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390A -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390A
KR20040035390A KR1020020064520A KR20020064520A KR20040035390A KR 20040035390 A KR20040035390 A KR 20040035390A KR 1020020064520 A KR1020020064520 A KR 1020020064520A KR 20020064520 A KR20020064520 A KR 20020064520A KR 20040035390 A KR20040035390 A KR 2004003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pattern
search pattern
horizontal
min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730B1 (ko
Inventor
한규서
전병태
이재연
정연구
안치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730B1/ko
Priority to AU2003269524A priority patent/AU2003269524A1/en
Priority to PCT/KR2003/002104 priority patent/WO2004039082A1/en
Priority to US10/532,219 priority patent/US7773673B2/en
Publication of KR2004003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3Motion estimation using multistep search, e.g. 2D-log search or one-at-a-time search [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Motion estimation characterised by a search window with variable size o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는,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탐색 과정의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부와; 움직임 예측을 실시하는 움직임 예측 실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은, 탐색의 첫 단계에서 초기 탐색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초기 탐색 방향 결정 결과에 따라 수평 탐색 패턴 혹은 수직 탐색 패턴을 이용하여 다음 단계에서의 위치를 탐색하는 과정과; 각 패턴내에서 최소값을 갖는 위치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이전 탐색 과정의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에 이용되는 패턴을 결정함으로써 움직임 예측 프로세싱에서의 블록 정합도 계산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계산시간 및 계산량을 줄일 수 있으며, 탐색 과정의 각 단계에서 수평 탐색 패턴과 수직 탐색 패턴을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탐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역 최소점(Local Minima)으로의 수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USING OF ADAPTIVE SEARCH PATTERN FOR VIDEO SEQUENCE COMPRESSION}
본 발명은 비디오 영상의 전송 및 저장에 따른 압축 기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프레임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한 압축 기술에 이용되는 움직임 보상 기법에서의 움직임 예측 정확도와 계산 효율을 높이는데 적합한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움직임 보상 압축 기법이라 함은, 움직임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비디오 프레임간의 시간적인 여분을 제거하는 기술을 말하며, 비디오 영상의 압축 표준인 MPEG-4, H.263 등에서는 블록(block)을 기반으로 움직임을 예측하는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 기반 움직임 예측(block-based motion estimation)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이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기타 다른 표준안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블록 기반 움직임 예측 기법에서는 각 비디오 프레임 영상을 다수 개의 블록으로 나누는데, 각각의 블록은 동작 벡터(motion vector)로서 기준 비디오 프레임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블록 위치 변화를 표현한다. 움직임 벡터는 이러한 두 프레임내에서 블록간의 비교를 통하여 가장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블록간의 위치 변화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즉, 블록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블록 왜곡 지표(Block Distortion Mesaure : 이하, BDM이라 칭함)에 의해 최소의 BDM을 갖는 블록을 선정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블록 기반 움직임 예측 기법은 계산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계산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비교적 정확한 예측법인 전역 탐색(Full Search) 기법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탐색 영역(Search Window)내의 모든 블록에 대하여 평균 절대차를 구하고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블록을 선정하여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는데, 일반적으로 전체 비디오 압축에 필요한 계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속 블록 기반 움직임 예측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부분적인 최적화 작업과 예측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가정의 오류로 인하여 전역 탐색 기법에 비하여 정확도면에서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 탐색 과정의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에 이용되는 패턴을 결정하고 탐색 과정의 각 단계에서 수평 탐색 패턴과 수직 탐색 패턴을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계산량과 계산속도를 향상시키고 움직임 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도록 한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비디오 프레임내 블록의 탐색 영역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초기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1 단계와; 초기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는 제 2 단계와; 탐색 영역상의 수평 방향을 주축으로 탐색 위치를 갖는 수평 탐색 패턴을 결정하고, 수평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는 제 3 단계와; 탐색 영역상의 수직 방향을 주축으로 탐색 위치를 갖는 수직 탐색 패턴을 결정하고, 