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487A -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487A
KR20040037487A KR1020020065977A KR20020065977A KR20040037487A KR 20040037487 A KR20040037487 A KR 20040037487A KR 1020020065977 A KR1020020065977 A KR 1020020065977A KR 20020065977 A KR20020065977 A KR 20020065977A KR 20040037487 A KR20040037487 A KR 20040037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signal
waveform
coil curren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126B1 (ko
Inventor
문병위
이대환
구준모
임형순
홍형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1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어봉 코일에 전압을 제어하는 전력제어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증폭, 여과 및 격리하는 신호조절기와, 상기 신호조절기에서 취득한 취득 데이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임시저장, 신호처리 및 전송을 하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와,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취득신호를 확장하는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를 통해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봉구동장치 및 관련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의 고장진단 및 유지 보수를 위한 계통 건전성을 확인하고,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coil current monitoring system for control element drive mechanism control system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제어봉 코일에 전압을 제어하는 전력제어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증폭, 여과 및 격리하는 신호조절기와, 상기 신호조절기에서 취득한 취득 데이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임시저장, 신호처리 및 전송을 하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와,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취득신호를 확장하는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를 통해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로 구성되어, 제어봉구동장치(CEDM)및 관련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CECMCS)의 고장진단 및 유지 보수를 위한 계통 건전성을 확인하고,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원자로는 핵분열시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다량의 에너지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서서히 방출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핵에너지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다.
원자로에서는 핵연료에 흡수되는 중성자수를 제어함으로써 핵연료의 연소를 조절하는데, 연료봉의 연소속도를 제어하는데에는 붕소로 제조된 제어봉이 사용되고 있다. 이 제어봉은 집합체의 형태로 연료봉 사이에 배열되며, 제어봉 구동장치에 의해서 수직방향 승강구동되어 핵분열시 생성되는 중성자를 흡수하여 연료봉의 연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제어봉은 그 위치에 따라 연료봉의 연소속도를 증감시키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자로의 가동을 중단시키기도 하므로, 제어봉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제어검출하는 것은 원자로의 적절한 출력제어 및 사고의 방지를 위해서 극히 중요하다.
현재 발전소에서는 제어봉구동장치(CEDM) 및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CECMCS)의 건전성 확인을 위한 코일신호 취득용으로 고속기록계(Recorder)를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범용 기록계로서 제한된 입력신호에 대하여 수동으로 취득작업이 이루어지며, 취득결과를 기록지에 실시간 인쇄하거나 파일로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방법이 불편하고 취득시간이 많이 걸리며 기록지 손실이 많을 뿐 아니라 고장진단을 하기 위한 분석기능 및 경보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 있었다.
또한, 고속기록계를 이용하여 제어봉구동장치 코일의 전류를 취득하려면 사전 준비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며 취득할 수 있는 채널의 수도 고정되어 있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고속기록계는 자동분석 경보 및 로그기능이 전혀 없으므로 취득결과에 대한 분석은 주로 기록지 인쇄내용에 의존하고 있으며, 제어봉구동장치와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의 고장진단을 위한 효율적인 분석 및 유지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봉구동장치의 코일 전류파형을 자동취득 및 분석하여 결과를 표시,경보,기록함으로서 제어봉구동장치 및 제어계통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진단함으로써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제어봉구동장치(CEDM) 및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CECMCS)의 이력을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향후 예방정비 업무에 활용함으로써 계통의 이용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전류 신호의 자동취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구동 자동감지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취득파형의 여과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구동 시퀀스 패턴 부호화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구동 시퀀스 판별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구동 기준파형 자동생성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봉 구동 파형 일치도 계산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별 MMI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기본화면을 도시한 화면창.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수동분석모드 화면을 도시한 화면창.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신호조절기 20...신호취득 콘트롤러부
30...네트워크 허브 40...감시분석 콘트롤러부
