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607A -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모니터링 방법 및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증가 방법 - Google Patents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모니터링 방법 및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증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607A
KR20040035607A KR10-2003-7017018A KR20037017018A KR20040035607A KR 20040035607 A KR20040035607 A KR 20040035607A KR 20037017018 A KR20037017018 A KR 20037017018A KR 20040035607 A KR20040035607 A KR 2004003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etector
terminals
atmospher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236B1 (ko
Inventor
채플스죤
레그마틴
한센닐스
Original Assignee
젤웨거 애널리틱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젤웨거 애널리틱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젤웨거 애널리틱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3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4Cells with anode, cathode and cell electrolyte on the same side of a permeable membrane which separates them from the sample fluid, e.g. Clark-type oxygen sensors
    • G01N27/4045Cells with anode, cathode and cell electrolyte on the same side of a permeable membrane which separates them from the sample fluid, e.g. Clark-type oxygen sensors for gases other than oxy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4Cells with anode, cathode and cell electrolyte on the same side of a permeable membrane which separates them from the sample fluid, e.g. Clark-type oxygen sen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이 모니터 장치는, 1. 작용측(감지측) 전극(11a) 및 반대측 전극(11b)을 가지며,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하는 전류를 두 전극 사이에 제공하는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11)와, 2. 이 감지기의 두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두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출력 신호가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하는 것인 연산 증폭기(12)와, 3. 감지기의 두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는 검출기(20, 22)와, 4. 추가 전류를 작용측 감지기 전극(11a)에 공급하거나 작용측 감지기 전극(11a)으로부터의 전류를 제거함으로써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감지기의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제한하는 회로(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모니터링 방법 및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 증가 방법{MONITORING OF GAS SENSORS}
기체 센서의 한 가지 용도에는 거처, 특히 임시 숙박 시설 내의 일산화탄소 레벨을 측정하는 것이 있다. 최대 600 ppm(백만분율, parts per million)의 일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요건을 비롯하여 거처 안에 있는 일산화탄소의 검출에 대해서 각종 국내 기준 및 국제 기준이 적용된다.
농도가 짙은 기체에 노출된 후에는, 유독성 기체가 분위기 안에 더 이상 없는 경우에도 판독치가 영(零)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 대신에, 기체가 영일 때, 음의 판독치가 생기게 되고, 감지기는 회복 시간이 상당히 경과한 후에 정확한 동작으로 복귀하게 되며, 이 시간은 몇 일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복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복 시간을 규정하는 기준이 정해져있다. 예컨대, CENELEC EN 50192에서는 일산화탄소 감지기가 5000 ppm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노출된 지 한 시간 이내에 최대 50 ppm의 일산화탄소 레벨에 응답할 것을 필요로 한다.
상용의 압력 장치에서는 일산화탄소 감지기가 비교적 저가일 필요가 있고, 이 때, 전기화학적 감지기는 고가의 촉매제를 실어나르는 전극을 포함하고, 이 전극은 백금족의 금속(Ⅷ족 금속)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감지기의 비용 감소 방법 중 하나는 사용되는 이러한 촉매제의 량을 제한하는 것이다. 비교적 소량의 촉매제를 사용하면, 농도 짙은 기체에 노출된 후에 감지기의 회복 속도는 저속이 된다.
