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414A -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414A
KR20040036414A KR1020020065437A KR20020065437A KR20040036414A KR 20040036414 A KR20040036414 A KR 20040036414A KR 1020020065437 A KR1020020065437 A KR 1020020065437A KR 20020065437 A KR20020065437 A KR 20020065437A KR 20040036414 A KR20040036414 A KR 20040036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layer
player
capacity medium
low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소닉
Priority to KR102002006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6414A/ko
Publication of KR2004003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종래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모두 휴대를 목적으로 개발한 휴대용 기기이지만, 각각 휴대성 및 저장용량의 우열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를 재생하는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를 재생하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 사이의 제어신호, 데이터 및 전원의 연결이 가능한 패드를 제공하는 컨넥터로 구성하여 하나의 제품을 이용하여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고용량의 음악파일을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와 저용량 파일을 저장하더라도 휴대의 편의성이 강조되는 두 가지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상태로의 휴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COMBINATION TYPE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본 발명은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용량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착탈식으로 구현하되, 저용량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만 제어수단을 두어 그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저용량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MP3 재생가능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MP3-CDP), MP3 플레이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는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를 재생하며, MP3 재생가능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MP3-CDP)는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의 트랙 및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MP3 파일 등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그 기능에 따라 각기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는 운용되고 있지 않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구조와 그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CD 또는 MP3-CD 등의 고용량 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어입력을 해석하여,그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를 구동하는 구동부(13)와; 상기 컴팩트 디스크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는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14)와; 상기 독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재생부(15)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용량 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장치는 고용량 매체에 수록된 오디오 파일 또는 트랙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오디오 파일을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용량 매체를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장치는 휴대용으로 제작하기는 하였지만, 그 평면상의 지름은 기본적으로 컴팩트 디스크 미디어의 이상이며, 두께 또한 상당하여 휴대용 도구가 없으면 사실상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를 사용하여 매체를 구동시켜야 함으로써 소비전력이 커 휴대용 건전지 또는 충전식 건전지의 교환 주기가 짧게되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다르게, 도 2는 플레쉬 메모리, 메모리 스틱 등의 저용량 매체를 사용하는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의 USB 또는 병렬포트 등의 포트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PC 인터페이스부(23)와; 상기 PC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컴퓨터와 저용량 매체의 사이에서 오디오 파일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1)와;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와;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용량 매체에 오디오 파일을 기록 또는 삭제하거나, 독출하는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24)와; 상기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24)에서 독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재생부(25)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장점은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매우 편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별도의 매체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아닌 상대적으로 소형, 저용량의 내장된 매체에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고,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그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음향신호 변환하기 때문에 그 크기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터가 필요하지 않은 구성으로, 소비전력을 대폭 낮추어 휴대성과 경제성을 더욱 향상시킨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한정된 매체의 용량에 의해 저장할 수 있는 오디오 파일의 수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소비전력의 감소로 인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동일한 음악을 청취해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식상해 버릴 수 있다.
또한,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저용량 매체에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 등의 서버역할을 하는 장치와 연결을 해야 한다.
이는 먼저,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제조 회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설치하고, 그 컴퓨터의 USB 포트 또는 병렬 포트 등의 포트와 상기 PC 인터페이스부(23)를 적당한 케이블로 연결한 후, 상기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저용량 매체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복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 중에는 저용량 매체에 수록된 오디오 파일을 바꾸지 못하며, 이에 따라 몇 곡의 오디오 파일을 반복적으로 재생하여 청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모두 휴대를 목적으로 개발한 휴대용 기기이지만, 각각 휴대성 및 저장용량크기에 대해 우열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결합하되, 제어부를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용량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전원의 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가격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디지털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재생부를 공유하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직접 복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분리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의 MP3 플레이어와 CDP를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A-B 방향의 단면도.
