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224A -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224A
KR20040038224A KR1020020067109A KR20020067109A KR20040038224A KR 20040038224 A KR20040038224 A KR 20040038224A KR 1020020067109 A KR1020020067109 A KR 1020020067109A KR 20020067109 A KR20020067109 A KR 20020067109A KR 20040038224 A KR20040038224 A KR 20040038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hermocouple
height
mold
molte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주
신선휴
정연호
박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224A/ko
Publication of KR2004003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3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level of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래들(2)의 하부에서 용강을 저장하는 턴디쉬(3)가 설치되고, 이 턴디쉬(3)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강을 일정 형태로 주조하는 주형(4)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에 적용되어, 열전대를 이용하여 연주 몰드의 용강 탕면 높이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4)내에서 주조작업 방향에 해당하는 상단에서 하향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주형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열전대(101a~101d)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수단(101); 상기 주형의 하단부에 설치한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 상기 복수의 열전대 각각에 의해 검출된 온도신호를 해당 전기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복수의 온도변환기(111a~111d,113)를 포함하는 온도 변환 수단;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를 입력받아 각 주형의 높이별로 평균 온도를 구하고, 이 온도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판단하며,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해당 열전대의 고장을 판단한 후 탕면 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하는 온도연산 제어수단(115):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의 고정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고장신호 출력용 릴레이(117):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에 의해 산출된 온도를 지시하는 온도지시기(119); 를 구비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HEIGHT OF MELTEN STEEL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본 발명은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강의 연속 주조공정에 있어서, 주형 내의 주입되는 용강의 탕면높이를 측정하고,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유입되는 용강량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연속 주조기의 운전을 자동화하여 운전 및 정비자들이 방사선노출의 우려없이 안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탕면 높이의 계측 정도 및 계측 응답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파우더의 투입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탕면높이의 계측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작업자의 기능 숙련도와 고도화를 필요로 하였던 종래의 조괴법에서 탈피하여 근래에는 연속주조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연속주조 공정은 전공정인 제강, 노외공정에서 강의 성분조정이 완료된 용강에 대하여 최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냉각수 살수에 의하여 액상의 용강을 응고시켜서 단위 제품인 슬라브를 생산하는 공정을 말한다.
도 1은 종래 방사선방식의 몰드 탕면높이 검출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공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에 위치한 래들(2)과, 그 하부의 턴디쉬(3)와, 턴디쉬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노즐(5)과, 주편을 만드는 주형(4), 냉각수장치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 응고가 진행되는 주편(7)을 이송하기 위한 인발장치와, 인발, 곡선화를 위한 다수 개의 롤을 가지는 연속주조기의 곡선화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연속주조작업의 초기에는 턴디쉬의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노즐(5)을 완전 개방하여 상기 래들(2)에서 턴디쉬(3)로, 또 턴디쉬에서 주형(4)으로 용강을 주입한다. 턴디쉬에 주입된 용강은 턴디쉬 자체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하여 제한된 용강 홀딩량, 예를들면 3-5톤을 넘으면 상기 주형에 직접 유입하게 된다. 즉, 전공정(前工程)인 제강공정, 노외공정에서 성분조정을 마친 용강은 래들에 담겨져서 연속주조 공정의 주조위치로 이송되고 주조위치에 안착된 래들의 용강은 롱노즐을 통하여상기 턴디쉬내로 유입되고 턴디쉬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노즐로 흘러 나간다. 이 슬라이딩 노즐을 통과한 용강은 상기 주형으로 인입되어 슬라브가 성형된다. 주형내에 충전된 용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하면, 주형이 상하진동을 시작하고 이어서 인발장치에 의해 주편의 인발이 진행되고 냉각수의 분사장치에 의해 주편이 생성되어진다.
상기의 공정에서 종래에 공지된 주형내의 탕면높이를 검출하는 기술로서는 주형내에 유입된 용강의 높이에 따라 주형용기의 한편측에 배치된 방사선 동위원소가 투과된 방사선 동위원소를 검출기에 검출하여 전기적신호로서 변환하는 방법인데, 방사선원과 용기를 주형에 설치하여 이것과 반대방향 위치에 배치된 방사선검출기에 직접 또는 라이트 가이드를 통하여 광신호를 수광증폭한 광 전자 증배관을 광학적으로 전자증배관의 출력펄스의 계수에 의하여 주형 용기내의 탕면높이변화를 계측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방사선용기를 사용함으로서 작업자 및 정비자들의 인체에 위험하고 방사설량에 의해 검지하는 관계로 주형탕면 상단에 용강의 보온과 주형의 진동시에 윤활작용을 하는 목적으로 주조 작업중 내내 연속적으로 몰드탕면 위의 용강에 뿌려지는 파우더를 감지하게 되어 탕면높이의 제어정도가 저하되는 하나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강의 연속 주조공정에 있어서, 주형 내의 주입되는 용강의 탕면높이를 측정하고,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유입되는 용강량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연속 주조기의 운전을 자동화하여 운전 및 정비자들이 방사선노출의 우려없이 안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탕면 높이의 계측 정도 및 계측 응답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파우더의 투입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탕면높이의 계측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방사선방식의 몰드 탕면높이 검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온도연산 제어수단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상작업시의 온도/탕면높이 특성식을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이다.
