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08B1 -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08B1
KR101516408B1 KR1020130080655A KR20130080655A KR101516408B1 KR 101516408 B1 KR101516408 B1 KR 101516408B1 KR 1020130080655 A KR1020130080655 A KR 1020130080655A KR 20130080655 A KR20130080655 A KR 20130080655A KR 101516408 B1 KR101516408 B1 KR 10151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lobby phone
user terminal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968A (ko
Inventor
곽경호
Original Assignee
곽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경호 filed Critical 곽경호
Priority to KR102013008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4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가 동작되는 로비폰; 및 상기 로비폰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키패드 제어신호를 상기 로비폰으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KEY PAD CONTROLLING SYSTEM FOR LOBBY PHONE AND KEY PAD CONTROLLING SYSTEM FOR ELEV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로비폰의 키패드와 엘리베이터의 키패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로비폰은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출입용 카드를 카드 인식기에 접촉하거나 로비폰에 달려있는 키패드를 조작하여 자기의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경비실을 호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출입문을 개방 후 출입하고 있다.
그러나, 출입용 카드는 항상 보관하기 불편하고 분실우려가 높으며 카드 인식기가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대역이 생활 무전기와 혼선되는 경우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비폰에 달려있는 키패드는 여러 사람이 사용하여 세균 감염이 심하고, 추운 날씨에 키패드를 손으로 사용하기 불편할뿐만 아니라 키패드를 오래 사용하면 키패드 자판의 글자가 지워지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수리비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758호 '도어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6064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로비폰 및 엘리베이터의 키패드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은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가 동작되는 로비폰; 및 상기 로비폰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키패드 제어신호를 상기 로비폰으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로비폰의 키패드에 대응되는 코드값과 상기 코드값을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를 제어하는 메뉴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터치 및 드래그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메뉴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메모리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위치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로비폰의 키패드에 대응되는 코드값과, 상기 코드값을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를 제어하는 메뉴얼을 다운로드 받거나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인증부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가 외부 서버에 미리 저장된 경우에만,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를 상기 로비폰에 전송하여 상기 키패드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증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사용자의 지문인식, 홍채인식 및 얼굴인식 중 적어도 하나의 인식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로비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은 상기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키패드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제2 키패드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로비폰에 구비된 제1 키패드를 제어하는 제1 키패드 제어신호와 상기 제2 키패드를 제어하는 제2 키패드 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키패드 제어신호 및 제2 키패드 제어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상기 제1 키패드와 상기 제2 키패드에 전송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로비폰이 설치된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로비폰에 소정 거리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 제어부에 상기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로비폰 및 엘리베이터의 키패드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출입카드 없이도 출입문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고, 로비폰 및 엘리베이터의 키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제어부를 구비하여, 스마트폰으로 로비폰의 키패드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보다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고, 아울러 엘리베이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키패드의 동작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로비폰의 입구 근처일 경우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아주 편리하게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출입카드를 대체하여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출입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비용이 절약되고, 세균 감염의 경우를 사전에 방지함과 아울러 키패드의 유지보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면서도 보안성이 강화된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로비폰(20) 및 메인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메인 제어부(30)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로비폰(20)에 구비된 키패드(즉, 도 3에 관한 설명에서의 제1 키패드)(21)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은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고유 번호를 갖는 스마트 폰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메인 제어부(3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다른 종류의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메모리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위치 감지부(140), 사용자 인증부(150) 및 컨트롤러(16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로비폰(20)의 키패드(21)에 대응되는 코드값과 이 코드값을 이용하여 키패드(21)를 제어하는 메뉴얼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0)는 특정 인터넷 웹 페이지 형식으로 접속가능한 외부 서버로부터 로비폰(20)의 키패드(21)에 대응되는 코드값과, 코드값을 이용하여 키패드(21)를 제어하는 메뉴얼을 다운로드 받거나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로비폰(20)의 키패드(21)에 대응되는 코드값 및 메뉴얼과 함께 제조회사명과 그 기기명칭 등의 정보도 함께 다운로드 받거나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메인 제어부(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부(120)는 메인 제어부(30)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또는 3G, 4G, LTE 등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상호간을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및 드래그 기능을 구비하고,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단말 키패드(11) 및 메뉴얼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창을 의미하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14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위치 감지부(14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되는 GPS 