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358A - 산소 부화 장치 - Google Patents

산소 부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358A
KR20040034358A KR1020030043014A KR20030043014A KR20040034358A KR 20040034358 A KR20040034358 A KR 20040034358A KR 1020030043014 A KR1020030043014 A KR 1020030043014A KR 20030043014 A KR20030043014 A KR 20030043014A KR 20040034358 A KR20040034358 A KR 2004003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enriched air
air
incubato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시노부히로
요시다도시유키
오시마야스오
무라타요시타카
야스다데루유키
세노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48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362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447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28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1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29883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1Physical processing only by making use of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6Specific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10/00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specific gases
    • C01B2210/0001Separation or purification processing
    • C01B2210/0009Physical proc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10/00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specific gases
    • C01B2210/0043Impurity removed
    • C01B2210/0046Nitrogen

Abstract

산소 부화(富化) 공기를 생성하는 산소 부화 수단(2)과, 상기 산소 부화 수단(2)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5)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부화 수단은 25% 내지 35%의 산소 농도를 가진 산소 부화 공기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와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산소 농도의 산소 부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선뜻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산소 부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소 부화 장치{OXYGEN ENRICH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산소 부화(富化)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산소 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산소 부화 장치로서는 옛날부터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산소 농도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해야 하며, 상당히 고가의 것으로 됨과 동시에 대형화되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선뜻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일반 사용자가 선뜻 사용할 수 있는 산소 부화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8-234836호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이 산소 부화기는 본체내에 산소 부화막을 배치하고, 이 산소 부화막을 거쳐서 부화한 공기를 펌프로 흡인하며, 이 흡인한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구로부터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산소 부화기는 공기 청정기를 겸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 또한 대형화되고, 고액화되어, 사용자가 곁에 두고 선뜻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산소 농도에 대한 배려가 보이지 않아, 공기 청정기의 토출 공기에 산소 부화된 공기를 혼합시켜 방출하여도, 산소는 희석되어 인체의 호흡공기내에 취입되는 산소 농도의 대폭적인 상승은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산소 부화막을 사용한 경우에는, 산소 부화막이 산소와 함께 공기중의 수분도 투과시키기 쉽기 때문에, 산소 부화 공기중의 수분이 결로(結露)하여 산소 부화 공기와 함께 결로수가 토출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기도 했다. 또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면 유지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적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산소 부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산소 부화 공기를 생성하는 산소 부화 수단과,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부화 수단은 25% 내지 35%의 산소 농도를 갖는 산소 부화 공기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치 전체의 소형화와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산소 농도를 갖는 산소 부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선뜻 사용할 수 있는 산소 부화 장치로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산소 부화 수단을 갖는 본체와,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으로부터 토출하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무미 무취의 산소 부화 공기라 하더라도 이것이 공급되고 있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 부화 수단을 갖는 본체와,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부화 수단은 산소 부화막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또한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에 안내하는 공기 유로의 적소에 결로수 대책 수단을 실시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산소 부화 공기중의 수분이 결로되더라도 이것이 토출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불쾌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연통관을 구비하고, 해당 연통관을 거쳐서 산소 부화 공기를 소정 장소에 안내하여 토출 수단으로부터 방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유로운 자세, 예컨대 아무렇게나 드러누운 자세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토출 수단에 마련되어 있는 토출구의 개구 면적은 연통관의 관로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흡인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상기 토출 수단의 토출구로부터 가속하여 방출할 수 있어, 토출 수단으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더라도 사용자는 확실히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그 밖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 부화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동일 내부 구성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산소 부화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동일 산소 부화 장치에 사용하는 토출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산소 부화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은 산소 부화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동일 본체의 배면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동일 본체의 상부면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동일 산소 부화 장치의 펌프 장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각각 동일 본체의 개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동일 산소 부화 장치의 산소 부화막 유닛을 구성하는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동일 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a는 복수개를 늘어놓은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12b는 모듈에 의해 구성되는 산소 부화막 유닛의 외관 사시도,
도 13은 동일 산소 부화 장치의 토출 수단인 헤드 셋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4는 동일 헤드 셋 유닛에 있어서의 토출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동일 산소 부화 장치의 공기 공급 경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16 내지 도 26은 산소 부화 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6은 제 1 사례의 블럭도,
도 17은 제 2 사례의 블럭도,
도 18은 제 3 사례의 블럭도,
도 19는 제 3 사례의 동작 설명도,
도 20은 제 4 사례의 동작 설명도,
도 21은 제 5 사례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제 6 사례의 블럭도,
도 23은 제 7 사례의 블럭도,
도 24는 제 8 사례의 설명도,
도 25는 제 9 사례의 동작 설명도,
도 26은 제 9 사례의 설명도,
도 27은 제 9 사례의 블럭도,
도 28은 산소 부화 장치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자동 승차부내에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9는 동일 구동 회로의 블럭 구성도,
도 30은 동일 다른 구동 회로의 블럭 구성도,
도 31은 동일 또 다른 구동 회로의 블럭 구성도,
도 32는 동일 자동 승차부내에서의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3은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4는 동일 다른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5는 동일 또 다른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6은 동일 욕실내에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산소 부화기 본체2: 산소 부화막
3: 흡인 펌프5: 토출구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에 있어서, 산소 부화기 본체(1)의 내부에는 대기가 통과함으로써 산소 부화 공기로 변환하는 산소 부화막(2)으로 이루어지는 산소 부화 수단과, 해당 막을 통과하여 대기를 흡인하는 흡인 펌프(3)로 이루어지는 흡인 수단, 흡인 펌프(3)로부터 나온 공기의 맥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사일런서(4), 본체로부터 산소 부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부(5)와 같은 토출 수단을, 공기 유로로 되는 배관에 의해 연통시키고 있다. 전원 코드(6)로부터, 운전 스위치(7)를 조작하면 방진재를 거쳐서 장착된 상기 흡인 펌프(3)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동작하여, 통전 램프(8)가 점등함과 동시에, 타이머(9)에 의해 설정한 시간동안 운전한다. 대기는 본체(1)에 마련한 흡기 구멍(10)으로부터 흡인되어 산소 부화막(2)을 통과하고, 산소 부화된 공기로 되어 토출구(5)로부터 토출된다. 흡인 펌프(3)는 산소 부화막(2)의 통과 압력 손실에 대항하여 공기의 유량을 많게하기 위해서 운전시의 압력이 높은 벨로우즈 펌프로서, 반송되는 공기의 맥동과 진동에 대하여 사일런서(4)와 방진재가 유효하게 작용한다. 여기서, 산소 부화막(2)은 산소의 투과 속도가 질소의 투과 속도보다 빠르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2배 이상이나 빠르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간단한 구성이며, 산소 부화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산소 부화 공기의 산소 농도는 25% 내지 35%이고, 공기량은 매분 1.5L 이상이며, 통상 사용자의 호흡공기에 흡인되는 산소 농도를 21%에서 30로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산소 부화막(2)을 통해서 나온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재를 수납한 흡착부(11)는 산소 부화막의 공기 출구(2a)와 흡인 펌프의 공기 입구(3a)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산소 부화막(2)은 산소와 마찬가지로 수증기의 투과도가 질소보다 크고, 습도가 높은 분위기등에서 운전했을 때에 산소 부화막(2)의 공기 출구(2a)로부터 수분으로 되어 나오기 때문에, 결로수 방지 대책으로서의 흡착부(11)에 의해 흡착되어 하류로 흐르는 것과 배관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흡착재 대신에 건조제를 설치하여도 바람직하고, 수납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흡착부의 안 또는 밖에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입가에 산소 부화된 공기와 함께 물방울이 비산하여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예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는, 산소 부화기 본체(12)에는 산소 부화막(2)과 함께, 흡인 펌프(3)의 하류에 펌프 출력 배관단부(13)를 삽입한 수조(14)를 설치한다. 수조(14)의 수면상으로부터 출력 배관(15)에 의해 본체의 토출구(16)에 접속되고, 또한 튜브(17)에 의해서 헤드폰 타입의 헤드 밴드(18)에 설치한 토출 수단으로 되는 토출구(19)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입가에 산소 부화된 공기를 공급한다. 수조(14)내의 펌프 출력 배관단부(13)에는 수중에 토출되는 산소 부화된 공기가 수중에서 미세 기포로 분산하는 필터(20)를 장착한다. 수조(14)는 균압 용기로서도 작용하며, 흡인 펌프(3)의 토출 공기의 맥동을 흡수하고, 나온 물방울도 내부에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수조에 아로마 효과가 있는 액체를 첨가하여도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체의 토출구(16)에서 먼저접속하는 스탠드형 토출 수단을 도시한다. 토출구 본체(21)는 스탠드(22)에 의해 지지된다. 스탠드(22)는 신축, 굴곡 가능한 구성이어도 바람직하다. 토출구 본체의 내부에는 튜브(17)에 접속되어 연통되는 토출 노즐(33) 주위에 대기가 화살표(b)와 같이 도입되는 공간(34)을 마련하고, 대기는 산소 부화된 토출 공기(c)와 혼합되어 함께 사용자에게 흡인된다. 참조부호(35)는 토출구 본체(21)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출 노즐(33)의 유로를 향한 개구부를 갖는 수납부로서, 아로마 용액(36)을 넣는 부분이다. 이들 구성에 의해, 본체의 토출구(16)로부터 나온 산소 부화된 공기는 토출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아로마 향기가 가해진 상태로 대기와 혼합되어 사용자의 입가에 공급된다.