50...전력제어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구동장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시,경보, 기록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제어함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코일전류신호를 증폭, 여과 및 격리하는 신호조절기; 상기 신호조절기에서 취득한 취득 데이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임시저장, 신호처리 및 전송을 하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취득신호를 확장토록 다수의 포트를 갖는 네트워크 허브; 상기 네트워크 허브를 통해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저장, 진단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하여 적정범위에 따라 경보하거나 기록하고 판별하며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에 제어 신호와 설정치를 전송하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에는, 상기 신호조절기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취득카드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분석 콘트롤러부는, 일측으로 측정결과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무정전전원장치 및 분석된 데이터와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에 있어서,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설정에 따라 연속취득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버퍼를 확인하고 취득데이터를 인출한 후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에 추가하고, 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버퍼확인 및 취득 데이터를 인출하여 제어봉 동작 구동플래그(flag)를 검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따라 제어봉 동작 플래그(flag)가 동작 상태이면 파일 크기를 점검하고 인출 데이터를 추가한 후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을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따라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이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고 정상인 경우에는 제어봉 구동상태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 이후 제어봉이 정지된 경우에는 정지 개시 타이머를 설정하고 정지 지속시간이 설정치 보다 크면 제어봉 정지 플래그(flag)를 설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 따라 제어봉 동작 플래그(flag)가 정지하게되면 상부집게(UG)와 하부집게(LG)의 코일전류의 크기를 일정주기로 파일에 저장하고(저속취득 루틴), 계속하여, 상부집게와 하부집게의 코일전류를 판단하여 이상시에는 경보를 발생하고, 정상인 경우 다시 제어봉의 상태를 판단하여 비구동되는 경우에는 인출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며, 구동되는 경우에는 파일을 생성하고 제어봉 동작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의 감시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는, 제어봉 구동여부와 상관없이 입력신호의 범위가 적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범위이탈 경보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로그에 기록되는 범위이탈 신호 감지 및 경보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상부집게와 하부집게의 코일전류를 판단하는 단계는,제어봉의 비구동 상황에서 제어봉을 유지하고 있는 상부집게(UG)또는 하부집게(LG) 전류신호가 상한/하한 설정영역을 초과할 경우 해당 제어봉구동장치(CEDM)의 코일에 대하여 고준위 및 저준위 경보를 발생하고 그 결과를 로그파일에 기록하는 UG/LG 코일전류 비정상 신호 감지 및 경보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과 제4단계의 제어봉 구동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취득된 코일전류 신호의 변화상태를 감지하고 코일별 전류신호를 미분하여 파형의 기울기를 추적하여 구동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봉의 구동여부 판별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을 비교판단하는 단계는, 취득파형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성분을 제거하고 평탄화시켜 계통의 기준파형과 비교하기 용이토록 구동 시권스 및 파형 일치도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초당 2000 포인트 속도로 취득된 신호의 경우 33 포인트 이동평균을 취하여 6O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 하고, 11 포인트 이동평균을 취하여 180 Hz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하는 여과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로직단계는, 여과된 파형을 한 주기의 파형에 대하여 신호준위 설정치를 기준으로 구분한 후 각 코일 신호에 이진부호를 부여하고, 다시 코일 순서대로 조합한 후 16진으로 부호화 하여 기준부호와 비교함으로서 제어봉의 정지상태, 정상인출 및 삽입상태, 다양한 비정상 구동상태를 판별하는 구동시퀀스 부호화 및 판별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시퀀스 부호화 및 판별로직단계는,상기 구동시퀀스 판별로직단계를 통해 정상 인출 및 삽입 시퀀스로 판정된 경우에 한하여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여과를 한 후 한 주기 파형을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만들어진 기준파형을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파형과 현재 취득한 파형의 오차를 계산하여 기준파형 생성 및 파형일치도 계산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는, 시스템의 상태,환경,데이터 분석, 자동/수동변환을 행하는 대기,설정,감시,연속,분석모드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는, 시스템의 기본적인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초기상태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모드는, 관리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시스템 제반 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 값에 따른 환경을 변경, 저장하여 이를 통해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모드는, 상기 설정모드에 의해 시스템의 환경이 정해진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제어봉구동장치(CEDM)별로 구동여부와 전류신호의 이상유무를 판별하여 고속취득루틴과 저속취득루틴으로 구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속모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정된 제어봉구동장치(CEDM)의 파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연속으로 표시 및 저장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모드는,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분석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능(파형 재현, 수직/수평, 기준커서, 이동커서 표시, 커서간의 편차, 포인트 이동평균값, 파형의 온/오프, 중첩기능, 부분추출등) 및 툴을 내장하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분석된 자료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각 CEDM을 구성하는 4개의 코일 즉,UL(Upper Lift Coil), UG(Upper Gripper Coil), LL(Lower Lift Coil), LG(Lower Gripper) 각각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신호원으로 사용한다.
