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500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500A
KR20040040500A KR1020020068630A KR20020068630A KR20040040500A KR 20040040500 A KR20040040500 A KR 20040040500A KR 1020020068630 A KR1020020068630 A KR 1020020068630A KR 20020068630 A KR20020068630 A KR 20020068630A KR 20040040500 A KR20040040500 A KR 2004004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broadcast
data
user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남윤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500A/ko
Publication of KR2004004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장르의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여 송출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장르만을 설정하여 설정한 장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데 있어서,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태의 수신 표시를 해 줌으로써 시청자가 데이터 정보 수신시에 그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대해서 인지하고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the operating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 사회는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정보 통신 분야와 전자, 인터넷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종래 단순 접촉에 의한 정보의 확산에서 유, 무선의 매개체를 이용하여 정보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근래에는, 각 가정 마다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텔레비젼 방송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디지털 텔레비젼이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 축적 매체 및 정보 제공의 매체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이란 디지털로 전송하는 텔레비젼 방송의 총칭을 말한다. 미국에선 ATV(Advanced television)라 불리는 차세대 텔레비젼에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유럽에서는 스웨덴방송 등의 HD DIVINE, 영국의 SPECTRE, 프랑스 방송의 DIAMOND 등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디지털 텔레비젼은 B-ISDN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세대 텔레비젼 방식으로 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스트림(stream)은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는 ATVEF(Advanced Television Enhancement Forum)의 HTML,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의 XDML과 같은 마크업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정보와, DASE의 Xlet과 같은 자바 기반의 데이터 정보 등이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대비해서 많은 업체들이 디지털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셋탑박스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후, 디지털 텔레비젼의 이용이 보편화 되었을 경우에, 가장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데이터 방송과 관련된 사항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방송을 위한 수신 방식에 대한 규정(specification)이 정의되어 있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는 고화질, 고음질의 AV(오디오/비디오) 방송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부가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방송은 크게 두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현재 진행중인 AV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내용의 데이터 방송을 종속적 데이터 방송이라고 하고, 상기 현재 진행중인 AV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이 없는 데이터 방송을 독립적인 데이터 방송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V 방송으로 월드컵 경기를 시청하고 있다고 하자.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은 상기 월드컵 경기와 관련하여 월드컵 경기의 역사, 역대 전적, 선수 정보와 프로필, 경기 진행 현황 등의 정보 방송으로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기 AV 방송과 관련있는 내용의 데이터 방송이다.
이외에도,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은 드라마 정보, 프로그램 내용의 줄거리, 영화 정보, 연예인 또는 배우 정보, 촬영 장소에 대한 소개, 심지어는 주인공들이 입고 있는 옷이나 소품들의 쇼핑 정보 등과 같이 진행중인 다양한 AV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은 날씨 정보, 주식 정보, 기상 정보, 지역 정보, 방송표 등과 같이 현재 방송되고 있는 AV 방송과 상관없이 별개의 내용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방송을 실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보면,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과 독립적 데이터 방송의 개수가 많아졌으나 사용자는 여전히 제공되는 서비스 범위 내에서 선택해야 하는 수동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의 경우에 청취자 개개인의 다양한 기호와는 무관하며,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의 경우에도 한정된 콘텐츠(contents)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권리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대와 같이 정보화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를 맞아, 자신의 기호에 맞는 정보를 찾고 수집하는 것에 많은 비중을 두는 성향이 있는 인터넷 사용자를 고려해 볼 때, 자신의 기호에 맞지 않는 제한된 데이터 방송은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즉, 다양한 문화 속에 다양한 개인의 기호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를 만족시켜주지 못함으로써 데이터 방송이 활성화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데이터 정보의 수신을 알려주는 방법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종속적 데이터 방송과 독립적 데이터 방송의 수신 여부에 상관없이 화면의 일부에 정보가 수신되고 있다는 아이콘을 단순히 표시해 주는데 그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려줄 수는 있으나, 그 방송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는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
본 발명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장르의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여 송출하고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장르만을 설정하여 설정한 장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데 있어서,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태의 수신 표시를 해 줌으로써 시청자가 데이터 정보 수신시에 그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대해서 인지하고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고 있음을 각각의 데이터 방송 종류에 따라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아이콘의 일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방송국110 : 공중파
120 : 데이터 방송 수신기130 : 디지털 텔레비젼
140 : 리모콘
200 : 종속적 데이터 방송 수신표시부
210 : 독립적 데이터 방송 1 수신 표시부
220 : 선택적으로 수신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2 수신 표시부
300 : 종속적 데이터 방송 수신 표시부
310 : 독립적 데이터 방송 1,2 수신 표시부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서, 방송국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장르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국에서 송신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중에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장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은 일정 주기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종속적 데이터 방송과 독립적 데이터 방송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방송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아이콘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을 구분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은 AV 방송과 관련이 없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Ⅰ과 방송국에서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제작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로 더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국(100)은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제작된 콘텐츠 예를 들어, 영화 콘텐츠, 낚시 콘텐츠, 음악 콘텐츠, 스포츠 콘텐츠 등을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 업체와의 계약에 의해서 공급하여 공중파(110)를 통해 송출한다.
