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055A -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055A
KR20040033055A KR10-2004-7003878A KR20047003878A KR20040033055A KR 20040033055 A KR20040033055 A KR 20040033055A KR 20047003878 A KR20047003878 A KR 20047003878A KR 20040033055 A KR20040033055 A KR 20040033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oller
rollers
circumferential surface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53Pulley making
    • Y10T29/49455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4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는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한다. 그리고,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일부가 종동 풀리(7)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의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버런시의 발열을 억제한다. 이로써, 그리스의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는 클러치용 외륜(25)과 복수의 롤러(26)의 축방향 단부 외주연에 모떼기부를 설치한다. 이로써, 이러한 각 롤러(26)의 원주방향 위치를 적절히 하면서, 이러한 각 롤러(26)의 외경측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여, 조립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한다.

Description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ROLLER CLUTCH BUILT-IN TYPE PULLE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자동차의 주행용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여, 자동차에 필요한 발전을 실행하는 교류발전기의 구조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5-139550 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이 공보에 기재된 교류발전기(1)를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2)의 내측에 회전축(3)을 한쌍의 회전 베어링(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회전축(3)의 중간부에는, 로터(5)와 정류자(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3)의 일단부(도 1의 우측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2)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종동 풀리(7)를 고정하고 있다. 엔진으로의 장착 상태에서는, 이 종동 풀리(7)에 무단 벨트를 걸쳐, 엔진의 크랭크축에 의해, 상기 회전축(3)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한다.
상기 종동 풀리(7)로서 종래 일반적으로는, 단순히 상기 회전축(3)에 고정한 정도의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최근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가 일정 또는 상승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무단 벨트로부터 회전축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가 저하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종동 풀리와 회전축과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가 여러 종류 제안되어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8-213207 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8-285873 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22753 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63026 호 등에,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일방향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로서, 롤러 클러치를 사용하는 것도, 상기 각 공보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이러한 각 공보에 기재되는 등에 의해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는, 교류발전기(1)의 회전축(3)(도 1 참조)에 외부 삽입 고정 가능한 회전축 부재(축 부재라고도 함), 구체적으로는 슬리브(8)를 갖는다. 또한, 이 슬리브(8)의 주위에, 풀리 부재, 구체적으로는 종동 풀리(7)를, 이 슬리브(8)와 동심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슬리브(8)의 외주면과 종동 풀리(7)의 내주면 사이에, 한쌍의 볼 베어링(9a, 9b)과, 롤러 클러치(1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8)는, 전체를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교류발전기(1)의 회전축(3)의 단부에 외부 삽입 고정하고, 이 회전축(3)과 함께 회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슬리브(8)의 내주면 중간부에 나사 구멍부(11)를 형성하여, 이 나사 구멍부(11)와 상기 회전축(3)의 선단부 외주면에 설치한 수나사부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8)의 내주면 선단부(도 2의 좌측 단부)에, 단면 형상이 육각형인 걸림 구멍부(12)를 형성하여, 이 걸림 구멍부(12)에, 육각 렌치 등의 공구의 선단부를 걸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8)의 내주면 기단부(도 2의 우측 단부)는 상기 회전축(3)의 선단부 중간 부근 부분과 밀착 끼워맞춤 가능한 원형 구멍부(13)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8)와 회전축(3)을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조합하는 구조는, 스플라인 결합, 비원형 끼워맞춤, 키 결합 등의 다른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8)의 외주면 중앙부는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14)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동 풀리(7)의 외주면 선반부는, 폭 방향에 걸친 단면 형상을 파형으로 하고, 폴리 V-벨트(poly V-belt)라 불리는 무단 벨트의 일부를 걸기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8)의 외주면과 상기 종동 풀리(7)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축방향 중간부에 상기 롤러 클러치(10)를 배치하고, 이 공간의 축방향 양단 주변부에 이 롤러 클러치(10)를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위치에 상기 볼 베어링(9a, 9b)을 배치하고 있다.
볼 베어링(9a, 9b)은 상기 종동 풀리(7)에 부가되는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면서, 이 종동 풀리(7)와 상기 슬리브(8)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한다. 상기 각 볼 베어링(9a, 9b)은 각각 내주면에 깊은 홈형의 외륜 궤도(15)를 갖는 외륜(16)과, 외주면에 깊은 홈형의 내륜 궤도(17)를 갖는 내륜(18)과, 상기 외륜 궤도(15)와 내륜 궤도(17) 사이에 각각 복수개씩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볼(1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륜(16)을 상기 종동 풀리(7)의 양단 주변부 내주면에 끼워맞춤 고정하고, 내륜(18)을 상기 슬리브(8)의 양단 주변부 외주면에 끼워맞춤 고정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각 내륜(18)의 축방향 한쪽면을, 각각 상기 대직경부(14)의 축방향 양단부면(단차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외륜(16)의 양단부 내주면과 상기 각 내륜(18)의 양단부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밀봉 링(2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각 볼(19)을 설치한 공간의 양단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클러치(10)는, 상기 종동 풀리(7)가 상기 슬리브(8)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만, 이들 종동 풀리(7)와 슬리브(8) 사이에서의 회전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슬리브(8)의 대직경부(14)에 클러치용 내륜(21)을, 체결 고정함으로써 외부 삽입 고정하고 있다. 이 클러치용 내륜(21)은, 침탄강 등의 강판에 프레스 가공 등의 소성 가공을 실시하여 전체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에 캠면(22)을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에,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부(ramp portion)로 불리는 복수의 오목부(23)를, 원주방향에 관하여 등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주면을 상기 캠면(22)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내주면의 일단부(도 2의 좌측 단부)에 원추 오목면 형상의 모떼기(24)를 형성하고, 상기 모떼기(24)는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을 상기 대직경부(14)의 외주면에 가압할 때의 안내면이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종동 풀리(7)의 내주면 중간부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내부 삽입 고정한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중, 적어도 다음에 설명하는 롤러(26)와 접촉하는 축방향 중간부는 단순한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용 외륜(25)은, 역시 침탄강 등의 강판에 프레스 가공 등의 소성 가공을 실시하여 전체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축방향 양단부에 각각 내향 플랜지 형상의 플랜지부(27a, 27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양쪽 플랜지부(27a, 27b)중, 한쪽(도 2의 좌측)의 플랜지부(27a)는,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제조시에 미리 형성해 두기 때문에,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원통부와 동등한 두께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쪽(도 2의 우측)의 플랜지부(27b)는,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직경 방향 내측에, 다음에 설명하는 롤러(26)나 클러치용 유지기(28)를 