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280A -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 Google Patents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280A
KR20040036280A KR1020020065243A KR20020065243A KR20040036280A KR 20040036280 A KR20040036280 A KR 20040036280A KR 1020020065243 A KR1020020065243 A KR 1020020065243A KR 20020065243 A KR20020065243 A KR 20020065243A KR 20040036280 A KR20040036280 A KR 20040036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weight
parts
isocyanuric
disinfe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수
조용호
박현주
Original Assignee
김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수 filed Critical 김응수
Priority to KR102002006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6280A/ko
Publication of KR2004003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61K9/122Foams; Dry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 10∼65 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구연산, 아디픽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0∼90중량부와 중조 10∼9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isinfection effect comprising chloroisocyanic acid}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 10∼65 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구연산, 아디픽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0∼90중량부와 중조 10∼9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정 소독제는 증류수에 각각 다른 농도로 용해된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차아염소산칼슘에 의한 대장균 사멸률을 측정한 결과 염화이소시아눌산의 경우 12ppm에서 4초 만에 90%가 사멸되었으나 차아염소산칼슘의 경우에는 같은 소독제 농도에서 390초 동안이나 접촉해야 유사한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차아염소산칼슘 16ppm의 경우에는 8분 동안 접촉시켜도 단지 103CFU 만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사멸률은 염화이소시아눌산 8ppm에서 1분 30초 동안 접촉시켰을 때의 사멸효과와 비슷한 결과이며, 차아염소산칼슘 4ppm에서는 8분까지 접촉시켜도 전혀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정 소독제는 각각의 소독제에 대하여 대장균 90%가 사멸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소독제 농도 결과로서 같은 실험조건이 적용된다면 각각의 소독제에 의한 대장균의 사멸률을 예측할 수 있다. 같은 농도로 소독제를 주입시켜도 염화이소시아눌산이 차아염소산칼슘보다 훨씬 짧은 시간 내에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낮은 농도로 주입시켜도 같은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염화이소시아눌산이 차아염소산칼슘에 비해 유효염소함량이 약 15%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용해시 유리이소시아눌산에 의한 유효성분 HOCl의 안정화 작용으로 인하여 유리 잔류 염소의 지속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정 소독제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소독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소독제의 농도에 따라서도 미생물간의 소독력이 매우 다른 양상으로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독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그에 대한 저항성이 미생물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정 소독제는 같은 농도의 소독제 용액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차아염소산칼슘을 햇빛에 노출시킨 결과 차아염소산칼슘의 경우 햇빛에 1시간 노출되자 소독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4시간 노출된 후에는 거의 소독력을 상실 하였다. 반면 염화이소시아눌산은 햇빛에 6시간동안 노출되어도 초기 소독력을 계속 지속함이 관찰되었다. 이는 염화이소시아눌산으로부터 생성되는 이소시아눌산이 HOCl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햇빛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는 반면 차아염소산칼슘로부터 생성되는 OCl-는 매우 불안정하여 햇빛에 의해 분해가 매우 촉진되어 소독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정 소독제는 유기산의 종류에 따른 발포성능을 보면 구연산보다 아디픽산을 사용하였을 때 정제 형태가 유지되고 완전용해시간이나 발포정도도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연산을 사용하면 정제 형태가 붕괴되고 발포정도가 불규칙해지는 원인으로는 구연산의 흡습성이 좋아 공기중의 수중기와 반응하여 상당부분 기체상태로 소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산의 비율이 높아지면 pH가 낮아져 기포발생에 도움이 되는듯 하지만 과다하게 첨가하면 완전용해 후 구연산의 경우에는 투명한 결정체가 침전되며 아디픽산의 경우에는 위에 기포를 동반한 물질이 뜨게 된다. 또한 발포정의 소독력을 위해서는 염화이소시아눌산의 함량도 일정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발포정의 정제 형태와 발포정도가 뛰어나며 잔유물이 거의 생기지 않는 배합비는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중조, 아디픽산이 5 : 3 : 2, 1 : 2 : 1, 1 : 1 : 1일 때였다.
