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730B1 -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730B1
KR100760730B1 KR1020037016231A KR20037016231A KR100760730B1 KR 100760730 B1 KR100760730 B1 KR 100760730B1 KR 1020037016231 A KR1020037016231 A KR 1020037016231A KR 20037016231 A KR20037016231 A KR 20037016231A KR 100760730 B1 KR100760730 B1 KR 10076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iameter side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member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698A (ko
Inventor
아이다히로시
오쿠마다케오
Original Assignee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1/0049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101256A1/ja
Publication of KR2004000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롤러 클러치(10) 윤활용 그리스에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마모 분진이 혼합되거나 미끄럼 접촉 부품에서 생성되는 마찰열에 의해 그리스가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그리스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일방향 클러치 내장형 회전 전달 장치에 있어서, 유지용 단편(33)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일 단부 내경측 부분에 형성되고, 유지용 칼라부(34)가 타 단부 내경측 면에 형성되며, 클러치 내측 링(21)이 그 축 방향 양쪽 단부에서, 유지용 단편(33)의 첨단부에 제공된 결합부(35)와 유지용 칼라부(34)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양쪽 단부면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대해 회전되는 부분, 즉 클러치 외측 링(25)을 형성하는 1쌍의 칼라부(27a, 27b)의 내측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 내장형의 개선된 회전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 클러치 내장형의 회전 전달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용 발전기인 교류기의 회전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동 풀리로서, 또는 차량의 시동 장치에서 시동 모터의 회전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된 피니언 등으로서 사용되거나, 혹은 엔진이 정지된 상태인 아이들링 정지(idling stop) 동안에 개별적인 구동 장치(모터)로부터 보조 장치에 회전을 전달하는 데에 사용되어 왔다.
교류기는 차량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며, 이것의 구동원은 차량의 엔진이다. 이런 종류의 교류기의 구조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제 7-13955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3이 상기 공보에서 설명된 교류기(1)를 도시한다. 회전 샤프트(3)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우징(2)의 내부에서 1쌍의 구름 베어링(4)에 의해 지지된다. 이 회전 샤프트(3)의 중앙부에는 로터(5)와 정류자(6)가 있다. 또한, 종동 풀리(7)가 하우징(2)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이 회전 샤프트(3)의 일 단부(도 13의 우단부)에 고정된다. 엔진에 장착되었을 때, 순환 벨트가 이 종동 풀리(7) 둘레를 따라 구동함으로써, 엔진이 크랭크샤프트를 통해 회전 샤프트(3)를 회전 및 구동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회전 샤프트(3)에 단순히 고정되는 전형적인 종동 풀리(7)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가 제안되어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내장형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순환 벨트가 일정한 구동 속도를 갖거나 가속될 때에 순환 벨트로부터 회전 샤프트에 동력이 전달되며, 순환 벨트가 감속될 때에 종동 풀리와 회전 샤프트 사이에 상대적 회전이 존재한다. 이런 식으로 작용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제 56-101353 호, 특개평 제 7-317807 호, 특개평 제 8-61443 호, 특개평 제 8-226462 호, 특개평 제 7-72585 호 및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2726059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이 상기 공보에서 설명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종래 기술의 풀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이 풀리 장치는 내경측 부재를 갖는데, 구체적으로는 교류기(1)의 회전 샤프트(3)(도 13 참조) 위에 정합된 슬리브(8)이다. 또한, 원통 형상의 외경측 부재, 구체적으로는 이 슬리브(8) 둘레에 동심적으로 배치된 종동 풀리(7a)가 있다. 추가로, 1쌍의 지지 베어링(9)과 롤러 클러치(10)가 있는데, 이 1쌍이 일방향 클러치로서 슬리브(8)의 외주면과 종동 풀리(7a)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슬리브(8)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이고, 교류기(1)의 회전 샤프트(3)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회전 샤프트(3)의 일 단부에 정합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 된 예에서는, 회전 샤프트(3)의 첨단부의 외주면 둘레에 수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8)의 내주면 둘레의 중앙부에 나사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 구멍(11)이 수 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육각형 단면을 갖는 부착 구멍부(12)가 슬리브(8)의 내주면상의 첨단부(도 14의 좌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육각 렌치와 같은 공구의 첨단부가 이 부착 구멍부(1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8)의 내주면의 기단부(도 14의 우단부)는, 그 중앙에 더 가까운 부분에서 회전 샤프트(3)의 첨단부 위에 유극 없이 정합될 수 있는 원형 구멍부(13)이다.