조립하고 나서 형성하기 때문에,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용 유지기(28)가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에 이 클러치용 내륜(21)에 대한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여 외부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용 내륜(2l) 및 상기 클러치용 외륜(25)과 함께 상기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롤러(26)는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에 회전 및 원주방향에 대해 약간의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클러치용 유지기(28)는, 합성 수지[예컨대,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46),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의 합성 수지에 유리 섬유를 20% 정도 혼입한 것]에 의해 전체를 케이지형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도 4에 그 일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원환형인 한쌍의 림부(29)와, 이러한 양 림부(29)끼리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림부(29)의 내측면과 각 기둥부(30)의 원주방향 측면에 의해 4변을 둘러싼 부분을, 각각 상기 각 롤러(26)를 회전 및 원주방향으로 약간 변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포켓(31)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림부(29)의 내주면 복수 개소에 형성한 결합 돌기(32)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23)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를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에, 이 클러치용 내륜(21)에 대한 상대 회전을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캠면(22)의 외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중간부 내주면(원통면) 사이에 대략 원통형의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기둥부(30)의 원주방향 한쪽면에는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33)을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각 기둥부(30)마다 설치한 스프링(33)은, 상기 각 포켓(31)내에 유지한 상기 롤러(26)를 상기 대략 원통형의 간극의 치수중 직경 방향의 폭이 좁아진 부분을 향하여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원주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도 5의 우측=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스프링(33)으로서, 스프링 강판의 양단부를 대략 후크 형태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클러치용 유지기(28)와 일체의 합성 수지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은 플랜지부(27a, 27b)를 갖고, 상술한 바와 같은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양단부면은 양쪽 플랜지부(27a, 27 b)의 내측면과 근접 대향시켜서, 이 클러치용 유지기(28)가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단, 클러치용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이 밖에도 슬리브 등의 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한 복수의 단부와 클러치용 유지기의 일부를 결합시키는 구조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22753 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165201 호 등에 기재되어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사용시, 상기 종동 풀리(7)와 상기 슬리브(8)가 소정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즉 슬리브(8)에 대하여 종동 풀리(7)가, 상기 스프링(33)이 상기 각 롤러(26)를 가압하고 있는 방향(도 5의 우측=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각 롤러(26)가 상기 대략 원통형의 간극의 직경 방향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파고든다. 그리고, 상기 종동 풀리(7)와 상기 슬리브(8)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록 상태)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동 풀리(7)와 슬리브(8)가 상기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슬리브(8)에 대하여 종동 풀리(7)가, 상기 스프링(33)이 상기 각 롤러(26)를 가압하고 있는 것과 반대 방향(도 5의 좌측=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각 롤러(26)가 상기 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대략 원통 형상의 간극의 직경 방향의 폭이 넓은 부분으로 퇴피하여, 상기 종동 풀리(7)와 상기 슬리브(8)의 상대 회전이 가능(오버런 상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교류발전기에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 2가지이다. 우선, 제 1 이유는, 무단 벨트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상기 구동용 엔진이 디젤 엔진이나 직접 분사식의 가솔린 엔진인 경우, 아이들링시 등의 저회전시에는 크랭크축의 회전 각속도의 변동이 커진다. 이 결과, 상기 구동 풀리에 걸쳐진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도 미세하게 변동하게 된다. 한편, 이 무단 벨트에 의해 종동 풀리를 거쳐 회전 구동되는 교류발전기의 회전축(3)은, 이 회전축(3) 및 이 회전축(3)에 고정한 로터 등의 관성 질량에 기초하여, 그 정도로 급격하게는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종동 풀리를 회전축에 대하여 단순히 고정한 경우에는, 크랭크축의 회전 각속도의 변동에 수반하여, 상기 무단 벨트와 종동 풀리가 양방향으로 마찰되는 경향이 있다. 이 결과, 이 종동 풀리와 마찰되는 무단 벨트에 반복해서 다른 방향의 응력이 작용하여, 이 무단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용이하게 되거나, 또는 이 무단 벨트의 수명이 줄어들거나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동 풀리로서, 상기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가 일정 또는 상승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 풀리로부터 회전축(3)으로의 회전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반대로 상기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가 저하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종동 풀리와 회전축(3)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무단 벨트의 주행 속도가 저하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 풀리의 회전 각속도를 상기 회전축의 회전 각속도보다도 느리게 하여, 상기 무단 벨트와 종동 풀리의 접촉부가 강하게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종동 풀리와 무단 벨트의 마찰부에 작용하는 응력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이 무단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또는 이 무단 벨트의 수명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이유는, 교류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교류발전기의 로터를 고정한 회전축(3)은, 자동차의 구동용 엔진에 의해, 무단 벨트와 종동 풀리를 거쳐 회전 구동한다. 고정식의 종동 풀리를 사용하면, 상기 구동용 엔진의 회전 속도가 급격히 저하한 경우에, 상기 로터의 회전 속도도 급격히 저하하여, 상기 교류발전기에 의한 발전량도 급격히 감소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교류발전기에 부속된 종동 풀리로서, 상기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사용하면, 상기 구동용 엔진의 회전 속도가 급격히 저하한 경우에도, 상기 로터의 회전 속도가 관성력에 의해 서서히 저하하여, 그 동안에도 발전을 계속한다. 이 결과, 고정식의 종동 풀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기 회전축 및 로터의 운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교류발전기의 발전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은,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종동 풀리측에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실행했지만, 동일한 구성을 갖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구동측인 크랭크축의 단부에 설치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구조를 포함하여, 종래부터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에 관하여 기재한 각종 문헌에는, 이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고, 이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작업을 능률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충분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은, 한가지 특징에 의하면, 풀리 부재와, 회전축 부재(축 부재라고도 함)와, 롤러 클러치와, 제 1 볼 베어링과, 제 2 볼 베어링을 구비한다.
이중 풀리 부재는, 외주면에 무단 벨트를 걸 수 있게 한 대략 원통 형상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 부재는 상기 풀리 부재의 내경측에 이 풀리 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클러치는, 이들 풀리 부재의 축방향 중간부 내주부와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중간부 외주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풀리 부재와 회전축 부재 사이에서 일방향의 회전력만을 전달한다, 즉, 회전 방향의 일 방향에서 로킹되고, 다른 방향에서 언로킹되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 클러치는, 외경부에 있는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과, 내경부에 있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과, 유지기와, 복수개의 롤러와, 복수개의 스프링과, 탈락 방지 수단과,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구비한다.