특히, 제어봉구동장치(CEDM)는, 원자력발전소 출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봉을 원자로 내에 삽입 및 인출시키는 장치로서, 원자로 상부에 제어봉(Control Element Assembly, CEA) 수 만큼 설치되며 구동력은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이다. 따라서 CEDM 코일에는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신호와 구동진행에 따라 유도되는 신호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코일에 흐르는 전기신호를 분석하면 제어봉의 구동상황 즉, 구동여부, 구동의 적절성 및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취득신호원 접속부위는 제어봉구동장치(CEDM) 캐비넷중 전력제어함(50) (Power Switch Assembly)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이며, 하나의 커넥터에는 하나의 CEDM에 장착된 4 개 코일의 신호가 연결되어 약 0 - 5O [mV] 범위의 전압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전력제어함(50)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신호조절기(100)와, 상기 신호조절기(100)에서 취득한 취득 데이터를 제어하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취득신호를 확장하는 네트워크 허브(300) 및,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 제어신호와 설정치를 전송하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인가되는 CEDM 코일의 전류신호는 션트(shunt) 저항을 거쳐 전압형태로 변경되어 전력제어함(50)(Power Switch Assembly)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인가된다.
상기 전력제어함(50)에 연결되는 신호조절기(100)는, 수신신호를 중폭, 여과 및 격리기능을 수행하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는 취득 데이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임시저장, 신호처리 및 전송을 수행하고,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 진단, 분석, 경보, 기록, 화면에 표시 또는 인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조절기(100)는, 전력제어함(50)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력제어함(50)과의 전기적인 격리(Isolation)를 시키고, 입력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에 필요한 크기로의 증폭(100배)을 하며 또한 불필요한 고주파 잡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여과 (Low Pass Filter, 차단주파수 = 500Hz)한다.
상기 신호조절기(100)에 연결되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는, 일측으로 데이터취득카드가 장착되고 상기 데이터취득카드는 신호조절기(100)로부터 수신한 0-5 [V] 범위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Sampling Frequency = 2 kHz 내외 조절가능)하여 콘트롤러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시킨다.
이때, 저장된 신호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의 전산프로그램에 따라 선별되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고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에 전송된다. 또한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로부터 제어신호 및 관련 설정치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허브(300)는, 여러 대의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여분의 포트를 가져서 필요에 따라 취득신호를 확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감시 분석 콘트롤러부의 원격 운용이 가능하므로 데이터 취득 및 감시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는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신호조절기(100)만 증설하면 취득신호의 채널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는, 상기 신호조절기(10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취득카드를 더 장착하여도 좋다.
상기 네트워크 허브(300)를 통해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연결되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 감시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시, 경보 및 기록하며 또한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로 제어신호와 설정치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에 계전기 모듈을 설치하여 발전소 주제어실의 경보계통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는, 일측으로 측정결과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410)와, 무정전전원장치(420) 및 분석된 데이터와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430)가 더 연결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430)에는, MMI(Man Machine Interface) 화면으로 구성되는데, 시스템의 기본화면은 감시모드 화면으로서 현재 연결된 CEDM 번호, 시스템의 동작모드, 경보상태가 표시되며 또한 다른 모드 또는 하부 화면으로 전환 할 수 있는 버튼이 제공된다. 감시모드의 하부화면에는 로그화면, 도움말 화면, 개별CEDM 코일전류 상태 상세화면이 있다.
설정모드 화면은, 계통설정, 경보설정, 설정치 입력용 등 3개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통설정 화면에서는 적용발전소 호기, 데이터 취득주기, 저장경로,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의 IP주소 및 연결CEDM을 입력하고 연결된 CEDM을 표시하며, 경보설정 화면에서는 경보종류별 동작/비동작을 선택하고, 설정치 입력화면에서는 수치로된 각 설정치를 입력 또는 변경한다.
연속모드 화면은, 연속모드 대상선택 화면과 선택된 CEDM의 파형표시 화면으로구성된다. 파형표시 화면에는 선택된 CEDM의 현재 취득되고 있는 파형이 실시간표시된다.
파형분석 화면에는, 파일불러오기, 파형의 색상표시 및변경, 파형축소/확대 및 이동,커서 및 커서간편차표시, 기준파형과중첩 비교,코일별선 별 표시(보이기/감추기), 코일별 파형표시 축 변경(off-set), 구간 추출, 기준 파형 생성, 이동평균(여과) 및 인쇄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취득된 모든 신호는 파일로 저장되어 필요시 수동으로 분석하거나 문서화에 활용될 수 있다. 파일명에는 CEDM번호와 취득 연월일시가 포함되고 파일확장자는 고속 및 저속취득 파일로 구분되므로 수동분석시 파일을 식별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Help 기능 및 화면은, 사용자가 계통의 이해, 사용법 학습 및 분석내용 검토를 위하여 Help 화면을 제공하는데, Help 파일은 별도의 파일로 작성되어 감시/분석 응용프로그램 내외에서 호출하여 열람 및 인쇄가 가능하고, Help 파일의 내용에는 계통의 구성, 설명, 사용절차, 분석 및 문제해결 방법 등 전반적인 문서를 포함한다. Help 파일은 Hyper Text 방식으로 작성되어 목차, 하부제목 및 주요 키워드에 의해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모드의 MMI 화면에서 Help 버튼을 클릭하면 우선적으로 해당모드 화면과 직접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고, Help 화면 내에는 페이지 이동, 인쇄, 종료 수단을 제공한다.