각 가정 내의 데이터 방송 수신기(120) 예를 들어, 셋톱 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장르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 콘텐츠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기(120)에 수신되어 저장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은 사용자의 간단한 리모콘(140) 조작으로 추출되어 디지털 텔레비젼(13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에서는 공중파(11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는 위성을 경유하여 전송될 수도 있으며 지역 케이블 텔레비젼 사업자에 의해서 유선으로 송출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기(120) 즉, 셋톱 박스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가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요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수신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 요소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 (예를 들어, 하루 단위)마다 사용자가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장르를 새롭게 갱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방송국(100)에서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의 송신은 종속적 데이터 방송 송신의 사이사이에 하되, 종속적 데이터 방송의 송수신에 지장이 없는 간격으로 한다.
가령, 종속적 데이터 방송과 독립적 데이터 방송가 동일한 주파수대를 함께 사용한다면 각각 다른 시각에 송신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하, 상기 시청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제작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로 구성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라고 호칭하며, 종래에 방송과 상관없이 제작되어진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이라고 편의상 호칭한다.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Ⅰ은 방송과 상관없이 제작되어진 정보로써 예를 들어, 방송 시간표, 날씨, 뉴스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는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Ⅰ과 같이 방송과 상관없이 제작되어진 정보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Ⅰ이 누구나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내용에 대한 데이터 방송인 반면에, 사용자가 개벽적으로 선호하는 장르에 대한 데이터 방송 예를 들어, 금융 정보, 레져, 영화 데이터 방송에 대해서 사용자가 신청함으로써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이 신청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만 수신되어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방송국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를 제작하여 송신한다(S100).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는 영화 콘텐츠, 낚시 콘텐츠, 음악 콘텐츠, 스포츠 콘텐츠, 레져 콘텐츠 등의 다양한 장르를 포함한다.
이는 방송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외부 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방송용 콘텐츠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자신의 기호에 맞는 장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장르를 설정한다(S110).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설정을 마치면, 상기 방송국으로 부터 송신되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가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설정에 따라 설정된 장르에 대해서만 수신하여 저장한다(S120).
이 때,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AV 방송과 함께 상기 AV 방송과 함께 송신되는 종속적 데이터 방송 및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도 수신된다.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 및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Π모두 서로의 송수신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송신한다.
한편,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Ι,Π)은 현재 진행중인 AV 방송과 상관없는 내용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 또는 제 3자가 설정한 갱신 주기(예를 들어, 하루 단위, 12시간 단위) 마다 1회만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수신 및 저장되도록 하므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의 송신은 종속적 데이터 방송 송신의 사이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방송의 수신 및 저장이 끝나면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을 보기 위하여 사용자 조작하여 종속적 데이터 방송 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 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시청을 선택한다(S13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을 추출하여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예를 들어, 독립적 데이터 방송 2의 다양한 장르 (영화, 낚시, 음악, 스포츠, 레포츠 등) 중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영화와 음악 장르에 대한 콘텐츠만을 수신하도록 설정해 놓으면,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다양한 장르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 중에서 영화와 음악에 대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만을 수신하여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저장하게 되며 이는 일정 주기마다 갱신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하여 리모콘 조작하여 선택하면 디지털 텔레비젼 화면에 상기 영화와 음악에 대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방송국으로부터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200).