도 6은 도 2의 주입 개시시의 온도/탕면높이 특성식을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고장시의 온도/탕면높이 특성식을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강2 : 래들
3 : 턴디쉬4 : 주형
4a : 단변4b : 장변
5 : 슬라이딩노즐 7 : 슬라브
10 : 방사선발생기 20 : 방사선검출장치
30 : 콘트롤러40 : 레벨지시장치
101a~101d : 온도 검출 열전대103 : 시동 정지용 열전대
111a~111d,113 : 온도변환기115 : 온도연산 제어수단
117 : 고장신호 출력용 릴레이119 : 온도지시기
151 : A/D 변환장치 153 : 디지털 필터
155 : 연산제어부157 : D/A 변환장치
159 : 출력부CV : 보호용 커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은 래들의 하부에서 용강을 저장하는 턴디쉬가 설치되고, 이 턴디쉬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강을 일정 형태로 주조하는 주형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에 적용되어, 열전대를 이용하여 연주 몰드의 용강 탕면 높이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내에서 주조작업 방향에 해당하는 상단에서 하향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주형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열전대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수단; 상기 주형의 하단부에 설치한 시동 정지용 열전대; 상기 복수의 열전대 각각에 의해 검출된 온도신호를 해당 전기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복수의 온도변환기를 포함하는 온도 변환 수단;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를 입력받아 각 주형의 높이별로 평균 온도를 구하고, 이 온도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판단하며,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해당 열전대의 고장을 판단한 후 탕면 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하는 온도연산 제어수단: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의 고정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고장신호 출력용 릴레이: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에 의해 산출된 온도를 지시하는 온도지시기;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래들(2)의 하부에서 용강을 저장하는 턴디쉬(3)가 설치되고, 이 턴디쉬(3)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강을 일정 형태로 주조하는 주형(4)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에 적용되어, 열전대를 이용하여 연주 몰드의 용강 탕면 높이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이는 상기 주형(4)내에서 주조작업 방향에 해당하는 상단에서 하향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주형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열전대(101a~101d)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수단(101)과, 상기 주형의 하단부에 설치한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와, 상기 복수의 열전대 각각에 의해 검출된 온도신호를 해당 전기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복수의 온도변환기(111a~111d,113)를 포함하는 온도 변환 수단과,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를 입력받아 각 주형의 높이별로 평균 온도를 구하고, 이 온도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판단하며,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해당 열전대의 고장을 판단한 후 탕면 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하는 온도연산 제어수단(115)과,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의 고정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고장신호 출력용 릴레이(117)와,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에 의해 산출된 온도를 지시하는 온도지시기(1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 검출수단(101)의 복수의 열전대는 상기 주형의 장변 및 단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주형온도검출 수단인 다수의 주형온도검출용 열전대(101a~101d)는 주형내에 매설되고, 이러한 열전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의 옆에서 수평으로 삽입되는 형태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형온도검출용 열전대는 탕면높이의 변동에 산출되는 탕면 높이값을 충분히 추종하게 하기 위하여 검출시간 지연을 나타내는 시정수가 200msec 이하의 것을 사용하며, 각 열전대의매설 개소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니스커스(용강탕면의 상단 표면부위로서 국제적으로 주형의 상단에서 100mm지점으로 설정됨) 높이로부터 상하로 15mm씩 이격시키고 각각 한 개씩, 또 그것들로부터 상하로 피치(P)를 30mm씩 유지하고 각각 한 개씩으로 하였다. 따라서, 가장 위쪽의 제일 열전대(101a)에 의한 주형내 온도검출범위는 주형 상단부터 55mm로부터 85mm의 사이, 다음의 제2 열전대(101b)에 의한 주형내 온도검출 범위는 주형상단으로부터 85mm로부터 115mm의 사이, 다음의 제3 열전대(101c)에 의한 주형내 온도검출범위는 주형상단부터 115mm로부터 145mm의 사이, 가장 아래쪽의 제4 열전대(101d)에 의한 주형내 온도검출범위는 주형상단부터 145mm으로부터 175mm의 사이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강주입 자동 동작개시 및 자동 동작정지를 판정하기 위한 시동정지온도 검출용 열전대103이 주형내 맨 하단부위에 설치되고, 이 시동정지용 열전대에는 상기 주형내 온도검출용 열전대(101a~101d)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도 4는 도 2의 온도연산 제어수단의 내부 구성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은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장치(151)와, 상기 A/D 변환장치(151)로부터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디지털필터(153)와, 상기 디지털필터(153)를 통한 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열전대 고장의 판단한후 탕면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하는 연산제어부(155)와, 상기 연산제어부(155)로부터의 탕면높이, 자동 개시 및 정지, 정상 동작신호, 각 열전대의 고정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장치(157)와, 상기 D/A 변환장치(157)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59)로 구성된다.
