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307A - 멀티기능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멀티기능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307A
KR20040038307A KR1020020067203A KR20020067203A KR20040038307A KR 20040038307 A KR20040038307 A KR 20040038307A KR 1020020067203 A KR1020020067203 A KR 1020020067203A KR 20020067203 A KR20020067203 A KR 20020067203A KR 20040038307 A KR20040038307 A KR 2004003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evaporator
refrigerant
cooling wa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229B1 (ko
Inventor
이승춘
Original Assignee
이승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춘 filed Critical 이승춘
Priority to KR10-2002-006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2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을 구비하는 멀티기능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본체(10); 기기본체(10)에 설치되는 압축기(51); 및 응축기(52); 냉기송풍실(11)내에 설치되는 제1 증발기(53), 냉장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증발기(54), 및 김치저장실(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증발기(55); 응축기(52)와 각 증발기(53, 54, 55) 사이를 냉매유동가능하게 매개하는 냉매유동관의 각 증발기(53, 54, 55)에 인접한 부분(63, 64, 65)에 설치되어, 각 증발기(53, 54, 55)를 향한 냉매의 분사량을 조절가능한 복수의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 및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의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해당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기능을 구비하고, 작은 평수의 실내공간내에 설치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에 분사되는 냉매의 분사량을 설정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고 또한, 응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기능 냉각장치{Multi functional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기능을 구비하고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수행가능한 멀티기능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중에서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는, 최근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 없어서는 불편한 필수품으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제품들은 모두 냉동싸이클을 구비하고, 각각 증발기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를 실내 혹은 냉장실내로 송풍하여 냉방 혹은 음식물의 보전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가 별도의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어서, 소비자의 제품을 선택하는 폭을 줄이고, 특히, 이들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가계지출을 늘리는 요인이 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되고 있다. 그리고, 작은 평수의 아프트, 단독주택, 혹은 식당의 실내공간에는 이와 같이 별도로 출시되는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모두를 설치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구입하고 싶어도 별도의 제품들을 구입할 수 없는 소비자들이 많으며, 또한, 이들 제품 모두를 구입하는 경우에도 필연적으로 생활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기능을 구비하고,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멀티기능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평수의 아파트, 단독주택, 혹은 식당의 실내공간에도 충분히 설치하여 그 생활공간을 최대한 넓힐 수 있고 이에 의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기능을 구비하는 멀티기능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기송풍실, 냉장실, 및 김치저장실에 각각 설치되는 증발기에 분사되는 냉매의 분사량을 설정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할한 냉각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기능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체적인 냉각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기능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냉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냉기형성부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로서, 냉매분사량 조절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응축기 및 응축기냉각부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기능 냉각장치의 개략적 제어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각장치 10 : 기기본체
11 : 냉기송풍실 21 : 냉장실
31 : 김치저장실 50 : 냉기형성부
51 : 압축기 52 : 응축기
53, 54, 55 : 증발기 56, 57, 58 : 송풍팬
81 : 응축기냉각부 82 : 냉각재킷
83 : 냉각수유동배관 85 : 냉각펌프
91 : 냉매분사량 조절부 94 : 분사노즐