센서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50)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부(150)는 사용자 단말(10)에 인증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고,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사용자의 지문인식, 홍채인식 및 얼굴인식 중 적어도 하나인 생채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증부(150)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관리자 혹은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에서 컨트롤러(16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컨트롤러(160)를 사용하여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메인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는 특정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추가 등록될 수 있으며, 인증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전송되어 사용자 인증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에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거나,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10) 내에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50)가 생체정보 중 사용자의 홍채나 얼굴을 인증할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능한 수준에서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부(150)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경우, 통상의 지문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메모리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위치 감지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되, 이러한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에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표시되는 단말 키패드(11)를 통하여 입력되는 번호 킷값을 통하여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해당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60)는 사용자 인증부(150)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 완료시 메인 제어부(30)로 키패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컨트롤러(16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로비폰(20)의 키패드값에 대응되는 번호 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번호 키는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조작 및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표시되는 단말 키패드(11)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된 비밀번호는 번호 킷값을 의미하며, 컨트롤러(160)는 번호 킷값을 로비폰(20)의 키패드값에 대응되는 코드값으로의 통상의 신호 변환 과정을 수행한 후, 변환된 코드값을 포함하는 키패드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메인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로비폰(20)에 직접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10)에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로비폰(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는 실외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로비폰(20)의 내부 혹은 실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로비폰(20)의 내부에서 실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실외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키패드 제어신호를 로비폰(20)으로 전송하고, 이러한 키패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로비폰(20)의 키패드(21)를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키패드 제어신호에 포함된 번호 킷값에 따라 로비폰(20)의 키패드를 동작시켜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수신된 번호 킷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킷값을 비교하고, 두 킷값이 서로 일치하면 로비폰(20)의 키패드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출입문의 잠금 해제를 실행하고, 킷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람 신호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출입문의 잠금 해제 후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후술하는 개폐 제어부(31)를 제어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잠글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의 개폐동작을 위한 단말 키패드(11)를 통하여 입력된 번호 킷값, 즉 비밀번호에 대한 변경 및 설정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가능하며, 출입문의 수동 잠금 해제는 사용자가 로비폰(20)의 키패드(21)를 직접 조작하거나, 실내측에서 출입문을 오픈하는 동작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여기서 온라인 상에서의 비밀번호 변경 및 설정은, 사용자 단말(10)이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단말 키패드(11)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키패드 제어시스템과 관련된 특정 인터넷 웹 페이지 상에서 변경 및 설정하면, 변경 및 설정된 정보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메인 제어부(30)로 전송되고, 전송된 정보가 메인 제어부(30)에 설정됨으로써 실시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 혹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접속된 특정 인터넷 웹 페이지를 통해 미리 등록된 번호 킷값이 아닌 임시 사용 가능한 번호 킷값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제어부(30)는 미리 등록된 번호 킷값뿐만 아니라, 임시 번호 킷값에 의해 로비폰(20)의 키패드(21)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정보가 외부 서버(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경우에만, 키패드 제어신호를 로비폰(20)에 전송하여 키패드(21)가 동작되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만 키패드 제어신호를 로비폰(20)에 전송하여 키패드(21)가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로비폰(20)이 설치된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제어부(31)는 출입문에 장착된 걸림쇠(미도시)와 걸림쇠 고정부(미도시)의 잠금동작을 통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제어부(31)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10)의 위치가 로비폰(20)에 소정 거리 즉, 로비폰(20)의 입구 근처(예를 들면, 1m 전방)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의 로비폰(20)의 키패드(21)를 제1 키패드로, 엘리베이터(40)의 키패드(41)를 제2 키패드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로비폰(20)에 구비된 제1 키패드(21)와 엘리베이터(40)에 구비된 제2 키패드(41)의 동작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로비폰(20)의 제1 키패드(21)와 도 3의 엘리베이터(40)의 제2 키패드(41)를 동시에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비폰(20)의 제1 키패드(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엘리베이터(40)에 구비된 제2 키패드(41)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로비폰(20)에 구비된 제1 키패드(21)를 제어하는 제1 키패드 제어신호와 제2 키패드(41)를 제어하는 제2 키패드 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키패드 제어신호 및 제2 키패드 제어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제1 키패드(21)와 제2 키패드(41)에 전송하여 제1 키패드(21) 및 제2 키패드(4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제1 키패드(21) 및 제2 키패드(41)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한 사용자가 제1 키패드(21)를 동작시켜 출입문이 개방된 후에 엘리베이터(4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키패드(41)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40)를 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로비폰(20) 및 엘리베이터(40)의 키패드(21, 41)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출입카드 없이도 출입문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고, 로비폰(20) 및 엘리베이터(40)의 키패드(21, 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제어부(30)를 구비하여, 스마트폰으로 로비폰(20)의 키패드(21)의 동작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보다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고, 아울러 엘리베이터(4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엘리베이터(40)의 키패드(41)의 동작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40)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로비폰(20)의 입구 근처일 경우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아주 편리하게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출입카드를 대체하여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출입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비용이 절약되고, 세균 감염의 경우를 사전에 방지함과 아울러 키패드의 유지보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을 이용하면서도 보안성이 강화된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11: 단말 키패드