경보 및 로그(Log)의 경보의 발현은 MMI 화면상의 지시등(Indicator)이나, 심볼, Log 파일내의 경로 메시지, 릴레이 접점구동으로 이루어진다. 경보의 형태별 사용여부는 설정모드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본 계통에서 취급할 경보는 크게 시스템자체의 경보와 코일전류 신호에 대한 경보로 구분된다. 시스템 경보는, DAQ 모듈 및 네트워크 상태의 비정상, 저장장치의 공간부족, 데이터 Overflow 등 계통 자체의 문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우로 자체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하는 경보이고, MMI 화면의 “계통 이상” 지시등(Indicator)에 점등되며 상세 내용은 Log 파일에 기록한다.
제어봉구동장치(CEDM) 전류신호 관련 경보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의응용 프로그램의 로직에 의해 코일신호가 비정상인 경우 발생되는 경보로, CEDM 구동시 코일전류 시퀀스 비정상 (Sequence Abnormal)과 CEDM 구동시 코일전류 파형 비정상 (Wave Pattern Abnormal)시 발생된다.
시스템 로그 화면은, Log 파일이 계통의 이력관리 및 문제분석을 위하여 계통의 중요 이벤트와 경보 등이 발생 순서대로 파일에 추가되어 저장되고, 경보의 경우 계통 내 동일한 경보가 Overflow 되지 않도록 한번만 기록하며, 사용자에 의해 Reset 될 때까지 또는 자동 해제시까지 경보상태임이 표시된다. 또한, Log 파일은 현재를 기준으로 일정시간 이상의 이전의 로그내용을 유지해야 하며, 현재의 로그파일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이 될 때 자동으로 별도의 영구파일로 저장된다. Log 파일은,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로그 파일을 필요시 열람할 수 있으며, 로그내용을 시간별, 경보별 재 정렬 및 스크롤 가능하고, 화면상에서 경보상태를 Reset 가능하고, 현재 Log 파일의 별도 저장 및 인쇄가능하다.
이밖에, 출력장치(410)인 프린터와, 설치용 랙, 무정전 전원장치 및 각종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되는 일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는, 코일전류 신호의 자동취득 및 분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에 있어서, 제어 명령을입력하여(601) 동작모드를 설정하고(602), 상기 동장모드의 설정에 따라 연속취득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버퍼를 확인하고 취득데이터를 인출한 후(603)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에 추가하고(604), 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버퍼확인 및 취득 데이터를 인출하여(605) 제어봉 동작 구동플래그(flag)를 검사한다(606).
여기서, 상기 제어봉 동작 플래그(flag)가 동작 상태이면 파일 크기를 점검하고 인출 데이터를 추가한 후(607)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을 비교 판단하고(608),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이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고 정상인 경우에는 제어봉 구동상태를 판단한다(609).
상기 제어봉의 구동상태가 정지된 경우에는 정지 개시 타이머를 설정하고(610), 정지 지속시간을 판단하여(611) 설정치 보다 크면 제어봉 정지 플래그(flag)를 설정한다(612).
한편, 제어봉 동작 플래그(flag)를 검사시(606) 정지상태로 검사되면, 상부집게(UG)와 하부집게(LG)의 코일전류의 크기를 일정주기로 파일에 저장하고(저속취득 루틴)(613), 상부집게와 하부집게의 코일전류를 판단하여(614) 이상시에는 경보를 발생하고, 정상인 경우 다시 제어봉의 상태를 판단하여(615) 비구동되는 경우에는 인출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며(616), 구동되는 경우에는 파일을 생성하고(617) 제어봉 동작 플래그를 설정한다(618).
더하여,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서 취득된 신호는 전반적 적정성(Rational/ Irrational) 검사를 통하여 시스템 자체의 문제점을 검사하는 범위이탈(Irrational) 신호의 감지 및 경보로직단계가 포함된다. 제어봉 구동여부와상관없이 입력신호의 범위가 적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범위이탈(Irrational) 경보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알리며 동시에 로그에 기록된다. 이것은 코일전류 감시 시스템의 설정 또는 하드웨어 고장 등의 문제로 인해 입력신호의 범위가 통상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서 취득된 신호는 신호범위의 적정성 검사 및 제어봉 구동여부 판별에 이용된다. 제어봉 구동여부와 상관없이 입력신호의 적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정상(Abnormal) 경보가 발생되며, 또한 제어봉의 비구동 상황에서 코일전류 신호가 상한/하한 설정영역을 초과할 경우 해당 CEDM의 코일에 대하여 고준위(High) 및 저준위(Low) 경보가 발생되고 그 결과는 로그파일에 기록된다.