상기 목적은,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이 구획되어 있는 기기본체(10);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방벽내에 설치되는 압축기(51);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방벽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51)로부터의 고온 기상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52); 상기 냉기송풍실(11)내에 설치되는 제1 증발기(53), 상기 냉장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증발기(54), 및 상기 김치저장실(31)의 후방에배치되는 제3 증발기(55); 상기 응축기(52)와 상기 각 증발기(53, 54, 55) 사이를 냉매유동가능하게 매개하는 냉매유동관의 상기 각 증발기(53, 54, 55)에 인접한 부분(63, 64, 65)에 설치되어, 상기 각 증발기(53, 54, 55)를 향한 냉매의 분사량을 조절가능한 복수의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 및 상기 냉기송풍실(11), 상기 냉장실(21), 및 상기 김치저장실(31)의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은, 유입되는 냉매를 소정의 미립자로 생성하여 분사가능한 인젝터(92); 상기 인젝터(92)의 개도를 조절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94); 및 해당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센서(99)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가능하며; 이 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온도센서(99)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4)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송풍실(11), 상기 냉장실(21), 및 상기 김치저장실(31)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콘트롤부(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설정온도 및 상기 각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현재온도와의 차이값에 대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4)의 개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차이값을 연산하여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냉각장치는 또한, 상기 응축기(52)의 외면을 둘러싸서 냉각수수용부를 형성하며, 양측에 각각 냉각수유입구와 냉각수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재킷(82);상기 냉각재킷(82)의 냉각수유입구와 냉각수유출구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어느 일측 증발기에 인접한 냉각수유동로를 형성하는 냉각수유동배관(83); 및 상기 냉각재킷(82)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재킷(82)내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유동배관(83)을 통해 순환시키는 냉각펌프(85)를 구비하는 응축기냉각부(81)를 더 포함하여 응축기를 냉각시키면, 과도한 부하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기능 냉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냉각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기기본체(10)와, 이 기기본체(10)내에 냉기를 형성하는 냉기형성부(50)로 구성되어 있다. 기기본체(10)는, 전방 개구된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을 구비한다. 이들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은 디자인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냉기송풍실(11), 하측에 김치저장실(31), 그리고, 냉기송풍실(11)과 김치저장실(31) 사이에 냉장실(21)을 마련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기송풍실(11)의 전면 개구에는 냉기토출그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릴부를 대신하여 상하 또는 좌우회동 가능한 복수의 루버(13)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기송풍실(11)의 상부에는 기기본체(10)의 상부벽을 따라 공기덕트(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공기덕트(15)의 흡기구(14)는 냉기토출그릴부(12)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배기구(16)는 냉기송풍실(11)의 후방에 하향 개구되어 있다. 실내의 공기는 흡기구(14)를 통해 냉기송풍실(11)내로 흡입된 후, 자세히 후술하는 제1 증발기(53)에 의해 냉기로 형성된 후 토출그릴부(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냉장실(21)의 전면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냉장실도어(22)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도어(22)는 일측 연부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도시않음)을 축으로 좌우회동개폐 가능하다. 냉장실(21)에는 그 내부를 적절하게 구획하는 복수의 식품안치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일부영역에 냉동실(25)을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김치저장실(31)에는 상하로 배치되어 슬라이딩개폐가능한 한 쌍의 저장서랍(32)이 설치되어 있다. 김치저장실(31)의 양측 내벽면에는 저장서랍(32)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 안내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김치저장실(31)에는 또한, 그 내벽면을 따라 히터코일(35)이 설치되어 있다. 소비자가 김치숙성코스를 선택하면, 히터코일(35)가 적정온도로 가열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김치를 숙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냉기형성부(50)는 단열층을 형성하는 기기본체(10)의 후방벽내에 마련된다. 이러한 냉기형성부(50)는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압축기(51)와, 압축기(51)로부터의 고온 기상냉매를 액상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52), 응축기(52)로부터의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에 냉기를 형성하는 3개의 증발기(53, 54, 55)를 구비한다. 여기에, 응축기(52)를 냉각시키는 응축기냉각부(81) 및 각 증발기(53, 54, 55)내로의 유입냉매를 분사시키는 냉매분사량 조절부(91)를 더 포함한다.
압축기(51)는 기기본체(10)의 하부 후방벽내에 마련된 부품실(2)내에 설치되어 있다. 응축기(52)는 부품실(12)의 상측 후방벽내에 설치되며,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축기냉각부(81)에 의해 냉각된다. 그리고, 제1 증발기(53)는 냉기송풍실(11)의 내부 중앙영역에, 제2 증발기(54)는 냉장실(21)의 후방에, 그리고, 제3 증발기(55)는 김치저장실(31)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압축기(51), 응축기(52), 각 증발기(53, 54, 55)들은 상호 냉매유동관(63, 64, 65)에 의해 연결되며, 이에 의해, 그 내부에서 냉매의 일측방향 순환이 가능하다.