또한, 일산화탄소 감지 장비(이하, "모니터 장치"라고 함)에 적용하는 기준은 감지기가 고장난 경우, 예컨대 감지기가 모니터 장치 안에 있는 전자 회로에 부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 또는 감지기가 건조해진 경우(즉, 전해질의 량이 충분하지 않게 유실된 경우), 또는 감지기의 단자들 간에 쇼트 회로가 생긴 경우에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것도 필요로 한다.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 양단에 전기 펄스를 가함으로써 이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실행 능력(viability)을 검사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즉, 미국 특허 번호 제5,202,637호는 기준측 전극과 감지측 전극(작용측 전극이라고도 함) 사이에 전위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모니터링될 수 있는 3개 전극의 감지기를 공개하고 있다. 전류는 이들 전극들 간에 상당한 레벨로 흐르지 않지만, 펄스는 감지측 전극에서 우중의 이온층을 충전을 상승시키고, 이 결과, 외부 회로에 전류 흐름이 생기게 되며, 이 전류 흐름이 검출되어 감지기가 동작 중임을 나타내게 된다. 분명한것은, 감지기가 건조해지는 경우, 또는 감지기와 회로 사이에 접속이 불량해지는 경우에는 전류는 흐르지 않고 "오류"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 안에 있는 기체의 농도가 짙은 경우에는 펄스의 검출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펄스가 기체로부터의 신호에 희석(swamp)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공보 제0840112호의 경우, 감지기는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접속되어 있지만, 전압 펄스는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주기적으로 인가된다. 정상 동작 시에, 연산 증폭기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로서 동작하고, 이 증폭기의 이득은 Vout/Vinput으로 정의되며 연산 증폭기의 부(負)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귀환 저항기의 값에 의해서 주어진다. 감지기가 쇼트 회로가 되어야 하면, 연산 증폭기는 고이득 전압 증폭기(이 증폭기의 출력은 개방 루프 이득과 연산 증폭기의 입력들의 입력 오프셋 전압의 곱임)가 될 것이다. 더메스틱 타입(domestic type)의 기체 모니터 장치에 사용되는 저가형 연산 증폭기의 경우, 이들 파라미터는 불량하게 제어될 수 있고, 그 결과, 출력은 표면적으로 유효한 기체 판독치 또는 범위 초과 조건을 포함하는 임의의 값일 수 있다. 따라서, 펄스가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증폭기는 감지기가 범위 초과의 고농도의 기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또는 감지기가 쇼트 회로로 된 경우를 결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주위 분위기(atmosphere)에서의 기체 또는 수증기의 량을 검출하고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이러한 센서를 "기체 센서"라고 부를 것이지만, 이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이 용어는 수증기의 측정에도 적용한다. 본 발명은 특히, 예컨대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독성 기체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화학적 기체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회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고농도의 일산화탄소에 노출된 경우에 개체 모니터의 출력 대 시간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를 도시하는 다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a)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작용측(감지측) 전극 및 반대측 전극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두 개의 단자- 이 감지기는 상기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하는 전류를 상기 두 개의 단자 사이에 제공함 -와,
b) 상기 감지기의 두 전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두 개의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출력 신호를 발생- 이것에 의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함 -하는 연산 증폭기와,
c)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d) 추가 전류를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 공급하거나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로부터 전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예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감지기의 두 전극 단자 사이의 전위를 제한하는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기는, 예컨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검출기의 두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예컨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포화되어 있는 경우)에 어떤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서의 전류를 조정하는 상기 회로는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능동형 구성 요소, 예컨대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상기 회로는 상기 검출기가 초과 전류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저항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류는 전류 소스를 상기 작용측 전극에 접속시키기 위해서, 전류 소스(작용측 전극이 애노드인 경우) 또는 전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 예컨대 FET와 같은 능동형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위차가 감소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 장치를 이용하여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방법도 제공한다.
우선,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체 모니터링 회로로서, 구조가 공지되어 있는(유럽 특허 공보 제0,840,112호 참조) 2전극형 기체 감지기(10)를 구비한 기체 모니터링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감지기는 감지측 전극(11a)과 반대측 전극(11b)을 포함하고, 이들 감지측 전극(11a)과 반대측 전극(11b)은 개입된 전해질체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감지측 전극(11a)은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분위기 안의 (이 일산화탄소 안에 있는) 유독성 기체는 감지측 전극(11a)와 접촉하게 된다. 감지측 전극(11a)은 애노드(anode)이고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킨다. 이 산화에 의해서 전류는 작용측 전극(11a)과 반대측 전극(11b) 간에 감지기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저항기(16)는 감지측 전극(11a)과 연산 증폭기(12)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접지(14)에 접속되어 있다. 이 증폭기는 저항기(17)를 포함하는 부귀환(負歸還) 배선을 구비한다. 연산 증폭기(12)의 트랜스임피던스 이득은 약 125,000 폴드(fold)이다.