또한, 제어봉의 비구동 상황에서 제어봉을 유지하고 있는 특정코일(UG 또는 LG) 전류신호가 상한/하한 설정영역을 초과할 경우 해당 CEDM의 코일에 대하여 고준위(High) 및 저준위(Low) 경보를 발생하고 그 결과를 로그파일에 기록하는 로직으로, 제어봉 유지상태의 건전성을 감지하기 위한 UG/LG 코일전류 비정상 신호의 감지 및 경보로직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의 구동여부 판별은 취득된 코일전류 신호의 변화상태를 감지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제어봉이 비구동상태에서는 상부집게(Upper Gripper, UG) 코일의 전류만이 일정하게[45 Volt] 공급되고 나머지는 0[Volt] 상태이지만,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미리 주어진 시퀀스에 따라 각 코일의 전류준위가 순차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코일별 전류신호를 미분하여 파형의기울기를 추적함으로써 구동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제어봉 구동여부 판별로직단계가 포함된다.
제어봉 인출동작 경우 UL 코일이 가장 먼저 여자(energize)되고, 삽입경우는 LG 코일이 가장 먼저 여자되므로 이들 두 코일의 전류변화를 이용하여 구동개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한번 구동으로 판정한 후 일정시간 동안은 구동플래그를 설정(set)하여 불필요한 요동(hunting)을 방지함으로써 파형 자동저장을 원활하게 한다.
구동여부의 판별결과는 파형의 취득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제어봉이 구동중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경우는 자동으로 고속취득모드로 진입하여 모든 파형 데이터가 고속(2,000 points/sec.)으로 저장장치에 저장되며 비구동중에는 신호의 변화가 없으므로 저속취득모드로 진입하여 저속(4 points/min.)으로 저장함으로서 계통의 불필요한 부하를 줄인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취득된 데이터는 구동 시퀀스 및 파형 일치도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여과로직이 필요하다. 여과로직의 목적은 취득파형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성분을 제거하고 평탄화시켜 계통의 기준파형과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어봉의 구동을 위하여 CEDM에 공급되는 전력은 60[Hz] 3상 전원이므로 취득된 파형에는 60 [Hz] 성분과 180 [Hz] 성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초당 2,000 포인트 속도 (Sampling Rate = 2 kHz)로 취득된 신호의 경우 33 포인트 이동평균을 취하면 60 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되며, 11 포인트 이동평균을 취하면 180 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하는 취득신호 분석을 위한 여과(filter) 로직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도 5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EDM 코일전류 신호는 구동패턴에 따라 고유한 시퀀스를 나타내므로 이를 부호화하여 분석하면 구동패턴을 구별할 수 있는 구동시퀀스 부호화 및 판별 로직단계가 포함된다. 부호화의 방법은 먼저 파형을 여과한 후 한 주기의 파형에 대하여 신호준위 설정치를 기준으로 구분한 후 각 코일 신호에 이진부호를 부여하고 다시 코일 순서대로 조합한 후 16진 부호화하여 고유의 부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취득파형의 시퀀스를 부호화하여 기준부호와 비교를 하면 제어봉 정지상태, 정상 인출 및 삽입상태, 다양한 비정상 구동 상태 등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7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퀀스 판별로직을 통하여 정상 인출 및 삽입 시퀀스로 판정된 경우에 한하여, 취득된 파형을 기준파형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제어봉계통의 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준파형 생성 및 파형일치도 계산 로직단계가 포함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준파형을 선정하고 파일로 작성할 필요가 있다. 기준파형은 먼저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여과를 한 후 한 주기 파형을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자동 및 수동으로 모두 가능하다.
파형일치도 검사는 이렇게 미리 작성된 기준파형과 현재 취득한 파형의 오차를 계산한다. 여기서 비교를 위한 취득파형의 가공방법은 기준파형 작성로직과 동일하며, 기준파형과 취득파형의 오차는 포인트별 신호크기 차이의 제곱합으로 계산된다. 제곱합 방식을 사용한 이유는 오차끼리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은 오차보다 상대적으로 큰 오차를 강조하기 위함이다.
구동 시퀀스 이상시 또는 파형일치도 검사결과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보가 발생되며 그 결과는 로그파일에 기록된다.