이중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은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중간부 내주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은 상기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중간부 외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이 원주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한 캠부 또는 캠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기는,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복수개의 포켓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각 롤러는 상기 유지기의 포켓내에 회전 및 이 유지기의 원주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스프링은, 상기 각 롤러와 유지기 사이에 설치되고, 즉 유지기에 결합하여, 상기 각 롤러를 이 유지기의 원주방향에 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락 방지 수단은, 상기 유지기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 포켓내에 유지된 상기 각 롤러가 이들 각 포켓내에서 상기 유지기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 및 피결합부중 결합부는,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결합함으로써, 이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에 대한 상기 유지기의 상대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일단부 내주부와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일단부 외주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풀리 부재와 회전축 부재 사이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볼 베어링의 외경부는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일단부 내주부에 있어, 해당 외경부의 내주면에 제 1 외륜 궤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볼 베어링의 내경부는, 상기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일단부 외주부에 있어, 해당 내경부의 외주면에 제 1 내륜 궤도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복수개의 제 1 볼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풀리 부재와 회전축 부재 사이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의 내주면에 내부 삽입한 베어링용 외륜과, 상기 회전 축부재의 축방향 타단부의 외주면에 외부 삽입한 베어링용 내륜을 갖고, 상기 베어링용 외륜의 내주면에 형성한 제 2 외륜 궤도와, 상기 베어링용 내륜의 외주면에 형성한 제 2 내륜 궤도 사이에, 복수개의 제 2 볼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부재와 상기 베어링용 내륜으로, 축부재 유닛, 즉 회전축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 유닛은 외주면에 복수의 단차부를 갖는다. 그리고, 이중 2개의 단차부와 상기 유지기의 일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이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클러치를 구성하는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롤러 궤도 단부중 적어도 한쪽, 예컨대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롤러 궤도 단부에 모떼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 롤러의 주위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배치하기 위해, 이들 각 롤러와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을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접근시켜,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과 상기 캠면에 의해, 이들 각 롤러를 원주방향을 향해,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동시에 변위시킬 때에, 상기 모떼기는 안내면이 된다.
상기 모떼기의 모떼기량(직경 방향에 관한 폭)의 합계는, 축방향으로 본 경우에, 상기 각 롤러와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이 중첩되는 치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지기와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동심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원주방향에 대한 위상을 소정의 것으로 한 상태(상기 유지기에 유지된 각 롤러의 회전면의 일부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이들 각 롤러를 상기 각 스프링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이들 각 롤러와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축방향에서 본 경우에, 이들 각 롤러와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이 중첩되는 치수보다도,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단부의 모떼기량과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롤러 궤도 단부의 모떼기량의 합계를 크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른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에 설치한 각 포켓내에 각각 롤러를 유지하고, 이들 각 롤러를 스프링에 의해 이들 각 포켓의 원주방향 일단부측에 가압한 상태에서, 이들 각 롤러와 상기 유지기를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경측에 장착하여 조립체를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유지기에 유지된 상기 각 롤러 및 상기 각 스프링의 외경측에상기 롤러 클러치의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장착하도록,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단부를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에, 상기 모떼기를 안내면으로 하여 가압하면서, 바꿔 말하면,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재를 상기 유지기에 유지된 상기 각 롤러의 상측, 즉 외경측에 상기 모떼기를 이용하여 외부 삽입하면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재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각 롤러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한 캠면을 향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각 롤러와 캠면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각 롤러를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변위시켜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 사이에서 각 롤러를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롤러 클러치로 한다.
이렇게 하여 이 롤러 클러치를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중간부 내주면과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중간부 외주면 사이에 장착한 후,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 외주면 사이에 제 2 볼 베어링을 장착한다.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제 2 볼 베어링의 장착 작업에 앞서,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일단부 내주부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일단부 외주부 사이에 장착한다. 상기 제 1 볼 베어링의 장착 작업과 상기 롤러 클러치의 장착 작업의 전후는 묻지 않는다.
또한,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 부재의 축방향 타단부 외주면 사이 부분에 장착한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이 사이 부분에 고정하는 작업은 압입, 코킹, 용접, 접착중에서 선택되는 어떤 방법에 의해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의 경우에는, 상기 조립체를 구성한 후, 이 조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를 이 조립체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지그를 이 조립체의 주위에 임시 배치한다. 이어서, 이 지그에 의해, 상기 복수의 롤러를 상기 조립체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를 상기 조립체의 주위에 장착하고 나서, 상기 제 2 볼 베어링의 장착 작업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에 의하면, 충분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우선, 충분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작용·효과는, 회전축 유닛의 외주면에 형성한 복수의 단부와 유지기의 일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이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상기 각 단부와 유지기의 일부의 결합에 의해 이 유지기의 축방향 변위를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유지기의 축방향 단면과, 클러치용 외륜의 일부 등, 풀리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이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유지기는, 회전축 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에 대하여, 상대 회전을 저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리 부재와 상기 유지기는, 롤러 클러치의 오버런시(접속이 끊겼을 때)에 상대 회전한다.이 때문에, 상기 유지기의 축방향 단면과, 클러치용 외륜의 일부 등, 풀리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이 접촉하면, 오버런시에 접촉부가 마찰되는 것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상기 롤러 클러치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이 온도 상승이 현저해지면, 이 롤러 클러치내에 봉입한 그리스가 열화하여, 내소부성(耐燒付性)이 손상되는 등, 충분한 내구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경우에는, 오버런시에도 상대 회전하지 않는 유지기와 회전축 유닛 사이에서 이 유지기의 축방향 변위를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런시에 유지기가 상기 클러치용 외륜의 일부 등의 상대면과 강하게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버런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억제하고, 그리스의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지기와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축방향 변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유지기에 유지된 각 롤러의 회전면이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한 캠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롤러의 회전면의 일부가 상기 캠면의 축방향 단부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이 회전면에 에지 로드가 가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이 회전면의 회전 접촉 피로 수명의 저하를 방지하여, 이 면으로부터도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작업의 용이화는 탈락 방지 수단과 모떼기를 설치함으로써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첫째로, 이중 탈락 방지 수단이, 상기 유지기의 각 포켓내에 유지한 각롤러가 이 유지기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유지기의 각 포켓내에 유지한 롤러의 내경측에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을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탈락 방지 수단이 없으면, 상기 각 포켓내에 유지한 각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유지기의 내경측으로 크게 돌출 또는 탈락하여, 이 유지기의 내경측에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을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탈락 방지 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삽입 작업시에 상기 각 롤러가 상기 유지기의 내경측으로 크게 돌출 또는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롤러 클러치용의 유지기는, 단일의 유지기에, 조립시에 상기 각 롤러가 이 유지기의 내경측으로 크게 돌출 또는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사용시에 유지기 자신이 축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의, 2가지의 위치 제어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조립 작업의 용이화와 상기 내구성 및 신뢰성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두번째로,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주위에 배치한 상기 각 롤러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외부 삽입하는 작업은, 이들 각 롤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롤러 궤도 단부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 설치한 모떼기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모떼기가,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주위에 배치하기 위해, 이들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과 각 롤러를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접근시킬 때의 안내면으로 되기 때문에,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단부를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외부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주위에, 상기 유지기와, 상기 각 롤러와, 각 스프링을 장착하여 조립체로 하고 나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외부 삽입하면, 상기 모떼기가,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이 이들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외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외부 삽입할 때에,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이 이들 각 롤러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한 캠을 향해 이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 결과 상기 캠이 상기 각 롤러를,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변위시킨다. 