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085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085A
KR20040034085A KR1020020064147A KR20020064147A KR20040034085A KR 20040034085 A KR20040034085 A KR 20040034085A KR 1020020064147 A KR1020020064147 A KR 1020020064147A KR 20020064147 A KR20020064147 A KR 20020064147A KR 20040034085 A KR20040034085 A KR 2004003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창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4085A/ko
Publication of KR2004003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7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nfrared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집 및 사무실 등의 출입문이나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각종 도어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도어 비밀번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비밀번호를 수신받아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집 및 사무실 등의 출입문이나 차량의 도어(Door)를 원격으로 개폐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키 조작에 의한 도어개폐 장치는 해당 키 없이 도어를 개폐하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하고 견고하게 설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개폐 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키의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게 제작되 있어, 이와 같은 도어개폐 장치를 해당 키 이외의 키로 개폐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경우, 사용자는 집 및 직장의 출입문을 열기 위한 키 및 차량 도어용 키 등 수많은 키를 지니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기계적 조작에 의한 도어개폐 장치의 경우, 해당 키를 복사하기가 용이하여 보안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호텔이나 인텔리젼트 빌딩 등의 복수의 출입문을 관리해야 할 경우엔, 출입문마다 키가 서로 다르므로, 키를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면, 호텔 관리자 또는 직원들이 업무상 여러 개의 방을 돌아볼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각 방의 도어에 해당하는 키를 모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개폐뿐만 아니라, 보안을 좀 더 철저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아이디(ID : Identifier) 카드 등의 개인식별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 역시 ID카드에 의해 사용자확인이 되기만 하면, 본인 이외의 허가되지 않은 사람도 출입이 가능하였고, ID카드의 타인의 대여로 인한 부정사용의 우려도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키를 이용한 도어개폐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개폐, 음성인식, 지문인식 및 홍체인식 등과 같은 여러 입력정보의 인식기술을 이용한 도어개폐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일예로, 지문정보를 이용한 종래의 도어개폐 장치는, 지문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인증 소자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Door Lock)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개폐 장치는 도어 외부에 출입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 상기 지문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신호를 코드화하여 이 패턴을 저장하는 지문저장부, 인식된 지문패턴을 처리하여 저장된 지문패턴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종래의 도어개폐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부, 그리고 상기 개폐제어부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개폐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실외 측의 도어에 지문인식센서가 장착된 종래의 도어개폐 장치의 경우, 미리 지문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인증이 불가능하였고, 따라서 지문정보가 등록된 사람이 타인에게 출입을 허락하더라도, 지문정보가 등록된 사람이 동행하지 않고서는 출입이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개폐 장치는 실외에 노출되 있어, 사용자인증에 관한 지문정보 등이 외부인에게 도청되기 쉬웠으며, 또한 외부로 노출된 지문인식센서가 비교적 쉽게 오염되거나 손상되기 쉬웠고, 아울러 사용자 인증시 사용한 사용자의 지문착상 이미지를 복제하여 불법적 사용이 우려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휴대용 지문인식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요즈음과 같이 휴대전화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일반 성인의 대다수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별도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지문인식 키를 휴대하게 되므로써, 사용자의 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도어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광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도어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집 및 직장 등의 출입문과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계적 구조로 이루어진 키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일상 휴대품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도어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비밀번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보안에 대한 안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1: 키패드
112: 제어부 113: 저장부
114: 액정화면 115: 신호 변환부
116: 무선 송신부 200: 도어개폐 장치
211: 무선 수신부 212: 사용자 입력부
213: 개폐제어부 214: 도어개폐 구동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도어를 무선으로 개방하는 도어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도어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도어 비밀번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비밀번호를 수신받아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도어를 무선으로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어개방모드를 설정하고 개방하기 위한 방문, 대문, 자동차 도어, 및 사무실 문과 같은 소정의 도어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한 도어 명칭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그 도어의 개방을 지시함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한 도어에 관한 소정의 비밀번호를 상기 도어로 무선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도어의 도어개폐 장치는 수신된 비밀번호가 소정의 도어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판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도어개폐 장치는 상기 선택한 도어를 개방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파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개폐 장치는 상기 선택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11)와, 키패드(1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비밀번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12)와, 제어부(112)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도어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13)와, 제어부(112)에 의해 전달되는 도어의 개방에 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LCD)(114)와, 제어부(112)로부터 전달되는 도어의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115)와, 신호변환부(115)에 의해 변환된 도어의 비밀번호를 도어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부(1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신호 변환부(115)는 도어의 비빌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송신부(116)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포트로 구현된다.
그리고, 신호 변환부(115)는 도어의 비빌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송신부(116)는 블루투스 통신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신호 변환부(115)는 도어의 비빌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 광통신에 적합한 광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송신부(116)는 무선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 통신포트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 장치(20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키패드(111), 제어부(112), 저장부(113), 액정화면(114), 신호변환부(115), 그리고 무선 송신부(116)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어개폐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비밀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211)와, 사용자에 의해지정되는 도어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12)와, 사용자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의 저장 및 무선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된 비밀번호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 제어부(213)와, 개폐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폐 구동부(214)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어개폐 장치(200)는 집이나 직장의 출입문 등에 부착되어 도어를 개폐하고, 또한 차량의 도어에 부착되어 차량 도어를 개폐한다.