다음에 제 3 실시예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본체(37)에는 산소 부화막(도시하지 않음), 흡인 펌프(38), 전지(39)를 내장하고, 도 3과 마찬가지로 산소 부화 수단으로 되는 산소 부화막으로부터 발생된 산소 부화 공기는 흡인 펌프(38), 수조(40)를 거쳐서 토출구(41)로부터 토출된다. 스위치(7)를 조작함으로써 전지(39)를 전원으로 하여, 흡인 펌프(38)를 운전한다. 수조(40)는 본체(37)의 축(軸)부(4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참조부호(40)의 위치로부터 참조부호(43)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참조부호(43)의 위치에서는 수조를 화살표(d) 방향으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흡인 펌프(38)는 본체(37)의 측벽면에 방진구(44)을 거쳐서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서 수조를 포함한 외관은 사용중에는 작아서 사용하기 좋고, 수조의 물을 교환할 때에는 인출되어서 취급하기 쉬운 것으로, 본체는 소형으로 되어 있어서 외경이 작고 강성을 높임으로써 펌프의 진동을 작게 억제하여 소음의 저감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 언급한 수조에는 Zn 또는 Zn 화합물을 넣어(도시하지 않음), 물이 장기간 방치되어도 잡균이 내부에서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발생한 음이온을 산소 부화 공기와 혼합시켜, 사용자가 흡인할 수 있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여, 릴렉스 효과를 확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보다 개인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5에 있어서, 본체(51)는 세로로 길게 슬림한 타입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산소의 농도를 높여서, 이른바 산소 부화 공기를 발생하는, 예컨대 산소 부화막 유닛 등의 산소 부화 수단(이하, “산소 부화막 유닛”이라고 함)(52)을 설치한다. 상기 산소 부화막 유닛(52)은 유기 고분자의 평막으로 구성되고, 막을 통과하는 분자의 속도의 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기중의 질소에 비교하여 산소를 잘 통과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산소 농도의 이른바 산소 부화 공기를 얻을 수 있다. 통상의 공기에 있어서 산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1%(질소 약 79%)이지만, 본 실시예의 산소 부화막 유닛(2)을 통과한 후의 산소 부화 공기에 있어서는 산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30%(질소 약 70%)로 된다.
또한 상기 산소 부화막 유닛(5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 구조의 프레임(53)의 양측면에 대략 직사각형의 산소 부화막(4)을 부착하여 양쪽막 사이를 통로로 한 모듈(55)을 복수개 적층한 대략 직육면체의 유닛 구조로 되어 있고, 프레임(53)의 통로내를 흡인함에 의해, 산소 부화막(54)의 주변을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산소 부화막(54)을 통과하여 프레임(53)의 통로내에 들어가서 산소 부화 공기를 얻을 수 있고, 이 얻어진 산소 부화 공기를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유일한 배출구인 유닛 배출구(56)로부터 집중 배기한다. 또한 상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산소 부화막 유닛(52)은 그 구성 부재인 상기 대략 직사각형의 산소 부화막(54)을 단변측(短邊側)이 공기의 진행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본체(51)의 전후 방향]과 거의 나란하게, 장변측(長邊側)이 공기의 진행 방향과 거의 직각 방향으로 되도록 본체(51)내에 마련된다.
또한 본체(51)의 내부에는, 본체(51)의 배면에 설치한 흡기구(57)로부터 본체(51)내에 외기를 흡인하여 산소 부화막 유닛(52)에 보낸 후, 산소 부화막(54)을 통과하여 프레임(53)의 통로내에 흡인된 공기를 제거한 외기를 본체(51)의 측면에 설치한 배기구(58)로부터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모터 팬 등의 송풍부(이하에 “팬”이라고 함)(59)를 갖는다. 또한 상기 팬(59)은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하류측에서 배기구(58)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팬(59)에 대하여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반대측에는 회로(60)를 기판이 프레임(53)과 평행한 방향으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61)는 흡인 펌프 등의 흡인 수단(이하에 “펌프”라고 함)으로서, 본체(51)내의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하방에 설치되고, 회전축의 양 단부에 냉각용 팬(61b)을 갖고,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주변의 공기를 산소 부화막(54)으로부터 프레임(53)의 통로내에 흡인하여 하류측으로 보낸다. 그리고 또한 이 펌프(61)는 산소 부화막(54)을 통과한 후의 산소 부화 공기를, 하류측의 소음 파이프(62)를 거쳐서 본체(5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굴곡 관으로 이루어지는 토출구부(63)에 보내고, 또한 토출구부(63)와 연결되는 산소 부화 공기의 토출 수단에 보낸다. 또한 상기 펌프(61)에는 산소 부화막(54)의 통과 압력 손실에 대항하여 산소 부화 공기의 유량을 많게하기 위하여 운전시의 압력이 높은 벨로우즈 펌프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음 파이프(62)는 본체내의 펌프(61) 근방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물방울이 고이기 어렵게 하면서, 펌프(61)로부터 나온 산소 부화 공기의 맥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것으로, 소음 파이프(62)의 통로 단면적은 그 전후의 통로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6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금(64)에 장착되고, 방진재(65, 66)를 거쳐서 본체(51)의 저부 보스에 끼워 맞추어 장착되어 있다. 보스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워셔(67), 비스(68)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본체(51)는 방진 기능을 갖는 다리(69)를 저면에 설치한다. 펌프(61)의 구동원인 모터(61a)의 과열 방지를 위한 온도 퓨즈(70)는 쿠션(71)에 의해서 모터(61a)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72)는 본체(51)의 손잡이로서, 회전축부(7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참조부호(74, 75)는 내측 케이스 왼쪽, 내측 케이스 오른쪽으로, 산소 부화막 유닛(52)과 펌프(61)를 내장하는 내측 케이스를 구성하며, 각각의 상방에 손잡이(72)의 회전축부(73)를 직접 받는 베어링부(76,77)를 일체적으로 설치한다. 또한 참조부호(78)는 후술하는 산소 부화 공기의 토출 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걸어서 유지해 놓기 위한 유지부로서, 그 외단부는 대경부로 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78)는 상기 손잡이(72)의 회전축부(73)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본체(51)의 측면에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손잡이(72)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축부(73)와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관의 디자인성도 위화감이 없어, 좋다.
또한 도 15는 결로수 대책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본체(51)내의 펌프(61)와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유닛 배출구(56) 사이의 경로에 외기 도입 전환용 전자 밸브(80)를 갖고, 운전 종료전에 약 1분간 전자 밸브(80)를 개방하여 산소 부화막 유닛(52)을 통과하지 않는 외기를 흡입하여 펌프(61)에 의해 하류측으로 보내는 송풍 운전을 실행함으로써, 배관내 등에 체류한 고습도의 공기를 환기하고, 물방울이 발생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액체 고임부」까지 몰아내어, 중간의 경로가 건조되기 쉬운 구성으로 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 전환용 전자 밸브(80)의 상류에는 HEPA 필터(81)가 설치되어 있고, 외기를 도입할 때에, 상기 HEPA 필터(61)에 의해, 0.3 미크론의 입자를 99.7%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풍 운전은 타이머에 의한 통상 운전의 종료후, 소정(이 실시예에서는 10초) 시간의 정지 상태를 거쳐서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타이머에 의한 통상 운전을 도중에 정지하기 위한 오프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송풍 운전을 거쳐서 정지한다.