도 1은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이.콜리세포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이.콜리세포에 대한 차아염소산칼슘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삼염화이소시아눌산 중에서 이.콜리세포의 90% 킬링타임에 대한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엔테로코쿠스 페아카크세포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슈도모나스 아에로기노사세포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세포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바실루스 세레우스세포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수성 현탁액 중에 있는 레기오넬라 프네우모필라세포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삼염화이소시아눌산 중에서 여러 가지 미생물의 90% 킬링타임에 대한 소독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삼염화이소시아눌산 과 차아염소산칼슘 중에서 태양광선에 의한 소독효과의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chloroisocyanuric acid),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dichloroisocyanuric acid),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trichloroisocyanuric acid)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 10∼65 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구연산, 아디픽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0∼90중량부와 중조 10∼9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염소성분은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 및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이 바람직하며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 10∼65 중량부; 구연산, 아디픽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0∼90중량부; 및 중조 10∼90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정제화한 발포정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는 가장 바람직한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중조 및 유기산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정제화한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한 후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5 중량부, 중조 65 중량부 및 구연산 6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20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4 참조).
실시예 2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0 중량부, 중조 37.5 중량부 및 구연산 5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20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4 참조).
실시예 3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6 중량부, 중조 15 중량부 및 구연산 19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20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4 참조).
실시예 4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6 중량부, 중조 11.5 중량부 및 구연산 2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5.236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5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6 중량부, 중조 17 중량부 및 구연산 17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5.773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6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6 중량부, 중조 10.2 중량부 및 구연산 23.8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4.027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7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6 중량부, 중조 22.5 중량부 및 구연산 1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5.011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8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50 중량부, 중조 30 중량부 및 아디픽산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3.145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9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10 중량부, 중조 20 중량부 및 아디픽산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3.098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10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0 중량부, 중조 60 중량부 및 아디픽산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3.199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5 참조).
실시예 11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5 중량부, 중조 25 중량부 및 아디픽산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10 내지 11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6 참조).
실시예 12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60 중량부, 중조 16.7 중량부 및 아디픽산 16.7 중량부를 혼합하여 일반 타정방식에 의하여 9 내지 11g짜리 정제로서 정제화하여 발포정 소독제를 제조하였다(표 6 참조).
실험예 1: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의 대장균 민감도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는 실험 직전에 증류수에 충분히 용해시킨 후 각각 농도별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소독력을 측정하였다. 37℃에서 OD600nm= 1이 될 때까지 배양시킨 대장균(E. coliDH5α) 부유액 100㎕ (108CFU/ml)을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차아염소산칼슘(calcium hypochlorite) 용액 (4, 8, 12, 16ppm) 10㎖에 접종시킨 후 즉시 포르텍스(vortex) 시켜서 충분히 혼합시켰다. 각각의 접촉시간 (30초∼8분)에 따라 100㎕를 취한 후 증류수 900㎕에 희석하여 충분히 포르텍스시킨 후, 그 중 100㎕를 L-아가 (agar 10g, trypton 5g, yeast extract 5g, NaCl 5g, glucose 0.5g in 1ℓof distilled water) 배지에 도말하여 1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시킨 후 CFU (cology forming unit)를 측정하였다.
증류수에 각각 다른 농도로 용해된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차아염소산칼슘에 의한 대장균 사멸률을 측정한 결과, 염화이소시아눌산의 경우 12ppm에서 4초 만에 90%가 사멸되었으나 차아염소산칼슘의 경우에는 같은 소독제 농도에서 390초 동안이나 접촉해야 유사한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 및 2 참조). 차아염소산칼슘 16ppm의 경우에는 8분 동안 접촉시켜도 단지 103CFU 만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사멸률은 염화이소시아눌산 8ppm에서 1분 30초 동안 접촉시켰을 때의 사멸효과와 비슷한 결과이며, 차아염소산칼슘 4ppm에서는 8분까지 접촉시켜도 전혀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1 및 2 참조).
도 3은 각각의 소독제에 대하여 대장균 90%가 사멸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소독제 농도 결과로서, 같은 실험조건이 적용된다면 각각의 소독제에 의한 대장균의사멸률을 예측할 수 있다. 같은 농도로 소독제를 주입시켜도 염화이소시아눌산이 차아염소산칼슘보다 훨씬 짧은 시간 내에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또한 낮은 농도로 주입시켜도 같은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염화이소시아눌산이 차아염소산칼슘에 비해 유효염소함량이 약 15%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용해시 유리 이소시아눌산에 의한 유효성분 HOCl의 안정화 작용으로 인하여 유리 잔류 염소의 지속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의 미생물 사멸특성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에 있어서 증류수에서 다른 농도의 염화이소시아눌산에 의한 다양한 미생물의 사멸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발명에서 균주(Enterococcus feacalis,Pseudomonas aeroginosa,Staphylococcus aureus,Bacillus cereus,Legionella pneumophila)를 사용하였다. 이 균주들은 하룻밤동안 예비배양한 다음 1/200 부피(125㎕ precultured stock/L-broth 25㎖)으로 250㎖ 베플(beffle) 플라스크에 다시 접종하였다. 37℃ 교반기(shaker)에서 4∼5시간 동안 배양하여 OD(early exponential phase)(OD=1)가 될 때까지 배양시켰다.
