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223A -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 Google Patents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223A
KR20040039223A KR1020040023917A KR20040023917A KR20040039223A KR 20040039223 A KR20040039223 A KR 20040039223A KR 1020040023917 A KR1020040023917 A KR 1020040023917A KR 20040023917 A KR20040023917 A KR 20040023917A KR 20040039223 A KR20040039223 A KR 2004003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member
storage space
seale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4002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223A/ko
Publication of KR2004003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223A/ko
Priority to PCT/KR2005/000883 priority patent/WO2005091730A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2) 발명의 목적
종래의 이종물질 수용 뚜껑은 밀폐부가 용기의 구부를 통해 배출될 염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3) 발명의 구성
이종물질을 수용하고, 그 작용을 위해 관부가 상향되고, 동 과정에 관부를 막고 있던 밀폐부가 용기 내부로 분리 낙하되도록 된 뚜껑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에는 용기 구부를 통해 배출이 되는 것이 예방되는 배출 방지용 탄력편이 형성된 것이다.
(4) 발명의 효과
밀폐부에 배출방지용 탄력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부주의로 밀폐부를 삼킬 걱정으로부터 해방되는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omitted}
본 발명은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저장관부에 있어서, 컵형태의 저장관부가 용기의 목 내부 내턱에 걸려 발탈 되도록 된 기술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컵형태의 저장관부 하단에 날개형의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단점으로는 저장관부가 컵 형태인바, 그 내부에 분발등이 들어있을 경우 용기내의 내용물과 잘 희석이 되지 않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하여 저장관부(관부)를 막는 밀폐부에 걸림턱(배출방지용 탄력편)을 형성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10: 고정부재 11: 관부수용부
20: 이동부재 21: 관부 22: 저장공간
30: 밀폐부 31: 배출방지용 탄력편 100: 용기
101: 구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1)은 용기(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그 고정부재(10)에 조립되어 저장공간(22)을 형성하도록 관부(21)가 있는 이동부재(20)가 대응되고, 상기한 관부(21)의 하단부에는 저장공간(22)을 막는 밀폐부(30)를 조립시키되, 상기한 밀폐부(30)는 이동부재(20)가 상향될 때 밀폐부(3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관부수용부(11)의 하방에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밀폐부(30)의 외환부에는 배출방지용 탄력편(31)을 두어 사용 시 배출방지용 탄력편(31)이 용기(100)의 내부 확장형 턱부에 걸려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같은 상태에서, 이동부재(20)를 상향시키면 관부(21)가 상향되는 과정에 밀폐부(30)가 관부수용부(11)에 걸려 분리됨과 동시 저장공간(22)에 든 내용물은 용기(100) 내부로 낙하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100)를 숙여 고정부재(10)를 통해 음용하는 것이나, 소비자의 부주의로 고정부재(10)를 용기(100)로부터 분리시키고 용기(100)의 구부(101)를 통해 음용할지라도 밀폐부(30)는 배출방지용 탄력편(31)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즉, 배출용방지용 탄력편(31)이 내입 될 때는 용기(100)의 구부(101)에 저항을 받으면서 탄력적으로 삽입되지만, 배출시는 탄력편이 구부(101)에 저항을 받기 때문에 배출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배출방지용 탄력편(31)은 밀폐부(30)에 일체되거나 또는 조립 될 수 있다.
밀폐부에 배출방지용 탄력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가 용기의 구부로부터 부주의로 분리 될지라도, 밀폐부가 용기의 구부를 통해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경우라도 소비자는 밀폐부를 음용하지 않는 안정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뚜껑은 용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한 고정부재에 조립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관부가 고정부재의 관부수용부를 중심으로 조립도고, 상기한 관부수용부의 하방향 으로는 저장공간이 있는 관부를 밀폐부로서 밀폐시킨 선행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부의 외환부로는 용기로 부터의 배출방지용 탄력편을 일체 또는 조립방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KR1020040023917A 2004-03-25 2004-04-02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KR20040039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917A KR20040039223A (ko) 2004-04-02 2004-04-02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PCT/KR2005/000883 WO2005091730A2 (en) 2004-03-25 2005-03-25 Structure of cap having plural storing sp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917A KR20040039223A (ko) 2004-04-02 2004-04-02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223A true KR20040039223A (ko) 2004-05-10

Family

ID=3733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917A KR20040039223A (ko) 2004-03-25 2004-04-02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2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25B1 (ko) * 2006-10-25 2010-07-14 이선희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구조
WO2010126341A2 (ko) * 2009-04-30 2010-11-04 Lee Jeong-Min 용기목에 결합하는 과정에 이종물질이 혼합되는 병뚜껑
WO2013032042A1 (ko) * 2011-08-29 2013-03-07 Oh Tae Seung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25B1 (ko) * 2006-10-25 2010-07-14 이선희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구조
WO2010126341A2 (ko) * 2009-04-30 2010-11-04 Lee Jeong-Min 용기목에 결합하는 과정에 이종물질이 혼합되는 병뚜껑
WO2010126341A3 (ko) * 2009-04-30 2011-01-27 Lee Jeong-Min 용기목에 결합하는 과정에 이종물질이 혼합되는 병뚜껑
WO2013032042A1 (ko) * 2011-08-29 2013-03-07 Oh Tae Seung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40068045A (ko) * 2011-08-29 2014-06-05 오태승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CA2659557C (en) Bottle for containing fluids, particularly for pharmaceutical products or the like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JP5087336B2 (ja) 液体注出容器
AR037361A1 (es) Tapa de abrir y cerrar con tapon de cierre
JP2006506292A (ja) 液体容器の排出アセンブリ
JP2008290745A (ja) ポンプ式液体吐出容器
KR2004003922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구조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JP4840568B2 (ja) キャップ
JP2009154949A (ja) アンプル容器
KR10096941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50074392A (ko) 용기목 구부에 고정부가 고정되는 이종물질 수용용 뚜껑
JP6074090B1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付き液体容器
JP5467603B2 (ja) 倒立型エアゾール用バルブと、該バルブを用いた容器
KR20040039258A (ko) 걸고리식 밀폐부를 갖고 있는 저장공간형 뚜껑
JP7209460B2 (ja) 吐出容器
JP2010260575A (ja) 液体容器キャップ
KR20180002032U (ko) 음료용기 마개
JP2009153900A (ja) アンプル容器
KR200340196Y1 (ko) 실리카팩킹을 구비한 용기마개
KR2009007870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KR101177931B1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KR20040052586A (ko) 복수의 저장공간을 갖는 뚜껑 및 그 구조
KR2007011075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