한편 도 13은 산소 부화 공기의 토출 수단을 도시하고, 이것은 본체(51) 측면의 토출구부(63)에 보내여진 산소 부화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 셋 유닛 등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산소 부화 공기의 토출 수단(이하에 “헤드 셋 유닛”이라고 함)(82)은 사용자가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토출구체(83)를 갖고 있다. 또한, 본체(51)의 측면에 설치한 토출구부(62)와 헤드 셋 유닛(82) 사이의 경로에는 결로수 대책 수단으로 되는 액체 고임부(84)와, 토출구부(63)와 상기 액체 고임부(84)를 접속하는 염화비닐 등의 유연한 투명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연결관(85)과, 상기 액체 고임부(84)와 상기 헤드 셋 유닛(82)을 접속하는 염화비닐 등의 투명 튜브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제 2 연결관(8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관(85)과, 제 2 연결관(86)은 항균제나 대전 방지제 또는 그 양쪽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은 액체 고임부(84)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체(83)의 총 개구 면적은 그것보다도 직전의 상류측의 공기 유로로 되는 상기 제 2 연결관(86)의 관로 단면적보다 작고, 물론 흡인 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의 출구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하여 산소 부화 공기가 가속되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 셋 유닛(82)은 좌측 귀걸이부(87)와, 우측 귀걸이부(88)과, 좌측 귀걸이부(87)와 우측 귀걸이부(88)를 접속하는 헤드 밴드(89)와, 산소 부화 공기의 토출구체(83)와, 좌측 귀걸이부(87)의 저면(9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저면(90)과 토출구체(83)를 접속함과 동시에 절곡 가능하게 설치된 가요성 연결부(91)를 구비한다. 또한, 액체 고임부(84)에 그 일 단부가 접속된 상기 제 2 연결관(86)도, 상기 가요성 연결부(91)와 마찬가지로, 그 타 단부를 헤드 셋 유닛(86)의 좌측 귀걸이부(87)의 저면(9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토출구체(83)는 토출구체(83)를 지지하는 가요성 연결부(91)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토출구체(83) 자체를 가요성 연결부(91)로부터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액체 고임부(84)는 O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면서, 나사 고정 방식 또는 가압 방식 등에 의해, 그 본체 부분이 참조부호(84a)와 참조부호(84b)의 2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 부분을 2개로 분리하여 내부에 고인 물방울 등을 배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에 나사 고정 방식으로는 1회전 이내의 나사 고정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액체 고임부(84)와 제 1 연결관(85)과의 접속부, 및 상기 액체 고임부(84)와 제 2 연결관(86)과의 접속부로부터 각각 상기 액체 고임부(84)내에 돌출된 관부(92), 관부(93)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관부(92)와 관부(93)는 서로의 관의 중심축을 어긋나게 설치한다.
한편, 헤드 셋 유닛(82)에 설치한 상기 토출구체(83)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 본체(83a)와 덮개(83b)가 스프링 래치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표면 근방의 상류측에 벌집모양 기재(基材)에 효소를 첨착한 바이오 균 제거 필터 등의 제균 필터(94)를 갖고, 표면 근방의 하류측에 항균재 아메니톱의 HEPA 필터 등의 고포집 효율 필터(이하에 “HEPA 필터”라고 함)(95)를 갖고 있다. 또한, 방향제를 함침한 구상체(球狀體)(96)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균 필터(94)는 캐치한 균 등의 활동을 억제하고, 또한 바이러스의 활동도 억제한다.또한 상기 항균재 아메니톱의 HEPA 필터(95)는 0.3 미크론의 입자를 99.7% 제거함과 동시에, 항균재 아메니톱의 활동으로 포집한 균, 곰팡이의 활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또한 구상체(96)는 토출 공기에 향을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토출구체(83)에는 스폰지 형상의 커버(97)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것을 바꿔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커버(97)에도 제균, 항균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이 커버(97)에는 또한 빨강, 파랑, 검정, 흰색 등의 착색이 되어 있어, 사용자의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참조부호(98)는 본체(51)의 상부면에 설치된 운전 스위치이고, 참조부호(99)는 마찬가지로 본체(51)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선택된 타이머에 의한 운전 시간 또는 송풍 운전의 통전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이다. 그리고 참조부호(100)는 본체(51)의 전면에 마련되고, 고산소 농도의 이른바 산소 부화 공기를 공급하고 있을 때에만 점등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 LED로 구성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녹색으로 비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근거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로(60)에 포함되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운전 시간(10분, 20분, 30분중 어느 하나)을 설정하고, 운전 스위치(98)를 조작하면, 방진재를 거쳐서 장착한 펌프(61)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동작하고, 통전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99)가 점등함과 동시에, 타이머에 의해 설정한 시간에 대응하여 펌프(61)가 운전하고, 또한 팬(59)이 작동한다. 그리고 팬(59)의 운전에의해 본체(1)에 설치된 흡기구(57)로부터 외기가 흡인되고, 이 외기는 산소 부화막 유닛(52)을 통과하여, 배기구(58)로부터 본체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산소 부화막 유닛(52)을 통과하는 외기는 이것을 통과할 때, 펌프(61)의 운전에 의해 공기가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프레임(53)내에 흡인되고, 그 때에 산소가 통과하기 쉽게 되어 산소 부화 공기로 된다. 그리고 이 산소 부화 공기는 토출구체(83)에 송출되어, 해당 토출구체(83)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본체(51)의 전면에 설치한 표시 수단(100)은 타이머가 설정되어 산소 부화 공기가 토출함에 의해 녹색으로 점등한다. 이 녹색은 인간 공학적으로 볼 때에 안심과 편안함을 부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것을 보고 릴렉스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가 타이머 설정하지 않고 운전 스위치(98)를 온으로 조작한 것만으로는 팬(59)만이 동작 개시하고, 산소 부화 공기는 공급되지 않지만, 사용자는 상기 표시 수단(100)이 점등하지 않는 것에 의해 이것을 알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표시 수단(100)은 산소 부화 공기가 토출하고 있을 때에만 점등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그리고 가까이 있는 사람은 이 산소 부화 공기가 토출하고 있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은 펌프(6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펌프와 펌프 운전 회로계의 고장과 이상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운전시 팬(59)은 배기구(58)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팬(59)의 운전에 의해, 본체(51)내가 부압으로 되고, 흡기구(57)로부터 외기가 흡인되어, 흡기구(57)와 배기구(58) 사이에 설치된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주변을 흐르기 때문에, 특히 본체(51)내에, 흡기구(57)로부터 산소 부화막 유닛(52) 주변을 통과하여 배기구(58)에 도달하는 흡기 통로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주변에 외기를 운반해 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61)의 주변 외곽에 구멍(101)을 마련하여 놓으면, 팬(59)의 운전에 의해 본체(51)내가 부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멍(101)으로부터도 외기가 본체(51)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구멍(101) 주변의 펌프(61)의 냉각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프(61)의 축에 설치한 팬(61b)에 의해, 펌프의 냉각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산소 부화막 유닛(52)은, 그 구성부재인 대략 직사각형의 산소 부화막(54)의 단변측이 공기의 진행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본체(51)의 전후 방향]과 대략 나란하게 되도록, 또한 대략 직사각형의 산소 부화막(54)의 장변측이 공기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되도록, 본체(51)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 부화 공기가 얻어지는 효율이 좋아진다. 즉, 가령 공기의 흐름 진행 방향과 산소 부화막(54)의 장변측이 거의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산소 부화막(54)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의 산소 농도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앞으로 진행하여 갈수록, 도중에 산소 분자의 대부분이 산소 부화막(54)을 통과해 가기 때문에, 작아진다. 따라서 산소 부화막(54)을 산소 분자가 통과하는 효율도 앞으로 진행하여 갈수록 나빠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산소 부화막(54)의 단변측이 공기의 진행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본체(51)의 전후 방향]과 거의 나란히 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 분자가 산소 부화막(54)을 통과하는 효율이 나빠지게 되지도 않는다.
또한, 산소 부화 공기는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유닛 배출구(56)라고 하는 유일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하류의 펌프(61)와의 접속이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펌프(61) 위에 산소 부화막 유닛(52)을 배치했기 때문에, 본체를 소형이고 설치 면적을 절약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산소 부화막 유닛(52)과 펌프(61)의 배관 거리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로(60)를 기판이 프레임(53)과 평행하게 되는 방향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팬(59)에 의한 냉각 풍류를 이용하면서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펌프(61)에는 산소 부화막(54)의 통과 압력 손실에 대항하여 산소 부화 공기의 유량을 많게하도록, 운전시의 압력이 높은 벨로우즈 펌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되는 공기의 맥동과 진동에 대하여 소음 파이프(62)와 방진재가 유효하게 작용한다. 소음 파이프(62)는 펌프(61) 근방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내부의 온도 저하가 적고 습도가 높은 공기가 통과하여도 결로하기 어렵고 또한 물방울이 고이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산소 부화막(54)은 산소의 투과 속도가 질소의 투과 속도보다 빠르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산소의 투과 속도를 질소의 투과 속도의 2배 이상으로 하고 있어, 효율적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산소 부화 공기를 얻을 수 있다.
펌프(61)의 진동은 판금(64)을 사이에 끼운 방진재(65, 66)와 다리(69)의 방진 효과에 의해 안정되고, 쿠션(71)은 온도 퓨즈(70)를 모터(61a)에 접촉시키면서 진동의 전파를 억제시키는 것이다.