각 균주의 염화이소시아눌산에 대한 사멸측정결과 8ppm에서 30초동안 접촉시켰을 때E. coli는 90.0%가 사멸하였다. 그러나E. faecalisP. aeroginosa는 30.6%,B. cereus는 24.2%가 사멸하였고L. pneumophilaS. aureus는 14.5%만이 사멸하였다. 소독제의 농도를 12ppm으로 증가시켜 사멸실험을 한 결과E. coliB. cereus는 30초 만에 완전히 사멸(below detectable range)하였지만E. faecalis는 30초동안 접촉시켰을 때 99.7%가 사멸하였고L. pneumophila는 93.7%,P. aeroginosa는 60%,S. aureus는 단지 36.9%만이 사멸하였다 (도 2 내지 8 참조).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농도에 따른 각 미생물의 99% 킬링 타임(killing time)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99% 킬링 타임과 농도에 Log를 취하였더니 직선과 같은 형태가 나왔다. 그래프에서 볼 때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소독제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소독제에 대해 민감하다 할 수 있다. 낮은 농도에서는L. pneumophila가 소독에 대한 내성이 높고 그 다음이S. aureus,E. faecalis,B. cereus,P. aeroginosa,E. coli순으로 소독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이와 달리S. aureus,P. aeroginosa,L. pneumophila,E. faecalis,B. cereus,E. coli의 순으로 소독력이 나타났다(도 9 참조). 염화이소시아눌산에 의한 각 미생물이 99% 사멸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Calculated times for 99% inactivation of various microorganisms(99% killing time) at several concentrations of Trichloro isocyanuric acid. Data are the average of two samples.
본 발명에 의하여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소독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소독제의 농도에 따라서도 미생물간의 소독력이 매우 다른 양상으로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독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그에 대한 저항성이 미생물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B. cereus의 경우 염화이소시아눌산 8ppm에서는E. coli보다 소독에 대한 내성이 훨씬 높았지만 12ppm에서는E. coli와 같은 소독력이 보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같은 실험조건이 적용된다면 염화이소시아눌산에 의한 각 미생물의 사멸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실험예 3: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와 무기염소계소독제와의 소독지속력 비교
50ppm의 염화이소시아눌산 용액과 차아염소산칼슘 용액 500㎖을 각각 햇빛이 잘드는 창가에 정치시켜 직사광선을 받도록 하였다. 각각의 소독제는 시간별로 10㎖씩 샘플링해서 여기에 100㎕의 대장균 부유액(108CFU/ml)을 접종시키고 즉시 포르텍스하여 충분히 혼합시켰다. 1분 동안 접촉시킨 각각의 샘플은 100㎕를 취하여 900㎕의 증류수에 희석하고 충분히 포르텍스한 후, 그 중 100㎕를 L-아가 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시켜 CFU를 측정하였다.
같은 농도(50ppm)의 소독제 용액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차아염소산칼슘을 햇빛에 노출시킨 결과, 차아염소산칼슘의 경우 햇빛에 1시간 노출되자 소독력이 급격히감소하기 시작하여 4시간 노출된 후에는 거의 소독력을 상실 하였다(도 10 참조). 반면 염화이소시아눌산은 햇빛에 6시간동안 노출되어도 초기 소독력을 계속 지속함이 관찰되었다(도 10 참조). 이는 염화이소시아눌산으로부터 생성되는 이소시아눌산이 HOCl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햇빛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는 반면 차아염소산칼슘로부터 생성되는 OCl-는 매우 불안정하여 햇빛에 의해 분해가 매우 촉진되어 소독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험예 4: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의 물리-화학적 특성
기포 발생 및 소독지속을 갖춘 염화이소시아눌산계 발포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중조, 유기산과 염화이소시아눌산의 최적 배합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조는 반응을 할 때 pH에 따라 주 이온이 달라진다. 중조는 pH가 10.3 이상에서는 CO3 -이온, 10.3 - 6.3에서는 HCO3 -이온이 주 이온을 이루고 pH 6.3 이하에서는 H2CO3가 불안정하여 CO2를 생성하게 된다. 발포정의 활발한 발포를 위해서는 CO2를 다량 발생시켜야 하는데, 발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pH이므로 다량의 CO2생성을 위해서는 pH를 6.3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또한 pH 6.3에서는 H2CO3와 HCO3 -이온이 약 1 : 1로 존재하지만 pH 5에서는 H2CO3와 HCO3 -이온이 약 10 : 1로 존재하게 된다.따라서 다량의 CO2발생을 위한 중조와 유기산과의 최적 배합비를 알아보았다. 중조 5.003g을 500ml에 용해시킨 후 pH는 8.03이였으며 여기에 유기산A를 첨가하면서 pH 변화를 살펴보고 (표 2 참조), 유기산A 1g을 100ml에 용해시킨 후 pH는 2.14였으며 여기에 중조를 첨가하면서 pH 변화를 살펴보았다(표 3 참조).
