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928A -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928A
KR20040034928A KR1020020063582A KR20020063582A KR20040034928A KR 20040034928 A KR20040034928 A KR 20040034928A KR 1020020063582 A KR1020020063582 A KR 1020020063582A KR 20020063582 A KR20020063582 A KR 20020063582A KR 20040034928 A KR20040034928 A KR 2004003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flowers
cut
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419B1 (ko
Inventor
정옥순
최승묵
조남홍
이영희
박종률
김재규
이동현
서상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정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정옥순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2-006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4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장미와 국화에 대한 절화의 규격상품화를 위하여 CCD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절화의 길이와 꽃대의 굵기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 꽃대의 휨정도와 개화정도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선별에 있어 정밀성을 최대화시키고, 화훼 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후에 선별하는 작업을 기계화하여 노동력과 소요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정밀성이 있는 선별에 의해 화훼 재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로 인해 전체적인 절화선별기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CUT-FLOWER GRADER USING COMPUTER VISION}
본 발명은 CCD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장미 또는 국화와 같은 꽃의 절화 상태를 선별하도록 하는 절화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장미와 국화에 대한 절화의 규격상품화를 위하여 CCD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절화의 길이와 꽃대의 굵기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 꽃대의 휨정도와 개화정도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선별에 있어 정밀성을 갖도록 하는 하고, 화훼 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후에 선별하는 작업을 기계화하여 노동력과 소요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며, 정밀성이 있는 선별에 의해 화훼 재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절화선별기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미와 국화의 재배면적과 수출물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꽃 수확한 후에 선별하는 작업은 거의 인력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불균일한 선별에 의해 제대로된 값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꽃을 선별하는 방법은 평편한 판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줄을 그어 놓고 사람이 꽃을 한송이씩 올리면서 그어 놓은 줄에 해당되는 절화의 길이를 선별하는 방법과, 접촉식 센서와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꽃을 선별하는 방법 및 CCD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꽃을 선별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CCD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꽃을 선별하는 방법은 CCD카메라와 포토센서를 조합하여 꽃의 개화정도와 절화길이만 선별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정밀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훼 경매시장 및 수출시장에서 낮은 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력으로 꽃의 절화를 선별하는 화훼농가는 노동력의 증가와 소요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종래의 기술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 절화의 선별작업은 어느 정도 정밀성과 효율성에 한계가 있어 이를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점들이 항상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장미와 국화에 대한 절화의 규격상품화를 위하여 CCD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절화의 길이와 꽃대의 굵기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 꽃대의 휨정도와 개화정도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선별에 있어 정밀성을 최대화시키고, 화훼 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후에 선별하는 작업을 기계화하여 노동력과 소요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정밀성이 있는 선별에 의해 화훼 재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로 인해 전체적인 절화선별기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보여주는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배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의 발췌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배출부의 발췌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처리부 2 : 영상처리 선별부
4 : 배출부 10 : 공급대
12 : 꽃이송원형봉 13 : 꽃대지지판
14 : 줄기절단장치 15 : 잎떨이장치
21 : 이송트레이 22 : 챔버
23,24,25 : CCD카메라 28 : 컴퓨터
29 : 모니터 30 : 인터페이스 케이블
45 : 수집상자 100 : 절화선별기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 시설자 및 관리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보여주는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배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평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의 발췌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배출부의 발췌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정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CCD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절화길이, 꽃대굵기, 꽃대휨 정도 및 개화정도를 정밀하게 선별하기 위해서 꽃을 선별하기 전 일정한 길이로 줄기절단 및 잎떨이 작업하게 하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처리 선별부의 CCD카메라의 설치 방향이 수직하방이기 때문에 꽃을 수평으로 공급하게 하며, 꽃의 재배 특성상 뿌리쪽 부분의 꽃대의 끝부분이 구부러지기 때문에 구부러진 부분의 일정길이 만큼 절단길이를 