감지측 전극(11a)에 일산화탄소가 있으면 감지측 전극은 존재하는 기체량에 비례하여 전류를 발생시킨다. 두 전극간의 전위차는 해당 전류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부상(float)시킨다. 감지측 전극에서 발생한 전류는 저항기(16) 양단에 전위차를 유발하고, 이것에 의해서 연산 증폭기(12)의 반전 입력의 전위가 변한다. 연산 증폭기(12)는 두 입력간의 전위차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단에 발생시키고, 따라서 출력 신호는 감지기(10)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며, 그 결과, 분위기 안의 기체량이 모니터링된다. 출력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경보 장치(이들 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공급되어, 분위기 안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표시하고, 이 농도가 예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달리, 상이한 시간대에 걸쳐서 축적된 농도(integrated concentration)를 계산하여, 인체가 특정 농도의 기체를 흡수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하여도 좋다.
부귀환 배선을 마련함으로써, 증폭기는 증폭기의 두 입력단간에 일정한 오프셋 전위[대개, 영(零)]를 유지하도록 시도한다. 귀환 전류의 크기는 출력 신호에 비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지측 전극과 기준 전극간의 전위차는 비교적 좁은 범위 내에서 변동한다.
도 2는 감지기가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 안의 일산화탄소 실제 레벨에 노출된 경우에 증폭기 출력단(15)측의 신호 대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신호는 시간 t1까지 급상승하고, 이 시간 t1에서는 신호가 안정 상태 P에 도달할 때 포화(saturate)된다. 시간 t2에서는 일산화탄소가 감지기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분위기로부터 제거되어 전류가 강하한다. 그러나, 전류는 영 신호까지 강하하지 않고 오버슈트한다. 연산 증폭기가 별개의 공급 배선으로부터 동작되면 출력은 회복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부(負)의 영역으로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들 회로는 통상 단일 공급원에 의해서 작동되고, 따라서 어느 정도의 일산화탄소량이 있더라도 출력은 영이 될 것이다. "부(負)" 신호는 두 전극간 전위가 높은 경우에 셀 변경시의 화학 작용 때문에 생길 수 있다.
일산화탄소가 없는 분위기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호가 영값으로 복귀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소 길 수 있다. CENELEC의 경우, 셀은 5000 ppm의 일산화탄소에 노출된 후 1 시간 이내에 회복되어야 한다. 이것은 감지측 전극과 반대측 전극이 비교적 적은 량의 촉매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달성되기 어려울 수 있고, 상업적으로는 비교적 적은 량의 촉매제를 함유하는 것이 비용 감소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은, 높은 전류를 흘릴 때, 특히 연산 증폭기가 포화될 때 감지기(10)에 걸리는 부하가 감쇠되면 감지기는 더욱 신속하게 회복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하"에 의해서, 본 출원인은 더욱 높은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 안의 더욱 많은 목표 기체에 대해서 노출된 경우에 두 전극간의 전위를 증가시키는 셀의 요건을 의도한다. 작용측 전극이 애노드인 경우, 이 부하 감소는, 증폭기 귀환 회로로부터의 전류와 함께, 셀이 접촉 상태에 있는 모든 목표 기체를 산화시킬 필요가 있는 전류를 제공하는 추가 전류를 작용측 전극에 주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작용측 전극이 캐소드인 경우, 초과 전류는 증폭기 귀환 회로가 작용측 캐소드에 의해서 발생된 모든 전류를 드레인(drain)시킬 수 없으면 작용측 전극으로부터 드레인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용어 "전류"를 통상의 전기적 의미, 즉 전자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으로 사용한다.