사용자 입력부(211)는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며, 이는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도어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111)를 눌러 새로 변경된 도어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저장부(113)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12)는 새로 변경된 비밀번호를 도어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도어의 비밀번호 변경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도어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패드(111)를 통해 도어의 비밀번호 변경모드를 설정한 후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12)는 새로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부(113)에 저장시키고 동시에 이 비밀번호를 도어개폐 장치(200)로 전송시킨다. 이어서, 개폐 제어부(2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새로운 도어의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111)를 눌러 도어개방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112)는 저장부(113)에 저장된 각종 도어에 관한 내용을 액정화면(114)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액정화면(114)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방문, 대문, 사무실 및 자동차 등과 같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렇게, 액정화면(114)에 디스플레이된 명칭 중에 사용자가 키패드(111)를 눌러 대문을 선택하여 그의 도어 개방을 지시하면, 제어부(112)는 선택된 대문에 해당하는 도어의 비밀번호를 저장부(113)로부터 읽어와 이를 신호변환부(115)로 전달한다.
이어서, 신호변환부(115)는 제어부(112)로부터 전달된 대문의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시킨 후 무선 송신부(116)를 통해 집의 대문에 부착된 도어개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집의 대문의 비밀번호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면, 무선 수신부(211)는 이 비밀번호 신호를 개폐 제어부(213)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개폐 제어부(213)로 전달한다.
그리고, 개폐 제어부(2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집의 대문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개폐 제어부(213)는 도어개폐 구동부(214)를 구동시켜 집의 대문을 개방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개방된 도어는 사용자가 수동적인 조작을 통해 닫을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비밀번호를 설정한 상태에서의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111)를 눌러 도어개방모드를 설정하면(S4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3에서와 같이 방문, 대문, 사무실 및 자동차 도어 등을 액정화면(114)에 디스플레이한다(S402).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명칭 중에 사용자가 키패드(111)를 눌러 사무실을 선택하여 그의 도어 개방을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선택된 사무실에 해당하는 도어의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한 후 이를 사무실의 도어개폐 장치(200)로 전송한다(S403).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사무실 문의 비밀번호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면, 도어개폐 장치(200)는 수신된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도어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404).
판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도어개폐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구되로 사무실의 도어를 개방한다(S405).
만일, 판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개폐 장치(200)는 사용자의 개방 요구를 거절하고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S405).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각종 도어을 원격으로 개방함으로써, 보안에 대한 안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도어의 키를 휴대하지 않고 일상 휴대품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각종 도어를 무선으로 개방하는 도어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도어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도어 비밀번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비밀번호를 수신받아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 장치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비밀번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도어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도어의 개방에 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도어의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도어의 비밀번호를 도어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비밀번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밀번호와 소정의 도어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 제어부; 및
    상기 개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폐 구동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도어개폐 장치에 저장되는 도어의 비밀번호는 사용자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도어의 비빌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도어의 비빌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대역의 신호 변환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도어의 비빌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 광통신에 적합한 광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도어를 무선으로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어개방모드를 설정하고 개방하기 위한 방문, 대문, 자동차 도어, 및 사무실 문과 같은 소정의 도어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한 도어 명칭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그 도어의 개방을 지시함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한 도어에 관한 소정의 비밀번호를 상기 도어로 무선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도어의 도어개폐 장치는 수신된 비밀번호가 소정의 도어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판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도어개폐 장치는 상기 선택한 도어를 개방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파단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개폐 장치는 상기 선택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어의 비밀번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어의 비밀번호를 적외선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어의 비밀번호를 무선 광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방법.
KR1020020064147A 2002-10-21 2002-10-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4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147A KR20040034085A (ko) 2002-10-21 2002-10-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147A KR20040034085A (ko) 2002-10-21 2002-10-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085A true KR20040034085A (ko) 2004-04-28

Family

ID=3733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147A KR20040034085A (ko) 2002-10-21 2002-10-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40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24B1 (ko) * 2007-06-11 2008-07-28 장민호 비밀번호를 이용한 배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2877B1 (ko) * 2012-07-09 2014-04-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Nfc 기능이 담긴 기기를 이용한 암호 노출 방지 전자 도어락 시스템 및 작동 방법
KR20160046330A (ko) * 2013-08-19 2016-04-28 에이알엠 아이피 리미티드 사용자의 환경 내의 내장 장치들과의 상호작용
KR20160088687A (ko) * 2015-01-16 2016-07-26 (주)이지텔레매틱스 차고 문 자동 개폐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24B1 (ko) * 2007-06-11 2008-07-28 장민호 비밀번호를 이용한 배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2877B1 (ko) * 2012-07-09 2014-04-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Nfc 기능이 담긴 기기를 이용한 암호 노출 방지 전자 도어락 시스템 및 작동 방법
KR20160046330A (ko) * 2013-08-19 2016-04-28 에이알엠 아이피 리미티드 사용자의 환경 내의 내장 장치들과의 상호작용
KR20160088687A (ko) * 2015-01-16 2016-07-26 (주)이지텔레매틱스 차고 문 자동 개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929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62790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locking function
US7747867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a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 remote control apparatus
US20020014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KR101866375B1 (ko) 근접식 출입통제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H10292688A (ja) 扉の施解錠方法
KR20180070047A (ko)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JP4523724B2 (ja) ゲート装置
KR2004003408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665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2003005058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JP4581230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811426B2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用プログラム
KR2015003995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 자물쇠 시스템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JP2002300637A (ja) 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0808405B1 (ko) 차량용 스마트키를 구비한 지능형 디지털 도어록
KR200407889Y1 (ko) 홈오토메이션의 모드선택기능이 구비된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100638025B1 (ko) 잠금 해제 시스템
KR100872963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정 자동화(homeautomation)제어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516408B1 (ko)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JP2018145638A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0431757B1 (ko) 블루투스를 탑재한 pda를 이용한 원격 출입관리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