상기 방송국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AV 방송과 관련이 있는 데이터 방송이 있을 경우에 종속적 데이터 방송을 송신하며, 상기 AV 방송과 상관없이 제공되는 종래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로 구성되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를 각각 송신한다.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 및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은 사용자의 기호에 상관없이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으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하며,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는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원하는 장르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콘텐츠만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하여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독립적 데이터 방송인지 판단한다(S210).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독립적 데이터 방송이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한 장르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인지 판단한다(S220).
즉,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제작되어 송신된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설정한 장르에 대한 데이터 방송인지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장르에 대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이면 'd3'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230).
상기 'd3' 아이콘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소정의 표시 마크이다.
상기에서 수신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가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콘텐츠가 아닌 종래에 AV 방송과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인 경우에 'd2'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250).
상기 'd2' 아이콘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이 수신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소정의 표시 마크이다.
한편,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독립적 데이터 방송이 아니라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종속적 데이터 방송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d1'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240).
상기와 같이 종속적 데이터 방송,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를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d'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고 난 후,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을 보기 위해 사용자 조작하여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방송 즉, 종속적 데이터 방송 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를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추출하여 디지털 텔레비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26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고 있음을 각각의 데이터 방송 종류에 따라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d'아이콘의 일 실시예이다.
상기 'd' 아이콘은 아이콘 가운데 원(d1) 모양의 중앙에 알파벳 소문자 d 모양이 새겨지도록하고, 상기 원 모양의 둘레로 2개의 고리(210, 220)를 순서대로 구비한다.
상기 가운데 원 모양은 데이터 방송 중 종속적 데이터 방송의 수신을 알려주는 'd1' 아이콘(200) 표시이고, 그 주변부의 둘레에 고리 모양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의 수신을 알려주는 'd2' 아이콘(210) 표시이고, 그 다음의 가장 바깥의 고리 모양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수신을 알려주는 'd3' 아이콘(220) 표시이다.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 각각의 수신 여부에 따라 각 원과 고리(200, 210, 220)는 색의 반전이 일어나거나 회전됨으로써 종속적 데이터 방송 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또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 텔레비젼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고 있음을 각각의 데이터 방송 종류에 따라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d'아이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d' 아이콘은 아이콘 가운데 원(d1, 300) 모양의 중앙에 알파벳 소문자 d 모양이 새겨지도록하고, 상기 원 모양의 둘레로 고리(d2, d3)(310)모양으로 구성한다.