상기 연산 제어부(155)에서의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는 주입 개시시와 주입 작업중과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산 제어부(155)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의 각 열전대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대략적인 용면높이에 해당하는 열전대를 선택하고, 상기 각 열전대에 해당하는 탕면높이 계산을 위한 하기에 설명되는 특성식이 이용된다.
상기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상기 연속 주조 상태가 파우더 주조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과, 상기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되는 탕면높이를 보정하는 파우더 주조 보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101)의 온도에 기초해서 각 열전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검출수단과, 상기 고장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난 열전대에 인접하는 열전대로부터의온도 검출값을 이용하여 고장난 열전대에 대한 측정 온도를 예측하는 온도 보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정상작업시의 온도/탕면높이 특성식을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이고, 도 6은 도 2의 주입 개시시의 온도/탕면높이 특성식을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이며, 도 7은 도 2의 고장시의 온도/탕면높이 특성식을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공정의 주형(4)은 턴디쉬(3)에서 유입된 용강을 냉각장치를 통해 응고시키며 응고하기 시작하는 주편외형표피부의 응고표피를 연속주조기 아래쪽으로 뽑아내는 것에 의해 주편을 생산하는 연속주조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속주조기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의 상단부터 거리(L) 100mm인 높이를 국제규격으로 지정된 미니스커스(용강탕면최상단) 높이로서 설정하여 이 미니스커스 높이로부터 위쪽 D〓40mm의 점을 탕면제어의 상한치로 하여, 해당 상한치로부터 아래쪽 115mm의 사이를 탕면 제어범위(W)를 설정하여, 항상 그 위치 미니스커스높이에 용강탕면이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발명의 장치는 래들(2)의 하부에서 용강을 저장하는 턴디쉬(3)가 설치되고, 이 턴디쉬(3)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강을 일정 형태로 주조하는 주형(4)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에 적용되어, 열전대를 이용하여 연주 몰드의 용강 탕면 높이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도 검출수단(101)은 상기 주형(4)내에서 주조작업 방향에 해당하는 상단에서 하향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열전대(101a~101d)에 의해 주형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고, 본 발명의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해서는 상기 주형의 하단부 온도가 측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온도 변환 수단의 복수의 온도변환기(111a~111d,113)는 상기 복수의 열전대 각각에 의해 검출된 온도신호를 해당 전기신호로 각각 변환한다.
상기 온도 검출 수단(101)에 있어서, 용강이 주형내에 유입시 동판으로 구성된 주형내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주형탕면 높이를 검출하기 위해 높이가 다른 다수점의 열전온도계가 주형내온도를 장변(4b)과 단변(4a)의 온도를 평균하여 측정점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주형온도 검출수단으로서 다수의 열전대를 이용한 경우, 각각의 열전대로 검출하는 온도 범위를 좁게 하고 그 검출 온도 경사를 심하게 할 수 있어 각각의 열전대는 예민한 온도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의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은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를 입력받아 각 주형의 높이별로 평균 온도를 구하고, 이 온도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판단하며,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해당 열전대의 고장을 판단한 후 탕면 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고장신호 출력용 릴레이(117)는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의 고정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온도지시기(119)는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에 의해 산출된 온도를 지시한다.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에 대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A/D 변환장치(151)는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필터(153)는 상기 A/D 변환장치(151)로부터의 신호를 필터링하며, 연산제어부(155)는 상기 디지털필터(153)를 통한 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열전대 고장의 판단한 후 탕면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나서, D/A 변환장치(157)는 상기 연산제어부(155)로부터의 탕면높이, 자동 개시 및 정지, 정상 동작신호, 각 열전대의 고정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부(159)는 상기 D/A 변환장치(157)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중인 주형내의 탕면은 항상 주형상부에서 100mm지점인 것을 감안할 때 가장 고장우려가 큰 제2열전대가 고장났을 경우는 제1열전대의 하한의 온도와제4열전대의 상한검출온도에 의해 보상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에는 상기 열전대(101a~101d)에 의해 검출되어 온도변환기(111a~111d)에 의해 변환된 온도신호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디지털 필터(153)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도와 몰드 레벨 특성식과 처리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억된 탕면높이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부(155)와 해당 산출된 탕면 높이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부(159)가 설치된다.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은 시간지연 시정수 수msec 이하의 것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은 시간지연 시정수 수msec 이하의 것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수단의 연산 처리시간(스캔 타임)을 수msec 이하의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주형온도 검출열전대와는 별개로 마련된 시동 정지용 온도 검출 열전대 로 용강주입의 자동 동작개시와 용강주입의 자동 동작정지를 판정하여 시동 정지 제어수단이 해당 시동 정지용 온도검출 열전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주입의 자동 동작개시 및 주입의 자동 동작정지를 제어하고 주입의 자동 시동 종료를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제어부(155)에서의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는 주입 개시시와 주입 작업중과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산 제어부(155)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의 각 열전대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대략적인 용면높이에 해당하는 열전대를 선택하고, 상기 각 열전대에 해당하는 탕면높이 계산을 위한 특성식으로서, 하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와 같다.