조절하여 자를 수 있도록 하고, 선별후 포장상자에 원활히 담기 위해 절화의 길이가 너무 긴 꽃은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게 하며, 꽃대굵기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꽃대에 붙어 있는 잎을 떨 수 있도록 하고, 선별후 배출할때 꽃에 손상없이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인 절화선별기(100)는 작업자가 꽃을 수평으로 공급하여 적당한 길이로 꽃대의 줄기끝을 절단하고, 절단한 줄기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줄기에 붙어 있는 잎을 떤 후에 꽃을 한송이씩 공급하기 위한 전처리부(1)와, 상기 전처리부(1)에서 한송이씩 공급하는 꽃을 CCD카메라와 영상처리 선별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장미와 국화절화의 꽃대휨 정도, 꽃 봉우리 개화정도, 절화길이, 꽃대굵기를 정밀하게 선별하기 위한 영상처리 선별부 (2)와, 상기 영상처리 선별부(2)에서 선별한 각각의 꽃을 각 등급별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절화선별기(100)는 먼저 꽃을 선별하기 위해 작업자가 한송이씩 꽃을 공급대(10)에 공급하면, 전처리부(1)에서 적당한 길이로 꽃대의 줄기끝을 절단시킨 다음 상기에서 절단된 줄기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줄기에붙어있는 잎을 떤 후에, 영상처리 선별부(2)에 꽃을 한송이씩 공급하게 되고, 이때 상기에서 한송이씩 공급되는 꽃을 영상처리 선별부(2)에서 꽃을 선별하여 배출부 (4)에 선별결과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배출부(4)에서는 각각의 등급별로 꽃을 수집상자(45)에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처리부(1)는 절화길이의 길고 짧은 정도와 꽃대 끝부분의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꽃대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로 자를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꽃대절단길이 조절가이드(11)와,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0b)이 뚫려 있어 꽃이송원형봉(1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급대(10)와, 상기 공급대(10) 위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꽃을 체인(66,67) 구동에 의해 영상처리 선별부(2)에 공급하는 다수개가 한조로 구성된 꽃이송원형봉(12) 위의 꽃의 줄기 끝부분을 일정길이 만큼 자를 수 있는 줄기절단장치(14)와, 상기 줄기절단장치(14)로부터 줄기가 절단된 꽃이송원형봉(12) 위에 있는 꽃의 줄기 끝부분을 일정길이 만큼 잎을 떨 수 있는 잎떨이장치(15)와, 상기 줄기절단장치(14)와 잎떨이장치(15)를 통과하는 꽃이 좌, 우, 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꽃을 손상없이 눌러 주기 위해 다수개의 꽃대지지판(13a~13f)으로 구성된 꽃대지지대 (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줄기절단장치(14)는 꽃대를 자르기 위한 원판회전칼날(14a)과, 꽃의 줄기를 자를때 꽃이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한송이씩 공급되도록 체인 (14c)에 부착되어 있는 공급봉(14b)과, 상기 원판회전칼날(14a)을 구동시킬 수 있게 회전속도 조절형의 모터(14d)로 구성되고, 상기 잎떨이장치(15)는 줄기에 붙어있는 잎을 꽃대에 손상없이 떨기 위하여 브러시(15a)와, 상기 브러시(15a)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속도 조절형의 모터(15c)와, 줄기의 위, 아래로 붙어 있는 잎을 떨기 위하여 상하의 브러시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 (15b)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처리 선별부(2)는 전처리부(1)에서 공급되는 꽃을 한송이씩 받을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장착된 다수개의 이송트레이(21)와, CCD카메라가 영상을 획득할때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암실의 챔버(22)와, 상기 챔버(22)내의 CCD카메라(23,24,25)가 음영없이 영상을 명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빛을 골고루 비추도록 설치한 조명(26)과, 비접촉식 감지센서(27)가 장착된 위치에 꽃이 놓여진 이송트레인(21)가 위치하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CCD카메라(23,24,25)와, 상기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타를 용이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케이블(30)과, 상기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저장하고, 전송된 데이타를 기초로 꽃에 대한 영상처리 선별알고리즘에 의한 꽃 선별프로그램에 의해 꽃을 선별하기 위해 구동하는 컴퓨터(28)와, 상기 컴퓨터(28)로부터 결과값을 전송받아 배출부(4)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장치 (31)와 상기에서 선별된 결과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29)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부(4)는 영상처리 선별부(2)의 제어장치(31)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선별후 이송되어 오는 이송트레이(21)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감지센서 (47)와, 체인(63,64)에 부착되어 이송트레이(21)를 지지하는 이송트레이 지지봉 (44)과, 상기 체인(63,64) 구동시 체인에 지지되어 있는 이송트레이(2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롤러(42) 및 흔들림 방지 가이드봉(43)과, 상기 이송트레이(21)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49)를 90°로 경사지게 하여 꽃이 수집상자 (45)에 들어가게 하는 공기압실린더(46)와, 꽃 배출 후 90°로 경사진 이송트레이 (21)가 무게중심에 의해 복원될 때 소리나는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 브라켓트(48)와, 상기 이송트레이(21)에 있는 꽃을 각 등듭별로 모을 수 있는 수집상자(45)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의 구성부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절화선별기(100)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절화선별기(100)는 진동모터 (전동모터, 51)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전처리부(1)의 이송속도와 영상처리 선별부 (2)의 이송속도는 상기 진동모터(전동모터, 51)에 구비된 원동축 스프라켓(52)과 종동축 스프라켓(53,54,55,56,57,58,59,60,61)의 비율에 의해 1:1 구동시켜 전처리부(1)에서 영상처리 선별부(2)로 꽃을 한송이씩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절화선별기(100)를 실시하는 작업자가 먼저 상기 전처리부(1)의 공급대 (10)를 통해 꽃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꽃이송원형봉(12)에 의해 꽃이 이송되고,상기 공급대(10)의 구멍(10b)에 의해 상기 꽃이송원형봉(12)은 꽃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이송되는 꽃대절단길이 조절가이드(11)를 통해 꽃에 대한 절화길이의 길고 짧은 정도와 꽃대 끝부분의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꽃대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로 자를 수 있도록 위치시키되, 이를 체인(66,67)에 의해 구동되는 꽃이송원형봉(12)을 통해 이송되다가 상기 줄기절단장치(14)에 의해 꽃의 줄기 끝부분을 일정길이 만큼 자르게 된다.