도 6의 (a)와 (b)는 각각 컨넥터와 MP3 플레이어의 컨넥터 삽입구의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부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저용량 매체의 파일을 편집하는 과정이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MP3 플레이어31 : PC 인터페이스부
32 : 디스플레이부33 : 제어부
34 :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35 : 재생부
36, 42 : 전원부37 : 키입력 및 RC 인식부
38 : 제어 및 재생부39, 45 : DC/DC 변환부
40 : CDP41 :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
43 : 구동부44 : 인터페이스 제어부
50 : 컨넥터51 : 스위치 조작부
60 : 커버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분리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MP3 플레이어(30)와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40, 이하 CDP)로 구성되며, 상기 CDP(40)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고,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MP3 플레이어(30)와 CDP(4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DP(40)를 이용하여 컴팩트 디스크를 재생할 수는 없으며, MP3 플레이어(30) 만을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의 MP3 플레이어(30)와 CDP(40)를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30)와 CDP(40)는 컨넥터(50)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신호, 전원 및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MP3 플레이어(30)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CDP(40)를 구동하여 컴팩트 디스크에 수록된 오디오를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MP3 플레이어(3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 조작에 의해 상기 MP3 플레이어(30) 측에만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는 CDP(40)를 제어할 것인지, MP3 플레이어(30)를 제어할 것인지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CDP(40)의 컴팩트 디스크 또는 MP3 플레이어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A-B 방향의 단면도로서, CDP(40)는 MP3 플레이어(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기재를 가지며, CDP(40)와 MP3 플레이어는 컨넥터(50)를 통해 제어신호, 데이터, 전원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조에서 도면 부호 60은 투명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된 커버로써, MP3 플레이어(30)가 커넥터(50)를 통해 CDP(40)와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30)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플레이어를 보호하고, 삽입된 MP3 플레이어(3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버(60)는 상기 MP3 플레이어(30)의 삽입방식에 따라 그 구조를 다르게 한다.
즉, MP3 플레이어(30)의 삽입방식이 슬라이드(Slide)식이면, 고정형으로 할수 있으며, MP3 플레이어(30)의 삽입방식이 먼저 컨넥터와 결합 후, 상기 삽입기재 내에 고정시키는 컨넥터 비고정 방식이면 개폐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예로 CDP(40),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예로 MP3 플레이어를 들었지만,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각기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제어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 재생수단이 없는 구조의 고용량 매체 재생수단이면 된다.
상기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구체적인 예로는 컴팩트 디스크 이외에 DVD, 자기 하드디스크, 데이터 플레이(Dataplay), 스토리지 엘리먼트(Storage Element, SE), 마그네토-옵티컬 디스크(Magneto-Optical Disk)를 사용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역시 상기 예로든 MP3 플레이어의 저용량 매체로서 플레쉬 메모리, MMC(Multi Media Card), SMC(Smart Media Card), SD(Secure Digital), Compact Flas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a)와 (b)는 각각 컨넥터(50)와 MP3 플레이어(30)의 컨넥터 삽입구의 일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넥터(50)는 전원, 데이터라인, 제어신호라인 등의 패드부분을 상기 CDP(40)의 삽입기재 내에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넥터(50)에서 제공하는 패드의 수는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컨넥터(50)의 구조 및제공하는 패드의 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MP3 플레이어(30)는 컨넥터(50)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삽입구 내에는 상기 컨넥터(50)에서 제공되어지는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컨넥터(50)와 컨넥터 삽입구는 삽입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 또는 자연적으로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맞물려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사용자의 착탈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 고정 및 사출이 가능한 구조이면 그 구조 자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삽입, 고정 및 사출이 가능하도록 CDP(40)측에 기계적인 결속수단 및 사출수단을 구비시키며, 그 결속수단과 사출수단의 종류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외형적인 특징은 제어부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 가능한 각 플레이어의 내부 구성요소의 결합관계와, 그 구성요소 사이의 유기적인 동작 관계 및 그 구성적 특징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P(40)와 MP3 플레이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MP3 플레이어(30)의 제어부(33)가 CDP(40)의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와 구동부(43)를 제어하여 고용량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MP3 플레이어(30)에 구비된 재생부(35)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
즉,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CDP(40)에는 제어부가 없으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인 MP3 플레이어(30)가 결합되었을 때, 그 제어부(33)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여, CDP(4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MP3 플레이어(3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 및 리모트 콘트롤러(RC) 인식부(37)와, 상기 키입력 및 RC 인식부(37)를 통해 인가되는 명령을 해석하여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3)와; 상기 MP3 플레이어(30)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PC 인터페이스부(31)와; 저용량 매체의 데이터를 읽거나, 저용량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34)와; 상기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저용량 매체 또는 CDP(40)의 고용량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재생부(35)와; MP3 플레이어(4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와; 제어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CDP(40)는 상기 MP3 플레이어(40)에 구비된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고용량 매체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와; 상기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고용량 매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3)와; 상기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와 구동부(4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2)로 구성된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제어부(33)와 재생부(35)를 통합한 모듈을 사용하는 실시예로, 제어 및 재생부(38)를 가지며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은 CDP(40)에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재생부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을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의미와, 사용자의 욕구에 충족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용량 매체 또는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상기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특징적인 제어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MP3 플레이어(30)에 부착된 키를 선택하여 전원을 켜면, 상기 제어부(33)는 현재 전원부(36)의 상태를 확인한다(S901).
