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465A -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465A
KR20040034465A KR1020030071692A KR20030071692A KR20040034465A KR 20040034465 A KR20040034465 A KR 20040034465A KR 1020030071692 A KR1020030071692 A KR 1020030071692A KR 20030071692 A KR20030071692 A KR 20030071692A KR 20040034465 A KR20040034465 A KR 2004003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characteristic parameter
digital
voice signal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성
Original Assignee
(주)메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즈텍 filed Critical (주)메이즈텍
Priority to PCT/KR2003/0021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4036762A2/en
Priority to US10/531,740 priority patent/US20060018482A1/en
Priority to EP03751570A priority patent/EP1559236A4/en
Priority to AU2003269555A priority patent/AU2003269555A1/en
Publication of KR2004003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1Analogue/digital/analogue conversion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아날로그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정한 시간구간 단위로 음성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 데이터를 특성파라미터로서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얻어진 일련의 특성파라미터를 공간적 및 시계열적으로 재배치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특성파라미터의 추출은 그 역변환이 용이한 소정의 알고리즘, 예컨대 FFT(Fast Fourier Transform),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WAVELET 변환처리나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한 각종 서브밴드(subband) 분할기법을 통해 실행하게 된다.

Description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Encryp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a voice signal}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아날로그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신호 등의 가청음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우선 가청음을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예컨대 PCM(Pulse Code Modulation)이나 ADPCM(Adaptive Differential PCM) 방식을 통해 부호화한 후, 예컨대 TDM(또는 TDMA)이나 CDMA 등의 통신방식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성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악의의 제3자가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용이하게 감청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음성신호 전송에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경우 이용자 단말기인 전화기와 전화국의 교환기는 전화선을 통해 결합되고, 전화기에서는 입력되는 가청음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교환기에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PCM이나 ADPCM 등의 코딩방식을 통해 코딩하여 중계선을 통해 다른 교환기로 전송하게된다. 따라서, 상기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악의의 제3자가 전화기와 교환기가 결합되는 전화선에 소정의 통신 단말기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통화내용을 용이하게 감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불법적인 통화내용 감청은 상기한 통신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및 무선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모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중요한 공공기관이나 시설 등에는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장치를 채용하여 불법적인 감청에 대응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신호 암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가청음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예컨대 마이크 등의 입력부이고, 2는 이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장치이다. 이 암호화장치(2)는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암호처리하는 암호처리부(22) 및, 이 암호처리부(22)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암호처리부(22)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 즉 음성 데이터를 공간적 및 시계열적으로 재배열하거나, 일정 시간구간의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천이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음성데이터를 암호화하게 된다. 여기서 공간적 재배열은 일정 구간의 디지탈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디지탈 값을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해당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값을 변동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시간적 재배열은 일정 구간의 디지탈 데이터를 다른 구간의 디지탈 데이터와 맞교환하거나 또는 일정 구간의 디지탈 데이터를 역배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상기 암호화장치(2)에서 처리되는 암호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암호화장치(2)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3)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신호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보면, a-b구간의 데이터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2"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이 가산되어 입력신호가 공간적으로 재배치되어 있다. 또한, b-c구간 및 c-d구간은 상호 맞교환되고 d-e구간은 해당 신호가 자체적으로 역배열되어 전체적으로 b-e구간은 시계열적으로 재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종래의 암호화장치(2)에 있어서는 소정 시간구간의 음성신호를 주파수천이(변환)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공간적 및 시계열적으로 재배치하고 소정 구간의 음성신호를 주파수천이시킴으로써 제3자가 해당 음성신호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
1. 종래의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음성신호를 단지 공간적 및 시계열적으로 재배치하거나 주파수천이하기 때문에 제3자가 해당 음성신호를 감청하였을 때, 해당 음성신호를 인지할 수는 없어도 해당 신호가 음성신호를 암호화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악의의 제3자가 해당 신호를 녹음하여 이를 분석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게 된다.
2. 일반적으로 음성신호는 사람마다 독특한 특색을 갖고 있고, 또한 일련의 연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암호화된 음성신호를 정밀하게 분석하게 되면 암호화된 음성신호를 해독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예로서 도 3은 음성신호의 시간별 파형특성을 나타낸 특성도이고, 도 4는 도3에 해당하는 음성신호의 시간별 스펙트럼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들은 Cool-Edit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신호는 사람마다 독특한 특색을 갖고 있음은 물론 연속성을 가지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음성신호를 해석하게 되면 공간적 및 시계열적으로 재배열되거나 주파수천이된 암호화된 음성신호는 용이하게 원래의 음성신호로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확실하게 암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신호 암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a는 도 1의 장치에서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2b는 도 1에서 암호화장치(2)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3)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3은 음성신호의 시간별 파형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특성도.