즉, 상기 줄기절단장치(14)의 원판회전칼날(14a)을 통해 꽃대를 자르게 되는것이고, 상기에서 꽃의 줄기를 자를때 꽃이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한송이씩 공급되도록 체인(14c)에 부착된 공급봉(14b)에 의해 실시되고, 상기 원판회전칼날 (14a)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속도 조절형의 모터(14d)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의 줄기절단장치(14)로부터 줄기가 절단되어 꽃이송원형봉(12)을 통해 이송되는 꽃의 줄기 끝부분을 일정길이 만큼 잎을 떨기 위해서 잎떨이장치(15)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잎떨이장치(15)의 브러시(15a)는 줄기에 붙어 있는 잎을 꽃대에 손상없이 떨게 하고, 회전속도 조절형의 모터(15c)의 작동에 의해 상기 브러시 (15a)를 회전구동시키며, 상기 롤러(15b)는 줄기의 위 아래로 붙어 있는 잎을 떨기 위하여 상하의 브러시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줄기절단장치(14)와 잎떨이장치(15)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꽃이 좌,우, 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꽃대지지판(13a~13f)으로 구성된꽃대지지대(13)에 의해 꽃을 손상없이 눌러 주게 된다.
상기의 전처리부(1)를 거친 꽃은 영상처리 선별부(2)에 의해 각각 등급별로 선별하게 된다.
즉, 상기 전처리부(1)에서 공급되는 꽃을 이송트레이(21)에 의해 한송이씩 받을 수 있는데, 이는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장착되어 있어 한송이씩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기에서 이송된 꽃은 암실의 챔버(22)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챔버(22)는 CCD카메라(23,24,25)가 영상을 획득할때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암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22) 내에 구비된 조명(26)은 CCD카메라 (23,24,25)가 음영없이 영상을 명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빛을 골고루 비추기 위해 설치된 것이고, 상기 CCD카메라(23,24,25)는 비접촉식 감지센서(27)가 장착된 위치에 꽃이 놓여진 이송트레인(21)가 위치하게 되면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상기의 CCD카메라(23,24,25)의 작동에 의해 획득한 영상데이타를 인터페이스 케이블(30)를 통해 컴퓨터(28)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컴퓨터(28)는 상기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동시에 전송된 데이타를 기초로 꽃을 선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컴퓨터(28)는 꽃에 대한 영상처리 선별알고리즘에 의한 꽃 선별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그램에 의하여 꽃을 선별하게 되고, 그 결과값을 제어장치(31)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31)는 컴퓨터(28)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배출부(4)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선별하는 과정이나 결과에 대해서 작업자가 별도의 모니터(29)를 통해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영상처리 선별부(2)의 제어장치(31)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선별된 꽃을 상기 배출부(4)의 비접촉식 감지센서(47)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이송트레이(21)를 감지하게 되면, 공기압실린더(46)는 상기 이송트레이(21)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49)를 90°로 경사지게 하여 꽃이 수집상자(45)에 들어가게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부(4)의 이송트레이 지지봉(44)은 체인(63,64)에 부착되어 이송트레이(21)를 지지시키고, 상기 배출부(4)의 흔들림 방지롤러(42)와 흔들림 방지 가이드봉(43)은 상기 체인(63,64)의 구동시 체인에 지지되어 있는 이송트레이 (21)의 흔들림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4)의 충격방지 브라켓트(48)는 상기에서 꽃이 배출된 후에 90°로 경사진 이송트레이(21)가 무게중심에 의해 복원될 때 소리나는 소음과 충격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미와 국화에 대한 절화의 규격상품화를 위하여 CCD카메라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절화의 길이와 꽃대의 굵기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 꽃대의 휨정도와 개화정도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선별에 있어 정밀성이 최대화되는 효과와, 화훼 재배농가에서 수확한 후에 선별하는 작업을 기계화하여 노동력과 소요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정밀성이 있는 선별에 의해 화훼 재배농가의 소득이 증대되는 효과로 인해 전체적인 절화선별기에 대한 효율성이 향상되어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5)