즉, 제1 열전대 101a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높이(H1) 수학식 1, 제2 열전대 101b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높이(H2) 수학식 2, 제3 열전대 101c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높이(H3) 수학식 3, 그리고, 제4 열전대 101d에 의해 산출된 탕면높이(H4) 수학식 4는 하기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탕면높이 특성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전술한 열전대의 기전력이 온도 변화에 따라서 리니어하게 변화하는 범위는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리니어범위를 가지고 탕면높이를 산출하고, 용강이 주입중에는 주형이 충분히 가열 되도록 되어있고 열전대가 검출하는 온도도 비교적 높기 때문에 열전대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범위를 위쪽으로 하였다.
H1 = - 0.265T1+102. 49
여기서, 제1열전대(101a)에 의해 검출된 검출온도(T1), 제일 열전대(101a)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1)는 상기 수학식 1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제1 열전대에 의한 상한 검출온도 T1이 180℃의 경우, 탕면 높이(H1)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55mm, 하한 검출 온도 T1이 66℃의 경우는 탕면 높이(H1)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85mm가 된다.
H2 = - 0.265T2+132. 49
여기서, 제2 열전대(101b)에 의해 검출된 검출 온도(T2), 제2 열전대(101b)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2)는 상기 수학식 2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제2 열전대(101b)에 의한 상한 검출온도 T2가 180℃의 경우, 탕면 높이(H2)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85mm, 하한 검출 온도 T2가 66℃의 경우, 탕면 높이(H2)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15mm가 된다.
H3 = - 0.265T3+162. 49
여기서, 제3 열전대(101c)에 의해 검출된 검출온도(T3), 제3 열전대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3)는 상기 수학식 3으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제3 열전대(101c)에 의한 상한 검출 온도 T3이 180℃의 경우, 탕면 높이(H3)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15mm, 하한 검출 온도 T3이 66℃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45mm가 된다.
H4 = - 0.265T4+192. 49
여기서, 제4 열전대(101d)에 의해 검출된 검출온도(T4), 제 4 열전대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4)는 상기 수학식 4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제 4 열전대(101d)에 의한 상한 검출 온도 T4가 180℃의 경우, 탕면 높이(H4)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45mm, 하한 검출 온도 T4가 66℃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75mm가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정상조업이 이루어질 경우, 항상 주형상부에서 100mm 지점에서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열전대의 검출구간(주형상단에서 85에서 115mm지점)에서 그 탕면높이가 검출되어지고 검출된 탕면높이는 온도지시계(119)에 의해 지시 및 감시된다. 실제 탕면높이는 검출열전대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검출영역을 가지고 있으므로 검출영역을 벗어날 경우는 높이검출이 불가하여 지시가 불가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의 탕면높이는 상기 각각의 특성식에 의해 검출된 높이 H에 의해 각각 검출되어 지시 및 출력되어진다.
그리고, 용강이 주형에 주입개시하기 시작하는 주형온도와 용강 탕면높이를 나타내는 특성식으로서, 이는 하기 수학식 5 내지 8과 같다.
즉, 제1 열전대 101a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 1, 제2 열전대 101b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 2, 제3 열전대 101c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 3, 그리고, 제4 열전대 101d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 4는 하기와 같다. 즉, 주입의 개시시는 주형이 냉각하고 있기 때문에, 열전대가 검출하는 온도도 낮기 때문에 열전대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범위를 아래쪽으로 하였다.
H1w = - 0.58T1W+96. 76
여기서, 제1 열전대(101a)에 의해 검출되었던 검출 온도(T1W)로 제1 열전대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1w)는 상기 수학식 5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제1 열전대에 의한 상한 검출 온도 T1W이 72℃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55mm, 하한 검출 온도 T1W가 40℃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85mm가 된다.
H2w = - 0.58T2W+126. 76
여기서, 제2 열전대(101b)에 의해 검출된 검출 온도(T2W)로 제2 열전대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2w)는 상기 수학식 6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2열전대(101b)에 의한 상한 검출 온도 T2W가 72℃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85mm, 하한 검출 온도 T2W가 40℃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15mm가 된다.