수직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는 제 4 단계와; 초기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동작 벡터값으로 지정하는 제 5 단계와; 수평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동작 벡터값으로 지정하는 제 6 단계와; 수직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동작 벡터값으로 지정하는 제 7 단계와; 초기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8 단계와; 수평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9 단계와; 수직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10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에 있어서, 현재 영상 블록을 생성하는 현재 영상 블록 생성 수단과; 이전 영상 블록을 생성하는 이전 영상 블록 생성 수단과; 현재 영상 블록 생성 수단 및 이전 영상 블록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블록을 저장하는 제 1 및 제 2 메모리 수단과; 제 1 및 제 2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영상 블록 데이터를 독출한 후 독출되는 영상 블록 데이터의 탐색 패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고,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과정에서 이용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 및 움직임 예측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초기 탐색 패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탐색 패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 탐색 패턴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탐색 패턴에 있어서의 위치별 탐색 결정 패턴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 탐색 패턴에 있어서의 위치별 탐색 결정 패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방법이 적용된 탐색 패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형적인 비디오 부호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움직임 예측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2 : 블록 생성부 703 : DCT 변환부
704 : 양자화부 706 : 움직임 예측부
707 : 움직임 보상부 708 : 역DCT 변환부
709 : 역양자화부 801 : 현재 영상 블록 생성부
802, 804 : 메모리부 803 : 이전 영상 블록 생성부
805 : 패턴 메모리부 806 : 패턴 결정부
807 : 움직임 예측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비디오 영상 압축 기술에 적용되며, 회로/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혹은 비디오 처리가 가능한 여러 기기들에 응용이 가능함을 전제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탐색 패턴(Search Pattern)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탐색 패턴은 탐색 영역(Search Window)상의 중앙에 위치하여 초기 방향을 결정한다.
즉, 도 1의 0번부터 4번까지의 5개의 탐색 위치에 따른 BDM 값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BDM 값이 0번 위치에서 발생하면, 더 이상의 탐색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움직임 예측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 경우, 동작 벡터는 (0,0)으로 지정되는데, 0번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위치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의 탐색 패턴이 결정된다.
그리고, 1번 또는 3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탐색 패턴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며, 2번 또는 4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탐색 패턴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패턴은 수평 탐색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패턴은 수직 탐색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의 탐색 패턴은 모두 8개의 탐색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0번 또는 1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할 경우, 그 위치에 따라 동작 벡터가 결정되며 움직임 예측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0번 또는 1번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위치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 적용될 탐색 패턴이 결정된다.
즉, 도 2의 수평 탐색 패턴의 경우, 2번 또는 5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수평 탐색 패턴을 다음 단계에서도 사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의 2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할 경우 그 위치를 다음 단계의 수평 탐색 패턴의 0번 위치로 이용시키며, 도 2의 5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할 경우,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5번 위치를 다음 단계의 수평 탐색 패턴의 1번 위치로 지정하여 탐색 패턴의 위치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2의 수평 탐색 패턴에서 3번, 4번, 6번, 7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할 경우,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은 도 3의 수직 탐색 패턴으로 결정된다.
도 4b에서는 그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b의 경우, 수평 탐색 패턴의 4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위치를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도 3의 수직 탐색 패턴의 0번 위치로 지정하여 이 수직 탐색 패턴의 위치를 결정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3번 위치의 경우도 4번 위치의 결정 방법과 같으며, 6번 혹은 7번 위치의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수직 탐색 패턴의 1번 위치로 지정하여 수직 탐색 패턴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3의 수직 탐색 패턴의 경우 2번 혹은 5번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할 경우 다음 단계에서도 이 수직 탐색 패턴이 사용되며, 3번, 4번, 6번, 7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값이 발생할 경우 다음 단계에서는 도 2의 수평 탐색 패턴이 사용된다.