부하의 변화는 몇 가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3은 부하를 변화시키는 한 가지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도 3의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FT)(18)는 감지기(10)의 작용측 전극과 반대측 전극 사이에 마련된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대개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저항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것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은 거의 또는 전혀 없고 회로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증폭기 출력단(15)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를 거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 접속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증폭기 출력단(15)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출력 신호가 포화되어 있다면, 즉 출력 신호가 임계 레벨에 도달하였다면, 귀환 저항기를 통해서 공급된 전류는 제한된다. 즉, 이 상황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FFT(18)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4)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류를 반대측 전극(11b)으로부터 작용측 전극(11a)으로 흐르게 할 수 있고, 작용측 전극(11a)은 귀환 저항기(17)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와 함께, 확산하여 작용측 전극에 접촉하게 되는 일산화탄소 분자 전부를 산화하도록 작용측 전극에 의해서 요구되는 충분한 전류를 공급한다. 추가 전류를 부가함으로써, 감지기(10)의 두 전극간 전위가 일산화탄소(CO)의 농도가 작용측 전극(11a)과 접촉하는데 요구되는 전류를 통과시키도록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더 이상 포화되지 않을 때까지 FFT(18)의 저항을 계속해서 감소시킨다. 그러한 정황에 도달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출력이 다시 포화될 때까지 FFT(18)의 저항을 주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이 때, 포화 레벨 바로 아래의 출력 신호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시 저항을 즉시 감소시킨다. 분위기 안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가 감소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회로를 그의 통상 동작 상태로 되돌리고, 이 때, FFT(18)의 저항은 자동적으로 상기 동작 방식을 이용하여 높아진다.
FFT(18)의 저항은 감소된 상태에 있지만, 연산 증폭기(12)의 출력 신호는 분위기 안의 기체량 측정치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감지기(10)에 걸리는 저항(18)의 감소를 측정하고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 안의 기체량을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출력 신호(15)를 포화 바로 아래의 예정 레벨까지 내리는 정도로 FFT(18)의 저항을 제어한다. 신호 출력(15)을 포화시키는데 필요한 기체의 량은 공지되어 있다. FFT(18)의 저항의 감소는 분위기 안의 기체량과 상관(correlate)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이 감소하면 분위기내 기체량이 신호를 포화 레벨로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기체량보다 높은지 낮은지의 표시가 제공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특히 정확한 측정은 아니지만, 유용한 방법이다. 저항의 감소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
감지기의 실행 능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감지기에 전위 펄스를 제공하는 회로(도시하지 않음)는 공지되어 있다. 감지기가 실행 가능하면, 검출될 수 있는 출력 회로의 펄스가 생성된다. 그러나, 출력 펄스는 증폭기의 출력이 포화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증폭기의 출력을 포화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서, 출력은 높은 기체 농도에서 더 이상 포화되지 않고, 따라서 감지기의 두 전극 사이에 제공되는 전위 펄스의 결과로서의 출력 신호의 펄스는 여전히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감지기를 여전히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출력 신호는 높은 기체 농도에 노출된 후 회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욱 짧아질 것이다. 통상, 5000 ppm에 15분간 노출시키고 나서 깨끗한 대기에 60분간 노출시킨 경우에, 50 ppm의 기체에 대한 감지기의 출력은 그의 정상 판독치의 불과 40 내지 50 %까지 감소될 것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동일한 프로세스로 처리한 후 50 ppm에 대한 출력 응답은 통상적으로 정상 판독치의 85 내지 95 %가 될 것이다.
포화된 증폭기 출력 신호에 응답하는 대신에,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더욱 낮은 신호에 대해서, 즉 신호가 포화 상태보다 낮은 임계치에 있을 때 반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대안의 회로이다(이 경우에도, 이미 전술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회로는 FFT(18)가 없고, 그 대신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4)가 전원 공급 장치용 배선(26)을 거쳐서 모니터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즉 배터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의 회로와 차이가 있다. 또한, 도 3의 저항기(16)는 두 개의 개별 저항기(16a 및 16b)로 분할되어 있다.
도 4의 회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서 증폭기의 출력이 포화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4)는 전원 공급 장치용 배선(26)으로부터의 전류를 두 개의 저항기(16a 및 16b) 사이에 있는 접점(19)에서 감지기 회로에 주입한다. 주입 전류 Is는 귀환 저항기(17)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류 Im과 함께, 작용측 전극(11a)이 필요로 하는 최대 전류(full current) Ic를 공급하여, 확산후 작용측 전극에 접촉하는 일산화탄소 분자 전부를 산화시킨다. 증폭기 출력단(15)이 포화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더 이상 포화되지 않을 때까지 전원 공급 장치용 배선(26)으로부터 주입되는 전류의 량을 증가시킨다.이것이 달성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출력이 다시 포화될 때까지 주입 전류를 주기적으로 감소시키고, 이 때,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포화 레벨 아래로 하도록 다시 전류를 증가시킨다. 분위기내 일산화탄소(CO)의 농도가 감소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자동적으로 상기 동작 방식을 이용하여 회로를 통상의 동작 상태(주입 전류가 없는 상태)로 복귀시킬 것이다.