20: 로비폰 21: 로비폰의 키패드
30: 메인 제어부 31: 개폐 제어부
40: 엘리베이터 41: 제2 키패드
110: 메모리부 120: 통신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위치 감지부
150: 사용자 인증부 160: 컨트롤러

Claims (8)

  1.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가 동작되는 로비폰; 및 상기 로비폰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키패드 제어신호를 상기 로비폰으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로비폰의 키패드에 대응되는 코드값과 상기 코드값을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를 제어하는 메뉴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터치 및 드래그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메뉴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감지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메모리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위치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부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로비폰의 키패드에 대응되는 코드값과, 상기 코드값을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를 제어하는 메뉴얼을 다운로드 받거나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증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사용자의 지문인식, 홍채인식 및 얼굴인식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의 인식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가 외부 서버에 미리 저장된 경우에만, 상기 키패드 제어신호를 상기 로비폰에 전송하여 상기 키패드가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로비폰이 설치된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로비폰에 소정 거리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 제어부에 상기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출입문의 개폐동작을 위한 단말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번호 킷값인 비밀번호에 대한 변경 및 설정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가능하며, 상기 출입문의 수동 잠금 해제는 사용자가 로비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하거나, 실내측에서 출입문을 오픈하는 동작에 의해 실시 가능하고, 상기 온라인 상에서의 비밀번호 변경 및 설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단말 키패드를 통하여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과 관련된 특정 인터넷 웹 페이지 상에서 변경 및 설정하면, 변경 및 설정된 정보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정보가 메인 제어부에 설정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기재된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키패드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제2 키패드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로비폰에 구비된 제1 키패드를 제어하는 제1 키패드 제어신호와 상기 제2 키패드를 제어하는 제2 키패드 제어신호를 함께 생성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키패드 제어신호 및 제2 키패드 제어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상기 제1 키패드와 상기 제2 키패드에 전송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KR1020130080655A 2013-07-10 2013-07-10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KR10151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55A KR101516408B1 (ko) 2013-07-10 2013-07-10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655A KR101516408B1 (ko) 2013-07-10 2013-07-10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968A KR20150006968A (ko) 2015-01-20
KR101516408B1 true KR101516408B1 (ko) 2015-05-04

Family

ID=5257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655A KR101516408B1 (ko) 2013-07-10 2013-07-10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79A (ko)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코맥스 음성 인증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511B1 (ko) * 2006-10-11 2008-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KR101145739B1 (ko) 2011-03-02 2012-05-16 이관우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511B1 (ko) * 2006-10-11 2008-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KR101145739B1 (ko) 2011-03-02 2012-05-16 이관우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679A (ko)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코맥스 음성 인증 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968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JP6441982B2 (ja) デジタルドアロックシステム
US10650629B1 (en) Access control provisioning
US9470017B1 (en)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faceplate and/or ring electrically isolated from circuit
KR101588197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KR101829018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US10755500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640927B1 (ko)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ITTV20110153A1 (it) Sistema di videocitofonia
JP6218671B2 (ja) 自動ドアの電子錠制御システム
KR101516408B1 (ko) 로비폰 키패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키패드 제어시스템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20170136902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JP6811426B2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用プログラム
JP6956378B2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
CN205788362U (zh) 通过无线通信控制的移动设备门禁设备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EP3677743A1 (en) Electronic lock control system, electronic lock system,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lock control systems, and program
JP7054784B2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08683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56224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システム、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05210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情報端末用プログラム
JP2018145638A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2004003408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