한편, 산소 부화막 유닛(52)의 유닛 배출구(56)로부터 펌프(61)에 의해 송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는 제 1, 제 2 연결관(85, 86)을 거쳐서 헤드 셋 유닛(82)의 토출구체(83)로부터 토출되지만, 토출구체(83)는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결관이 굴곡되어 공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산소 부화 공기내에 포함되는 수증기는 하류측의 소음 파이프(62), 토출구부(63)로부터 헤드 셋 유닛(82)의 토출구체(83)를 향하고, 또한 유닛 배출구(56)로부터 헤드 셋 유닛(82)에 도달하는 경로의 중간[예컨대, 제 1 연결관(85)등]에 결로한 물방울도 헤드 셋 유닛(82)의 토출구체(83)를 향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51)와 헤드 셋 유닛(82)을 연결하는 경로[제 1, 제 2 연결관(85, 86)] 중간에 액체 고임부(8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되어 온 결로수의 대부분은 액체 고임부(84)내의 내벽 등에 충돌하여, 액체 고임부(84)내에 막혀 고이게 된다.
또한 액체 고임부(84)는 1회전 이내의 나사 고정 등에 의한 개폐를 위한 장착 및 분리가 쉽고, 내부에는 관부(92), 관부(93)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고임부(84)내에 결로수가 고이더라도 이 결로수는 액체 고임부(84)로부터 제 2 연결관(86)등에 유출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액체 고임부(84)내에 돌출된 관부(93)의 관부 중심축은 관부(92)의 관부 중심축과 어긋나게 설치되기 때문에, 운반되어 온 수증기에 대해서도, 관부(92)로부터 관부(93)에 직접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부 끼리의 기류의 충돌에 의한 소리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입가에 산소 부화 공기와 함께 헤드 셋 유닛(82)의 토출구체(83)로부터 물방울이 비산하여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연결관은 항균제나 대전 방지제 또는 그 양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잡균의 번식과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소 부화막(54)은 산소와 마찬가지로 수증기의 투과도도 질소보다 크고, 습도가 높은 분위기 등에서 운전했을 때에는, 유닛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내에는 다량의 수증기가 포함되게 되지만, 상기 액체 고임부(84)에 의해, 멈추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산소 부화막(54) 등의 고분자막을 이용하는 방식의 산소 부화 수단에는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체(51)의 측면에 설치된 토출구부(63)로부터 토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는 제 1 연결관(85), 액체 고임부(84), 제 2 연결관(86)을 거쳐서, 좌측 귀걸이부(87)의 저면(90)에 보내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좌측 귀걸이부(87)의 저면(90)에 장착되고, 상기 저면(90)과 토출구체(83)를 연결하는 절곡 가능한 가요성 연결부(91)를 움직여서, 토출구체(83)를 사용자의 입과 코에 접근시킴으로써, 토출구체(83)로부터 토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를 입과 코로 흡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토출구체(83)는 그 총 개구 면적이 흡인 수단(61)으로부터 송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의 출구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구체(83)로부터 방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는 유속이 증가되어 방출되게 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실감되게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구체(83)는 그 표면 근방의 상류측에 벌집모양 기재에 효소를 첨착한 제균 필터(94)를 갖고, 표면 근방의 하류측에 항균재 아메니톱의 HEPA 필터(95)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균 필터(94)는 캐치한 균 등의 활동을 억제하고,또한 바이러스의 활동도 억제하며, 또한 상기 HEPA 필터(95)는 0.3 미크론의 입자를 99.7% 제거함과 동시에, 항균재 아메니톱의 활동으로 포집한 균, 곰팡이의 활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경로 중간에 잡균 등이 발생하여도, 잡균 등을 산소 부화 공기와 함께 사용자가 흡입하는 것을, 사용자가 흡인하는 토출구체(83) 전의 최종 단계에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체(83)는 토출구 본체(83a)와 덮개(83b)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필터류와 구상체(96)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상체(96)는 액체를 함침시켜 구성한 것으로, 액체와 비교하여 향료의 휘발량을 제한할 수 있고, 취급도 용이하며 주위의 수지의 열화에 대한 영향도 적다.
또한, 상기 토출구체(83)에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커버(97)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커버(97)를 토출구체(83)로부터 분리하여 자신 전용의 커버(97)로 교환할 수 있어,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97)에는 착색이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상이한 색의 커버를 바꿔 사용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것을 잘못 사용하는 것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토출구체(83) 자체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는 커버를 마련하지 않아도 이 토출구체(83) 자체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연결부(91)는 좌측 귀걸이부(87)의 바닥면(9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귀걸이부(87)의 벽면에 구속되는 일 없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다. 즉, 가요성 연결부(91)가 좌측 귀걸이부(87)의 측벽에 마련된 경우에, 그 벽면이 방해가 되어, 한쪽 방향으로 밖에 구부릴 수 없게 되어, 좌측 귀걸이부(87)를 사용자가 잘못하여 두부의 우측에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입이나 코의 가까이로 가요성 연결부(91)를 굽힐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점도 없어진다.
또한, 본체(51)와 헤드 셋 유닛(82)을 접속하는 제 1 연결관(85), 제 2 연결관(86)은 각각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제 1 연결관(85), 제 2 연결관(86)의 관내가 더러워졌을 때에 분리하여 닦을 수 있고, 또한 제 1 연결관(85), 제 2 연결관(86)의 길이 조정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맞출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체(51)내의 주요부품인 산소 부화막 유닛(52)과 펌프(61)를 내장하는 내부 케이스 좌측·우측(74, 75)과,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된 베어링부(76, 78)를 거쳐서, 이것과 끼워 맞추는 손잡이(72)의 회전축부(73)가 직접, 산소 부화막 유닛(52)과 펌프(61)를 내장하는 내부 케이스의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만약 본체(51)를 구성하는 다른 외곽부품 등이 파손했다고 해도, 손잡이(72)는 직접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72)를 들고 본체(51)를 운반하는 중에, 손잡이(72)가 본체(51)로부터 빠져, 본체(1)가 사용자의 발 위로 낙하하는 일도 없어져,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손잡이(72)에는 유지부(7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셋 유닛(82)을 사용하지 않을 때 등은 이 유지부(78)에 염화비닐 등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연결관(85)과 제 2 연결관(86)을 감거나, 또는 이 유지부(78)에 헤드 셋유닛(82)의 헤드 밴드(head band)(89)를 걸어 둠으로써, 헤드 셋 유닛(82)이 방치되는 일도 없고, 콤팩트하게, 손잡이(72)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수납할 수 있다. 헤드 셋 유닛(82)은 자루에 넣어 유지부(78)에 걸어 두면 장기 보관하더라도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전원 코드도 걸 수 있다. 향료가 들어 있는 자루를 내린 경우에는 배기구(58)의 전면이 되기 때문에, 향의 확산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만일 염화비닐 등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2 연결관(86)으로부터 헤드 셋 유닛(82)으로 물방울이 운반되어 왔다고 해도 제 2 연결관(86)이 헤드 셋 유닛(82)의 바닥면(9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연결관(86)을 바닥면(90)으로부터 장착 및 분리하는 것만으로, 바닥면(90)에 모여 고여있는 물방울을 용이하게 배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산소 부화 장치에서는 통상 운전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송풍 운전을 함으로써 우천시의 사용 등으로 기체내 및 배관 안에 높은 습도의 공기가 고이더라도 이것을 교체할 수 있어, 보관시에 잡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는 그들의 운전 상태와 일련 중에 있는 정지 상태를 나타내고, 일시정지의 상태를 개재시키는 것에 덧붙여, 송풍 운전시의 풍량을 통상 운전시의 풍량의 두배 이상으로 하여 빨리 환기할 수 있도록 했을 때의 송풍음의 차이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려 헤드 셋의 장착으로부터의 분리 등을 환기할 수 있도록도 하고 있다. 또한, 송풍 운전시에 공기를 취입하는 부분에 HEPA 등의 고성능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배관내에 잡균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로수 대책 수단의 일례로서 용기식의 액체 고임부를 설명했지만, 이것은 예컨대 산소 부화 공기의 공급 경로내의 도중 적소에, 실리콘 등의 발수(撥水) 기능을 갖는 필터를 마련하여 액체 고임부로 해도 무방하고, 수증기가 이 필터를 통과하려고 했을 때에는 발수 기능에 의해서 물방울로 되어 필터의 상류측에 고이기 때문에, 수증기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어, 앞의 실시예의 액체 고임부(8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여,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발생한 음이온을, 산소 부화 공기와 혼합시켜, 사용자가 흡인할 수 있는 형태로 하면, 릴렉스 효과를 확대하여 얻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 부화 수단으로서, 고분자의 평막에 분자가 통과하는 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발생시키는 방식(평막 방식)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공사(中空絲)막을 이용한 방식(중공사막 방식), 또는 제올라이트 등의 고체 표면에서의 기체의 흡탈착을 이용한 방식(PSA 방식), 또는 산소 발생제를 물에 반응시키는 등의 화학물질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방식(화학 방식)등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헤드 셋(82)에 있어서, 좌측 귀걸이부(87)와 우측 귀걸이부(88)를 각각 귀에 대도록 마련했지만, 귀에 걸어 두도록 구성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좌측 귀걸이부(87) 또는 우측 귀걸이부(88) 중 어느 한 쪽만 구비하고 있더라도 지장이 없고, 이 때 헤드 밴드(89)는 없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헤드 셋(82)에 있어서, 토출구체(83)를 그 선단에 갖는가요성 연결부(91)를 좌측 귀걸이부(87)에 접속했지만, 우측 귀걸이부(88)에 접속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헤드 셋(82)에 있어서, 액체 고임부(84)에 접속된 제 2 연결관(86)을, 좌측 귀걸이부(87)에 접속했지만, 우측 귀걸이부(88)에 접속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토출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두부에 장착하는 헤드 셋 유닛(82)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목부 또는 어깨부에 거는 타입이라도 지장이 없고, 또한 팔의 일부와 동체의 일부에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등으로 감는 타입이라도 지장이 없고, 또한 넥타이 등의 의복의 일부에 핀 등으로 고정하는 타입이라도 지장이 없고, 물론 방진 마스크와 같이 귀 등을 사용하여 얼굴의 일부를 피복하는 타입이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액체 고임부(84)는 본체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했지만, 본체 부분은 일체물로 구성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배수캡을 마련함으로써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액체 고임부는 토출구체(83)까지의 경로라면 어디에, 예컨대 좌측 귀걸이부(87)자체의 바닥면(90) 또는 가요성 이음부(91)의 도중 등에 마련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상기 제 4 실시예에서도 서술한 것, 즉 결로 대책을 위해서 공기 유로중에 산소 부화 공기이외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이고, 복수의 사례를 들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예를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장치 본체(111)의 내부에는 산소 부화 수단(112)(본 실시예의 경우는 산소 부화막 유닛)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산소 부화 수단(112)은 앞의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산소 부화막 유닛[산소 부화 수단(112)]을 통과한 후의 산소 부화 공기에 있어서는 산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30%(질소 약 70%)가 된다.