도 5a와 같이 수직 탐색 패턴의 5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값이 발생할 경우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직 탐색 패턴의 0번 위치로 지정된다. 또한, 이러한 수직 탐색 패턴의 2번 위치의 경우는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직 탐색 패턴의 1번 위치로 지정된다. 도 5b와 같이 수직 탐색 패턴의 3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값이 발생할 경우 다음 단계에서는 도 2의 수평 탐색 패턴의 1번 위치로 지정되어 수평 탐색 패턴의 위치가 결정된다. 수직 탐색 패턴의 4번의 경우에는 3번 위치 경우와 동일하며, 6번 혹은 7번 위치의 경우는 다음 단계의 수평 탐색 패턴의 0번 위치로 지정되어 수평 탐색 패턴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예측 방법으로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된 움직임 예측 방법이 적용된 탐색 패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첫 번째 단계로, 도 1의 패턴을 이용하여 5개의 위치에서 BDM 값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한 위치, 즉, 3번 위치로 이동한다.
두 번째 단계로, 3번 위치의 경우, 상술한 도 2의 수평 탐색 패턴을 이용하며, 이러한 수평 탐색 패턴의 1번 위치로 지정된다.
두 번째 단계의 수평 탐색 패턴에서 4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였으므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도 3의 수직 탐색 패턴을 이용하게 되며 이는 도 4b와 같이 구성된다.
이러한 세 번째 단계의 수직 탐색 패턴에서 3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였으므로, 네 번째 단계에서는 상술한 수평 탐색 패턴을 이용하게 되며 이는 도 5b와 같이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에서는 수평 탐색 패턴의 0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여 움직임 예측 과정을 종료하게 되며, 최종적인 동작 벡터는 (3,-2)로 지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예측 방법이 적용되는 전형적인 비디오 부호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블록 생성부(702), DCT 변환부(703), 양자화부(704), 움직임 예측부(706), 움직임 보상부(707), 역DCT 변환부(708) 및 역양자화부(709)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기내의 블록 생성부(70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시퀀스의 각각의 프레임을 일정한 크기, 예컨대, 8×8의 크기를 갖는 블록으로 나누는 역할을 수행한다.
블록 생성부(702)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블록은 움직임 예측부(707)와 움직임 보상부(707)로 제공되고, 이 움직임 예측부(706)와 움직임 보상부(707)에 의해 움직임 보상이 이루어진다.
DCT 변환부(703)는 이러한 움직임 보상부(707)를 통해 구현된 움직임 보상 블록을 DCT 변환하고, 양자화부(704)는 DCT 변환된 블록을 양자화함으로써 양자화가 이루어진 부호화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또한, 역DCT 변환부(708)와 역양자화부(709)는 도 7의 비디오 부호화기에서 프레임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도 7에서 설명한 다양한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이 움직임 예측부(706)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디오 부호화기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방법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을 실행한다.
도 8은 이러한 도 7에서 이용되는 움직임 예측부(706)에 대한 상세 구성 블록도로서, 현재 영상 블록 생성부(801), 이전 영상 블록 생성부(803),메모리부(802)(804), 패턴 메모리부(805), 패턴 결정부(806), 움직임 예측부(807)를 각각 포함한다. 먼저, 도 8에서의 실선은 데이터 신호 흐름이며, 점선은 구동 신호 흐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영상 블록 생성부(801)와 이전 영상 블록 생성부(803)는 움직임 예측부(807)에서 사용될 영상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각각의 메모리(802)(80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802)(804)는 현재 영상 블록 생성부(801) 및 이전 영상 블록 생성부(803)를 통해 전달된 영상 블록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블록을 움직임 예측부(807)로 전달한다.
전달된 블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움직임 예측부(807)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을 이용하여 움직임 예측 과정을 수행한다.
즉, 움직임 예측부(807)는 패턴 결정부(806)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이 구동 신호를 입력받은 패턴 결정부(806)는 패턴 메모리부(805)로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패턴 메모리부(805)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탐색 패턴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패턴 메모리부(805)로 전달된 탐색 패턴은 다시 움직임 예측부(807)로 전달되어 탐색을 실시한다.