표 2. 구연산 첨가량에 따른 pH 변화
표 3. 중조 첨가량에 따른 pH 변화
중조와 구연산을 배합한 후 pH 5.8이 되는 데는 중조와 구연산의 배합비가 약 1 : 0.68, pH 5.5가 되는데는 약 1 : 0.844, pH 4.7이 되는데는 약 1 : 1.22인 것을 알 수 있었다. pH가 약 4.7 정도에서는 중조의 98%가 CO2로 날아간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중조와 유기산,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배합비에 따른 염화이소시아눌산계 발포정의 pH변화를 살펴보았다(표 4 참조). 그 결과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중조, 구연산의 비가 1 : 1 : 1인 경우, 침전물은 처음에는 발생하지 않지만 하루가 지나면 생긴다. 구연산의 비율이 중조보다 더 크면 pH는 낮아져 발포능은 좋아지지만 완전 용해 후 침전물이 더 많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안으로 보기에 pH 5.8-4.8 정도에서는 발포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중조, 구연산의 비가 13.2 : 3.0 : 3.8 일 때 발포를 위한 pH변화도 적절하며 침전물도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4. 중조, 유기산,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배합비에 따른 발포정의 pH변화
실험예 5: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의 발포성능 최적화
발포정의 정제 형태와 발포정도를 결정하는 데는 CO2가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첨가제 각각의 용해도 차이가 많거나 발포정 타정시 첨가제들의 믹싱에 문제가 생기면 발포 후 정제가 붕괴되거나 용해도가 극히 낮아져서 용해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적의 발포성능을 가지는 발포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중조, 유기산과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배합비와 유기산의 종류에 따른 발포성능을 비교하였다 (표 5).
유기산의 종류에 따른 발포성능을 보면 구연산보다 아디픽산을 사용하였을 때 정제 형태가 유지되고 완전용해시간이나 발포정도도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연산을 사용하면 정제 형태가 붕괴되고 발포정도가 불규칙해지는 원인으로는 구연산의 흡습성이 좋아 공기중의 수중기와 반응하여 상당부분 기체상태로 소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산의 비율이 높아지면 pH가 낮아져 기포발생에 도움이 되는듯 하지만 과다하게 첨가하면 완전용해 후 구연산의 경우에는 투명한 결정체가 침전되며 아디픽산의 경우에는 위에 기포를 동반한 물질이 뜨게 된다. 또한 발포정의 소독력을 위해서는 염화이소시아눌산의 함량도 일정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발포정의 정제 형태와 발포정도가 뛰어나며 잔유물이 거의 생기지 않는 배합비는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중조, 아디픽산이 5 : 3 : 2, 1 : 2 : 1, 1 : 1 : 1일 때였다.