도 4는 도3에 해당하는 음성신호의 시간별 스펙트럼특성을 나타낸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암호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암호화 장치를 통해 전송되어 온 신호를 본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입력부, 8 : 암호화 장치,
5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52 : 특성파라미터 추출부,
53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80 : 재배열처리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은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단계와,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값을 추출하는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일련의 추출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일련의 특성파라미터를 재배열하는 재배열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는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값을 추출하는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일련의 추출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특성파라미터를 재배열하는 재배열처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기본적으로 다른 진동수, 즉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sin, cos, 또는 sin과 cos의 복합함수로서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임의의 아날로그 신호는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파수 성분으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있다.
예를 들어 주기함수 f(t)는 다음과 같이 다수의 정현함수의 급수로 전개할 수 있다.
즉,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파수성분으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역으로 수학식1에 표시된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합성하게 되면 본래의 아날로그 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만일 송수신 시스템간에 소정의 약정이 이루어져 있다면, f(t)로 표시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상기 수학식1에서 각 주파수성분의 크기값에 해당되는를 전송하는 것만으로 f(t)로 표시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일반적인 음성신호의 송수신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음성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0∼4KHz라 할 때, 이를 예컨대 32개의 주파수 성분으로 분할하게 되면 각각 소정 크기를 갖는 0, 125Hz, 250Hz, … , 4KHz의 주파수성분이 얻어지게 되고, 이들 각각의 주파수성분을 합성하게 되면 본래의 음성신호를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음성신호 전송장치와 수신장치 간에 음성신호를 분할하고 합성하는 방법이 약정되어 있다면 전송장치측에서는 수신장치측으로 각 주파수성분의 크기값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음성신호를 완벽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성분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값, 즉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한 후, 이 추출된 파라미터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상기한 개념을 실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암호화 장치(5)는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음성데이터로부터 상술한 특성 파라미터, 즉 주파수 성분별 크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 및, 이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파라미터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는 예컨대 DSP(Digital Signal Process)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그 역변환이 용이한 소정의 알고리즘, 예컨대 FFT(Fast Fourier Transform),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WAVELET 변환 알고리즘이나,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한 각종 서브밴드(subband) 분할기법을 실행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로부터 특성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6은 예컨대 1KHz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를 본 암호화 장치에 입력한 경우의 특성 파형도로서, 이들은 Cool Edit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도 6a는 본 암호화 장치에 입력되는 1KHz의 정현파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그 시간별 스팩트럼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c는 상기한 1KHz의 정현파 신호를 입력하였을 경우에 암호화 장치(5)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시간별 크기변화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고, 도 6d는 그 시간별 스팩트럼 특성을 나타낸 특성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암호화 장치에 실제적인 음성신호를 입력한 경우의 특성 파형도로서, 도 7a는 본 암호화 장치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시간별 크기변화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이때 암호화 장치(5)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시간별 크기변화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며, 도 7c는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시간별 스팩트럼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종래의 장치에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의 파형도와, 본 발명에 따른 도 6및 도 7의 파형도를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를 근거로 새롭게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본래의 신호가 갖고 있던 규칙성 및 연결성이 완전하게 파괴되게 된다. 따라서 음성신호를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장치를 통해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되면 악의의 제3자가 해당 전송 신호를 감청하더라도 해당 전송신호가 음성신호인지 아니면 단순한 노이즈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만일 해당신호가 음성신호인 것으로 판단하여도 전송되는 신호는 본래의 음성신호가 갖고 있던 어떠한 규칙성 및 연속성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음성신호를 판독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암호화 장치에 비해 그 암호화 강도를 더욱 높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상술한 도 5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있어서는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에서 출력되는 일련의 디지탈 데이터를 공간적 또는 시계열적으로 재배열하기 위한 재배열 처리부(80)가 부가되어 있다. 이 재배열처리부(80)는 도 1에서의 암호처리부(22)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이는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감)가산하거나 또는 그 데이터의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도 1의 종래구성에 있어서는 암호처리부(22)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음성신호의 시간에 따른 크기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를 암호처리부(22)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으로 재배열하더라도 음성신호의 연속성을 근거로 본래의 신호로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구성에 있어서는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는 음성신호의 각 주파수성분별 크기에 상당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의 크기값을 변화시키거나 시계열적으로 재배열하게 되면, 그 결과 데이터는 본래의 신호와는 전혀 별개의 신호로 변경되게 된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성신호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 데이터를 전송데이터로 설정함으로써 본래의 신호가 갖고 있던 규칙성 및 연결성이 완전하게 파괴되게 되므로, 악의의 제3자가 재배열된 데이터를 가지고 본래의 데이터를 복원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악의의 제3자가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감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상술한 암호화 장치를 통해 전송되어 온 신호를 본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 8에 도시된 암호화 장치(8)에 대응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참조번호 9는 상술한 암호화 장치(8)에서 암호화된 신호를 본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복호화 장치이고, 10은 이 복호화 장치(9)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예컨대 스피커 등의 출력부이다.