상기 전원부(36)는 충전 가능한 건전지 또는 일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6)의 상태를 확인한 후, 그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전원을 오프시키며,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2)에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것인가를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902).
이때, 사용자가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을 선택하면, 저용량 매체 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수, 용량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한다(S903).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2)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정보를 표시한 후, 제어부(33)는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34)를 제어하여 그 저용량 매체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 한다(S904).
그 다음, 상기와 같이 독출된 저용량 매체의 데이터는 재생부(35)에서 재생되어 음향신호로 변환되어지며, 이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의 재생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전달된다(S905).
상기 사용자가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방법은 MP3 플레이어(30)에 연결되어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들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스피커를 연결하여 청취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S901~S905의 단계는 상기 CDP(40)와 MP3 플레이어(3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MP3 플레이어(30)의 동작과정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S902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3)는 사용자가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MP3 플레이어(30)에 CDP(40)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S906).
상기 S906단계의 판단결과 CDP(40)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32)에 오류메시지를 표시하고(S907), 상기 S902단계로 귀환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CDP(40)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싶었으나, MP3 플레이어(30)와 CDP(4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오류 메시지를 확인하여 CDP(40)와 MP3 플레이어(30)의 결합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906단계의 판단결과 CDP(40)와 MP3 플레이어(3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한다(S908).
그 다음,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33)는 컨넥터(50)를 통해 연결되어진 구동부(43)를 구동시키고(S909),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를 제어하여, 그 고용량 매체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 한다(S910).
이와 같이 독출된 고용량 매체의 오디오 데이터는 컨넥터(50)의 데이터 패드를 통해 재생부(35)로 인가되며, 재생부(35)는 그 오디오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911).
이처럼 재생부(35)를 통해 변환된 음향신호는 이어폰 등의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에 의해 음향으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곡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넥터(50)는 제어부(33)의 제어명령을 CDP(40)의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와 구동부(43)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을 제공함과 아울러 그 독출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고, 전원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CDP(40)의 전원부(42)와 MP3 플레이어(30)의 전원부(36)를 연결하여 MP3 플레이어(30)의 전원부(36)로 사용하는 충전 가능한 건전지를 충전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CDP(40)의 전원은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 일반 건전지 또는 상용교류전원을 어댑터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변환하여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CDP(40)와 MP3 플레이어를 결합해서 별도의 충전기 없이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CDP(40)의 전원부(42)와 MP3플레이어(30)의 전원부(36)를 공유할수 있다.
상기 CDP(40)는 구동을 위해 3V의 전압이 필요하며, MP3 플레이어(30)는 1.5V의 전압을 사용하지만, 내부회로는 승압하여 3V를 사용한다.