  1. 절화선별기(100)는 작업자가 꽃을 수평으로 공급하여 적당한 길이로 꽃대의 줄기끝을 절단하고, 절단한 줄기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줄기에 붙어 있는 잎을 떤 후에 꽃을 한송이씩 공급하기 위한 전처리부(1);
    상기 전처리부(1)에서 한송이씩 공급하는 꽃을 CCD카메라와 영상처리 선별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장미와 국화절화의 꽃대휨 정도, 꽃 봉우리 개화정도, 절화길이, 꽃대굵기를 정밀하게 선별하기 위한 영상처리 선별부(2);
    상기 영상처리 선별부(2)에서 선별한 각각의 꽃을 각 등급별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1)는 절화길이의 길고 짧은 정도와 꽃대 끝부분의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꽃대의 끝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로 자를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한 꽃대절단길이 조절가이드(11);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0b)이 뚫려 있어 꽃이송원형봉(1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급대(10);
    상기 공급대(10) 위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꽃을 체인(66,67) 구동에 의해 영상처리 선별부(2)에 공급하는 다수개가 한조로 구성된 꽃이송원형봉(12) 위의 꽃의 줄기 끝부분을 일정길이 만큼 자를 수 있는 줄기절단장치(14);
    상기 줄기절단장치(14)로부터 줄기가 절단된 꽃이송원형봉(12) 위에 있는 꽃의 줄기 끝부분을 일정길이 만큼 잎을 떨 수 있는 잎떨이장치(15);
    상기 줄기절단장치(14)와 잎떨이장치(15)를 통과하는 꽃이 좌, 우, 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꽃을 손상없이 눌러 주기 위해 다수개의 꽃대지지판 (13a~13f)으로 구성된 꽃대지지대(1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절단장치(14)는 꽃대를 자르기 위한 원판회전칼날(14a)과, 꽃의 줄기를 자를때 꽃이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한송이씩 공급되도록 체인 (14c)에 부착되어 있는 공급봉(14b)과, 상기 원판회전칼날(14a)을 구동시킬 수 있게 회전속도 조절형의 모터(14d)로 구성되고,
    상기 잎떨이장치(15)는 줄기에 붙어 있는 잎을 꽃대에 손상없이 떨기 위하여 브러시(15a)와, 상기 브러시(15a)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속도 조절형의 모터 (15c)와, 줄기의 위, 아래로 붙어 있는 잎을 떨기 위하여 상하의 브러시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 (15b)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선별부(2)는 전처리부(1)에서 공급되는 꽃을 한송이씩 받을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장착된 다수개의 이송트레이(21);
    CCD카메라가 영상을 획득할때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암실의 챔버(22);
    상기 챔버(22)내의 CCD카메라(23,24,25)가 음영없이 영상을 명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빛을 골고루 비추도록 설치한 조명(26);
    비접촉식 감지센서(27)가 장착된 위치에 꽃이 놓여진 이송트레인(21)가 위치하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CCD카메라(23,24,25);
    상기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타를 용이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케이블 (30);
    상기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저장하고, 전송된 데이타를 기초로 꽃에 대한 영상처리 선별알고리즘에 의한 꽃 선별프로그램에 의해 꽃을 선별하기 위해 구동하는 컴퓨터(28);
    상기 컴퓨터(28)로부터 결과값을 전송받아 배출부(4)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장치(31)와 상기에서 선별된 결과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2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는 영상처리 선별부(2)의 제어장치(31)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선별후 이송되어 오는 이송트레이(21)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감지센서(47);
    체인(63,64)에 부착되어 이송트레이(21)를 지지하는 이송트레이 지지봉(44);
    상기 체인(63,64) 구동시 체인에 지지되어 있는 이송트레이(2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롤러(42) 및 흔들림 방지 가이드봉(43);
    상기 이송트레이(21)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49)를 90°로 경사지게 하여 꽃이 수집상자(45)에 들어가게 하는 공기압실린더(46);
    꽃 배출 후 90°로 경사진 이송트레이(21)가 무게중심에 의해 복원될 때 소리나는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 브라켓트(48);
    상기 이송트레이(21)에 있는 꽃을 각 등듭별로 모을 수 있는 수집상자(45);