H2w = - 0.58T3W+156. 76
여기서, 제3 열전대(101c)에 의해 검출된 검출 온도(T3W)로 제3 열전대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3w)는 상기 수학식 7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3 열전대에 의한 상한 검출온도 T3W가 72℃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15mm, 하한 검출 온도 T3W가 40℃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45mm가 된다.
H2w = - 0.58T4W+186. 76
여기서, 제4 열전대(101d)에 의해 검출되었던 검출 온도(T4W)로 제4 열전대(101d)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H4w)는 상기 수학식 8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4 열전대에 의한 상한 검출 온도 T4W가 72℃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 상단부터의 거리가 145mm, 하한 검출 온도 T4W가 40℃의 경우, 탕면 높이 H는 주형상단부터의 거리가 175mm가 된다. 다만, 상기 탕면 높이 H의 제어 범위는 주형상단부터 55mm ~175mm의 범위이기 때문에 이러한 열전대 101a~101d로 검출할 수 있는 범위내에 들어 있고, 충분히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의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은 상기 온도변환기(111a~111d)로부터의 온도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용강의 탕면높이를 산출하여, 그 몰드탕면 높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주입의 자동 동작개시 신호, 주입의 오토 스톱 신호, 출력 지시 신호, 제1 열전대 고장 신호, 제 2 열전대 고장 신호, 제 3 열전대 고장 신호, 제 4 열전대 고장 신호, 시동 정지용 열전대 고장 신호, 제어기 정상동작 신호를, 주입되는 용강의 유량 조정 제어 장치와 응고 셸의 인출 속도 제어 장치 등에 출력 전송하여 주조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산 처리방법은 검출되었던 온도로부터 주형탕면높이를 다시 연산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주형온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와 탕면 높이와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주형탕면높이를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온도 검출로부터 탕면높이 산출까지의 지연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어, 산출되는 탕면 높이의 오차가 감소하고 응답성도 향상한다. 또한 연산처리방법을 주입개시시와 주입중으로 구분하고 각 열전대간 온도경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용강주입상태에 있어서 주형탕면높이를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입개시시 및 주입중의 탕면높이를 계측하여 이 계측된 탕면높이를 가지고 주입되는 용강의 유량을 제어하는 등 연속주조기를 완전 자동으로 제어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 및 파우더 주조 보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은 상기 연속 주조 상태가 파우더 주조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상기 파우더 주조 보정 수단은 상기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되는 탕면높이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고장 검출수단 및 온도 보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고장 검출수단은 상기 온도 검출 수단(101)의 온도에 기초해서 각 열전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 보정 수단은 상기 고장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난 열전대에 인접하는 열전대로부터의 온도 검출값을 이용하여 고장난 열전대에 대한 측정 온도를 예측한다. 즉, 이러한 연산처리방법에서의 고장시 보정은 상기 고장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난 주형온도 열전대에 인접하는 주형온도 검출열전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해당 고장난 주형온도 검출열전대로 측정되어야 하는 측정점의 온도를 보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형탕면높이의 계측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연속 주조작업 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져 라인 가동률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전대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에 기억된 온도와 몰드탕면레벨 특성식에 따라서 탕면 높이에 응한 출력 신호를 상기 미니스커스(주형상단에서 100mm지점) 높이 신호로서, 예를 들면 용강 주입 제어 장치와 응고 셸 인출 속도 제어 장치 등에 출력한다. 이 실시예로서 상기 출력신호의 전류치를 하기 표 1 및 도 7과 같이 설정하여 주입 개시시와 주입중으로 나누어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더구나 상기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은 사전에 주형을 시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 얻을 수 있었던 것이고, 본 발명의 용강높이의 합계는 원 포인트 보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일반의 연속 주조기에도 사용 가능하게 되어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을 수치, 온도 등을 한정 한 것은 아니다.
