저장(218)하도록 요청한다.
이후 과정은, 프로파일관리부(121) 또는 멀티세션관리부(123)로부터 추출된 세션키를 기반으로 세션을 검색한 때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상기 생성된 세션은 컴포넌트관리부(124)를 통해 응용 컴포넌트(Component)를 호출할 때 정보로 제공되며, 호출을 받은 컴포넌트관리부(124)는 컴포넌트저장소(127)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 응용 컴포넌트를 호출하여(213), 요청 페이지를 생성한 후, 컨텐츠변환부(125)에 반환한다(214). 컨텐츠변환부(214)는 컴포넌트관리부(124)로부터 받은 요청 페이지를 단말기에 맞게 변형한 후 요청관리부(112)에 반환하고, 요청관리부는 다시 요청송수신부(111)에 반환하여 최종적으로 웹서버를 거쳐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에 결과를 반환한다(21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 등이 하나의 단말기에만 일관된 세션을 서비스하던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가 여러 단말기를 가지고 동일한 인터넷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쿠키나 URL 재작성 등의 처리를 위한 리소스(Resource)가 열악한 경우에도 응용서버 상에서 가상쿠키를 운영함으로써 인터넷 업무 처리에 이용하는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 해석 결과에 따라 세션키를 추출하고, 상기 세션키 추출 결과에 따라 세션을 검색하여 세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면 응용컴포넌트 호출시 정보로 제공하여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키와 세션을 신규로 생성한 후, 상기 세션 정보를 멀티세션관리부에 저장하여, 이후에 상기 인증한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로부터 전화번호, 쿠키, 상기 단말기의 쿠키 지원 여부를 해석하여 전화번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아이디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헤드 정보를 해석한 결과, 쿠키가 존재하면 쿠키에서 세션키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상기 헤드 정보를 해석한 결과, 쿠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에서 세션키를 추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 또는 상기 제 6 단계에서 추출된 세션키를 기반으로 세션을 검색하여 세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의 가상쿠키에서 사용자 아이디를 기반으로 세션키를 추출하여 세션키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키가 존재하면 상기 제 7 단계로 진행하고, 세션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의 멀티세션에서 사용자 아이디를 기반으로 세션키를 추출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세션관리부를 통해 세션을 신규로 생성하여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의 멀티세션에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세션키를 저장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헤드 정보를 해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쿠키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쿠기를 지원하면 응답 쿠키에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가 쿠키를 지원하지 않으면 멀티세션관리부의 가상쿠키에 사용자 아이디와 세션키를 저장하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도 가상쿠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세션관리부를 통해 세션을 신규로 생성하여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의 멀티세션에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세션키를 저장하는 제 10 단계;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의 가상쿠키에 사용자 아이디와 세션키를 저장하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도 가상쿠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헤드 정보를 해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쿠키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쿠기를 지원함을 확인하여 응답 쿠키에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7. 멀티세션관리부를 포함하는 응용서버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받은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 1 기능;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드 정보 해석 결과에 따라 세션키를 추출하고, 상기 세션키 추출 결과에 따라 세션을 검색하여 세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에서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면 응용컴포넌트 호출시 정보로 제공하여 다중 단말기간 세션을 유지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의 판단 결과,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키와 세션을 신규로 생성한 후,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멀티세션관리부에 저장하여, 이후에 상기 인증한 사용자의 다중 단말기간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68720A 2002-11-07 2002-11-07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KR10047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20A KR100477798B1 (ko) 2002-11-07 2002-11-07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JP2003153409A JP2004157973A (ja) 2002-11-07 2003-05-29 異なる端末器間のセッション保持方法
JP2006229412A JP2007035053A (ja) 2002-11-07 2006-08-25 異なる端末器間のセッション保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720A KR100477798B1 (ko) 2002-11-07 2002-11-07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58A true KR20040040558A (ko) 2004-05-13
KR100477798B1 KR100477798B1 (ko) 2005-03-22

Family

ID=3282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720A KR100477798B1 (ko) 2002-11-07 2002-11-07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2004157973A (ko)
KR (1) KR100477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98B1 (ko) * 2006-10-31 2007-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에스디엔에서 비유에이 세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95546B1 (ko) * 2007-01-23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3655B2 (ja) * 2006-09-07 2011-05-18 株式会社三菱東京Ufj銀行 アクセス中継装置、アクセス中継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中継方法
JP5565027B2 (ja) * 2010-03-26 2014-08-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7903A2 (en) * 1991-10-02 1993-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system
US5889958A (en) * 1996-12-20 1999-03-30 Livingston Enterprises, Inc.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nd process
KR19990027483A (ko) * 1997-09-30 1999-04-15 전주범 주문형 비디오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사용자-대-네트워크 프로세서 운영방법
KR100379459B1 (ko) * 1999-02-12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US6751654B2 (en) * 1999-03-31 2004-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ulating web cookies for non-cookie capable browsers
JP2002091851A (ja) * 2000-09-12 2002-03-29 Toshiba Corp 情報提供方法および中継サーバ装置
KR100452834B1 (ko) * 2002-05-17 2004-10-15 주식회사 로커스 유무선 인터넷 연동 서비스를 위한 통합 세션 관리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98B1 (ko) * 2006-10-31 2007-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에스디엔에서 비유에이 세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95546B1 (ko) * 2007-01-23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35053A (ja) 2007-02-08
KR100477798B1 (ko) 2005-03-22
JP2004157973A (ja)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3469C (zh) 在多通道上共享应用程序会话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US6996622B2 (en) Session managing method, session managing system, and program
US7277408B2 (en) Shared application access for data service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s
KR20180091708A (ko) 패킷 기반 데이터 통신의 디바이스 식별자 의존적 오퍼레이션 프로세싱
US200300615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ingle-sign-on mechanism withi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ASP) aggregation
US20010047477A1 (en) Transparent user and session management for web applications
US200801551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based synchronization between endpoints in a web-based real time collaboration
US20080189427A1 (en) Enabling Access To An Application Through A Network Portal
US8665860B2 (en) Re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ing service
KR20100048571A (ko) 다중 사용자-다중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354369B1 (ko)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억 매체
US20120246258A1 (en) Http-based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12696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user activity at website
JP2010539559A (ja) ウェブページのコンテンツをプレゼンス情報で充実させるための方法
CN103095859A (zh) 多域名会话信息共享方法和系统
JP4009591B2 (ja) データベー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ドメインネーミングシステム(dns)
US803706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user activity at website
JP5732732B2 (ja) 認証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0477798B1 (ko) 다중 단말기간 세션 유지 방법
US8250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a web services address
US20060288212A1 (en) Transparent user and session management for web applications
CN106790176B (zh) 一种访问网络的方法及系统
US20080033961A1 (en) Electronic Document Browsing
JP2002342270A (ja) 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方法、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KR100461730B1 (ko) 다양한 무선 단말 지원을 위한 모바일 응용 서버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