제1 증발기(53)는 냉기송풍실(11)의 양측 내벽면에 마련된 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증발기(53)에 인접하는 후방에 송풍팬(56)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56)은 흡기구(14)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되는 공기는 제1 증발기(53) 주위에서 냉기로 형성된다. 송풍팬(56)은 또한, 제1 증발기(53)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를 냉기토출그릴부(12)를 통해 실내로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실내는 설정한 온도로 냉방가능한 것이다.
제2 증발기(54)는 냉장실(2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에 냉장실팬(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증발기(54)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는 냉장실팬(57)에 의해 송풍되며, 이에 의해, 냉장실(21)내는 소비자설정온도로 유지가능하다. 제2 증발기(54)에 인접하는 냉장실(21)내의 후방에 별도의 냉동실(25)을 형성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3 증발기(55)는 김치저장실(3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잇고, 그 전면에 역시 김치저장실팬(58)이 설치되어 있다. 제3 증발기(55) 주위에 형성되는 냉기 또한, 냉기토출구(36)를 통해 상하로 분배되어, 각 저장서랍(31)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4는 응축기로부터의 액상냉매를 각 증발기에 분사시키는 냉매분사량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냉매분사량 조절부(91)는, 냉매의 입자를 소정의 크키로 형성하는 인젝터(92)와, 이 인젝터(92)의 개도를 조절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94), 그리고, 각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99)로 구성된다. 여기에, 인젝터(92)를 통해 분출되는 냉매의 분사실을 형성하는 분사챔버(93)와, 인젝터(92)를 증발기유입배관(63)에 결합시키는 결합부(95)를 더 포함한다.
인젝터(92)의 형상은 가솔린엔진의 인젝터와 마찬가지로, 핀틀형, 스로틀형, 홀형등의 것을 사용가능하다. 냉배분사량 조절부(91)는 각 증발기(53, 54, 55)의 냉매유입배관(63)의 말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냉매분사량조절부(91)는,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도감지(99)의 감지신호에 기초하는 제어부(100)에서 인젝터(92)에 가해지는 전원펄스의 튜티비(Duty ratio)가 가변되면서 조절가능하다.
그리고, 응축기냉각부(8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냉각수수용실(84)을 형성하는 냉각재킷(82), 냉각재킷(82)내의 냉각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냉각수유동관(83), 및 냉각재킷(82)내의 냉각수를 냉각수유동관(83)을 통해 순환시키는 냉각펌프(85)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재킷(82)은 거의 사각통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냉매파이프(52a)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냉각재킷(82)의 상하로 노출된 냉매파이프(52b)에는 복수의 냉각핀(52a)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냉각재킷(82)의 배면 하부영역은 기준면에 대하여 함몰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형성부(90)의 개구면에는 후술하는 냉각펌프(85)를 고정지지하는 브라켓(71)이 결합된다. 상호 기밀유지를 위해 결합영역에는 기밀부재(72)가 개재되어 있다.