구분 항목 인발개시 주조시작시 주조작업중
제1열전대 관계식검출온도 상한치높이상한치 와 출력치검출온도 하한치높이하한치와 출력치 H = -0.58T1w + 96.7691 ℃60mm (4.0mA)40 ℃74mm (6.24mA) H = -0.265T1 + 102.49180 ℃60mm (4.0mA)66 ℃85mm (80.mA)
제2열전대 관계식검출온도 상한치높이상한치 와 출력치검출온도 하한치높이하한치와 출력치 H = -0.58T2w + 126.7691 ℃74mm (6.24mA)40 ℃104mm (11.04mA) H = -0.265T2 + 132.49180 ℃85mm (8.0mA)66 ℃115mm (12.8mA)
제3열전대 관계식검출온도 상한치높이상한치 와 출력치검출온도 하한치높이하한치와 출력치 H = -0.58T3w + 156.7691 ℃104mm (11.04mA)40 ℃134mm (15.84mA) H = -0.265T3 + 156.76180 ℃115mm (12.80mA)66 ℃145mm (17.60mA)
제4열전대 관계식검출온도 상한치높이상한치 와 출력치검출온도 하한치높이하한치와 출력치 H = -0.58T4w + 186.7691 ℃134mm (15.84mA)40 ℃160mm (20.00mA) H = -0.265T4 + 192.49180 ℃145mm (17.60mA)66 ℃160mm (20.00mA)
본 발명의 열전대식 탕면높이 검출방법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주형내 온도 검출용 열전대가 단선 등의 트러블에 의해 작동하게 되지 않은 경우에 그 고장난 열전대를 인접하는 열전대에 의해 보상하는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그리고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은 각 열전대로부터 이상온도가 검출되어 정상높이에 벗어날 경우 정상시 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으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이상시의 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으로 바꿔 탕면 높이 계측의 제어를 행한다. 즉 열전대는 조업개시와 조업종료시에는 거의 고장발생이 되지 않고 조업중의 주형 높이를 검출하여 가장 고장이 잦은 제2열전대가 고장발생시 상부에 설치된 제1열전 대의 하한값과 그 하부에 설치된 제3열전대의 상한값에 의해 제2열전대의 검출높이 를 보상할 수 있다.
도 7에서 정상시 제1 열전대 101a의 하한이하로 확장된 온도 검출범위는 66~ 34.1℃ 이하이고, 이 범위내의 온도 T1H 와 제3 열전대 101c의 상한 이상으로 확장된 온도 검출 범위는 180~243.5℃ 이상이고 이 범위내의 온도 T3U의 탕면 높이 H 특성탕면 높이 HHU1 특성은 하기 수학식 9식으로 나타난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몰드 상단부터 85~115mm의 탕면높이의 검출이 가능함으로서 제2 열전대 1b에 의해 검출가능 높이 85 ~ 115mm까지를 보상 검출할 수가 있다.
HHU1 = 0.47T1H + 0. 23T3U + A
여기서, A는 13 ~ 43이다.
또한, 제 3열전대가 고장이 났을 경우 상부에 설치된 제3열전 대의 하한값과 그 하부에 설치된 제4열전대의 상한값에 의해 제2열전대의 검출높이 를 보상할 수 있다. 즉 정상시에 있어서의 제2 열전대 101b의 하한이하로 확장되었던 온도 검출범위는 66~34.1℃ 이하이고, 이 범위내의 온도 T2H 또 제 4 열전대 101d의 상한 이상으로 확장되었던 온도 검출 범위는 180~243.5℃ 이상이고, 이 범위내의 온도 T4U 탕면 높이 H 특성은 하기 수학식 10으로 나타난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몰드 상단부터 115~130mm의 위치의 탕면 높이 H를 제 2 열전대 101b에 의해 계측할 수 있다.
HHU2 = 0.47T2H × 0. 23T3U + B
여기서, B는 43 ~ 58이고, 상기 수학식에 의해 제3열전대가 검출할 수 있는 탕면레벨높이 115 ~ 145mm의 검출높이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열전대(101b)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제1 열전대(101a)의 하한이하로 확장된 온도 검출범위(T1H)와 상기 제3 열전대(101c)의 상한 이상으로 확장된 온도 검출범위(T3U)에 관계하여, 열전대(101b)가 검출하여야 하는 온도범위(T2)를 백업할 수 있고, 또 제3 열전대(101c)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제2 열전대(101b)의 하한이하로 확장되었던 온도 검출범위(T2H)와 상기 제4 열전대(101d)의 상한 이상으로 확장된 온도 검출 범위(T4U)에 관계하여, 제3 열전대(101c)가 검출하여야 하는 온도범위(T3)를 백업할 수 있다.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에서는 이렇게 해서 검출된 주형내 온도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이상시 온도와 용강드탕면 높이 특성식에 기초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 결정하여, 이 탕면 높이에 따른 상기 정상시와 같은 탕면레벨높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주입을 중단하지 않고 계측을 계속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열전대 고장 신호는 전술한바와 같이 집중제어장치등에 출력되고 있고, 이 신호를 입력한제어장치측에서는 이것을 소리로서 경보를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고장시의 백업은 어디까지나 연속주조작업을 정지하지 않기 위한 응급책이고, 항상 이 백업을 이용하여 조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열전대방식의 용강탕면높이 검출방법에서는 파우더 주조시의 탕면 높이를 계측하기 위한 파우더 주조 모드가 설정되고 있다.