상기 가운데 원 모양은 데이터 방송 중 종속적 데이터 방송의 수신을 알려주는 'd1' 아이콘(300) 표시이고, 상기 원 주변부의 둘레에 고리 모양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과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수신을 알려주는 'd2' 아이콘, 'd3' 아이콘 을 하나의 아이콘(310)으로 차별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을 때 원(300)이 회전하거나 색이 반전됨으로써 상기 종속적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고,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이 수신되었을 때 고리 모양(310)이 깜박이거나 색이 반점되면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고,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가 수신되었을 때는 상기 고리 모양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Ι의 표시 마크와 구별되도록 하여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 텔레비젼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설정해 놓은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의 수신 여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양이 많아 수신 및 저장, 로딩시간이 길어질 경우에도 다른 방송을 시청하면서 수신 및 저장, 로딩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호칭하는 명칭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서 시청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능동적으로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수요가 높아지고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사용이 증대되며 상기 시청자의 수요 급증으로 데이터 방송 콘텐츠의 제작량 및 질의 향상을 가져와 콘텐츠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양한 장르의 데이터 방송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데이터 방송만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관심있는 분야의 정보를 수시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의 정보화를 촉진시키고 다양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콘텐츠의 전문화, 유료화로 인해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방송 수신기의 저장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방송국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장르의 독립적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국에서 송신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중에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 장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을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은 일정 주기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3.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종속적 데이터 방송과 독립적 데이터 방송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방송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아이콘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을 구분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독립적 데이터 방송은 AV 방송과 관련이 없는 독립적 데이터 방송Ⅰ과 방송국에서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제작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한 독립적 데이터 방송 Π로 더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020068630A 2002-11-07 2002-11-07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040040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30A KR20040040500A (ko) 2002-11-07 2002-11-07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30A KR20040040500A (ko) 2002-11-07 2002-11-07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00A true KR20040040500A (ko) 2004-05-13

Family

ID=3733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630A KR20040040500A (ko) 2002-11-07 2002-11-07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5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06B1 (ko) * 2005-06-0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이콘을 이용한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KR100714449B1 (ko) * 2004-09-16 2007-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맞춤형데이터 방송 서비스 사용 방법 및 사용자 단말과 이를 위한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구조
WO2008041827A1 (en) * 2006-10-02 2008-04-10 Dreame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data contents for digital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297A (ja) * 1998-02-04 1999-08-17 Hitachi Ltd 受信装置
KR20000038937A (ko)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프로그램 장르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1157169A (ja) * 1999-11-25 2001-06-0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ダイジェスト録画制御方法
KR20020030809A (ko) * 2000-07-10 2002-04-25 요트.게.아. 롤페즈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72365A (ko) * 2001-03-09 2002-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 부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297A (ja) * 1998-02-04 1999-08-17 Hitachi Ltd 受信装置
KR20000038937A (ko) * 1998-12-10 2000-07-05 윤종용 프로그램 장르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1157169A (ja) * 1999-11-25 2001-06-0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ダイジェスト録画制御方法
KR20020030809A (ko) * 2000-07-10 2002-04-25 요트.게.아. 롤페즈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72365A (ko) * 2001-03-09 2002-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 부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49B1 (ko) * 2004-09-16 2007-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맞춤형데이터 방송 서비스 사용 방법 및 사용자 단말과 이를 위한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구조
KR100713406B1 (ko) * 2005-06-0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아이콘을 이용한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WO2008041827A1 (en) * 2006-10-02 2008-04-10 Dreame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data contents for digital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9024B2 (ja) 電子通知装置及び電子通知方法
US5210611A (en) Automatic tuning radio/TV using filtered seek
EP1641266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music
US20020083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prompted, context-sensitive querying during a televison broadcast
US200201479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aching supplemental content related to a television broadcast using unprompted, context-sensitive querying
JP4574946B2 (ja) 情報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3514462A (ja) 放送電子番組ガイドテンプレートを作成・利用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ソフトウェア
JP2003510981A (ja) 内容と視聴者プロファイルに基づき番組を示唆する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US8079058B2 (en) Broadcasting and processing multiple data formats
JP2002335463A (ja) 放送受信機
JP4619617B2 (ja) 主題別の映像音声番組シーケンスを受信・表示する方法及び受信機
JP200410452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3960805B2 (ja) チャンネル選択制御装置、チャンネル選択制御法およびチャンネル選択制御プログラム
KR2004004050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US201403803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generating a channel
KR100319869B1 (ko) 방송 신호 선택방법
KR20010092727A (ko) 수신가능 프로그램들에 대해 어드바이스하기 위한 장치 및그 방법
KR20050030694A (ko) 텔레비젼의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88387B1 (ko) 방송프로그램 메타데이터에 기반한 실시간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방법
EP1763245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therefor
JP2003153105A (ja) チャンネル切替装置、チャンネル切替方法、チャンネル切替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101325242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vod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091990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다운로드 방법
EP0681775B1 (en) Automatic tuning radio/tv using filtered seek
KR1007475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데이터 방송 표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