참조부호(113)는 흡인 수단으로, 산소 부화 수단(112)에서 생성되는 산소 부화 공기를, 제 4 연결관(114)과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과 제 3 연결관(116)을 경유하여 흡인하고, 제 1 연결관(117)과 액체 고임부(118)와 제 2 연결관(117a)과 헤드 셋(119)을 경유하여 토출구체(120)로부터 토출시킨다. 흡인 수단(113)은 운전시의 압력이 높은 벨로우즈 펌프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은 크로스 밸브를 이용하고 있어, 제어 수단(121)으로부터의 구동 신호로 작동하고, 산소 부화 수단(112)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와 공기 취입부(122)로부터의 통상 공기를 전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장치는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과 송풍 운전의 두 가지의 운전 모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헤드 셋(119)과 제 2 연결관(117a)과 액체 고임부(118)와 제 1 연결관(117)과 흡인 수단(113)과 제 3 연결관(116)과 제 4 연결관(114)으로, 산소 부화 수단(112)으로부터 토출구체(120)에 이르는 공기 유로(12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셋도 앞의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산소 부화 장치의 예에 있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산소 부화 공기 발생시의 운전시에는, 제어 수단(121)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을 제 4 연결관(114)과 제 3 연결관(116)이 연통하도록 제어한 후 흡인 수단(113)을 구동한다. 산소 부화 수단(112)에서 생성되는 산소 부화 공기는 제 4 연결관(114)과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과 제 3 연결관(116)을 지나서 흡인 수단(113)에 의해서 흡인되고, 제 1 연결관(117)과 액체 고임부(118)와 제 2 연결관(117a)과 헤드 셋(119)을 지나서 토출구체(120)로부터 토출된다. 이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부화 수단(112)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서, 제 4 연결관(114)과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과 제 3 연결관(116)과 흡인 수단(113)과 제 1 연결관(117)과 액체 고임부(5)와 제 2 연결관(117a)과 헤드 셋(119) 각 내면에 결로가 발생한다.
다음에 제어 수단(121)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을 전환하여 제 3 연결관(116)이 공기 취입부(122)와 연통하도록 제어한 후 흡인 수단(113)을 구동한다. 통상 공기가 공기 취입부(122)로부터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과 제 3 연결관(116)을 지나서 흡인 수단(113)에 의해서 흡인되고, 제 1 연결관(117)과 액체 고임부(118)와 제 2 연결관(117a)과 헤드 셋(119)을 지나서 토출구체(120)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에 산소 부화 공기 발생의 운전시에 발생·부착된,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과 제 3 연결관(116)과 흡인 수단(113)과 제 1 연결관(117)과 액체 고임부(118)와 제 2 연결관(117a)과 헤드 셋(119)내면의 결로수를 건조함과 동시에, 공기 유로 전환 수단(115)과 제 3 연결관(116)과 흡인 수단(113)과 제 1 연결관(117)내의 공기 유로내의 결로수를 액체 고임부(118)로 배출한다. 액체 고임부(118)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액체 고임부(118)에 고인 결로수는 필요에따라서 사용자가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산소 부화기의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에 결로된 물방울을, 건조·배출하여 사용자가 산소 부화 공기와 함께 흡인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제 2 예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블럭도이며, 앞의 제 1 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번호를 부기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참조부호(124)는 산소 부화 수단(112)에서 생성되는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여 제 1 연결관(117)과 액체 고임부(118)와 제 2 연결관(117a)과 헤드 셋(119)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공기 유로(125)를 경유하여 토출구체(120)로부터 토출시키는 제 1 공기 유로이고, 참조부호(126)는 공기 유로 전환 수단으로 전자밸브를 이용하고 있고, 제어 수단(121)으로부터의 구동 신호로 구동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이 닫혀 있을 때에는, 흡인 수단(113)은 산소 부화 수단(112)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이 개방하고 있을 때에는 산소 부화 수단(112)의 산소 부화막은 통과 압력 손실이 크기 때문에, 흡인 수단(113)이 흡인하는 공기는 거의가 공기 취입부(122)로부터 흡인되는 통상 공기[산소 부화 수단(112)이외로부터의 공기]가 된다.
이 예에서는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시에는 제어 수단(121)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히도록 제어한 후, 흡인 수단(113)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산소 부화 수단(112)에서 생성되는 산소 부화 공기는 공기 유로(125)를 지나서 토출구체(120)로부터 토출된다. 다음에 제어 수단(121)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개방하도록 전환하여 제 1 공기 유로(124)가 공기 취입부(122)와 연통하도록 제어한 후 흡인 수단(113)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통상 공기가 공기 취입부(122)로부터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과 제 1 공기 유로(124)를 지나서 흡인 수단(113)에 의해서 흡인되고, 제 2 공기 유로(125)를 지나서 토출구체(120)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에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시에 발생·부착된, 제 1 공기 유로(124)와 흡인 수단(113)과 제 2 공기 유로(125)내면의 결로수를 건조함과 동시에 제 1 공기 유로(124)와 흡인 수단(113)과 제 1 연결관(117)내의 공기 유로내의 결로수를 액체 고임부(118)로 배출한다. 액체 고임부(118)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액체 고임부(118)에 고인 결로수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가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제 3 예에 대하여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블럭도, 도 19는 동작설명도로, 상기 제 2 예와 동일 기능 부위에는 동일 기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있어서, 참조부호(127)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 수단으로, 산소 부화 장치의 운전 개시 조작을 실행한다. 제어 수단(121)은 조작 수단(127)에서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은 후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그러한 후에 제어 수단(121)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개방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그러한 후에 산소 부화기를 정지한다. 그 운전 동작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 수단(121)은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송풍 운전→ 운전 정지와 운전 모드를 전환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사용자가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하면 반드시 송풍 운전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시에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에 결로된 물방울을 송풍 운전에 의해서 건조·배출하여 사용자가 산소 부화 공기와 함께 흡인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제 4 예에 대하여 도 18과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동작설명도로, 사용자가 조작 수단(127)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121)은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한 후에, 제어 수단(121)은 소정 시간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친 후,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열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다시 구동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의 송풍 운전 후, 제어 수단(121)은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여 장치의 운전을 완전히 정지한다.
그런데, 송풍 운전에서는 토출구체(120)로부터 나오는 공기는 단순한 통상 공기임과 동시에, 흡인 수단(113)에 있어서 흡기 압력 손실이 적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토출 풍량도 많아져,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불쾌하게 느끼는 일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 동작의 운전 대기 공정에서는 토출구체(120)로부터의 공기 토출이 없어짐과 동시에, 흡인 수단(113)인 펌프의 운전도 일시 운전을 정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토출 공기가 없어진 것을 피부로 느낌과 동시에, 펌프가 정지한 것을 귀로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이 완료하여 운전 대기 공정이 된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는 헤드 셋(119)을 빼어 예컨대 장치 본체(1)에 걸어 수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운전 대기 공정의 시간을 약 5 내지 10초로 함으로써, 상술한 헤드 셋(119)의 수납시의 처리 시간 등으로서 너무 길어 기기의 고장이라고 생각하는 일도 없고, 또한 너무 짧아서 수납도중에서 운전이 시작되어 조급한 생각을 하는 일도 없고, 우수한 사용 편리성의 장점을 발휘하는 제어가 된다.
