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219A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219A
KR20040040219A KR1020020068567A KR20020068567A KR20040040219A KR 20040040219 A KR20040040219 A KR 20040040219A KR 1020020068567 A KR1020020068567 A KR 1020020068567A KR 20020068567 A KR20020068567 A KR 20020068567A KR 20040040219 A KR20040040219 A KR 2004004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filter
ventilation
air conditio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219A/ko
Publication of KR2004004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21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10)에 형성된 환기공(116)을 환기도어(119)가 개폐한다. 상기 환기공(116)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118)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118)에는 그 일단부 양단에 힌지핀(118p)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118p)은 상기 환기도어(119)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119h)에 안착되어 필터(118)에 환기도어(119)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환기도어(119)는 와이어(w)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는 상기 환기도어(119)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노브(148)에 연결된다. 상기 노브(148)는 베리어(110)의 장착플랜지(114f)에 장착되는 노브가이드(145)의 가이드채널(146)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46)은 상기 노브가이드(14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그 양단부의 양측벽에 각각 스톱퍼(146s)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146s)와 대응되는 걸이홈(149')은 상기 노브(148)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환기도어의 개폐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어 환기도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진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Ventillation door mount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환기를 수행하기 위한 환기도어를 장착하는 환기도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예로서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선단측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공기조화기의 후단측은 외부공간으로 노출된다.
특히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선단측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후단측은 배면만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공기조화기의 내부 실외측으로 실외공기가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베이스팬(1)이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팬(1)은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베리어(3)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3)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베리어(3)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측벽(5,5')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측벽(5,5')의 사이에는 구획측벽(6)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측벽(6)은 상기 베리어(3)와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리어(3)에 의해 구획되는 실내측을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구획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7)을 구동하는 모터(19)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7은 상기 베리어(3)에 형성된 환기공이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선단에는 응축수받이(9)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받이(9) 상에는 실내열교환기(11)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단은 열교환기커버(1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는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3)에는 그 하부로 연장되게 히터(15)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15)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배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후방에는 실내팬(17)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은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과 구획측벽(6)의 사이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상기 실내팬(17)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실내팬(17)의 일단부는 상기 베리어(3)의 단부측벽(5)에 구비되는 보조판(18)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획측벽(6)에 형성된 장착공(6')에 설치되는 모터(19)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실내팬(17)이 설치되는 상기 베리어(3)의 내측에는 스크롤(2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21)은 상기 실내팬(17)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외관을 전면패널(2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23)에는 그 전면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입그릴(24)이 구비되고, 그 전면 상단에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부(24')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24')에는 상기 스크롤(21)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토출안내부재(27)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부재(27)는 상기 열교환기커버(13)의 상단에 대응되는 상기 토출부(24')에 설치되는 것으로, 토출부(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29)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3)에 의해 구획되는 실외측과 실내측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실외측의 신선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보내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리어(3)에는 환기공(30)이 구비된다. 상기 환기공(30)에는 공기중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32)가 설치되고, 상기 환기공(30)에는 환기도어(34)가 설치되어 환기공(30)을 개폐한다. 이때, 상기 필터(32)는 상기 환기공(30)에 나사로 체결되고, 상기 환기도어(34)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베리어(3)에 형성된 구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내측 일부를 포함하는 외관을 슬리이브(36)가 형성한다. 상기 슬리이브(36)는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면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38)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8)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열을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8)를 둘러싸도록 쉬라우드(40)가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40)는 슬리이브(36)의 배면 양단을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38)를 골고루 통과하게 한다.