또한, 이들 각 롤러를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 사이에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예컨대, 캠의 오목부에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부분)로 이동시켜, 상기 롤러 클러치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롤러가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외부 삽입 작업에 의해, 모든 롤러에 대하여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에, 롤러 클러치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롤러를 상기 캠면에 의해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각 롤러를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롤러를 상기 양 원주면끼리의 사이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처음으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탈락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각 롤러가 상기 유지기의 내경측으로 크게 돌출 또는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각 롤러의 내경측으로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을 삽입하는 작업을 실행하기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모떼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 부분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롤러 궤도 단부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캠면의 복수의 오목부의 경사면이 상기 각 롤러를, 동시에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원주방향으로 변위시켜, 이들 각 롤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롤러 및 스프링을 내장한 구조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스프링을 독립하여 압축시키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롤러 클러치를 구성하는 유지기에 설치한 탈락 방지 수단의 작용에 의해, 이 유지기의 내경측으로의 상기 각 롤러의 변위를 억제하여, 이 유지기의 내경측 부분에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을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떼기를 이용하여 이 클러치용 외륜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외부 삽입함으로써, 상기 각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면서, 이들 각 롤러를 동시에 상기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다수의 롤러 및 스프링이 존재함으로써 종래는 번거롭던, 이들 각 롤러를 상기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지기, 상기 각 롤러, 상기 각 스프링 및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조합에 관하여,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과 상기 각 롤러를 접촉시키기까지의 작업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접촉한 이후에 상기 각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면서 상기 각 롤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용 발전기인 교류발전기(alternator)의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하는 종동 풀리, 또는 자동차용 엔진의 크랭크축의 단부에 고정하는 구동 풀리로서 사용하는, 엔진의 보조 기계 구동용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교류발전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종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3은 클러치용 내륜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클러치용 내륜 및 클러치용 유지기만을 취출하여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6은 클러치용 유지기에 장착한 스프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실시예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8은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클러치용 내륜의 단부 외주연부에 형성한 모떼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a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9b는 IX-IX 단면도,
도 10은 클러치용 내륜 및 롤러의 단부 외주연부에 형성한 모떼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클러치용 내륜을 롤러의 내경측으로 밀어넣기 이전의 상태에서의 이들 클러치용 내륜과 롤러의 위치 관계를 도 7의 측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f는 실시예의 제 1 예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공정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실시예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실시예의 제 2 예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공정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실시예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실시예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실시예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l8은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실시예의 제 6 예를 나타내는 반부 단면도,
도 19a 내지 도 19l은 클러치용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의 다른 12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0a 내지 도 20m은 클러치용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의 다른 13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1a 내지 도 21f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의 다른 6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2a 및 도 22b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의 다른 2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3은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4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5a 및 도 25b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4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25a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5b는 롤러를 생략하여 도 25a의 하방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26a 및 도 26b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5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26a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XXVI-XXVI 단면도,
도 27은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6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8은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7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9는 클러치용 유지기의 포켓으로부터 롤러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8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지그의 제 1 예의 개략 측면도,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지그의 제 2 예의 비작동 상태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2a 및 도 32b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지그의 제 3 예의 비작동 상태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오버런시에 클러치용 유지기(28)와, 종동 풀리(7)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이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찰열로 인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상기 종동 풀리(7)의 내경측으로 롤러 클러치(10)의 장착하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점에 있다. 그 밖의 부분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종래 구조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부분 및 상기 종래 구조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클러치용 유지기(28)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 일단부(도 7의 우측 단부)에 내향 플랜지 형상의 걸림 플랜지부(34)를 전체 원주에 걸쳐, 또는 원주방향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타단부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걸림 돌기(35)를 원주방향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각 걸림 돌기(35)의 내주 측면은, 선단을 향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경사면(36)으로 되어 있다. 한편, 회전축 부재인 슬리브(8)의 중간부 외주면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외부 삽입 고정한, 상기 롤러 클러치(10)의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 양단부면을 복수의 단차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 양단부면과, 상기 걸림 플랜지부(34)와 상기 각 걸림 돌기(35)가 서로 대향하는 면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고 있다.
다음에, 각 롤러(26)가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설치한 포켓(31)으로부터,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수단에 관하여,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각 롤러(2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설치한 각 포켓(31)내에, 회전 및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원주방향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단, 상기 각 포켓(31)의 개구부중,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내경측 개구의 원주방향에 대한 폭(W31)은, 상기 각 롤러(26)의 직경(D26)보다도 작게(W31<D26)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각 롤러(26)가 상기 내경측 개구를 통과할 수는 없고, 이들 각 롤러(26)가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탈락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유지한 상태로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주위에 배치한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클러치용 외륜(25)이 진입되도록,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일단부면 내주연부와 상기 각 롤러(26)의 축방향 단부에 형성한 모떼기에 관하여, 도 9a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일단부면 내주연부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과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단부면(37)을 연속시키는 모떼기(38)를 전체 원주에 걸쳐 형성하고 있다. 이 모떼기(38)는,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단부면(37)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사발(bowl) 형상의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각 롤러(26)의 축방향 단부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1/4의 원호 형상, 또는 부분 원추 볼록면 형상의 모떼기(39)를형성하고 있다.