한편,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모드는 대기, 설청, 감시, 연속, 분석으로 구분된다. 대기모드에서는 데이터 취득은 하지 않고 시스템의 기본적인 상태를 점검하는 준비상태이며, 설정모드는 시스템의 제반환경을 설정 및 변경하고, 감시 모드는 본격적인 데이터 취득 및 자동분석을 수행하며 연속모드는 지정된 CEDM의 파형을 연속으로 표시하며, 분석모드는 수동분석을 할 수 있는 모드이다.
상기 대기모드는, 일시적인 동작상태로서 계통의 기동시에 전원 투입시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네트워크, DAQ 카드 등의 상태 점검 후 이상시 경보를 발생하며, 데이터 취득작업은 하지 않고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로부터의 명령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 감시/분석 콘트롤러부로부터의 명령이 접수되면 감시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설정모드는, 감시분석콘트롤러부의 환경설정모드로 기동초기 및 필요시 실행하고, 계통 적용호기 입력하고, DAQ PC 별 IP 및 SCM에 연결된 제어봉 Subgroup 설정하며, DAQ PC의 수량 및 DataSocket Server IP를 설정하고, DAQ 모듈의 샘플링 속도, 취득 데이터 저장경로 등을 설정하고, 취득콘트롤러부(DAQ PC) 응용프로그램 내의 기본 설정값을 지정 또는 변경한다. 또한, 경보에 대한 설정하고, 기준파형 또는 특이파형 시퀀스 DB를 등록하고, 설정작업 후 설정상태를 저장하며설정모드 종료하면 감시모드로 진입된다.
상기 감시모드는, 계통의 기본모드로서 연결된 모든 CEDM에 대해 자동으로 연속수행하고, 연결된 모든 입력신호는 2 kS/s의 샘플링 주기로 연속적으로 취득하여 취득콘트롤러부의 임시 버퍼에 저장되고, CEDM별로 구동여부 및 전류신호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며 이 결과에 따라 고속취득루틴과 저속취득루틴으로 구별하여 수행하고, CEDM 구동여부 및 이상유무판별은 CEDM 별로 4개 코일 취득 전류값의 변화추이 및 기준 설정값과 비교를 통하여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저속취득루틴은, 특정 CEDM이 비구동 상태이고 정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루틴으로, 이때에는 임시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UL, UG, LL 및 LG 코일전류 신호를 저속의 주기로 재 샘플링하여 감시/분석 콘트롤러부로 전송 및 저장시키고, 상기 고속취득루틴은, 특정 CEDM이 구동 상태이거나 전류신호가 비정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루틴으로, 이 때에는 임시버퍼에 저장되어 해당 CEDM의 4개 코일 모두의 전류신호를 고속의 주기로 감시/분석 콘트롤러부에 전송한다.
상기 연속모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수행되는 모드로 주기점검 및 시험시 수행하고, 분석감시콘트롤러부에서 요구명령과 함께 지정되는 CEDM에 대하여 수행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고속으로 데이터 취득하며, 연속모드의 중지 및 개시는 감시/분석콘트롤러부를 통하여 수행한다.
또한, 감시모드는, 취득콘트롤러부의 감시모드와 연동되어 취득 데이터를 저장장치에 기록하고, 저장될 데이터의 저장경로 및 파일명은 설정모드에서 지정하고, 화면에는 테이블 형태로 73 개 CEDM을 그룹 및 서브그룹별로 정렬하여 각 번호에 대응되는 CEDM의 상태, 즉 DAQ 연결유무 및 정상/비정상 상태를 제공하며 또한 문제가 있는 CEDM 번호를 클릭하면 이상상태의 상세한 정보, 즉 발생시각, 해당 CEDM 번호, 증상, 조치사항, 파일명을 제공하며, 고속취득루틴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는 저장된 직후 자동으로 파형 분석하고, 파형분석 결과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CEA 테이블상의 해당 CEA 번호의 색을 변경하여 이상유무를 표시하고 동시에 경보발생한다.
상기 연속모드는, 분석 콘트롤러부에서 지정한 CEDM에 대하여 취득콘트롤러부의 연속모드와 연동되어 고속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연속으로 화면에 파형으로 표시하고 또한 사용자 요구시 파일로 저장하고, 연속모드로 수행될 대상 제어봉 집합체는 최대 8개(2개 Subgroup)까지 선택 가능하며, 이중에서 파형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CEDM은 한 개 Sub Group (4개 CEDM)까지 선택가능하며, 파형 관찰을 위하여 한 CEDM이 선택되면 축소/확대가 가능한 새 윈도우가 열리면서 현재 취득되는 신호가 파형으로 나타나며, 불필요시 다시 닫을 수 있다.