상기 쉬라우드(40)의 내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실외팬(42)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팬(42)은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 모터마운트(44)에 장착된 모터(46)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외측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48)가 설치되고, 베리어(3)와 쉬라우드(40)는 브레이스(49)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은 상면판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환기공(30)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확하는 필터(32)와 상기 환기공(30)을 개폐하는 환기도어(34)는 별개로 상기 베리어(3)에 장착된다. 즉,상기 필터(32)는 나사로 상기 베리어(3)에 체결되고, 상기 환기도어(34)는 상기 베리어(3)에 형성된 힌지구조(도시되지 않음)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도어(34)의 개폐를 위한 힌지구조를 상기 베리어(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베리어(3)에 힌지구조를 일체로 형성하면 상기 베리어(3)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를 통해 실내측과 실외측 사이의 공기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힌지구조를 별도로 형성하여 베리어(3)에 장착하게 되면, 베리어(3)를 제작한 후, 힌지구조를 별도로 장착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베리어(3)의 제작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기장치의 조립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리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도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비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하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환기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환기도어와 필터 사이의 연결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가이드와 노브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가이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브가이드가 베리어에 장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환기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팬110: 베리어
112: 배면판114,114': 단부측판
116: 환기공118: 필터
119: 환기도어120: 콘트롤부베리어
120': 배면판121: 측면판
122: 콘트롤박스123: 콘트롤패널
125: 스크롤126: 단열스크롤
128: 스크롤커버130: 실내팬
140: 보조공기안내부재145: 노브가이드
146: 가이드채널146s: 스톱퍼
147: 와이어안내부148: 노브
148': 구동돌기149: 가이드턱
149': 걸이홈150: 실내모터
152: 모터브라켓160: 실내열교환기
162: 응축수받이165: 열교환기커버
168: 히터170: 전면패널
172: 전면그릴174: 토출구
176: 토출그릴179: 콘트롤패널부
180: 실외모터184: 실외팬
186: 쉬라우드187: 실외열교환기
188: 압축기190: 슬리이브
192: 배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일측에 실내측과 실외측을 연통시키는 환기공이 천공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환기공에 장착되어 환기공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환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환기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상기 환기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베리어에 체결되고, 상기 필터의 일측 양단에 힌지핀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힌지핀과 대응되는 환기도어의 위치에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는 힌지공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도어는 상기 환기공을 차폐하였을 때, 상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힌지공이 구비되어 그 반대쪽의 자유단부가 상기 힌지공에 삽입된 필터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에 의하면 환기도어를 필터에 장착한 상태로 필터를 베리어에 고정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베리어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하면서도 베리어에 공기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도어 장착구조가 채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팬(100)은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소정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베이스팬(100)의 바닥면은 장착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팬(100)을 횡으로 가로질러 베리어(11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10)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을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상기 베리어(110)의 배면판(112)은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부분이고, 상기 배면판(112)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측판(114,144')이 구비된다. 상기 단부측판(114,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팬(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단부측판(114,144')의 선단에는 상하로 길게 장착플랜지(114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114f)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측판(114,114')의 선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112)에는 실외측의 공기를 실내측으로 도입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환기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공(116)에는 환기공(116)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118)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18)는 상기 환기공(116)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베리어(110)의 배면판(112)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필터(118)의 체결을 위한 상기 필터(118)와 배면판(112)에는 각각 체결공(118h)(112h)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118)의 상부 양단(도 4기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환기도어(119)의 개폐를 위한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핀(118p)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118w는 와이어(w)가 통과되는 와이어통과공이다.
상기 환기공(116)은 환기도어(119)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환기도어(119)는 와이어(w)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118)의 힌지핀(118p)을 중심으로 개폐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환기도어(119)에는 상기 힌지핀(118p)이 안착되는 힌지공(119h)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환기도어(119)는 상기 힌지핀(118p)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자유단부가 상하로 승강되게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상기 베리어(110)의 일단부에는 콘트롤부베리어(120)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부베리어(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콘트롤박스(122)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10)와 콘트롤부베리어(120)에 의해 공기조화기 전체 공간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된다.