도 4의 회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이제, 도 4의 개략적인 회로에 상응하는 작용 회로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용 배선(26)과도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된 구형파 발생기(22')(PWM 출력)를 포함한다. 저항기(R1)와 커패시터(C3)는 구형파의 주파수를 필터 아웃시키는 저주파수 필터를 제공하고, 따라서 인가된 구형파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가중 평균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즉, 최고치와 최저치가 균등한 기간으로 되어 있으면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은 최대 전압의 전압값의 반이 되고, 최고치가 최저치보다 매우 길면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은 전압 공급 장치의 전압보다 약간 적다. 트랜지스터(Q1)는 에미터 폴로워로서 동작하고, 그에 따라서 에미터의 전압은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보다 0.7볼트 낮다. 이와 같이 하여,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된 전압은 구형파 발생기(22')로부터의 최고치 기간과 최저치 기간의 비를 변경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다이오드(D3) 및 저항기(R3)를 거쳐서 접점(33)에 접속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1)로부터 접점(33)에 공급된 전류는 구형파 발생기(22')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회로의 섹션 32는 전하 펌프로서, 이 회로의 접점(31)에서 -3 볼트의 일정한 전압을 제공한다. 트랜지스터(Q2) 및 트랜지스터(Q3)을 포함하고 있는 섹션 34는 고정 전류 소스로서, 구형파 발생기(22)의 최고치와 최저치에 상관없이 접점(31)의 전압, 즉 -3 V에서 -30 ㎂의 전류를 접점(33)에 제공한다. 짧은 기간 동안 최고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형파 발생기를 제어함으로써, 전류는 트랜지스터(Q1)에 의해서 접점(33)에 인가되지 않고, 따라서 접점(33), 즉 접점(19)에 흐르는 전류는 -30 ㎂가 될 것이다. 적절한 비율의 최고치를 제공하도록 구형파 발생기를 제어함으로써, 트랜지스터(Q1)는 접점(33)에서 +60 ㎂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결과, +30 ㎂의 전류가 접점(19)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속되는 30 ㎂의 양 펄스와 -30 ㎂의 음 펄스가 접점(19)에 인가될 수 있다. 구형파가 적절한 비율의 최고치를 포함하고 있다면, 트랜지스터(Q1)는 접점(33)에서 +30 ㎂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섹션 32와 섹션 43로부터의 전류를 제거한다. 즉, 접점(19)으로 흐르는 전류는 없다. 전류의 값이 예컨대 +330 ㎂인 전류가 구형파 발생기(22')의 제어 하에서 트랜지스터(Q1)에 의해서 공급되면, +300 ㎂의 전류가 접점(19)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점(19)에 공급된 전류는 제어될 수 있고, 회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할 것이다.