움직임 예측부(807)에서는 전달된 탐색 패턴을 이용하여 실시한 탐색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구동 신호를 통하여 패턴 결정부(806)와 패턴 메모리부(805)로 전달함으로써, 상술한 과정을 반복 실행한다.
도 2와 도 3의 0번 또는 1번 위치에서 가장 작은 BDM 값이 발생하여 움직임 예측 과정이 종료되었을 때, 상술한 탐색 위치에 따른 동작 벡터(MV)가 출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움직임 예측 프로세싱에서의 블록 정합도 계산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계산시간 및 계산량을 줄일 수 있으며, 탐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역 최소점으로의 수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비디오 프레임내 블록의 탐색 영역(search window)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초기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초기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블록 왜곡 지표 : Block Distortion Measure)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탐색 영역상의 수평 방향을 주축으로 탐색 위치를 갖는 수평 탐색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수평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탐색 영역상의 수직 방향을 주축으로 탐색 위치를 갖는 수직 탐색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수직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초기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동작 벡터값으로 지정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수평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동작 벡터값으로 지정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수직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동작 벡터값으로 지정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초기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수평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수직 탐색 패턴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단계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제 10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탐색 패턴, 수평 탐색 패턴, 수직 탐색 패턴을 이용한 각각의 탐색 위치는 중복되며, 상기 중복된 탐색 위치는 BDM 값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탐색 패턴은 상기 중앙 위치를 중심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2n(상기 n은 자연수)개로 구성된 (4n+1)개의 탐색 위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탐색 패턴은 상기 수평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육각 형태의 8n개의 탐색 위치를 지니되, 상단줄에 2n개, 중단줄에 4n개, 하단줄에 2n개의 탐색 위치 현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직 탐색 패턴은 상기 수직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육각 형태의 8n개의 탐색 위치를 지니되, 좌측열에 2n개, 가운데열에 4n개, 우측열에 2n개의 탐색 위치 형태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 단계는,
    상기 중앙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 2n개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음 단계를 위한 탐색 패턴을 상기 수직 탐색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2n개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음 단계를 위한 탐색 패턴을 상기 수평 탐색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탐색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는,
    상기 중단줄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2n개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탐색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중단줄의 중심에 위치한 2n개의 위치를 제외한 좌우측 위치에서 최소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음 탐색 과정을 위하여 상기 수평 탐색 패턴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상단줄 또는 상기 하단줄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음 탐색 과정을 위하여 상기 수직 탐색 패턴을 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가운데열의 중심에 위치한 2n개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탐색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가운데열의 중심에 위치한 2n개의 위치를 제외한 상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음 탐색 과정을 위하여 상기 수직 탐색 패턴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열 또는 상기 우측열에 포함되는 4n개의 위치에서 최소 BDM 값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음 탐색 과정을 위하여 상기 수평 탐색 패턴을 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방법.
  7.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에있어서,
    현재 영상 블록을 생성하는 현재 영상 블록 생성 수단과;
    이전 영상 블록을 생성하는 이전 영상 블록 생성 수단과;
    상기 현재 영상 블록 생성 수단 및 상기 이전 영상 블록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블록을 저장하는 제 1 및 제 2 메모리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영상 블록 데이터를 독출한 후 상기 독출되는 영상 블록 데이터의 탐색 패턴에서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를 탐색하고, 상기 최소 BDM 값을 갖는 위치에 따른 다음 탐색 과정에서 이용될 탐색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 및 움직임 예측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결정 및 움직임 예측 수단은 전달된 탐색 패턴을 이용하여 실시한 탐색 결과에 따라 다음 과정에서 이용할 탐색 패턴을 반복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 장치.