이들 각 모떼기(38, 39)는 상기 각 롤러(26)의 주위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배치하기 위해, 바꿔 말하면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내경측에 상기 각 롤러(26)를 배치하기 위해, 이들 클러치용 외륜(25)과 각 롤러(26)를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접근시켜, 상기 캠면(22)에 의해 이들 각 롤러(26)를 원주방향을 향해 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위시킬 때의 안내면으로 된다. 즉, 각 롤러(26)의 외경측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배치하기 위해, 이 클러치용 외륜(25)을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밀어넣을 때에, 상기 각 모떼기(38, 39)끼리의 결합에 기초하여, 이들 각 롤러(26)의 축방향 단부 외주연과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단부 내주연이 간섭하지 않고, 이 클러치용 외륜(25)을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외부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모떼기(38, 39)의 모떼기량, 즉 이들 각 모떼기(38, 39)의 직경 방향에 대한 폭(W38, W39)의 합계를 상기 각 롤러(26) 및 클러치용 외륜(25)의 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이 규제하고 있다. 즉,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외부 삽입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주위에 배치된 상기 각 롤러(26)의 축방향 단부 주위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단부를 진입시킨다. 이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각 롤러(26)와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은 아직 축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이다. 그리고, 이들 각 롤러(26)는, 상기 각 스프링(33)에 의해 가압되어, 원주방향에 대한 위상이,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의 캠면(22)에 있는 각 오목부(23)의 깊이가 얕아진 부분[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의 간격이 좁아진 부분]으로 이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각 롤러(26)의 일부가, 상기 클러치용 내륜(25)의 내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일부와 상기 각 롤러(26)의 일부가,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중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들 양 부재(25, 26)끼리가 중첩하는 양을 δ로 한 경우에, 상기 각 모떼기(38, 39)의 직경 방향에 대한 폭(W38, W39)의 합계를, 상기 중첩하는 양(δ)보다도 크게(W38+W39>δ)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관계(W38+W39>δ)가 성립하면, 이들 양 폭(W38, W39)중 어느 한쪽이 0이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상기 각 모떼기(38, 39)의 크기를 규제함으로써, 미리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에 배치한 클러치용 유지기(28) 및 복수의 롤러(26)의 외경측에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외부 삽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성 각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예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작업은 예컨대 도 12a 및 도 12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행한다. 우선,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상기 각 스프링(33)(도 6, 도 11 참조)을 장착하는 동시에,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설치한 각 포켓(31)내에 각각 롤러(26)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이들 각 롤러(26)는 상기 각 스프링(33)에 의해 상기 각 포켓(31)의 원주방향 일단부측에 가압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탈락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각 롤러(26)가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탈락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각 롤러(26)와 상기 각 스프링(33)과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를,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외경측에 장착한다. 이 때,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측에 설치한 결합 돌기(32)와,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측에 설치한 오목부(23)를 결합시켜, 이 클러치용 내륜(21)과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상대 회전을 저지한다(도 11 참조). 또한,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내경측으로의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밀어넣기는,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타단부에 형성한 걸림 돌기(35)(도 7 참조)측으로부터 실행한다. 밀어넣기 작업시에는, 이 걸림 돌기(35)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 후,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에 클러치용 외륜(25)을 장착한다.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장착 작업시에는, 우선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일단부를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밀어 넣는다(외부 삽입한다). 이 밀어넣기 작업시, 이들 클러치용 외륜(25)과 각 롤러(26)의 축방향 단부에 형성한 상기 각 모떼기(38, 39)(도 9a 내지 도 10 참조)가 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밀어넣기 작업은, 특별히 번거롭지 않고,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밀어넣기 작업(외부 삽입 작업)을 개시하는 순간에는,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에 대한 상기 각 롤러(26)의 원주방향에 대한 위상은, 전술한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 있다. 즉, 이들 각롤러(26)가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의 캠면(22)에 있는 오목부(23)의 비교적 얕은 부분에 위치하여, 그 만큼 상기 각 롤러(26)가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교적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원주방향에 대한 상기 각 롤러(26)의 위상이 그 상태에서는,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외부 삽입을 실행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상기 각 롤러(26)가 존재하는 부분에서,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에 형성한 캠면(22)의 거리(L)가 상기 각 롤러(26)의 직경(D26)보다도 작기(L<D26) 때문이다.
단,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더욱 외부 삽입하면,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에 형성한 상기 캠면(22)이, 상기 각 롤러(26)를 상기 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즉, 상기 각 모떼기(38, 39)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단부가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으로 들어가는 동시에, 이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이 이들 각 롤러(26)를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이들 각 롤러(26)는 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반작용을 받는다. 그리고, 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에 설치한 캠면(22)의 오목부(23)의 경사면이 상기 각 롤러(26)를, 이 경사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이 직각 방향의 힘중,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원주방향의 분력에 기초하여, 상기 각 롤러(26)가 상기 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 1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과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 사이에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 즉 이들 양 원주면끼리의 간격이 정확히 상기 각 롤러(26)의 직경(D26)에 일치하는 부분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롤러 클러치(10) 자체의 조립은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조립한 롤러 클러치(10)는, 도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종동 풀리(7)에 체결 고정하여 내부 삽입함으로써, 이 종동 풀리(7)의 축방향 중간부 내주면에 장착한다. 그 후, 도 12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을 슬리브(8)에 체결 고정하여 외부 삽입함으로써, 이 슬리브(8)의 축방향 중간부 외주면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종동 풀리(7)의 중간부 내주면과 상기 슬리브(8)의 중간부 외주면 사이에 상기 롤러 클러치(10)가 장착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l2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종동 풀리(7)의 축방향 양단부 내주면과 상기 슬리브(8)의 양단부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롤러 클러치(10)를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는 부분에 제 1, 제 2 볼 베어링(9a, 9b)을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가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의 특징은, 상기 롤러 클러치(10)를 조립하기 위해, 미리 클러치용 내륜(21)의 외경측에 장착한 클러치용 유지기(28)와 롤러(26)와 스프링(33)의 외경측에 클러치용 외륜(25)을 장착하는 공정에 있다. 그 밖의 공정에 관해서는, 도 12a 내지 도 12f에 나타낸 순서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 실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미리 슬리브(8)의 외주면 축방향 중간부에 외부 삽입 고정한 상기 클러치용 내륜(21)의 외경측에,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와 롤러(26)와 스프링(33)과 상기 클러치용 외륜(25)을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볼 베어링(9a, 9b)중 한쪽은, 상기 롤러 클러치(10)의 장착에 앞서, 상기 종동 풀리(7)의 내주면과 상기 슬리브(8)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경우에는,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기 위한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40)을 종동 풀리(7)와 일체로,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41)을 슬리브(8)와 일체로,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본 예의 구조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용 유지기(28)에 각 롤러(26)와 스프링을 조립한 후, 이들 각 부재를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41)의 외경측에 장착한다. 이어서,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40)을 상기 각 롤러(26)의 외경측 부분에 장착하여 상기 롤러 클러치(10)로 하고 나서,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롤러 클러치(10)의 양측에 한쌍의 볼 베어링(9a, 9b)을 장착한다.