또한 상기 복호화 장치(9)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91)와 재배열처리부(92), 역변환 처리부(93) 및 이 역변환 처리부(9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배열 처리부(92)는 도 8의 구성에서 재배열 처리부(80)가 실행하였던 재배열처리를 역으로 실행함으로써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에서 출력되었던 일련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역변환 처리부(93)는 상술한 특성파라미터 추출부(52)에서 실행한 변환처리, 즉 FFT, DCT, WAVELET의 역변환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각종 서브밴드별 크기 데이터를 가지고 본래의 주파수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데이터를 본래의 음성 데이터로서 복원처리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확실하게 암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성분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값을 추출하는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와,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파라미터 데이터를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2.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단계와,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값을 추출하는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일련의 추출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는 FFT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는 DCT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는 WAVELET 변환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는 서브밴드 분할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일련의 특성파라미터를 재배열하는 재배열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의 재배열은 특성파라미터의 크기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의 재배열은 특성파라미터를 시계열적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10.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별 크기값을 추출하는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일련의 추출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은 FFT 처리를 통해 특성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은 DCT 처리를 통해 특성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은 WAVELET 변환처리를 통해 특성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은 서브밴드 분할을 통해 특성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파라미터 추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특성파라미터를 재배열하는 재배열처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처리수단은 특성파라미터의 크기값을 변화시키는 것를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처리수단은 특성파라미터를 시계열적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암호화 장치.
KR1020030071692A 2002-10-16 2003-10-15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34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2154 WO2004036762A2 (en) 2002-10-16 2003-10-16 Encryp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a voice signal
US10/531,740 US20060018482A1 (en) 2002-10-16 2003-10-16 Encryp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a voice signal
EP03751570A EP1559236A4 (en) 2002-10-16 2003-10-16 ENCRYPTION PROCESSING AND INSTALLATION OF A LANGUAGE SIGNAL
AU2003269555A AU2003269555A1 (en) 2002-10-16 2003-10-16 Encryp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a voic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63283 2002-10-16
KR1020020063283 2002-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65A true KR20040034465A (ko) 2004-04-28

Family

ID=3733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692A KR20040034465A (ko) 2002-10-16 2003-10-15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44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92B1 (ko) * 2005-12-08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워터마킹 방법
KR100836942B1 (ko) * 2006-04-18 2008-06-12 프레스티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신호의 인크립션/디크립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35128A (ko)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92B1 (ko) * 2005-12-08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워터마킹 방법
KR100836942B1 (ko) * 2006-04-18 2008-06-12 프레스티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신호의 인크립션/디크립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35128A (ko)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3622B1 (en) Identifying callers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TW201342873A (zh) 語音保密方法、加密/解密方法及保密設備
JPH05504666A (ja) テレビ電話装置
JPS58198934A (ja) 秘話装置
JP6608380B2 (ja) 耐雑音性を改良した通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HUT74262A (en) Process and device for speech scrambling and unscrambling in speech transmission
WO20071200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signal encryption/decryption
CN111818522A (zh) 一种语音通话加密的方法及装置
KR20040034465A (ko)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Gupta Banik et al. Blind key based attack resistant audio steganography using cocktail party effect
TWI570711B (zh) 聲頻動態頻譜加密裝置及加密方法
CN104994500B (zh) 一种用于移动电话的语音保密传输方法及装置
US20060018482A1 (en) Encryp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a voice signal
EP2178235B1 (en) Encryption of information signals
KR20010017477A (ko) 암호키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 보안 장치
JP2013070202A (ja) 音声送受信システム、及び音声送受信方法
CN100359908C (zh) 隐密电话
JPH0316334A (ja) 秘話装置
Joshi et al. Hardware Implementation of Wavelet Based Speech Encryption for End-to-end Securit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2261736A (ja) 信号のスクランブル・スクランブル解除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秘話方法
CN112420060A (zh) 一种基于频域交织的独立于通信网络的端到端语音加密方法
JP2513404B2 (ja) 秘話装置
CN115002751A (zh) 加解密方法与加解密耳机
Power Psychology of language
JPH02265334A (ja) アナログ秘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17

Effective date: 200703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