다음에, 제 5 예에 대하여 도 18과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은 동작설명도로, 사용자가 조작 수단(127)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121)은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여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의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종료후 또는 사용자가 운전 오프 조작을 한 것을 제어 수단(121)이 검지하면, 제어 수단(121)은 소정 시간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친 후,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열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다시 구동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의 송풍 운전 후, 제어 수단(121)은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여 장치의 운전을 완전히 정지한다. 상기 각 운전 모드의 동작천이는 도 21에 도시하는 동작설명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어 동작으로서,
1. 조작 수단(127)에 의해서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져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하면, 소정 시간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예컨대 제 1 타이머 운전) 완료 후, 약 5 내지 10초의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치고 나서 소정 시간 송풍 운전(예컨대 제 2 타이머 운전)을 하여 운전 정지한다.
2. 조작 수단(127)에 의해서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져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 후 운전 오프 조작이 이루어지면, 소정의 시간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예컨대 제 1 타이머 운전)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약 5 내지 10초의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치고 나서 소정 시간 송풍 운전(제 2 타이머 운전)을 하여 운전 정지한다.
이상의 2와 같은 제어 동작을 구비하여, 일단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하면 반드시 송풍 운전을 하고 나서 운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에 결로한 물방울을 송풍 운전에 의해서 건조·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산소 부화 공기와 함께 결로수를 흡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6 예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블럭도로, 상술된 각 실시예와 동일 기능부위에 있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있어서 참조부호(128)는 제어 수단(121)에 의해 구동 제어되어, 공기 취입부(122)로부터 흡인되는 통상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 고온·건조 공기를 제 3 공기 유로(129)로 보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 수단(127)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121)은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의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종료후 또는 사용자가 운전 오프 조작을 한 것을 제어 수단(121)이 검지하면, 제어 수단(121)은 소정 시간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친 후,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열고 또한 가열 수단(128)에 구동 신호를 보내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다시 구동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소정 시간의 송풍 운전 후, 제어 수단(121)은 가열 수단(128)을 또한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여 장치의 운전을 완전히 정지한다.
이와 같이 송풍 운전시에는 공기 취입부(122)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가열 수단(128)에서 가열·건조하기 때문에,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에 결로된 물방울을 송풍 운전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건조·배출할 수 있다.
다음에 제 7 예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3은 블럭도로, 상술하여 온 각 실시예와 동일 기능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기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에 있어서, 참조부호(130)는 습도 검지 수단으로, 공기중의 습도 정보 신호(H)를 제어 수단(121)으로 송신한다. 제어 수단(121)은 습도 검지 수단(130)으로부터의 정보(H)에 따라 송풍 운전시의 송풍 운전 시간(TS)을 변경 구동한다.
이 예에서는 조작 수단(127)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121)은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 장치 본체(51)의 설치 환경 습도에 의해서, 기기의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의 결로수 발생량이 변화한다. 즉, 습도가 높은 경우는 많은 결로수가 발생하고, 또한 습도가 낮은 경우는 결로수의 발생량은 적어진다.
소정 시간의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종료후 또는 사용자가 운전 오프 조작을 한 것을 제어 수단(121)이 검지하면, 제어 수단(121)은 소정 시간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친 후,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열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다시 구동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여기서 제어 수단(121)은 습도 검지 수단(130)의 정보(H)로부터 기기 설치 환경하의 습도를 관측하여 송풍 운전 시간(TS)을 결정한다. 즉, 습도가 높은 경우는 송풍 운전 시간(TS)을 길게 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시에 산소 부화 공기 유로[제 1 공기 유로(124)와 흡인 수단(113)과 제 2 공기 유로(125)]안에 결로한 물방울을 확실하게 건조·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습도가 낮은 경우는 송풍 운전 시간(T)을 짧게 함으로써 결로수를 건조·배출하면서 기기의 송풍 운전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저감하도록 제어(운전)한다.
다음에 제 8 예에 대하여 도 23과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설치 환경 습도(H)와 송풍 운전 시간(TS)과 가열 수단(128)의 구동율(D)과의 제어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사용자가 조작 수단(127)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121)은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 장치 본체(51)의 설치 환경 습도에 의해서, 기기의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의 결로수 발생량이 변화한다.
다음에 소정 시간의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종료후 또는 사용자가 운전 오프 조작을 한 것을 제어 수단(121)이 검지하면, 제어 수단(121)은 소정 시간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친 후,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열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다시 구동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여기서 제어 수단(121)은 습도 검지 수단(130)의 정보로부터 기기 설치 환경하의 습도를 관측하여, 송풍 운전 시간(TS)과 가열 수단(128)의 구동율(소비 전력량)(D)을 0 내지 100%의 범위로 설정한다. 즉, 습도가 높은 경우는 송풍 운전 시간(TS)을 길게함과 동시에 가열 수단(128)의 구동율(D)(발열량)을 크게(예컨대 100%)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시에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에 결로한 물방울을 확실하게 건조·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습도가 낮은 경우는 송풍 운전 시간(TS)을 짧게 함과 동시에 가열 수단(128)의 구동율을 작게(예컨대 0%)하여, 결로수를 건조·배출하면서 송풍 운전시에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저감하도록 제어·운전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풍 운전시의 습도 검지 수단(130)으로부터의 정보(H)에 따른 가열 수단(128)의 구동율(D)과 송풍 운전 시간(TS)과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① 습도가 50% 이하인 경우에는 구동율(D)은 0%이고 TS는 1분, ② 습도가 50 내지 60%의 경우에는 구동율(D)은 50%이고 TS는 1분, ③ 습도가 60 내지 70%인 경우에는 구동율(D)은 50%이고 TS는 2분, ④ 습도가 70 내지 80%인 경우에는 구동율(D)은 100%이고 TS는 2분, ⑤ 습도가 80% 이상인 경우에는 구동율(D)은 100%이고 TS는 3분으로 제어·운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 9 예에 대하여 도 25와 도 26과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는 동작설명도, 도 26은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시간(TD)과 송풍 운전 시간(TS)과의 제어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7은 블럭도이다.
도 27에 있어서, 참조부호(131)는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시간을 관측하여 제어 수단으로 정보(TD)를 보내는 계시(計時) 수단으로, 제어 수단(121)은 계시 수단(131)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송풍 운전 시간(TS)을 변경하여 운전한다.
사용자가 조작 수단(127)을 조작[예컨대 운전 시간(TD)의 타이머 운전조작]하면, 제어 수단(121)은 운전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고,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닫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구동하여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개시한다. 산소 부화 공기 유로내의 결로수 발생량은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시간에 대략 비례하기 때문에,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시간이 긴 경우는 많은 결로수가 발생하고, 또한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시간이 짧은 경우는 약간의 결로수밖에 발생하지 않는다. 조작 수단(127)에서 설정된 타이머 운전 시간(TD) 대로의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종료후, 또는 사용자가 운전 오프 조작을 한 것을 제어 수단(121)이 검지하면, 제어 수단(121)은 소정 시간 흡인 수단(113)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 수단(121)은 계시 수단(131)의 정보로부터 실제의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시간을 검지하여 이후의 송풍 운전 시간(TS)을 결정한다. 소정 시간의 운전 대기 공정을 거친 후, 제어 수단(121)은 공기 유로 전환 수단(126)을 열고 나서 흡인 수단(113)을 다시 구동하여 송풍 운전을 개시하여 송풍 운전 시간(TS) 경과후에 기기를 정지한다.
도 26에는 본 예에 의한 TD와 TS와의 제어관계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1. TD가 0 내지 10분일 때에는 TS는 1분, 2. TD가 10 내지 20분일 때에는 TS는 2분, 3. TD가 20 내지 30분일 때에는 TS는 3분이 되도록 제어 수단에서 제어·운전한다.
더욱 새로운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산소 부화 장치를 자동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소 부화 장치 본체(133)를 자동차의 승차부내(134)로 반입하여, 자동차(135)를 운전하면서 산소 부화된 공기를 흡인하면, 각성감(覺醒感)이 향상되어 졸음이 완전히 가시는 효과가 있다. 사용 방향으로서는, 상기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136)을 두부에 장착하여 운전해도 무방하고, 또한 별도의 방법으로서, 상기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136)이 갖는 토출구체(137)를, 운전석 근방의 승차부내(134)에 산소 부화 공기 배관(138)을 거쳐서 장착하고, 상기 토출구체(137)를 운전차의 입가를 향하여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승하차에 있어서도,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136)을 사용자가 장착 및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성이 특히 높다.