이처럼 승압을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력의 소비량이 많아지게 되지만, CDP(40)와 MP3플레이어(30) 각각의 전원부(42),(36)로 1.5V의 건전지를 사용하고, CDP(40)와 MP3플레이어(3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전원부(42),(36)가 상호 직렬연결되도록 하여 승압을 시키지 않고, 3V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설명한 CDP(40)와 MP3 플레이어(30)의 전원부(42),(36)의 상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P(40)와 MP3 플레이어(30) 각각에는 1.5V 건전지인 전원부(42),(36)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전원부(42),(36)의 출력전압을 3V로 승압시키는 DC/DC 변환부(45),(39)가 구비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30)에는 스위치(SW1)가 구비되어 CDP(40)가 결합되면, 그 스위치(SW1)가 열리게 되어, 상기 DC/DC변환부(39)와 전원부(36)의 연결이 차단됨과 아울러 그 전원부(36)가 CDP(40)의 전원부(42)와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SW1)를 조작하는 수단은 CDP(40)와 MP3 플레이어(30)가 결합할 때, MP3 플레이어(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조작부(51)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의 스위칭 제어방식 및 상기 회로의 구성은 일실시예이며, 기타 CDP(40)와 MP3 플레이어(30)의 전원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면, 그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CDP(40)에는 1.5V의 건전지가 2개 필요하며, MP3 플레이어(30)는 1.5V의 건전지가 1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CDP(40)와 MP3 플레이어(30)의 전원을 직렬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CDP(40)와 MP3 플레이어(30) 각각에 1.5V의 건전지가 각각 1개씩만 필요하게 되어, 유지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DC/DC 변환부(39)를 통해 승압하지 않고, DC/DC 변환부(45)로 입력되는 3V의 전압을 그대로 MP3 플레이어(30)에서 사용함이 가능하여 소비전력을 낮춰 건전지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는 CDP(40)와 MP3 플레이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CDP(40)에 로딩된 컴팩트 디스크를 재생하거나, MP3 플레이어(3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전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사용자가 파워오프의 명령을 내리면(S912) 파워오프 시키며, 파워오프의 명령이 없으면 이전의 재생 동작을 계속 진행한다(S913).
상기의 순서도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인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탐색, 반복재생, 이전 곡 재생, 다음 곡 재생 등의 일반적인 동작 절차는 종래의 일반적인 동작 절차를 따르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언급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CDP(40)에 인터페이스 제어부(4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44)는 상기 컨넥터(5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종류 및 양을 줄여 컨넥터(50)에서 제공되는 패드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모듈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44)는 주로, 상기 제어부(33)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석하고, 그 제어신호에 적당하도록 구동부(43)와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41)를 직접 제어한다.
또한, 그 구동의 결과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33) 또는 재생부(35)로 인가함으로써, 그 컨넥터(50)에서 제공하는 패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제어부(44)가 없는 환경에서는 제어부(33)가 구동부(43)와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신호(33)가 인가되는 경로가 구동부(43)와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에 각각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제어부(44)가 있는 환경에서는 제어부(33)의 제어신호는 하나의 경로를 통해 인터페이스 제어부(44)에 인가되고, 인터페이스 제어부(44)는 그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구동부(43) 또는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를 제어한다. 이로써 컨넥터(5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 패드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컨넥터(50)의 수를 줄이면, 컨넥터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MP3 플레이어(30)와 CDP(40)를 결합한 구조의 또 다른 장점은 MP3 플레이어에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MP3 플레이어(30)에서 제공되는 PC 인터페이스부(31)를 USB 또는 병렬케이블 이용하여 컴퓨터의 USB 또는 병렬포트에 연결하고, MP3 플레이어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MP3 플레이어(30)의 저용량 매체에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였다.
이는 컴퓨터가 없는 환경에서 MP3 플레이어(30)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교체할 수 없는 것으로, 그 사용에 큰 불편함을 주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용량 매체로 쉽게 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고용량 매체에서 저용량 매체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MP3 플레이어(30)의 디스플레이부(32)에는 상기 고용량 매체에 수록된 파일 또는 트랙의 정보가 표시된다(S1101).
상기 CDP(40)는 일예이며, MP3를 재생함이 가능한 MP3-CDP일 수 있고, 상기 설명한 다른 종류의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MP3 플레이어(30)에 구비된 키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선택하면, 그 선택은 키입력 및 RC 인식부(37)를 통해 제어부(33)로 인가된다.