KR10-2002-0064520A 2002-10-22 2002-10-22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049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20A KR100490730B1 (ko) 2002-10-22 2002-10-22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AU2003269524A AU2003269524A1 (en) 2002-10-22 2003-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using adaptive search pattern for video sequence compression
PCT/KR2003/002104 WO2004039082A1 (en) 2002-10-22 2003-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using adaptive search pattern for video sequence compression
US10/532,219 US7773673B2 (en) 2002-10-22 2003-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using adaptive search pattern for video sequence compre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20A KR100490730B1 (ko) 2002-10-22 2002-10-22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390A true KR20040035390A (ko) 2004-04-29
KR100490730B1 KR100490730B1 (ko) 2005-05-24

Family

ID=3638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520A KR100490730B1 (ko) 2002-10-22 2002-10-22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73673B2 (ko)
KR (1) KR100490730B1 (ko)
AU (1) AU2003269524A1 (ko)
WO (1) WO200403908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54B1 (ko) * 2007-01-05 2007-12-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십자형 다이아몬드 탐색을 이용한 블록 정합 방식의 고속움직임 추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0880720B1 (ko) * 2007-01-09 2009-02-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정합 방식에 따른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42778B1 (ko) * 2008-01-14 2010-02-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움직임 벡터 탐색방법 및 장치
US8379712B2 (en) 2006-11-09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arch methods for reducing computational complexity of motion esti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4592A (ja) * 2005-09-09 2007-03-22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80002772A1 (en) * 2006-06-28 2008-01-03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Motion vector estimation method
KR101107254B1 (ko) * 2007-01-25 201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추정 방법및 그 장치
US20110310955A1 (en) * 2010-06-22 2011-12-22 Lei Zhang Method and system for repetition based adaptive video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7837A (en) * 1998-01-23 2000-10-24 Motorola, Inc. Motion estimation for digital video with reduced number of search window pixels
US6363117B1 (en) * 1998-12-31 2002-03-26 Sony Corporation Video compression using fast block motion estimation
US6567469B1 (en) * 2000-03-23 2003-05-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tion estimation algorithm suitable for H.261 videoconferencing applications
US6563874B1 (en) * 2000-06-23 2003-05-13 Hitachi America, Ltd. Fast search method for motion estimation
US6842483B1 (en) * 2000-09-11 2005-01-11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ice, method and digital video encoder for block-matching motion estimation
TW535440B (en) * 2001-10-09 2003-06-01 Vivotek Inc Motion estimation method of video encod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9712B2 (en) 2006-11-09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arch methods for reducing computational complexity of motion estimation
KR100787954B1 (ko) * 2007-01-05 2007-12-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십자형 다이아몬드 탐색을 이용한 블록 정합 방식의 고속움직임 추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0880720B1 (ko) * 2007-01-09 2009-02-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정합 방식에 따른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42778B1 (ko) * 2008-01-14 2010-02-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움직임 벡터 탐색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9082A1 (en) 2004-05-06
KR100490730B1 (ko) 2005-05-24
US20060104358A1 (en) 2006-05-18
AU2003269524A1 (en) 2004-05-13
US7773673B2 (en) 201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627B2 (en)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and moving picture encoding method
JP3801886B2 (ja) ハイブリッド型高速動き推定方法
US6625216B1 (en) Motion estimation using orthogonal transform-domain block matching
JP3277111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H09179987A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3655651B2 (ja) データ処理装置
CN101326550A (zh) 利用预测指导的抽取搜索的运动估计
JP2011114572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方法
KR20010082934A (ko)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JPH1056643A (ja) 任意の対象物を収録している動画像の符号化及び復号化装置
KR20080110454A (ko) 양-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양-예측 복호화 방법 및장치 및 기록매체
KR100490730B1 (ko) 비디오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턴을 이용한움직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0442844B1 (ko) 중심점을이용한객체의외곽선부호화방법및이를이용한부호화장치
KR100254667B1 (ko) 폐색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658024B (zh) 一种快速的视频编码方法
US20020168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moving pictures
JPH0262178A (ja) 画像処理装置の動き検出方式
JP200122403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KR20020010171A (ko)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을 위한 적응적 예측 방향성 탐색방법
KR100978465B1 (ko) 양-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양-예측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매체
KR100859073B1 (ko) 움직임 추정 방법
JP2005354174A (ja) 動き探索装置
JP2018182435A (ja) 動きベクトル予測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306953A (zh) 图像编码方法和装置
JP2008017304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する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