냉각재킷(82)에는 또한, 그 상부영역에 도시않은 냉각수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측 외면에 각각 냉각수유입구(87)와 냉각수유출구(89)가 마련되어 있다. 기밀유지된 냉각펌프 브라켓(71)에도 또한, 냉각재킷(82)내의 냉각수가 통과가능한 냉각수통과공(8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각재킷(82)의 냉각수유입구(87)와 냉각수유출구(89)에는 각각 냉각수유동배관(83)의 양측 단부가 결합된다. 이 냉각수유동배관(83)은 제2 증발기(54)까지 연장되어 그 외면을 감고 있다. 이에 의해, 냉각수유출구(89)를 통해 냉각수유동배관(83)내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제2 증발기(54) 주위를 돌려 냉각된 후, 냉각재킷(82)내로 재유입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냉각수유동배관(83)은 제2 증발기(54) 이외에 제1 및 제3 증발기(53, 55)의 외면을 감는 구성으로 변환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냉각펌프(85)는 냉각재킷(82)의 배면 하측에 설치된 브라켓(90)의 외면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이 냉각펌프(85)의 회전축은 그 일측 단부가 냉각재킷(82)의 함몰형성부(90)내에 수용되어 있고, 이 수용된 일측 단부에 임펠러(84)가 결합되어 있다. 회전하는 임펠러(84)는 냉각재킷(82)내의 냉각수를냉각수통과공(88)을 통해 흡입하여 냉각수유동배관(83)내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냉각펌프(85)의 타측 단부 즉, 외부에 노출된 단부에는 냉각팬(86)을 설치하여 냉각재킷(82)이나 냉각수유동배관(83)을 냉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냉각장치(1)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에 냉매분사량 조절부(91)의 온도센서(9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100)에는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의 설정온도와 각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현재온도의 차이값에 대한 솔레노이드밸브(94)의 개도값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소비자에 의한 설정온도와 온도센서(99)로부터 인가되는 각 증발기(53, 54, 55)의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연산한 후, 전원펄스의 듀티비를 가변시켜 해당 솔레노이드밸브(94)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에 의해, 각 증발기(53, 54, 55)내로의 냉매분사량이 조절되어 그 출구측 온도가 소정으로 유지되며, 따라서,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은 소비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냉장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소비자가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내의 온도를 설정하면, 설정신호는 즉시 제어부(100)에 인가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00)는 각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내에 설치된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온도를 해당 온도센서(99)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고받는다. 이 때,제어부(100)에는 온도설정신호와 현재의 측정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그 차이값에 해당하는 만큼의 개도 증감량을 산출하여 각 솔레노이드밸브(94a, 94b, 94c)에 적용한다.
그러면,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된 후 각 증발기(53, 54, 55)로 유입되기 전에, 해당 냉매분사량 조절부(91)에 의해 적정량의 냉매만이 증발기(53, 54, 55)내에 분사된다. 이를 통해, 각 증발기(53, 54, 55) 주위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량의 조절할 수 있어서, 실내 및, 냉장실(21)과 김치저장실(31)내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냉각장치(1)의 작동중에, 응축기 냉각부(81)도 작동하여 응축기(52)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단일의 응축기(52)에 3개의 증발기(53, 54, 55)가 연결되어 다소 과도한 부하가 걸릴지라도 효율적으로 냉매를 응축시켜 각 증발기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콘, 냉장고, 및 김치냉장고 기능을 구비하고,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멀티기능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본 냉각장치는, 작은 평수의 아파트, 단독주택, 혹은 식당의 실내공간에도 그 생활공간을 최대한 넓힐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냉각장치는 또한, 냉기송풍실, 냉장실, 및 김치저장실에 각각 설치되는 증발기에 분사되는 냉매의 분사량을 설정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할한냉각기능을 수행가능하고, 또한, 응축기를 냉각시켜 전체적인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냉기송풍실(11), 냉장실(21), 및 김치저장실(31)이 구획되어 있는 기기본체(10);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방벽내에 설치되는 압축기(51);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방벽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51)로부터의 고온 기상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52);
    상기 냉기송풍실(11)내에 설치되는 제1 증발기(53), 상기 냉장실(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증발기(54), 및 상기 김치저장실(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증발기(55);
    상기 응축기(52)와 상기 각 증발기(53, 54, 55) 사이를 냉매유동가능하게 매개하는 냉매유동관의 상기 각 증발기(53, 54, 55)에 인접한 부분(63, 64, 65)에 설치되어, 상기 각 증발기(53, 54, 55)를 향한 냉매의 분사량을 조절가능한 복수의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 및
    상기 냉기송풍실(11), 상기 냉장실(21), 및 상기 김치저장실(31)의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분사량 조절수단(91)은,
    유입되는 냉매를 소정의 미립자로 생성하여 분사가능한 인젝터(92);
    상기 인젝터(92)의 개도를 조절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94); 및