상기 복사기능이 선택됨을 인지한 제어부(33)는 제어신호를 상기 CDP(40)의 구동부(43) 및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41)에 전달하여 구동함으로써, 파일 또는 트랙의 목록을 읽어 들여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된 파일을 선택한다(S1102).
그 다음, 상기 제어부(33)는 사용자가 복사할 파일의 선택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여 완료되지 않았으면 복수의 파일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S1101단계로 귀환한다(S1103).
상기 S1103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든 파일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파일의 총용량이 상기 MP3 플레이어(30)에 내장된 저용량 매체의 최고용량을 초과하는 가를 판단한다(S1104).
상기의 판단결과 선택된 파일의 총용량이 상기 MP3 플레이어(30) 저용량 매체의 최고용량을 초과하면 오류를 표시하고, 상기 S1101단계로 귀환하여 선택된 파일의 선택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1105).
그 다음, 상기 S1104단계의 판단결과 선택된 파일의 총용량이 저용량 매체의 최고용량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총용량과 저용량 매체의 미사용 용량을 비교한다(S1106).
그 다음, 상기 용량의 비교결과 저용량 매체의 미사용 용량이 선택된 파일의 총용량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파일을 저용량 매체로 복사한다(S1112).
그러나, 상기 S1106단계의 비교결과 저용량 매체의 미사용 용량이 선택된 파일의 총용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어부(33)는 디스플레이부(32)에 현재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파일의 삭제를 선택하지 않으면 복사과정을 중단하고 상기 S1101단계로 귀환한다(S1107).
또한, 상기 S1107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33)는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한다(S1108).
그 다음, 상기 표시된 파일의 목록중 삭제할 파일을 선택한다(S1109).
그 다음, 제어부(33)는 사용자가 선택완료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여 선택완료가 아니면 상기 S1109단계로 귀환하여, 복수의 삭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1110).
상기 S1110단계에서 삭제할 파일의 선택이 완료되었으면, 제어부(33)는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부(34)를 제어하여, 상기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파일중 선택된 파일을 삭제한다(S1111).
그 다음, 상기 삭제의 동작으로 확보된 저용량 매체의 미사용 영역에 상기 고용량 매체에서 선택된 파일들을 복사한다(S1112).
만약, 상기 CDP(40)가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만을 사용하는 것일 때, 즉, MP3파일의 재생기능이 없는 것일 때는 상기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의 트랙을 읽어들여 MP3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는 저용량 매체의 버퍼공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고용량 매체를 사용하는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를 사용하는 오디오 플레이어를 결합하여,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용량 매체로 복사함이 가능하게 되어, 컴퓨터 등의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가 연결되는 서버역할을 하는 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도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30)와 고용량 매체만을 휴대하고 다니면, 편의점 등에서 제공하는 상기 MP3 플레이어(30)와 결합할 수 있는 고용량 매체 플레이어에 연결하여 자신의 고용량 매체에 수록된 파일을 저용량 매체에 복사하여 이동 중에도 원하는 곡으로 바꾸어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용량 매체를 재생하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를 내장한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결합가능하도록 만들고, 그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를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을 이용하여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더라도 고용량의 음악파일을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와 저용량 파일을 저장하더라도 휴대의 편의성이 강조되는 두 가지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상태로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휴대하면서, 그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가 비치된 곳이면 어디서나 그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충전이 가능함과 아울러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직접 저용량 매체로 복사함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의 편의성 및 재생가능한 오디오 파일의 수를 용이하게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구성을 간략화 함으로써, 거의 하나의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가격으로 고용량과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가 결합되었을 때, 각 오디오 플레이어의 전원부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승압할 필요 없이 원하는 전압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소비전력을 줄이고, 전원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를 재생하는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결합되어, 그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를 재생하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 사이의 제어신호, 데이터 및 전원의 연결이 가능한 패드를 제공하는 컨넥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는 컴퓨터와의 연결을 통해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거나 받을 수 있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수단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거나, 상기 고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 상황 또는 필요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저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는 저용량 매체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저용량 매체 또는 고용량 매체의 독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공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고용량 매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 하여, 저용량 매체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도록 독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공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해석하여, 구동수단 및 고용량 매체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어의 결과를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제어수단 또는 재생수단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5.