도 5의 회로는 감지기가 실행 가능한 지를 검출하도록 감지기에 주기적으로 펄스를 인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트랜지스터(Q1)가 마이크로프로세서(22)의 제어 하에서 가상으로 전류를 접점(33)에 공급하지 않아 -30 ㎂의 펄스가 전하 펌프 및 고정 전류 소스(32, 34)에 의해서 접점(19)에 인가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약 600 밀리초가 경과한 후에, +60 ㎂의 펄스가 트랜지스터(Q1)에 의해서 접점(33)에 공급되고, 그 결과, +30 ㎂의 펄스가 접점(19)에 인가된다. 600 밀리초가 더 경과한 후에,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은 전술한 정상 진행 상태에 복귀한다. 감지기의 기능이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도록 보증하기 위해서 이중의 펄스가 주기적으로, 예컨대 매분마다 인가될 수 있다. 감지기의 적절한 기능 작동은 작용측 전극의 전하를 충전 또는 방전하는 전류 펄스들에 의해서 생기는 펄스의 진행 과정에 걸친 신호의 변화에 의해서 검출된다. 작용측 전극의 기능이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지 않거나 감지기가 적절하게(또는 전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감지기 회로가 쇼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는 펄스의 진행 과정에 걸쳐서 매우 많이(또는 전혀) 변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이것은 모니터의 기능 작동에 고장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산화탄소(CO) 감지기(10)의 예에 있어서, 구형파 발생기가 휴면 상태에 있는 경우, 즉 구형파 발생기가 구형파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 진행 상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트랜지스터(Q1) 및 전하 펌프(32)에 대한 전원 공급이 제거되고, 따라서 접점(19)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연산 증폭기(12)가 포화된 신호를 발생시키면,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 의해서 검출되고, 구형파 발생기는 재활성화되어, 구형파 발생기(22')의 제어 하에서, 접점(19)에 적절한 전류가 주입되어 출력 신호가 포화 레벨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기의 출력은, 높은 기체 농도에 노출되고 이어서 그 기체를 제거한 후에,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즉, 목표 기체가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 안에 있는 경우)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즉, 종래의 전류는 작용측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흘러 나간다. 이 전류를 저지하도록 -30 ㎂의 짧은 펄스를 셀에 주입함으로써, 감지기 셀이 정상 동작을 회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축된다. 따라서, 감지기의 출력이 음의 값(이것은 단일 배선 모니터에서, 연산 증폭기의 출력이 영임을 의미함)이면, 이러한 짧은 전류 펄스는 감지기가 다시 정상 동작 상태로 더욱 신속하게 되돌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 5의 회로는 다른 방식으로 쇼트 회로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기가 쇼트 회로 상태가 된 경우에 생성된 신호는 연산 증폭기(12)의 오프셋 전압에 따라서 어떤 값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에는,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포화될 것이고, 이 시점까지는 이 조건이 분위기 안에 과잉의 기체량이 있는 조건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분위기 안에 과잉의 기체량이 있다면, 도 5의 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의 출력을 더 이상 포화되지 않는 레벨까지 낮출 수 있지만, 쇼트 회로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쇼트 회로가 있음을 표시하는 신호가 발생된다.
실제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20), 마이크로프로세서(22)[구형파 발생기(22')를 포함함]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24)는 한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칩의 전체 부분이다.

Claims (12)

  1.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a)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작용측(감지측) 전극 및 반대측 전극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두 개의 단자- 이 감지기는 상기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하는 전류를 상기 두 개의 단자 사이에 제공함 -와,
    b) 상기 감지기의 두 전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두 개의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출력 신호를 발생- 이것에 의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함 -하는 연산 증폭기와,
    c)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d) 추가 전류를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 공급하거나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로부터 전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예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감지기의 두 전극 단자 사이의 전위를 제한하는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검출기의 두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어떤 신호를발생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포화되는 경우를 검출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서의 전류를 조정하는 상기 회로는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가변 저항 디바이스, 예컨대 FET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검출기가 초과 전류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저항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서의 전류를 조정하는 상기 회로는 전류 소스와 스위치(이 스위치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형 구성 요소인 것이 바람직함)를 구비하여 상기 전류 소스를 상기 작용측 전극에 접속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위차를 감소시키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서의 전류를 조정하는 상기 회로는 전류 드레인과 스위치(이 스위치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형 구성 요소인 것이 바람직함)를 구비하여 상기 전류 드레인을 상기 작용측 전극에 접속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위차를 감소시키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자에 접속된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
  8. 작용측(감지측) 전극과 반대측 전극을 갖는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에 의해서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분위기 안의 목표 기체량을 표시하는 전류를 상기 전극들 사이에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추가 전류를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 공급하거나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로부터의 전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상기 예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기의 두 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제한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의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작용측 전극과 상기 반대측 전극 사이에 저항기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회로를 제공하고, 또한 전류가 상기 작용측 전극과 상기 반대측 전극 사이를 흐르도록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추가 전류가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로부터의 전류가 제거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의 모니터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추가 전류는 상기 단계 b)에서 전류 소스로부터의 전류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에 공급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의 모니터링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전류 드레인을 거쳐서 상기 작용측 감지기 단자로부터의 전류가 제거되는 것인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의 모니터링 방법.