상기 콘트롤부베리어(120)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122)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22)에는 각종 다이얼과 버튼이 장착되는 콘트롤패널(123)이 구비되고, 상기 콘트롤패널(12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패널(170)의 콘트롤패널부(179)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에는 실내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롤(125)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롤(125)은 크게 단열스크롤(126)과 스크롤커버(128)로 구성된다. 하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열스크롤(126)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스크롤커버(128)는 실내팬(13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실내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26',128'은 상기 베리어(110)의 환기공(116)과 대응되는 환기공이다.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크롤커버(128)와 대응되는 상기 베리어(110)의 내부에는 실내팬(13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30)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원동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실내팬(130)은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된 시로코팬이다.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과 대응되는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 내면에는 보조공기안내부재(1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공기안내부재(140)에는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부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요입곡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곡면(142)은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부 상면과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실내팬(130)의 양단과 상기 베리어(110)의 단부측판(11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C)를 차폐하여 실내팬(1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단부측판(114)의 내면 근처로 분산되고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일측 장착플랜지(114f)에는 상기 환기도어(119)의 구동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장착플랜지(114f)에,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노브가이드(145)가 장착된다. 상기 노브가이드(145)는 가이드몸체(145')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을 관통하여 가이드채널(1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46)의 양단 내측벽에는 상기 가이드몸체(145')를 관통하여 가이드슬롯(1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46)의 양단 내측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248)의 설치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146s)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146s)의 위치는 도 7과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톱퍼(146s)는 상기 가이드채널(146)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스톱퍼(146s)가 각각 상기 환기도어(119)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개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몸체(145')의 양단에는 노브가이드(145)를 장착플랜지(114f)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145h)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가이드(145)의 일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148)와 연결된 와이어(w)가 가이드몸체(145')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147)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안내부(147)는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반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46)의 내부에는 노브(148)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브(148)는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노브(148)의 상면에는 구동돌기(14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돌기(148')에는 사용자가 상기 환기도어(119)의 개폐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다. 상기 부재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노브(148)의 양단에는 가이드턱(149)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턱(149)은 상기 가이드슬롯(146')에 안착되어 노브(148)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턱(149)의 상단에는 상기 노브가이드(145)에 형성된 스톱퍼(146s)에 대응되게 걸이홈(14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149')은 상기 스톱퍼(146s)가 안착되게 하여 상기 노브(148)가 상기 노브가이드(145)에 대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팬(130)은 상기 일측 단부측판(114')에 장착되는 실내모터(15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실내모터(150)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이 상기 단부측판(114')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팬(13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실내모터(150)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모터브라켓(152)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모터브라켓(152)은 상기 실내모터(150)의 배면, 즉 회전축이 구비된 반대쪽과 대응되는 배면지지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배면지지부(154)는 상기 실내모터(150)의 배면과 적어도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155)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지지부(154)에서 상기 실내모터(1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레그(156)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레그(156)는 상기 배면지지부(154)의 둘레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레브(156)의 선단부는 상기 단부측판(114')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실내팬(130)의 전방에 해당되는 실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기 베이스팬(100)상에 설치된 응축수받이(162)에 지지된다. 상기 응축수받이(16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모아 실외측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부에는 열교환기커버(165)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는 그 양단이 상기 베리어(110)의 장착플랜지(114f)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부를 차폐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는 히터(168)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68)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될 때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터(168)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배면, 즉 상기 실내팬(13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다.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그 일측이 삽입되게 차폐그릴(169)이 설치된다.상기 차폐그릴(169)은 상기 열교환기커버(165)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상기 실내팬(130)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이물이 삽입되는 것으로 차단하는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폐그릴(169)은 소정 굵기의 와이어를 격자모양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차폐그릴(169)은 아래에서 설명될 토출그릴(176)과 대응되는 위치이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정면에는 전면패널(17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전면에는 전면그릴(172)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그릴(172)을 통해서는 상기 실내팬(130)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으로 흡입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의 상단은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는 토출구(174)와 콘트롤패널부(17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74)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상기 토출구(174)에는 토출그릴(176)이 안착된다. 상기 전면패널(170)의 전면그릴(172) 후방에는 필터(178)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78)는 상기 전면그릴(17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베리어(110)에 의해 구획된 실외측에는 실외모터(18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모터(180)는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 안착된 모터마운트(182)에 장착된다. 상기 실외모터(180)의 회전축에는 실외팬(184)이 설치되어 상기 실외모터(180)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실외측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는 쉬라우드(186)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통공(186')이 형성되고,상기 통공(186')의 내측에 상기 실외팬(184)이 위치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의 내부에는 실외열교환기(187)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곳이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일면은 공기 조화기의 배면을 통해 실외를 바라보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188은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이고, 189는 상기 쉬라우드(186)와 베리어(110)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스이다.