본체(133)를 구동하는 전원은 도 29와 같이 일반 주택내의 AC 전원 콘센트로부터 공급되어, 펌프(139) 등을 제어 회로(140)를 거쳐서 운전한다. 도 30과 같이, 자동차(135)의 담배 라이터(141)로부터 취입한 DC 전원을, 가정용 AC 전원에 가까운 상태로 변환하는 어댑터(142)를 거쳐서 공급할 수도 있다. 이 때, 커넥터(143)에서 분할·접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반 주택내와 자동차(135)의 어느쪽이든지 사용할 수 있어, 토출구체(137)는 사용자가 입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자기의 토출구체(137)를 다른 사람이 쓰게 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도, 일반 주택내와 자동차(135)에서도 동일한 본체(1)를 사용할 수 있어, 2대의 본체(133)를 구입하는 것보다 저렴하다.
도 31과 같이, 전원으로 사용자가 충전할 수 있는 이차전지(144)를 이용하고, 제어 회로(145)를 거쳐서 DC용 펌프(146)를 운전하는 것으로 하여, 자동차(135)의 전원에는 커넥터(147)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일반 주택용 가정 전원에는 커넥터(143)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차전지(144)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차전지(144)가 충전된 상태에서는 커넥터(147)의 접속을 뺀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32에서는 자동차의 승차부외측(148)에 내장한 본체(133)의 흡기구는 승차부외측(148)의 공기(외기)를 흡인하고, 산소 부화 공기 배관(138)을 통해서, 승차부내측(134)내로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136)의 토출구체를 배치하고 있어, 자동차(27)의 주행에 의해서 흡기를 촉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라도 승차부내측(134)내의 산소 농도의 저하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135)에 대하여 말했지만, 자동차(135)이외의 전차나 비행기 등의 이동차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다음에, 도 33 내지 도 36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와 동일한 산소 부화기의 사용형태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의 형태가 다르다.
도 33에 도시하는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은 사용자가 머리에 쓰고 있는 모자의 차양으로부터 내린 자루형상의 베일인 공기 차단막(149)으로, 상기 공기 차단막(149)내와 산소 부화 공기 배관(138)을 연통하는 구성이다. 베일의 하부를 적당하게 조임으로써, 베일 내부의 공기의 산소 농도를 특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하는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은 누운 사용자의 두부를 사방에서 둘러싸는 상자체(150)로, 상기 상자체(150)내와 산소 부화 공기 배관(138)을 연통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자체(150)의 내부에 머리를 둠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산소 농도를 특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은 탁상에 놓여진, 사용자의 대략 전방을 덮는 접을 수 있는 칸막이 부재(151)로, 상기 칸막이 부재(151)와 산소 부화 공기 배관(138)을 연통하는 구성이다. 상기 칸막이 부재(151)에 의해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서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공간의 산소 농도를 특히 상승시킬 수 있다. 실내로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구획된 좁은 공간으로의 고산소 농도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사용자 근방의 공간의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어, 소형이더라도 산소 농도가 높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산소 부화기가 된다.
도 36은 욕실에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욕실(152)의 내부(153)에 산소 부화 공기의 산소 부화 공기 토출 수단(136)이 갖는 토출구체를 마련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신진 대사 효과가 높은 입욕 상태에서 흡입하는 욕실내의 공기의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대사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본체(1)는 욕실(23)의 내부(23a)로 반입해도 무방하고, 또한 욕실(23)의 밖에 두었을 때에는 욕실(23)의 외부의 공기를 본체(1)내로 흡인하고, 상기 흡인한 공기를 산소 부화 수단에 의해서 산소 농도를 높임으로써, 밀폐된 욕실내(23a)에서도 사용자에게 산소 부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산소 부화 장치에 따르면, 장치 전체의 소형화와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적절한 산소 농도의 산소 부화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 선뜻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4)

  1. 산소 부화 공기를 생성하는 산소 부화 수단과,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부화 수단은 25% 내지 35%의 산소 농도의 산소 부화 공기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2. 산소 부화 수단을 갖는 본체와,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으로부터 토출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설치한
    산소 부화 장치.
  3. 산소 부화 수단을 갖는 본체와,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 산소 부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부화 수단은 산소 부화막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또한 상기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에 안내하는 공기 유로의 적소에 결로수 대책 수단을 설치한
    산소 부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의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에 안내하는 공기 유로의 일부를 가용성 연통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통관을 거쳐서 산소 부화 공기를 소정 장소에 안내하여 토출 수단으로부터 방출하는
    산소 부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내에 팬을 설치하고, 이 팬에 의해 산소 부화막 주위에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막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그 단변측이 공기의 진행 방향과 거의 나란히 배치한
    산소 부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출 수단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된
    산소 부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출 수단에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커버를 마련한
    산소 부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출 수단에 제균 필터 및/또는 고포집 효율 필터를 설치한
    산소 부화 장치.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산소 부화 공급 운전을 일정 시간으로 규제하는 타이머 기능을 갖는
    산소 부화 장치.
  1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공기량은 매분 1.5 L 이상임과 동시에, 타이머 기능에 의한 흡인 펌프의 동작 시간은 1시간 이내로 설정한
    산소 부화 장치.
  1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유로에 산소 부화 공기 이외의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 결로수 대책 수단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유로에 공기 유로 전환 수단을 거쳐서 공기 취입부를 설치한
    산소 부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운전 개시후,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으로부터 방출하는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을 소정 시간 실행한 후, 산소 부화 공기 이외의 공기를 토출 수단으로부터 방출하는 송풍 운전을 소정 시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과 송풍 운전 사이에 소정 시간 운전을 정지하는 운전 대기 공정을 마련한
    산소 부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중에, 제어 수단에 운전 정지의 신호가 보내어지면, 상기 제어 수단은 운전 대기 공정 → 송풍 운전 → 운전 정지로 순차적으로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산소 부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 이외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로에 가열 수단을 배치한
    산소 부화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공기중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상기 습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대응하여 송풍 운전 시간을 변경하는
    산소 부화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 발생 운전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상기 계측 수단의 정보에 대응하여 송풍 운전 시간을 변경하는
    산소 부화 장치.
  2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유로 중간에 액체 고임부를 설치하여 결로수 대책 수단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여 토출 수단에 연결되는 연통관을 구비하고, 또한 액체 고임부는 연통관에 설치함과 동시에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액체 고임부는 복수의 본체 부분을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하고, 이 본체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액체 고임부는 액체 고임부 내부에 돌출된 관부를 갖는
    산소 부화 장치.
  2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유로 중간에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 또는 건조제를 배치하여 결로수 대책 수단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출 수단에 토출구를 설치하고, 이 토출구의 개구 면적은 흡인 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산소 부화 공기의 출구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한
    산소 부화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수단의 하류측의 공기 유로에 수조를 설치하고, 이 수조 통과후의 산소 부화 공기를 토출 수단으로부터 방출하는
    산소 부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수조내에 Zn 또는 Zn 화합물로 형성된 물질을 배치한
    산소 부화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유로 중간에 사일런서를 설치한
    산소 부화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공기의 유로 중간에 향기를 혼입시키는 향기 공급 수단을 설치한
    산소 부화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 의해 발생한 음이온을 산소 부화 공기와 혼합시켜 토출 수단으로부터 방출시키는 구성으로 한
    산소 부화 장치.
  3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소 부화 수단으로부터 토출 수단에 도달하는 경로에 항균제 또는 대전 방지제 또는 그 양자를 갖는
    산소 부화 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수단의 구동 전원은 DC 전원으로부터 일단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산소 부화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수단, 제어 수단 등의 전원으로서 이차 전지를 갖는
    산소 부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DC 전원과 이차 전지를 전환하여 사용 가능하게 구성한
    산소 부화 장치.