그 밖의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 1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하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예 내지 제 6 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5에 도시한 제 3 예의 경우에는, 종동 풀리(7)의 내주면 축방향 중간부에 클러치용 외륜(25)을 내부 삽입 고정하고, 슬리브(8)의 외주면 축방향 중간부에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41)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16에 도시한 제 4 예의 경우에는, 슬리브(8)의 외주면 축방향 중간부에 클러치용 내륜(21)을 외부 삽입 고정하여, 종동 풀리(7)의 내주면 축방향 중간부에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40)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한 제 5 예의 경우에는, 제 1 볼 베어링(9a)의 내륜에 상당하는 부분을 슬리브(8)와 일체로, 동일하게 외륜에 상당하는 부분을 종동 풀리(7)와 일체로,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제 6 예의 경우에는,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기 위한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40)을 종동 풀리(7)와 일체로,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41)을 슬리브(8)와 일체로,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제 1 볼 베어링(9a)의 내륜에 상당하는 부분을 슬리브(8)와 일체로, 마찬가지로 외륜에 상당하는 부분을 종동 풀리(7)와 일체로,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 3 예 내지 제 6 예의 그 밖의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 1 예 및 제 2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하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회전축 부재(8)에 볼 베어링(9a, 9b)중 적어도 한쪽의 내륜(18)을 외부 삽입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축 유닛(52)의 외주면에 설치한 복수의 단차부(53a, 53b)와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일부를 결합시킴으로써,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의 다른 예에 관하여, 도 19a 내지 21f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회전축 유닛(52)의 외주면에 설치한 단차부란, 이 회전축 유닛(52)의 외주면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한 단부[예컨대 도 19a의 참조부호(53b)]는 물론, 이 회전축 부재(8)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 홈(55)의 측면[예컨대 도 19c의 참조부호(53a, 53b)], 이 회전축 부재(8)에 외부 삽입 고정한 클러치용 내륜(21)[클러치용 내륜 상당부(41)]나 볼 베어링(9a, 9b)을 구성하는 베어링용 내륜(18)의 축방향 단부면[예컨대 도 19b의 참조부호(53b)]도 포함된다.
이러한 단차부(53a, 53b)를 사용하여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의 변위를 억제하기 위한 구조중, 도 19a 내지 도 19l은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부(54)를 한쌍의 단차부(53a, 53b)끼리의 사이에 위치시킨 것과, 도 20a 내지 도 20m은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양단부[이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부(54)를 포함함]를 한쌍의 단차부(53a, 53b) 끼리의 사이에 위치시킨 것과, 도 21a 내지 도 21f는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양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한쌍의 걸림부(54a, 54b)에 의해 한쌍의 단차부(53a, 53b)를 사이에 둔 것, 도 22a 및 도 22b는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일단부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한 한쌍의 걸림부(54a, 54b)에 의해 단차부(53a, 53b)를 삽입한 것이다.
다음에, 클러치용 유지기(28)의 각 포켓(31)내에 유지된 각 롤러(26)가 이들 각 포켓(31)내에서 이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탈락하는 것을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구조의 다른 예에 관하여, 도 23 내지 도 29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도 23은 스프링(33)에 의해 롤러(26)를 포켓(31)의 내면을 구성하는 경사면(42)으로 가압하고, 이 롤러(26)에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한 것이다.
또한, 도 24는 포켓(31)의 내경측 개구부에 탭(43a, 43b)을 돌출 형성하여, 이들 각 탭(43a, 43b)의 선단끼리의 간격을 롤러(26)의 직경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또한, 도 25a 및 도 25b는 클러치용 유지기(28)의 내경 주변 부분에 포켓(31)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필라멘트 형상의 선재(44)를 설치하고, 이 선재(44)와 상기 포켓(31)의 상대면의 간격을 롤러(26)의 직경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는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양단부 내주면에 와이어 링(45)을 장착하는 동시에, 롤러(26)의 양단부에 돌기(46)를 설치하고, 이들 와이어 링(45)과 돌기(46)의 결합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26)의 상기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억제한 것이다.
또한, 도 27은 롤러(26)의 직경 방향 단부에 설치한 돌기(46)와 결합하는 필라멘트 형상의 선재(47)를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축방향 단부에 매설한 것이다.
또한, 도 28은 상기 도 26의 예에서, 와이어 링(45)과 돌기(46) 사이에 스프링(48)을 설치하고, 롤러(26)에 클러치용 유지기(28)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탄성력을 부여한 것이다.
또한, 도 29는 클러치용 유지기(28)에 설치한 포켓(31)중에 축방향 양단측 내면에 오목부(49a, 49b)를 형성하여, 이들 각 오목부(49a, 49b)내에, 뾰족한 롤러(26)의 축방향 양단부를 결합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각 롤러의 외경측에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밀어넣음에 앞서, 도 30 내지 도 32b에 개략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그(50)에 의해 상기 각 롤러를 동시에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유지기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소정 위치로 동시에 이동시켜, 상기 각 롤러의 외접원의 직경을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내경 이하로 하고, 이 상태에서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지그(50)중, 도 30에 도시한 지그(50)는 각각이 원호 형태인 복수의(도시한 경우에는 3개의) 가압편(51)을 로드(56)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외부 삽입 작업시에는,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를 상기 각 가압편(51)에 의해,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축방향 다른 반부측으로부터 외부 삽입한다.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이들 각 롤러의 축방향 다른 반부에 외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50)를 퇴피(제거)하고 나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까지 외부 삽입한다.
다음에, 도 31a 및 도 31b에 도시한 지그(50)는, 원환형의 홀더(57)에 상기 각 롤러와 동일한 수의 가압 로드(58)를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외부 삽입 작업시에는,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에 상기 홀더(57)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가압 로드(58)를 도 31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31b에 도시한 상태까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를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축방향 다른 반부측으로부터 외부 삽입한다.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이들 각 롤러의 축방향 다른 반부에 외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50)를 퇴피(제거)하고 나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까지 외부 삽입한다.