슬리이브(190)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에 형성된 통공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슬리이브(19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내측 일부를 감싼다. 즉, 상기 슬리이브(190)는 그 선단이 상기 전면패널(170)과 대응되어 연결되고, 그 배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190)는 공기조화기의 상면, 양면 및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슬리이브(190)의 후단에는 배면부(192)와 후면그릴(194)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면부(192)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과 실외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하면서도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면그릴(194)은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실외열교환기(187)의 일단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190)의 양단과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는 통로가 구비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7)의 좌우폭을 상기 슬리이브(190)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함에의해 만들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환기도어(119)는 상기 베리어(110)에 형성된 환기공(116)을 개폐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중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환기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환기공(11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118)는 상기 베리어(1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112h)과 그 자신의 체결공(118h)에 나사가 체결됨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도어(119)는 상기 베리어(110)에 직접 장착되지 않고, 상기 필터(118)에 장착된다. 즉, 상기 필터(118)에 형성된 힌지핀(118p)이 상기 환기도어(119)의 힌지공(119h)에 안착되게 하여 상기 필터(118)에 환기도어(119)를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조립라인에는 상기 필터(118)와 환기도어(119)가 조립체의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필터(118)만을 베리어(110)에 장착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베리어(110)의 배면판(112)에는 상기 환기도어(119)의 설치를 위한 구성을 장착하거나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환기도어(119)가 개폐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노브가이드(145)는 상기 베리어(110)의 장착플랜지(114f)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 가이드채널(146)에는 상기 노브(148)가 안착된다. 상기 노브(148)는 그 가이드턱(149)이 상기 가이드슬롯(146')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148)에는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w)의 타단부는 상기 필터(118)의와이어통과공(118w)을 관통하여 환기도어(119)와 연결된다.
상기 노브(148)는 상기 노브가이드(145)의 가이드채널(146)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채널(146)의 특정 위치에 있게 됨에 의해 상기 와이어(w)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환기도어(119)가 개폐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이드채널(146)의 일단부에 상기 노브(148)가 위치하면 상기 환기도어(119)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110)의 후면에 직립되게 세워져 개방되고, 가이드채널(146)의 타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환기도어(119)가 상기 환기공(116)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148)가 상기 가이드채널(146)의 단부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 즉 상기 환기도어(119)가 개폐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상기 노브(148)의 걸이홈(149')에 상기 노브가이드(145)의 스톱퍼(146s)가 안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노브가이드(145)의 스톱퍼(146s)와 노브(148)의 걸이홈(149')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환기도어(119)가 자중이나 주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임의로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노브가이드(145)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안내부(147)는 상기 노브(148)의 이동에 따른 힘이 상기 와이어(w)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와이어안내부(147)에 의해 와이어(w)가 곧게 펴져 있어 상기 노브(148)의 이동에 따른 힘이 보다 확실하게 와이어(w)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에서는 베리어에 형성된 환기공에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 형성된 힌지핀에 환기도어의 힌지공이 삽입된다. 따라서 베리어에 환기도어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베리어의 제작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베리어에 환기도어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실내측과 실외측 사이의 누설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환기도어가 필터에 장착된 상태로 필터가 베리어에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필터 장착후 환기도어의 장착을 위한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조립라인의 조립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일측에 실내측과 실외측을 연통시키는 환기공이 천공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환기공에 장착되어 환기공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환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환기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환기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베리어에 체결되고, 상기 필터의 일측 양단에 힌지핀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힌지핀과 대응되는 환기도어의 위치에 상기 힌지핀이 안착되는 힌지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도어는 상기 환기공을 차폐하였을 때, 상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힌지공이 구비되어 그 반대쪽의 자유단부가 상기 힌지공에 삽입된 필터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KR1020020068567A 2002-11-06 2002-11-06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KR20040040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567A KR20040040219A (ko) 2002-11-06 2002-11-06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567A KR20040040219A (ko) 2002-11-06 2002-11-06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219A true KR20040040219A (ko) 2004-05-12

Family

ID=3733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567A KR20040040219A (ko) 2002-11-06 2002-11-06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2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2570B2 (en) 2015-04-27 2017-07-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015U (ja) * 1983-09-30 1985-04-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換気ダンパ
JPH0560340A (ja) * 1991-09-02 1993-03-0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062888A (ja) * 1992-06-19 1994-01-11 Sanyo Electric Co Ltd 一体型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015U (ja) * 1983-09-30 1985-04-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換気ダンパ
JPH0560340A (ja) * 1991-09-02 1993-03-0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062888A (ja) * 1992-06-19 1994-01-11 Sanyo Electric Co Ltd 一体型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2570B2 (en) 2015-04-27 2017-07-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090B2 (en) Air conditioner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056444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09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KR2004004021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장착구조
KR10050905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장착구조
KR100723943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KR10050905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안내구조
KR10050731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팬 장착구조
JP2002276992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04616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부품 조립구조
KR2004006881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커텐조립체 장착구조
KR2007008027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731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절연구조
KR200400455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KR2004003974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4007897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안내구조
KR2004004021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KR20030025411A (ko) 공기조화기의 루버용 모터장착구조
KR2005003099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KR2005007892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토출베인장치
KR20030032589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 조립체
KR200400764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0400765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팬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30

Effective date: 2006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