  12. 음의 전류(즉, 정상 동작 시에 모니터링되고 있는 분위기 안의 기체를 검출하는 경우에 다수를 점하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생성하는, 작업측(감지측) 전극 및 반대측 전극을 갖는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음의 전류가 상기 감지기에 흐르고 있는 경우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음의 전류가 상기 감지기에 흐르고 있는 경우에, 상기 음의 전류에 반대인 전류 펄스를 상기 감지기의 두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인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 증가 방법.
KR1020037017018A 2001-06-26 2002-06-26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모니터링 방법 및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증가 방법 KR100692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15585.2 2001-06-26
GBGB0115585.2A GB0115585D0 (en) 2001-06-26 2001-06-26 Monitoring gas sensors
PCT/GB2002/002937 WO2003001191A2 (en) 2001-06-26 2002-06-26 Monitoring of gas sens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607A true KR20040035607A (ko) 2004-04-29
KR100692236B1 KR100692236B1 (ko) 2007-03-09

Family

ID=991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018A KR100692236B1 (ko) 2001-06-26 2002-06-26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모니터링 방법 및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증가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94575B2 (ko)
EP (1) EP1410006B1 (ko)
KR (1) KR100692236B1 (ko)
CN (1) CN100401054C (ko)
AT (1) ATE453115T1 (ko)
AU (1) AU2002349875A1 (ko)
CA (1) CA2451373C (ko)
DE (1) DE60234838D1 (ko)
GB (1) GB0115585D0 (ko)
WO (1) WO20030011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6619B (en) * 2005-12-19 2010-10-06 Toumaz Technology Ltd Sensor circuits
EP2344897B1 (en) * 2008-11-14 2015-06-17 Terady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electrical connections on a printed circuit board
DE102011003514A1 (de) * 2011-02-02 2012-08-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Überwachungsgerät zur Überwachung zumindest einer Funktion eines chemosensitiven Feldeffekttransistors
CN102706932B (zh) * 2012-05-31 2014-09-24 成都安可信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化学气体传感器正反向电流适配电路及方法
CN102706931B (zh) * 2012-05-31 2014-07-09 成都安可信电子股份有限公司 电化学气体传感器偏压与非偏压工作电路及偏压配置电路
US10054564B2 (en) * 2012-07-20 2018-08-21 Life Safety Distribution Ag Systems and methods of fast power up for electrochemical sensors
DE102014009365B4 (de) * 2014-06-21 2019-05-29 Dräger Safety AG & Co. KGaA Elektrochemisches Gassensorsystem
US10282975B2 (en) * 2017-08-08 2019-05-07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arbon monoxide alarm supervision
CN111272854A (zh) * 2019-03-22 2020-06-12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恢复电化学气体传感器灵敏度的系统、方法及电子设备
CN110208686B (zh) * 2019-07-19 2024-05-03 深圳市无眼界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传感器模拟装置
CN110542647B (zh) * 2019-08-20 2020-08-07 北京科技大学 一种电子电器环境腐蚀性特性探测电路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3700A (en) * 1977-11-14 1978-10-31 General Electric Company Potentiostated, self-humidify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carbon monoxide dosimeter
US4136000A (en) * 1978-03-13 1979-01-23 Bendix Autolit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improved solid electrolyte oxygen gas sensors
JPS56122950A (en) * 1980-03-03 1981-09-26 Nissan Motor Co Ltd Supplying circuit for controlling current for oxygen partial pressure on reference pole for oxygen sensor element
JPS61180427A (ja) * 1985-02-06 1986-08-13 Canon Inc 集積回路基板
GB8525694D0 (en) * 1985-10-18 1985-11-20 Neotronics Ltd Gas monitor circuits
JPS63255656A (ja) * 1987-04-13 1988-10-21 Yatoron:Kk 薄層クロマトグラフ用水素炎イオン化検出装置