파우더 주조법에서는 주형에 유입되는 용강과 주형 내벽과의 사이에 용융 파우더가 개재하기 때문에 양자간의 열 전달율이 저하하여, 탕면높이변동에 수반되는 온도 변화에 지연이 생기기 때문에 탕면 높이의 산출이 실제의 탕면 높이 변동에 추종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되는 온도가 낮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정상시의 온도와 몰드탕면레벨 특성회귀식에 따라서 탕면 높이를 산출한 경우에는 실제의 탕면 높이보다도 높게 산출되어 버린다. 따라서 상기 파우더 주조 모드에서는 중앙제어장치로부터 파우더 주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탈 필터의 시간지연 시정수와 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을 바꾸는 것에 의해 해당 파우더 주조시의 탕면높이 산출을 보다 정확하게 한다. 이 파우더 주조시 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은 상기 정상시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의 온도경사, 즉 상기 수학식 1~4 식의 계수를 작게 하여, 온도와 용강탕면높이 특성식의 절편, 즉 1~4 식의 정수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대응한다.
또 본 발명으로는 상기 시동정지용 열전대 2에서 검출된 주형내 온도에 기초하여 용강주입 자동 동작개시 신호 및 주입 자동 동작정지 신호가 출력된다. 주입개시시와 주입중과의 온도 및 용강탕면 높이 특성은 완전히 다르며, 주입의 자동 동작개시 온도와 주입의 자동 동작정지 온도와를 동일 온도에 설정한 것으로는, 실질적으로 주입의 자동 동작개시 및 주입의 자동 동작정지의 한 쪽의 제어밖에 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본 발명으로는 상기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서 검출된 주형온도를 다른 주입 자동 동작개시 온도 및 주입 자동 동작정지 온도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쌍방을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내에서는 시동 정지용 열전대의 검출온도 T5가 주입 자동 동작개시 온도보다 높게 된 경우(주입시작시의 온도 40℃보다 높을 시)에는 주입의 자동 동작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열전대 103의 검출 온도 T5가 주입 자동 동작정지 온도보다 낮게 된 경우(주조작업중 66℃보다 낮을 시)에는 용강주입의 자동 동작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강의 연속 주조공정에 있어서, 주형 내의 주입되는 용강의 탕면높이를 측정하고,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유입되는 용강량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연속 주조기의 운전을 자동화하여 운전 및 정비자들이 방사선노출의 우려없이 안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탕면 높이의 계측 정도 및 계측 응답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파우더의 투입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탕면높이의 계측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7)

  1. 래들(2)의 하부에서 용강을 저장하는 턴디쉬(3)가 설치되고, 이 턴디쉬(3)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강을 일정 형태로 주조하는 주형(4)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에 적용되어, 열전대를 이용하여 연주 몰드의 용강 탕면 높이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4)내에서 주조작업 방향에 해당하는 상단에서 하향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주형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열전대(101a~101d)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수단(101);
    상기 주형의 하단부에 설치한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
    상기 복수의 열전대 각각에 의해 검출된 온도신호를 해당 전기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복수의 온도변환기(111a~111d,113)를 포함하는 온도 변환 수단;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를 입력받아 각 주형의 높이별로 평균 온도를 구하고, 이 온도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판단하며,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해당 열전대의 고장을 판단한 후 탕면 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하는 온도연산 제어수단(115):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의 고정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고장신호 출력용 릴레이(117):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에 의해 산출된 온도를 지시하는 온도지시기(119);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수단(101)의 복수의 열전대는
    상기 주형의 장변 및 단변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연산 제어수단(115)은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장치(151):
    상기 A/D 변환장치(151)로부터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디지털필터(153):
    상기 디지털필터(153)를 통한 신호에 기초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탕면 높이를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환 수단으로부터 온도신호중 시동 정지용 열전대(103)에 의한 온도신호에 기초해서 자동 측정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에 기초해서 열전대 고장의 판단한후 탕면높이를 보정하여 산출하는 연산제어부(155):
    상기 연산제어부(155)로부터의 탕면높이, 자동 개시 및 정지, 정상 동작신호, 각 열전대의 고정 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장치(157):및
    상기 D/A 변환장치(157)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59):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155)에서의 온도/탕면 높이 상관관계는
    주입 개시시와 주입 작업중과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155)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의 각 열전대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대략적인 용면높이에 해당하는 열전대를 선택하고,
    상기 각 열전대에 해당하는 탕면높이 계산을 위한 특성식으로서,
    제1 열전대 101a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높이 수학식은 "H = - 0.265T1+102. 49"이고,
    제2 열전대 101b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높이 수학식은 "H = - 0.265T2+132. 49"이고,
    제3 열전대 101c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높이 수학식은 "H = - 0.265T3+162. 49"이고,
    제4 열전대 101d에 의해 산출된 탕면높이 수학식은 "H = - 0.265T4+192.49"이고,
    용강이 주형에 주입개시하기 시작하는 주형온도와 용강 탕면높이를 나타내는 특성식으로서,
    제1 열전대 101a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은 "H = - 0.58T1W+96. 76"이고,
    제2 열전대 101b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은 "H = - 0.58T2W+126. 76"이고,