또한, 도 32a 및 도 32b에 도시한 지그(50)는, 가요성을 갖는 코드(cord) 형상의 것으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외부 삽입 작업시에는,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에 배치한 상기 지그(50)를 도 32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32b에 도시한 상태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를 클러치용 내륜 상당 부분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외경측으로 축방향 다른 반부측으로부터 외부 삽입한다. 이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이들 각 롤러의 축방향 다른 반부에 외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50)를 제거하고 나서,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을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하나의 반부까지 외부 삽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지그(50)를 사용하여 조립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클러치용 외륜 상당 부분의 축방향 일단부면 내주연부의 모떼기는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불필요하지만, 형성해도 문제는 없음).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엔진용 보조 기계의 벨트 전동 장치용으로서, 풀리 부재와, 이 풀리 부재의 내경측에 배치된 축부재와, 이들 풀리 부재의 축방향 한쪽과 축부재의 축방향 한쪽 사이에 설치된 제 1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다른쪽과 상기 축부재의 축방향 다른쪽 사이에 설치된 제 2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 부재와 축부재 사이에 설치된 롤러 클러치를 구비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부에 있고 내주면에 제 1 외륜 궤도를 갖는 외경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부에 있고 외주면에 제 1 내륜 궤도를 갖는 내경부와, 이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1 볼을 구비하며,
    ⓑ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와는 별개로 이 풀리 부재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내주면에 제 2 외륜 궤도를 갖는 외륜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축부재와 함께 축부재 유닛을 구성하고, 외주면에 제 2 내륜 궤도를 갖는 내륜과, 이 제 2 내륜 궤도와 상기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2 볼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는, 회전 방향의 일방향으로 로킹되고, 다른 방향으로 언로킹되는 것으로서,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부에 설치된 외경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에 캠부를 설치한 내경부와, 이 내경부의 외주면과상기 외경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와, 상기 외경부와 내경부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상기 각 롤러를 유지한 복수개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와, 이 유지기에 결합하고 있어 상기 각 롤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는 상기 각 롤러의 탈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내주면에는 이들 각 롤러의 궤도가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축부재 유닛은, 복수의 단차부를 갖고 이중 2개의 단차부에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 상기 각 롤러의 단부와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롤러 궤도 단부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기 위한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에 설치한 포켓내에 상기 각 롤러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 롤러를 각각 이 유지기에 결합하고 있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하여, 이 유지기를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외경측에 장착하여 조립체로 한 후,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를 상기 조립체의 복수의 롤러의 상부까지, 상기 모떼기를 이용하여 삽입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며,
    ⓙ 그 후,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체의 유지기와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를 동축상에 맞춘 상태에서, 이 외경부의 내주면에 설치한 클러치용의 궤도로부터 이 외경부의 외경측으로의 롤러의 돌출량보다도, 이들 각 롤러의 단부의 모떼기량과 상기 외경부의 롤러 궤도 가장자리부의 모떼기량의 합계가 큰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
  3. 엔진용 보조 기계의 벨트 전동 장치용으로서, 풀리 부재와, 이 풀리 부재의 내경측에 배치된 축부재와, 이들 풀리 부재의 축방향 한쪽과 축부재의 축방향 한쪽 사이에 설치된 제 1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다른쪽과 상기 축부재의 축방향 다른쪽 사이에 설치된 제 2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 부재와 축부재 사이에 설치된 롤러 클러치를 구비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부에 있고 내주면에 제 1 외륜 궤도를 갖는 외경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부에 있고 외주면에 제 1 내륜 궤도를 갖는 내경부와, 이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1 볼을 구비하며,
    ⓑ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와는 별개로 이 풀리 부재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내주면에 제 2 외륜 궤도를 갖는 외륜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축부재와 함께 축부재 유닛을 구성하고, 외주면에 제 2 내륜 궤도를 갖는 내륜과, 이 제 2 내륜 궤도와 상기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2 볼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는, 회전 방향의 일방향으로 로킹되고, 다른 방향으로 언로킹되는 것으로서,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부에 설치된 외경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에 캠부를 설치한 내경부와, 이 내경부의 외주면과 상기 외경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와, 상기 외경부와 내경부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상기 각 롤러를 유지한 복수개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와, 이 유지기에 결합하고 있어 상기 각 롤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는 상기 각 롤러의 탈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 상기 축부재 유닛은, 복수의 단차부를 갖고 이중 2개의 단차부에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에 설치한 포켓내에 상기 각 롤러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 롤러를 각각 이 유지기에 결합하고 있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하여, 이 유지기를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외경측에 장착한 조립체로 한 후,
    ⓖ 상기 조립체의 롤러의 외주에, 이 조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를 이 조립체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지그를 임시 배치하며,
    ⓗ 이어서, 이 지그에 의해 상기 복수의 롤러를 상기 조립체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를 상기 조립체의 주위에 장착한 후,
    ⓘ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풀리 부재와 축부재 사이 부분으로의 제 2 볼 베어링의 장착을, 압입, 코킹, 용접, 접착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행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
  5. 엔진용 보조 기계의 벨트 전동 장치용으로서, 풀리 부재와, 이 풀리 부재의 내경측에 배치된 축부재와, 이들 풀리 부재의 축방향 한쪽과 축부재의 축방향 한쪽 사이에 설치된 제 1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 부재의 축방향 다른쪽과 상기 축부재의 축방향 다른쪽 사이에 설치된 제 2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 부재와 축부재 사이에 설치된 롤러 클러치를 구비하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부에 있고 내주면에 제 1 외륜 궤도를 갖는 외경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부에 있고 외주면에 제 1 내륜 궤도를 갖는 내경부와, 이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1 볼을 구비하며,
    ⓑ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 부재와는 별개로 이 풀리 부재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내주면에 제 2 외륜 궤도를 갖는 외륜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축부재와 함께 축부재 유닛을 구성하고, 외주면에 제 2 내륜 궤도를 갖는 내륜과, 이 제 2 내륜 궤도와 상기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 2 볼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는, 회전 방향의 일방향으로 로킹되고, 다른 방향으로 언로킹되는 것으로서, 상기 풀리 부재의 내주부에 설치된 외경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에 캠부를 설치한 내경부와, 이 내경부의 외주면과 상기 외경부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와, 상기 외경부와 내경부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의 내측에 상기 각 롤러를 유지한 복수개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와, 이 유지기에 결합하고 있어 상기 각 롤러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는 상기 각 롤러의 탈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내주면에는 이들 각 롤러의 궤도가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축부재 유닛은, 복수의 단차부를 갖고 이중 2개의 단차부에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유지기의 축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구성하며,