파형관측과 동시에 저장을 하려면 “데이터취득” 버튼을 이용하고, 화면에 표시를 위한 샘플링주기는 미리 설정하되 화면상에서 변경 가능하고, 화면에 표시되는 코일이 파형은 위로부터 UL, UG, LL, LG 순서로 하고, 화면에는 4개 코일별로 미리 정한 색을 사용하여 표시하며 필요시 변경가능하고, 제어봉의 구동에 따라 화면상의 파형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고, 연속모드상에서도 다른 DAQ 시스템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경보를 발생하고,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모드는, 수동모드로서 이미 저장된파일을 상세히 분석하는 모드로,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분석할 수 있도록 파형재생기능, 스크롤 기능, 수직/수평기능, 이동커서 표시 기능, 커서간의 편차표시 기능, 포인트 이동평균값 표시기능, 파형 중첩기능, 부분추출기능 및 툴을 내장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가 취득된 자료를 온라인, 오프라인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분석모드 상태에서도 계통의 기본모드인 감시모드를 강제로 종료시키지 않는 한 그 기능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봉구동장치 코일에는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신호와 구동진행에 따라 유도되는 신호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코일에 흐르는 전기신호를 분석하면 제어봉의 구동상황 즉, 구동여부, 구동의 적절성 및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취득의 자동화가 구현되고, 네트워크 기반의 구성을 통하여 신호의 확장성이 확보되어 필요시 발전소 전체의 제어봉구동장치(CEDM)를 감시할 수 있으며 취득신호의 이상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상시 경보를 발생시키고 예측되는 고장부분을 알려주며, 이상파형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추가로 등록할 수 있으며, 전류신호는 물론 주요 경보 및 이벤트를 파일로 기록함으로써 이력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동분석 도구를 제공하여 보다 상세한 신호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전류파형을 자동취득 및 분석하여 결과를 표시, 경보, 기록함으로서 제어봉구동장치 및 제어계통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진단함으로써 제어봉구동장치(CEDM) 및 관련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의 고장진단 및 유지 보수를 위한 계통 건전성을 확인하고,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봉구동장치(CEDM) 및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CECMCS)의 이력을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향후 예방정비 업무에 활용함으로써 계통의 이용률 향상에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구동장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시, 경보, 기록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제어함(50)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코일전류신호를 증폭, 여과 및 격리하는 신호조절기(100);
    상기 신호조절기(100)에서 취득한 취득 데이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임시저장, 신호처리 및 전송을 하는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취득신호를 확장토록 다수의 포트를 갖는 네트워크 허브(300) 및;
    상기 네트워크 허브(300)를 통해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저장, 진단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하여 적정범위에 따라 경보하거나 기록하고 판별하며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 제어 신호와 설정치를 전송하는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취득 콘트롤러부(200)에는, 상기 신호조절기(10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취득카드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분석 콘트롤러부(400)는, 일측으로 측정결과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장치(410)와, 무정전전원장치(420) 및 분석된 데이터와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43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4.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에 있어서,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설정에 따라 연속취득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버퍼를 확인하고 취득데이터를 인출한 후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에 추가하고, 감시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버퍼확인 및 취득 데이터를 인출하여 제어봉 동작 구동플래그(flag)를 검사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따라 제어봉 동작 플래그(flag)가 동작 상태이면 파일 크기를 점검하고 인출 데이터를 추가한 후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을 비교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따라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이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고 정상인 경우에는 제어봉 구동상태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 이후 제어봉이 정지된 경우에는 정지 개시 타이머를 설정하고 정지 지속시간이 설정치 보다 크면 제어봉 정지 플래그(flag)를 설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 따라 제어봉 동작 플래그(flag)가 정지하게되면 상부집게(UG)와 하부집게(LG)의 코일전류의 크기를 일정주기로 파일에 저장하고(저속취득 루틴), 계속하여, 상부집게와 하부집게의 코일전류를 판단하여 이상시에는 경보를 발생하고, 정상인 경우 다시 제어봉의 상태를 판단하여 비구동되는 경우에는 인출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며, 구동되는 경우에는 파일을 생성하고 제어봉 동작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감시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는, 제어봉 구동여부와 상관없이 입력신호의 범위가 적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범위이탈 경보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로그에 기록되는 범위이탈 신호 감지 및 경보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상부집게와 하부집게의 코일전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봉의 비구동 상황에서 제어봉을 유지하고 있는 상부집게(UG)또는 하부집게(LG) 전류신호가 상한/하한 설정영역을 초과할 경우 해당 CEDM의 코일에 대하여 고준위 및 저준위 경보를 발생하고 그 결과를 로그파일에 기록하는 UG/LG 코일전류 비정상 신호 감지 및 경보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과 제4단계의 제어봉 구동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취득된 코일전류 신호의 변화상태를 감지하고 코일별 전류신호를 미분하여 파형의 기울기를 추적하여 구동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봉의 구동여부 판별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제어봉 