KR1020030043014A 2002-10-18 2003-06-28 산소 부화 장치 KR20040034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4801 2002-10-18
JP2002304801A JP2004136232A (ja) 2002-10-18 2002-10-18 酸素富化機
JP2003004474A JP3772834B2 (ja) 2003-01-10 2003-01-10 酸素富化機
JPJP-P-2003-00004474 2003-01-10
JP2003021845A JP2004229883A (ja) 2003-01-30 2003-01-30 酸素富化機
JPJP-P-2003-00021845 2003-01-30
JPJP-P-2003-00042834 2003-02-20
JP2003042834 2003-0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615U Division KR200337953Y1 (ko) 2002-10-18 2003-06-28 산소 부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358A true KR20040034358A (ko) 2004-04-28

Family

ID=320460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615U KR200337953Y1 (ko) 2002-10-18 2003-06-28 산소 부화 장치
KR1020030043014A KR20040034358A (ko) 2002-10-18 2003-06-28 산소 부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615U KR200337953Y1 (ko) 2002-10-18 2003-06-28 산소 부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96390B2 (ko)
EP (1) EP1410835A1 (ko)
KR (2) KR200337953Y1 (ko)
CN (2) CN100364625C (ko)
HK (1) HK1064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53Y1 (ko) * 2002-10-18 2004-01-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부화 장치
US20050072426A1 (en) * 2003-10-07 2005-04-07 Deane Geoffrey Frank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US7066985B2 (en) * 2003-10-07 2006-06-27 Inogen, Inc.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WO2005035037A2 (en) 2003-10-07 2005-04-21 Inogen, Inc.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US20050072423A1 (en) 2003-10-07 2005-04-07 Deane Geoffrey Frank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JP3551971B1 (ja) 2003-11-26 2004-08-11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
EP1824542A1 (en) * 2004-10-26 2007-08-29 Map-Medizintechnologie GmbH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breathable gas, and components thereof
US8113195B2 (en) * 2005-06-23 2012-02-14 Airbus Operations Gmbh Bringing a multi-component jet into the visual field of a user
US7958892B2 (en) 2005-07-29 2011-06-14 Resmed Limited Air delivery system
US7686870B1 (en) 2005-12-29 2010-03-30 Inogen, Inc. Expandable product rate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CN101024105A (zh) 2006-02-17 2007-08-29 雷斯梅德有限公司 结合增强治疗法
US7780768B2 (en) * 2006-11-28 2010-08-24 Inogen, Inc. Gas concentrator with improved water rejection capability
US20090065007A1 (en) 2007-09-06 2009-03-12 Wilkinson William R Oxygen concentrator apparatus and method
US20090205494A1 (en) * 2008-02-20 2009-08-20 Mcclain Michael S Single manifold assembly for oxygen-generating systems
US20090205493A1 (en) * 2008-02-20 2009-08-20 Thompson Loren M Method of removing water from an inlet region of an oxygen generating system
US20090211443A1 (en) * 2008-02-21 2009-08-27 Youngblood James H Self-serviceable filter for an oxygen generating device
US7722698B2 (en) * 2008-02-21 2010-05-25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determining the purity of oxygen present in an oxygen-enriched gas produced from an oxygen delivery system
US20090214393A1 (en) * 2008-02-22 2009-08-27 Chekal Michael P Method of generating an oxygen-enriched gas for a user
US8075676B2 (en) 2008-02-22 2011-12-13 Oxus America, Inc. Damping apparatus for scroll compressors for oxygen-generating systems
US20090229460A1 (en) * 2008-03-13 2009-09-17 Mcclain Michael S System for generating an oxygen-enriched gas
US20120055475A1 (en) 2010-09-07 2012-03-08 Wilkinson William R Oxygen concentrator system and methods for oral delivery of oxygen enriched gas
US20120055477A1 (en) * 2010-09-07 2012-03-08 Wilkinson William R Oxygen concentrator apparatus configured for high altitude use
US8616207B2 (en) 2010-09-07 2013-12-31 Inova Labs, Inc. Oxygen concentrator hea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263853A1 (en) * 2012-04-09 2013-10-10 Fu-Lai Han Split-type controlling device for producing oxygen and delivering air
JP2015531310A (ja) 2012-10-12 2015-11-02 イノヴァ ラボ,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酸素濃縮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BR112015008203A2 (pt) 2012-10-12 2017-07-04 Inova Labs Inc método e sistemas para o fornecimento de gás enriquecido de oxigênio.
BR112015008210A2 (pt) 2012-10-12 2017-07-04 Inova Labs Inc métodos e sistemas de concentrador de oxigênio dual.
US9440179B2 (en) 2014-02-14 2016-09-13 InovaLabs, LLC Oxygen concentrator pump systems and methods
JP6593925B2 (ja) * 2016-04-26 2019-10-23 Vigo Medical株式会社 酸素濃縮装置
WO2017192660A1 (en) 2016-05-03 2017-11-09 Inova Labs, Inc. Method and systems for the delivery of oxygen enriched gas
CN108721750A (zh) * 2017-04-17 2018-11-02 武汉海博瑞科技有限公司 小型商务制氧机
CN107929899A (zh) * 2017-12-11 2018-04-20 郭琳洁 具有湿度调节功能的便携式呼吸机
CN111561483A (zh) * 2020-06-12 2020-08-21 江苏鱼跃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消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6451A (en) 1974-06-04 1976-08-24 General Electric Company Vacuum extract system for a membrane oxygen enricher
US4632677A (en) * 1981-10-27 1986-12-30 Blackmer Richard H High humidity oxygen enricher apparatus
EP0185980B1 (en) 1984-12-27 1995-03-01 Teijin Limited Oxygen enriching apparatus
JPS6283304A (ja) * 1985-10-04 1987-04-16 Teijin Ltd 酸素富化器
US4971609A (en) * 1990-02-05 1990-11-20 Pawlos Robert A Portable oxygen concentrator
CN2240995Y (zh) * 1995-12-05 1996-11-27 毕建国 膜富氧医疗保健器
US6217892B1 (en) * 1997-10-24 2001-04-17 Joseph A. King Water treatment composition
JPH10234836A (ja) * 1997-02-26 1998-09-08 Sanyo Electric Co Ltd 空質活性機
US5881723A (en) * 1997-03-14 1999-03-16 Nellcor Puritan Bennett Incorporated Ventilator breath display and graphic user interface
CN2308591Y (zh) * 1997-07-07 1999-02-24 江苏石油勘探局机械厂 富氧空气发生器
US6371114B1 (en) * 1998-07-24 2002-04-16 Minnesota Innovative Technologies & Instruments Corporation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supplemental respiratory oxygen
US6126721A (en) * 1998-08-28 2000-10-03 Compact Membrane Systems, Inc. Oxygen enriched air supply apparatus
DE19860253C1 (de) * 1998-12-24 2000-03-30 Dbb Fuel Cell Engines Gmbh Membranmodul zur selektiven Gasabtrennung in Plattenstapelbauweise
JP2001129089A (ja) * 1999-11-05 2001-05-15 Kofurotsuku Kk 酸素濃度表示ランプ部を有する医療用酸素濃縮器
JP2001276555A (ja) * 2000-03-30 2001-10-09 Kyocera Corp 酸素分離膜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US6447731B1 (en) * 2000-06-28 2002-09-10 Shin-Ching Sun Cleaning device
US6651658B1 (en) * 2000-08-03 2003-11-25 Sequal Technologies, Inc. Portable oxygen concen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2020136A1 (en) * 2000-09-06 2002-03-14 Colorado Altitude Training Llc Altitude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US6866041B2 (en) * 2002-05-14 2005-03-15 Evolution, Inc. Oxygen concentrating aroma mixing breathable air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KR200337953Y1 (ko) * 2002-10-18 2004-01-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부화 장치
US6726558B1 (en) * 2002-11-26 2004-04-27 Udi Meirav Oxygen enrichment of indoor human environments
FR2858236B1 (fr) * 2003-07-29 2006-04-28 Airox Dispositif et procede de fourniture de gaz respiratoire en pression ou en volu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4625C (zh) 2008-01-30
US20040074496A1 (en) 2004-04-22
HK1064312A1 (en) 2005-01-28
EP1410835A1 (en) 2004-04-21
CN2684833Y (zh) 2005-03-16
CN1490062A (zh) 2004-04-21
KR200337953Y1 (ko) 2004-01-07
US7396390B2 (en) 200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7953Y1 (ko) 산소 부화 장치
JP4630245B2 (ja) 加湿装置
KR20160090222A (ko) 휴대용 에어워셔
CN209700340U (zh) 一种车用多功能空调出风口装置
JP3772834B2 (ja) 酸素富化機
JP3772864B2 (ja) 酸素富化機
JP3772862B2 (ja) 酸素富化機
JP3772865B2 (ja) 酸素富化機
JP3772863B2 (ja) 酸素富化機
CN111513415A (zh) 消毒防疫帽子
JP3096112U (ja) 酸素富化機
KR102509252B1 (ko) 마스크를 구비하는 항균 방역용 건식 산소발생기
JP4442244B2 (ja) 酸素富化装置を並設した空気清浄機
JP4527514B2 (ja) 酸素濃縮器
JP2004136232A (ja) 酸素富化機
KR200353621Y1 (ko) 공기 살균수단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
CN113426040B (zh) 一种智能过滤式风幕头盔
CN107166560A (zh) 小区域定向空气净化装置
JP2004216114A (ja) 酸素富化機
JP3096249U (ja) 酸素富化機
JP2004216110A (ja) 酸素富化機
JP3096113U (ja) 酸素富化機
JP2006122562A (ja) 車載用酸素富化機
JP2004136277A (ja) 酸素富化機
JP2004219041A (ja) 酸素富化機の吐出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