    ⓖ 상기 각 롤러의 단부와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내주 단부중 적어도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롤러 궤도 단부에,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기 위한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조립체의 유지기와 외경부를 동축상에 맞춘 상태에서, 이 외경부의 내주면에 설치한 클러치용의 궤도로부터 이 외경부의 외경측으로의 롤러의 돌출량보다도, 이들 각 롤러의 단부의 모떼기량과 상기 외경부의 내주연부의 모떼기량의 합계가 큰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볼 베어링이 풀리 부재와 축부재 사이 부분에, 압입, 코킹, 용접, 접착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
KR10-2004-7003878A 2001-09-17 2002-09-12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 KR20040033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1831A JP2003090414A (ja) 2001-09-17 2001-09-17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とその組立方法
JPJP-P-2001-00281831 2001-09-17
PCT/JP2002/009347 WO2003029695A1 (fr) 2001-09-17 2002-09-12 Dispositif de poulie du type roue libre a rouleaux incorporee et procede d'assemblage de celui-c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55A true KR20040033055A (ko) 2004-04-17

Family

ID=1910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878A KR20040033055A (ko) 2001-09-17 2002-09-12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7728B2 (ko)
EP (1) EP1429053A4 (ko)
JP (1) JP2003090414A (ko)
KR (1) KR20040033055A (ko)
CN (1) CN1578889A (ko)
WO (1) WO2003029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74A (ja) * 2001-09-21 2003-04-03 Nsk Ltd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の組立方法
JP2006064107A (ja) * 2004-08-27 2006-03-09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00565A (ja) * 2005-01-18 2006-08-03 Nsk Warner Kk パッケージ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20060219510A1 (en) * 2005-03-31 2006-10-05 Victory Industrial Corporation Unidirectional Transmission for An Alternator Assembly
US7270494B2 (en) * 2005-12-05 2007-09-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Easy assembly printer media transport arrangement
JP5929165B2 (ja) * 2011-12-22 2016-06-01 日本精工株式会社 ローラクラッチ
JP2014173698A (ja) * 2013-03-12 2014-09-22 Jtekt Corp クラッチユニットの組立方法
JP6221391B2 (ja) * 2013-06-19 2017-11-01 日本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用ばね及び一方向クラッチ
JP2015025483A (ja) * 2013-07-25 2015-02-05 日本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CN105020294A (zh) * 2014-04-30 2015-11-04 洛阳轴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超越离合器的保持架
US20170108058A1 (en) * 2015-10-18 2017-04-20 Fu Sheng CHEN Easily Replaceable One-Way Transmission Module
JP2017110723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一方向ク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914A (en) * 1971-04-01 1973-09-25 Borg Warner Stieber Gmbh Roller type freewheel clutch
US3897988A (en) * 1974-02-22 1975-08-05 Textron Inc Bearing for a conveyor roll or the like
JPH02309021A (ja) * 1989-05-19 1990-12-25 Ntn Corp ワンウェイクラッチ・軸受の一体組立構造体
US5048651A (en) * 1989-08-04 1991-09-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Unitized roller clutch and bearing
US5284285A (en) * 1992-03-13 1994-02-08 Precision Handling Devices Bearing assembly and web feed device incorporating same
JP2992731B2 (ja) 1993-11-16 1999-12-20 光洋精工株式会社 自動車用オルタネータ
JP3864427B2 (ja) * 1994-08-24 2006-12-27 株式会社安川電機 アンギュラ玉軸受
DE9417045U1 (de) 1994-10-22 1994-12-15 Schaeffler Waelzlager Kg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Drehschwingungen in einem Antriebsstrang
JPH08326786A (ja) * 1995-06-01 1996-12-10 Nsk Warner Kk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H09264333A (ja) * 1996-03-29 1997-10-07 Ntn Corp ころ組立て治具
JPH10213207A (ja) 1996-11-29 1998-08-11 Nippon Seiko Kk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
JP3556800B2 (ja) 1997-04-09 2004-08-25 光洋精工株式会社 オルタネータプーリ
US6170625B1 (en) * 1997-07-01 2001-01-09 Koyo Seiko Co., Ltd. Pulley unit
JP3640771B2 (ja) 1997-07-01 2005-04-20 光洋精工株式会社 プーリユニット
JPH1163026A (ja) 1997-08-25 1999-03-05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JP3785259B2 (ja) * 1997-09-25 2006-06-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プーリユニット
JPH11218160A (ja) 1998-02-03 1999-08-10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00240687A (ja) 1999-02-24 2000-09-05 Nsk Ltd ローラクラッチ及び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EP1067303B1 (en) * 1999-07-09 2008-12-31 Nsk Ltd Alternator pulley unit with a built-in one-way clutch
JP4269415B2 (ja) * 1999-07-19 2009-05-27 日本精工株式会社 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1165201A (ja) 1999-12-14 2001-06-19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
JP2001355653A (ja) * 2000-06-13 2001-12-26 Ntn Corp クラッチ
AU2001274628A1 (en) * 2000-07-03 2002-01-14 Nsk Ltd. One-way clutch built-in type pulle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29695A1 (fr) 2003-04-10
CN1578889A (zh) 2005-02-09
EP1429053A1 (en) 2004-06-16
JP2003090414A (ja) 2003-03-28
US6957728B2 (en) 2005-10-25
EP1429053A4 (en) 2006-08-09
US20040216974A1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792B1 (ko) 일방향 클러치 내장형 회전 전달 장치
JPWO2003067128A1 (ja) エンジン始動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
CN102713252A (zh) 具有单向离合器的发动机起动系统
KR20040033055A (ko)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와 그 조립 방법
US5819899A (en) One-way clutch, roller bearing with one-way clutch, and method of assembling roller bearing with one-way clutch
JP5673858B2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付回転機械装置
KR20040033065A (ko) 롤러 클러치 내장형 풀리 장치의 조립 방법
KR100809176B1 (ko)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EP1403546B1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2001349413A (ja)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6009899A (ja) 動力伝達装置
JP2010185547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4225792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
KR100760730B1 (ko)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JP2001165201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
US10378584B2 (en) Cage for radial roller bearing
JP4470910B2 (ja) 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1032911A5 (ko)
JP2001032911A (ja) 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3090415A (ja)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0240688A (ja) ローラクラッチ
JP2001099272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1050311A (ja)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