동작 시퀀스와 패턴을 비교판단하는 단계는, 취득파형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 이상의 성분을 제거하고 평탄화시켜 계통의 기준파형과 비교하기 용이토록 구동 시퀀스 및 파형 일치도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초당 2000 포인트 속도로 취득된 신호의 경우 33 포인트 이동평균을 취하여 6O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 하고, 11 포인트 이동평균을 취하여 180Hz이상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하는 여과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로직단계는, 여과된 파형을 한 주기의 파형에 대하여 신호준위 설정치를 기준으로 구분한 후 각 코일 신호에 이진부호를 부여하고, 다시 코일 순서대로 조합한 후 16진으로 부호화 하여 기준부호와 비교함으로서 제어봉의 정지상태, 정상인출 및 삽입상태, 다양한 비정상 구동상태를 판별하는 구동시퀀스 부호화 및 판별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퀀스 부호화 및 판별로직단계는,상기 구동시퀀스 판별로직단계를 통해 정상 인출 및 삽입 시퀀스로 판정된 경우에 한하여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여과를 한 후 한 주기 파형을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만들어진 기준파형을 선정하고, 선정된 기준파형과 현재 취득한 파형의 오차를 계산하여 기준파형 생성 및 파형일치도 계산로직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시스템의 상태, 환경, 데이터 분석, 자동/수동변환을 행하는 대기, 설정, 감시, 연속, 분석모드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는, 시스템의 기본적인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초기상태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모드는, 관리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시스템 제반 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 값에 따른 환경을 변경, 저장하여 이를 통해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모드는, 상기 설정모드에 의해 시스템의 환경이 정해진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CEDM별로 구동여부와 전류신호의 이상유무를 판별하여 고속취득루틴과 저속취득루틴으로 구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정된 CEDM의 파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연속으로 표시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드는,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분석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능(파형 재현, 수직/수평, 기준커서, 이동커서 표시, 커서간의 편차, 포인트 이동평균값, 파형의 온/오프, 중첩기능, 부분추출 등) 및 툴을 내장하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분석된 자료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구동장치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방법.
KR10-2002-0065977A 2002-10-28 2002-10-28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049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77A KR100496126B1 (ko) 2002-10-28 2002-10-28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977A KR100496126B1 (ko) 2002-10-28 2002-10-28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487A true KR20040037487A (ko) 2004-05-07
KR100496126B1 KR100496126B1 (ko) 2005-06-16

Family

ID=3733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977A KR100496126B1 (ko) 2002-10-28 2002-10-28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1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285B1 (ko) * 2006-12-01 2008-07-25 한국동서발전(주) 발전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고장 진단 및 예측 정비를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250749B1 (ko) * 2011-01-18 2013-04-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KR20160068483A (ko) * 2014-12-05 2016-06-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대사고 시 원자로건물의 건전성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37Y1 (ko) 2006-12-29 2010-07-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 코일 진단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285B1 (ko) * 2006-12-01 2008-07-25 한국동서발전(주) 발전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고장 진단 및 예측 정비를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250749B1 (ko) * 2011-01-18 2013-04-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KR20160068483A (ko) * 2014-12-05 2016-06-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대사고 시 원자로건물의 건전성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126B1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629A (en) Facility inspection support apparatus
KR100439686B1 (ko) 전력계통상태감시장치
JPH0836682A (ja) プラント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JP2018169827A (ja) 運転監視システム
KR100496126B1 (ko)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1722149B1 (ko) 지진 감지 동기화 전력계통 고장기록장치
JPH08152912A (ja) プラント運転支援装置
JP2001084032A (ja) データ記録・表示装置
JPH10161737A (ja) プラントの運転管理・支援装置
JPH1196489A (ja) プラント警報処理支援システム
JP2008015822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の遠隔保守システム
JPH08147030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JP2525867B2 (ja) プラント分散制御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0143536B1 (ko) 전력선 반송 보호 계전 시스템에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장치
JPH0777487B2 (ja) 電力系統故障診断装置
JP2826120B2 (ja) プラントの監視装置
JP2002071877A (ja) 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6285457U (zh) 智能化水力监测装置
JP2010220302A (ja) 保護継電器
JP2005190196A (ja) 巡視点検支援方法、巡視点検支援装置
JP7325219B2 (ja) プラント監視診断装置およびプラント監視診断方法
JP4593301B2 (ja) エレベータの故障解析装置
AU2004294055B2 (e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JPH08304125A (ja) プラント診断装置
JP2545927B2 (ja) 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