GB8907564D0 (en) * 1989-04-04 1989-05-17 Neotronics Technology Plc Fault detection in electrochemical gas sensing equipment
JPH03215737A (ja) 1990-01-19 1991-09-20 Fujitsu Ltd 酸素濃度測定方法
JP2880273B2 (ja) * 1990-08-20 1999-04-0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酸素濃度検出装置
JP2546465B2 (ja) * 1992-01-28 1996-10-23 鹿島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振動制御装置
CN2225048Y (zh) * 1994-11-11 1996-04-17 王立军 可燃气体自动监控仪
JPH0961397A (ja) * 1995-08-30 1997-03-07 Denso Corp 空燃比検出装置
JP3680445B2 (ja) * 1996-10-08 2005-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酸素濃度検出装置
US5780715A (en) * 1996-10-23 1998-07-14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Combustible gas measuring sensor circuit
DE69631142T2 (de) * 1996-10-29 2004-06-03 Zellweger Analytics Ltd., Poole Zustandsüberwachung eines Gasdetektors
DE19739317A1 (de) * 1997-09-08 1999-03-11 Conducta Endress & Hauser Elektrische Schaltung für einen elektrochemischen Sensor
SE9703958D0 (sv) * 1997-10-29 1997-10-29 Pacesetter Ab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ation of concentration
US5902467A (en) * 1997-11-03 1999-05-11 Industrial Scientific Corporation Oxygen sensor based on a metal-air battery
US6096186A (en) * 1998-08-18 2000-08-01 Industrial Scientific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exhaustion of an electrochemical gas sensor
US6758962B1 (en) * 1999-09-23 2004-07-06 Doxs Technology Systems, Inc. Oxygen sensing
GB9925591D0 (en) * 1999-10-28 1999-12-29 Secr Defence Brit Electrochemical gas sens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1373C (en) 2011-09-06
ATE453115T1 (de) 2010-01-15
DE60234838D1 (de) 2010-02-04
AU2002349875A1 (en) 2003-01-08
CN1620605A (zh) 2005-05-25
EP1410006B1 (en) 2009-12-23
CN100401054C (zh) 2008-07-09
WO2003001191A2 (en) 2003-01-03
EP1410006A2 (en) 2004-04-21
KR100692236B1 (ko) 2007-03-09
GB0115585D0 (en) 2001-08-15
CA2451373A1 (en) 2003-01-03
WO2003001191A3 (en) 2003-05-01
US20040251144A1 (en) 2004-12-16
US7794575B2 (en) 201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6576B1 (en) Gas detecting device provided with electochemical gas sensor and capable of self-diagnosis
KR100692236B1 (ko) 목표 기체가 내재된 분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장치,모니터링 방법 및 전기화학적 기체 감지기의 회복 속도증가 방법
EP0807818B1 (en) Method for measuring nitrogen oxide
EP04153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viving an electrode of a biosensor
US6428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of a gas sensor
US6120663A (en) Gas sensor
GB2288875A (en) Potentiostat circuit for electrochemical cell
JP4194085B2 (ja) プロトン導電体ガスセンサの自己診断方法とガス検出装置
US6290829B1 (en) Gas sensor
US7445698B2 (en) Gas concentration detecting apparatus
US7288175B2 (en) Noiseless gas concentration measurement apparatus
US6251243B1 (en) Gas detecting apparatus having condition monitoring means
US6404205B1 (en) Method for testing the reliability of an electrochemical gas sensor
WO2003001195A1 (en) Monitoring of gas sensors
JP4573514B2 (ja) 定電位電解式ガス測定方法
US10830729B2 (en) Sensor control device and gas detection system
US2005017326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as concentration
JP2001522451A (ja) 気体媒体の酸素含有量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US87362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lectrochemical sensor
JPH08201336A (ja) 電気化学式ガスセンサ及びその駆動方法
CN218674836U (zh) 低功耗气体传感器放大电路
CN113219023A (zh) 一种在线溶解氧表传感器失效的监测方法及系统
JPS6338155A (ja) 酸素濃度測定装置
JPH07113622B2 (ja) 酸素濃度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