    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KR10-2002-0063582A 2002-10-17 2002-10-17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KR100493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582A KR100493419B1 (ko) 2002-10-17 2002-10-17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582A KR100493419B1 (ko) 2002-10-17 2002-10-17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28A true KR20040034928A (ko) 2004-04-29
KR100493419B1 KR100493419B1 (ko) 2005-06-07

Family

ID=3733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582A KR100493419B1 (ko) 2002-10-17 2002-10-17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4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2544A (zh) * 2013-04-15 2013-07-24 扬州福尔喜果蔬汁机械有限公司 一种大枣光电分级生产线
CN108317960A (zh) * 2018-04-20 2018-07-24 昆明理工大学 一种花卉分级装置
CN110095065A (zh) * 2019-01-15 2019-08-06 云南安视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玫瑰鲜切花分级检测的方法
CN112808603A (zh) * 2020-12-22 2021-05-18 南京林业大学 基于RealSense相机的鲜切花分选装置及方法
WO2023085992A1 (en) * 2021-11-15 2023-05-19 Opticept Technologies Ab Image analysis of cut flowers
CN116663761A (zh) * 2023-06-25 2023-08-29 昆明理工大学 一种三七中药材低损挖掘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189A (ko) 2022-06-23 2024-01-02 백만조 절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695B2 (ja) * 1993-05-25 1995-08-09 株式会社マキ製作所 果実そ菜類の選別方法
JPH08215642A (ja) * 1995-02-09 1996-08-27 Muto Senkaki Seisakusho:Kk 選花機
KR19990011659U (ko) * 1997-08-21 1999-03-25 김성근 화상을 이용한 자동감귤등급선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2544A (zh) * 2013-04-15 2013-07-24 扬州福尔喜果蔬汁机械有限公司 一种大枣光电分级生产线
CN108317960A (zh) * 2018-04-20 2018-07-24 昆明理工大学 一种花卉分级装置
CN110095065A (zh) * 2019-01-15 2019-08-06 云南安视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玫瑰鲜切花分级检测的方法
CN112808603A (zh) * 2020-12-22 2021-05-18 南京林业大学 基于RealSense相机的鲜切花分选装置及方法
CN112808603B (zh) * 2020-12-22 2021-10-12 南京林业大学 基于RealSense相机的鲜切花分选装置及方法
WO2023085992A1 (en) * 2021-11-15 2023-05-19 Opticept Technologies Ab Image analysis of cut flowers
CN116663761A (zh) * 2023-06-25 2023-08-29 昆明理工大学 一种三七中药材低损挖掘系统
CN116663761B (zh) * 2023-06-25 2024-04-23 昆明理工大学 一种三七中药材低损挖掘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419B1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60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plant material
CN105457911B (zh) 蜂花粉自动化筛选装置及筛选方法
KR100493419B1 (ko) 컴퓨터 시각을 이용한 절화선별기
US20080289515A1 (en) Pepper de-stemming
US5431231A (en) Harvester for root vegetables
US20110001290A9 (en) Counter sorting device
KR101812298B1 (ko) 전복 치패 계수장치
US4033099A (en) Tomato harvesting employing electronic sorting
EP2667695A2 (en) Automated seed package ident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1672270B2 (en) Pepper de-stemming methods and apparatus
CN208743084U (zh) 一种电子商务分拣器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JP5470722B2 (ja) 根菜類収穫機
KR101588645B1 (ko) 농산물 자동 계수기
JPH09224573A (ja) 生茶葉の品質評価方法並びに装置
JP6393248B2 (ja) 花ボリューム選別システム
WO2022133035A1 (en) Systems for removing husk leaves from corn, and related methods
JP2008212876A (ja) 青果物選別装置
JP2019208370A (ja) 根菜類収穫機
NL1018278C2 (nl) Steksteekinrichting voor het steken van stekken.
CN116764981A (zh) 一种种子缺陷检测分选系统
CN219483463U (zh) 一种种子缺陷检测分选系统
CN218079045U (zh) 一种胶囊全面分拣装置
US202400097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nts using an air curtain
CN209156459U (zh) 一种适用于直径20-60mm香菇的自动分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