    해당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센서(99)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온도센서(99)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송풍실(11), 상기 냉장실(21), 및 상기 김치저장실(31)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콘트롤부(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0)는, 설정온도 및 상기 각 증발기(53, 54, 55)의 출구측 현재온도와의 차이값에 대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4)의 개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차이값을 연산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52)의 외면을 둘러싸서 냉각수수용부를 형성하며, 양측에 각각 냉각수유입구와 냉각수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재킷(82);
    상기 냉각재킷(82)의 냉각수유입구(87)와 냉각수유출구(89)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어느 일측 증발기(54)에 인접한 냉각수유동로를 형성하는 냉각수유동배관(83); 및
    상기 냉각재킷(82)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재킷(82)내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유동배관(83)을 통해 순환시키는 냉각펌프(85)를 구비하는 응축기냉각부(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KR10-2002-0067203A 2002-10-31 2002-10-31 멀티기능 냉각장치 KR10049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203A KR100496229B1 (ko) 2002-10-31 2002-10-31 멀티기능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203A KR100496229B1 (ko) 2002-10-31 2002-10-31 멀티기능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307A true KR20040038307A (ko) 2004-05-08
KR100496229B1 KR100496229B1 (ko) 2005-06-20

Family

ID=3733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203A KR100496229B1 (ko) 2002-10-31 2002-10-31 멀티기능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22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47B1 (ko) * 2005-06-16 2007-07-04 진덕희 냉풍 냉장고
KR100751134B1 (ko) * 2004-11-09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셀러의 구조
KR101105539B1 (ko) * 2009-03-27 2012-01-13 전라남도 방향성 정유 물수증기 증류장치
KR20210015481A (ko) 2019-08-02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72576A (ko)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22631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시스템
KR20230022625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2628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50B1 (ko) 2006-07-03 2007-08-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온도 전환실을 갖는 냉장고
KR101872607B1 (ko) * 2016-10-28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72606B1 (ko) * 2016-10-28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9165B1 (ko) * 2016-10-28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72608B1 (ko) * 2016-10-28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134B1 (ko) * 2004-11-09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셀러의 구조
KR100734547B1 (ko) * 2005-06-16 2007-07-04 진덕희 냉풍 냉장고
KR101105539B1 (ko) * 2009-03-27 2012-01-13 전라남도 방향성 정유 물수증기 증류장치
KR20210015481A (ko) 2019-08-02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72576A (ko)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022631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시스템
KR20230022625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2628A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229B1 (ko) 2005-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005B2 (en) Refrigerator
US703240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KR100496229B1 (ko) 멀티기능 냉각장치
US10281190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dual freezer compartments
KR20130019307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19052512A1 (zh)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US10288340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dual freezer compartments
CN209893747U (zh) 冰箱
AU2014303819A1 (en) Refrigerator
JPH09506695A (ja) エネルギ効率の良い家庭用冷蔵装置
CN108413689A (zh) 一种具有双循环制冷系统的卧式无霜双温冷柜
US6865905B2 (en) Refrigerator methods and apparatus
WO2019052513A1 (zh) 冰箱的化霜控制方法与冰箱
CN210267846U (zh) 一种新式商用冷柜制冷系统结构
US10274242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dual freezer compartments
WO2020181609A1 (zh) 厨房空调一体机
CN216481803U (zh) 冰箱
KR102614569B1 (ko)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시스템
KR102614568B1 (ko)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JP7321946B2 (ja) 冷蔵庫
CN113720085A (zh) 冰箱
JPH07286770A (ja) 冷凍冷蔵庫
KR101257516B1 (ko) 냉장고
KR101991821B1 (ko) 냉장고
KR20230022640A (ko)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