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전원제공수단의 전원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전원제공수단에 컨넥터를 통해인가되어,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전원제공수단을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결합되어, 고용량 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용량 매체로 직접 복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상기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사출시키는 고정 및 사출수단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삽입된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를 보호함과 아울러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표시수단의 확인이 가능한 커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는 컴팩트 디스크, DVD, 자기 하드디스크, 데이터 플레이(Dataplay), 스토리지 엘리먼트(Storage Element, SE) 또는 마그네토-옵티컬 디스크(Magneto-Optical Disk)중 선택된 하나를 재생하며, 저용량 매체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플레쉬 메모리, MMC(Multi Media Card), SMC(Smart Media Card), SD(Secure Digital), Compact Flash 중 선택된 하나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종류에 따라 제공하는 패드의 수와 그 패드의 기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10. 제 1항에 있어서,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가 결합되었을 때,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와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전원부는 상호 직렬 연결되어, 고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 및 저용량 매체 오디오 플레이어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KR1020020065437A 2002-10-25 2002-10-25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KR20040036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37A KR20040036414A (ko) 2002-10-25 2002-10-25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37A KR20040036414A (ko) 2002-10-25 2002-10-25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414A true KR20040036414A (ko) 2004-04-30

Family

ID=3733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437A KR20040036414A (ko) 2002-10-25 2002-10-25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41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395A (ja) * 1999-11-16 2001-05-25 Yamaha Corp データ復号装置
US6292440B1 (en) * 1998-11-02 2001-09-18 Ids Corporation MP3 car player
JP2001273754A (ja) * 2000-03-28 2001-10-05 Kenwood Corp 音響システム及び音響システム用パッド
KR20030044084A (ko) * 2001-11-28 2003-06-09 성낙면 씨디롬 드라이브를 이용한 엠피3 씨디플래이어 제작방법
KR20030093423A (ko) * 2002-06-03 200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cdp겸용 cd-rom bay와 그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440B1 (en) * 1998-11-02 2001-09-18 Ids Corporation MP3 car player
JP2001143395A (ja) * 1999-11-16 2001-05-25 Yamaha Corp データ復号装置
JP2001273754A (ja) * 2000-03-28 2001-10-05 Kenwood Corp 音響システム及び音響システム用パッド
KR20030044084A (ko) * 2001-11-28 2003-06-09 성낙면 씨디롬 드라이브를 이용한 엠피3 씨디플래이어 제작방법
KR20030093423A (ko) * 2002-06-03 200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cdp겸용 cd-rom bay와 그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961B1 (en)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CN101425315B (zh) 用于激活自动均衡模式的方法和装置
CN101212605B (zh) 内容可选的再现系统及其方法、便携式再现单元控制装置
KR100353159B1 (ko) Mp3 파일 재생용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719618B1 (ko) 데이터 재생장치
JP2003295896A (ja) 携帯型音楽再生装置
CN1825427B (zh) 音乐再现装置
US20060225554A1 (en) Portable music editing system
US20020029091A1 (en) Digital audio player capable of playing digital audio data through existing cassette tape player
JP3711099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のアクセス方法
KR20040036414A (ko) 착탈식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CN201349317Y (zh) 一种能存储播放歌曲视频文件的话筒
JP3963701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CN2633660Y (zh) 车载mp3与dvd多功能影音播放机
CN201845562U (zh) 一种多功能cd/dvd录音机
JP200033328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90073362A (ko)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KR20000067308A (ko)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장착형 엠피3 플레이어 장치
KR100537171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배터리 절전장치 및 방법
KR100308246B1 (ko) 분리가능한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팩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시스템
KR20050112379A (ko) 멀티 도킹 시스템이 적용되는 엠피쓰리 플레이어 및 그운용 방법
KR200329876Y1 (ko) 착탈 방식의 메모리 카트리지 장치
KR20020007351A (ko) 스테레오 시스템용 플래시 메모리 카드 어댑터
RU112787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CN100349145C (zh) 声音播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