    제3 열전대 101c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은 "H = - 0.58T3W+156. 76"이고,
    제4 열전대 101d에 의해 산출되는 탕면 높이 수학식은 "H = - 0.58T4W+186. 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상기 연속 주조 상태가 파우더 주조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
    상기 파우더 주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되는 탕면높이를 보정하는 파우더 주조 보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는
    상기 온도 검출 수단(101)의 온도에 기초해서 각 열전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검출수단;
    상기 고장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난 열전대에 인접하는 열전대로부터의 온도 검출값을 이용하여 고장난 열전대에 대한 측정 온도를 예측하는 온도 보정 수단; 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KR1020020067109A 2002-10-31 2002-10-31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KR20040038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09A KR20040038224A (ko) 2002-10-31 2002-10-31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09A KR20040038224A (ko) 2002-10-31 2002-10-31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24A true KR20040038224A (ko) 2004-05-08

Family

ID=3733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09A KR20040038224A (ko) 2002-10-31 2002-10-31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2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2783A (zh) * 2011-06-21 2011-11-23 北京首钢自动化信息技术有限公司 结晶器专家热电偶安装、检测方法
KR101109624B1 (ko) * 2009-10-21 2012-01-31 호 식 박 시스템 루버용 처짐 방지 보강구조
US10126285B2 (en) 2012-07-24 2018-11-13 Posco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slab quality
US10710152B2 (en) 2014-11-19 2020-07-14 Posco Meniscus flow control device and meniscus flow control method using same
CN114309520A (zh) * 2020-09-30 2022-04-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钢水液面稳定性监控的反馈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653A (ja) * 1983-11-14 1985-06-12 Nippon Steel Corp 鋼の連続鋳造方法
KR900014058A (ko) * 1989-03-20 1990-10-22 찰스 비. 살로위츠 연속주조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아우트(break-out) 검출
JPH0796359A (ja) * 1993-09-28 1995-04-11 Nippon Steel Corp モールドレベル測定装置
JP2001334354A (ja) * 1999-11-25 2001-12-04 Sms Demag Ag スラブ、特に薄いスラブを連続鋳造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653A (ja) * 1983-11-14 1985-06-12 Nippon Steel Corp 鋼の連続鋳造方法
KR900014058A (ko) * 1989-03-20 1990-10-22 찰스 비. 살로위츠 연속주조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아우트(break-out) 검출
JPH0796359A (ja) * 1993-09-28 1995-04-11 Nippon Steel Corp モールドレベル測定装置
JP2001334354A (ja) * 1999-11-25 2001-12-04 Sms Demag Ag スラブ、特に薄いスラブを連続鋳造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24B1 (ko) * 2009-10-21 2012-01-31 호 식 박 시스템 루버용 처짐 방지 보강구조
CN102252783A (zh) * 2011-06-21 2011-11-23 北京首钢自动化信息技术有限公司 结晶器专家热电偶安装、检测方法
US10126285B2 (en) 2012-07-24 2018-11-13 Posco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slab quality
US10710152B2 (en) 2014-11-19 2020-07-14 Posco Meniscus flow control device and meniscus flow control method using same
CN114309520A (zh) * 2020-09-30 2022-04-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钢水液面稳定性监控的反馈方法
CN114309520B (zh) * 2020-09-30 2024-02-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钢水液面稳定性监控的反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5029B2 (ja) 鋳造設備用制御装置
KR20040038224A (ko) 열전대를 이용한 연주 몰드 용강 탕면 높이 검출장치
CA1214240A (en) Method of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level of liquid in a container
US41021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slag on a bath of molten metal
CN111683766B (zh) 用于监测连续铸钢工艺的方法和设备
KR101224981B1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224979B1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6435988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ブレークアウト防止方法、凝固シェル厚の測定方法、ブレークアウト予知装置およびブレークアウト防止装置
KR20180014367A (ko) 연속주조 이상 예측 장치
KR20120044423A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224960B1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4324077B2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の開度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の方法を用いた溶鋼注入方法
KR101224961B1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3549318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非定常バルジング検知方法
JPH01210160A (ja) 連続鋳造における縦割れ予知方法
KR100270391B1 (ko) 침적노즐의 침지깊이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7901A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H02220751A (ja) 連続鋳造機の鋳込み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S63119963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クアウト予知方法
JP2015167956A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S62270264A (ja) 連続鋳造の鋳造初期制御方法
CA2082887A1 (en) Process for the casting of metals in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with continuous strand withdrawal
JPH0556224B2 (ko)
JP3832358B2 (ja) 連続鋳造開始時の鋳型内湯面レベル計切替制御方法
JPH05562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