표 5. 첨가제 종류 및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배합비에 따른 발포성능 비교
실험예 6: 염화이소시아눌산 발포정 소독제의 용해도 최적화
중조, 유기산과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배합비에 따른 온도별 발포정도와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염화이소시아눌산과 중조, 아디픽산의 비가 6.5 : 2.5 : 2 일 때와 6 : 1.67 : 1.67 일 때의 발포정도와 용해도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다. 발포정도와 침전물, 발포완료시간, 완전용해시간은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포정도는 수온이 17℃이상에서는 부서지 지 않고 유지되었으며 침전물은 수온이 높아질수록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포완료시간과 완전용해시간도 수온이 올라갈수록 빨라졌으며 30℃에서는 발포완료시간과 완전용해시간이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30℃에서는 발포가 완료됨과 거의 동시에 완전한 용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표 6. 첨가제 종류 및 염화이소시아눌산의 배합비에 따른 온도별 용해도 비교
본 발명은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 10∼65 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구연산, 아디픽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0∼90중량부와 중조 10∼9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다양한 미생물을 사멸하는 효과를 지니며 기포발생 및 소독지속력을 지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발포정 소독제이기 때문에 생명공학, 식품, 의학 등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은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클로로이소시아눌산, 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을 포함하는 염화이소시아눌산 또는 이들의 염 10∼65 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하고 구연산, 아디픽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유기산 10∼90중량부 및 중조 10∼9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염화이소시아눌산은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눌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염화이소시아눌산의 염은 소듐디클로로이소시아눌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KR1020020065243A 2002-10-24 2002-10-24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KR20040036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43A KR20040036280A (ko) 2002-10-24 2002-10-24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43A KR20040036280A (ko) 2002-10-24 2002-10-24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80A true KR20040036280A (ko) 2004-04-30

Family

ID=3733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243A KR20040036280A (ko) 2002-10-24 2002-10-24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2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748A1 (ko) * 2011-05-27 2012-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새로운 소독제를 이용한 여과막 세척 방법
KR20160081196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장치 세정소독용 발포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512A (en) * 1979-07-27 1981-02-26 Nissan Chem Ind Ltd Rapidly disintegrable isocyanuric acid tablet
JPS59155311A (ja) * 1983-02-24 1984-09-04 Nissan Chem Ind Ltd 発泡性顆粒状物の製造方法
JPS60231665A (ja) * 1984-05-01 1985-11-18 Nissan Chem Ind Ltd 安定化塩素化イソシアヌル酸組成物
JPS63239203A (ja) * 1986-11-29 1988-10-05 Shikoku Chem Corp クロルイソシアヌル酸系殺菌消毒錠剤
JPH0543407A (ja) * 1991-08-13 1993-02-23 Nippon Soda Co Ltd 早溶解性塩素化イソシアヌル酸成形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512A (en) * 1979-07-27 1981-02-26 Nissan Chem Ind Ltd Rapidly disintegrable isocyanuric acid tablet
JPS59155311A (ja) * 1983-02-24 1984-09-04 Nissan Chem Ind Ltd 発泡性顆粒状物の製造方法
JPS60231665A (ja) * 1984-05-01 1985-11-18 Nissan Chem Ind Ltd 安定化塩素化イソシアヌル酸組成物
JPS63239203A (ja) * 1986-11-29 1988-10-05 Shikoku Chem Corp クロルイソシアヌル酸系殺菌消毒錠剤
JPH0543407A (ja) * 1991-08-13 1993-02-23 Nippon Soda Co Ltd 早溶解性塩素化イソシアヌル酸成形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748A1 (ko) * 2011-05-27 2012-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새로운 소독제를 이용한 여과막 세척 방법
KR20160081196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장치 세정소독용 발포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486B2 (ja) 産業用水システム中のバイオフィルムの抑制
CA2640452C (en) Suppressing microbial growth in pulp and paper
US6652889B2 (en) Concentrated aqueous bromine solution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US20150119245A1 (en) Method for Producing Shelf Stable Hypochlorous Acid Solutions
JP2010189393A (ja) 次亜臭素酸の安定化された溶液
WO1991008981A2 (en) Solutions for stabilizing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solutions
AU201533444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Molds in Aquaculture Water
Mercer et al. Chlorine in food plant sanitation
AU2005200010B2 (en) Biocidal applications of concentrated aqueous bromine chloride solutions
CN106689194A (zh) 一种缓释消毒水
CN101006782A (zh) 一种稳定型高电位含氯消毒液的制备方法
KR20130048579A (ko) 차아염소산수에 대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살균 소독제
KR20040036280A (ko) 염화이소시아눌산을 함유하는 발포정 소독용 약제학적조성물
CN112120040A (zh) 一种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
RU2438991C2 (ru) Состав и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воды
JP2005305109A (ja) 殺菌組成物及びその供給方法
US20030113383A1 (en) Control of biofilm
CN113907072A (zh) 一种高精度次氯酸弱酸消毒液的制备方法
Klimek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rate of killing of Escherichia coli exposed to benzalkonium chloride
RU2757361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RU2299862C2 (ru) Состав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CN114208845B (zh) 一种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CN117678599B (zh) 一种提高稳定性及杀菌效果的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
KR20020061669A (ko) 염소소독부산물의 생성을 억제시킨 소독제 및 그의 제조방법
RU2192392C1 (ru) Состав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