상호간의 상대적 회전이 없도록 슬리브(8)와 회전 샤프트(3)를 조립하는 구조는 스플라인 조인트, 비원형 정합, 키 조인트 등과 같은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서도 이룰 수 있다. 또한, 슬리브(8)의 외주면의 중심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큰 대구경부(14)이다.
한편, 종동 풀리(7a)의 외주면의 첨단부 절반은, 폴리 V 벨트(poly V-belt)라 불리는 순환 벨트의 일부가 그 둘레에 위치될 수 있도록, 폭 방향을 따라 물결 무늬(wave)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된 롤러 클러치(10)는 슬리브(8)의 외주면과 종동 풀리(7a)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서 축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고, 지지 베이링(9)은 롤러 클러치(10)의 축 방향 양쪽 단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 공간의 축 방향 양쪽 단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지지 베어링(9)은 종동 풀리(7a)에 가해지는 반경 방향 부하를 지지하여, 종동 풀리(7a)로 하여금 슬리브(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 베어링(9)으로서 깊은 홈 유형의 볼 베어링이 사용된다. 바꿔 말하면, 각 지지 베어링(9)은 외측 레이스(race)(16), 내측 레이스(18) 및 다수의 볼(19)을 포함하며, 외측 레이스(16)는 그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깊은 홈 유형의 외측 링 레이스웨이(raceway)(15)를 구비하고, 내측 레이스(18)는 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깊은 홈 유형의 내측 링 레이스웨이(17)를 구비하며, 다수의 볼(19)은 외측 링 레이스웨이(15)와 내측 링 레이스웨이(17) 사이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외측 레이스(16)는 종동 풀리(7a)의 양쪽 단부 부근에서 내주면 안으로 정합되어 내주면 둘레에 고정되며, 내측 레이스(18)는 슬리브(8)의 양쪽 단부 부근에서 외주면상으로 정합되어 외주면 둘레에 고정된다. 추가로, 이 상태에서는 내측 레이스(18)의 축 방향 일 면이 대구경부(14)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단차면(stepped surface)]중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외측 레이스(16)의 양쪽 대향 단부의 내주면과 내측 레이스(18)의 양쪽 대향 단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밀봉 링(20)을 배치함으로써, 볼(19)이 배치되는 공간의 양쪽 단부의 개구부가 덮인다.
또한, 볼(19)이 배치되는 공간의 양쪽 단부의 개구부중에서 풀리 장치의 외측 공간의 측면에 위치된 개구부에만 밀봉 링(20)을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밀봉 링(20)이 풀리 장치의 내측 공간의 개구부에도 배치되는 경우에는, 1쌍의 지지 베어링(9) 사이의 공간이 볼(19)이 위치된 공간과 연통되도록, 이 내측 공간의 측면에 위치된 밀봉 링(20)의 일부를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종동 풀리(7a)의 내주면과 슬리브(8)의 외주면 사이의 지지 베어링(9)이 가압될 때, 양쪽 지지 베어링(9) 사이의 공간에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된 롤러 클러치(10)는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종동 풀리(7a)와 슬리브(8)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런 종류의 롤러 클러치(10)를 제조하기 위해서, 클러치용 내측 링(21)이 슬리브(8)의 대구경부(14) 둘레에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 확실하게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슬리브(8)의 외주면은 "하나의 주위면(one peripheral surface)"으로, 클러치용 내측 링(21)은 "돌출부"로 지칭될 것이다.
이 클러치용 내측 링(21)은 탄소 처리 강철판과 같은 강철판으로써 형성되고, 또 프레스와 같은 소성 가공 공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캠 면(22)이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만곡부(ramp section)라 불리는 다수의 오목부(23)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의 원주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캠 면(22)을 형성한다. 이 캠 면(22) 역시 대구경부(14)의 외주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대구경부(14)는 "돌출부"로 지칭될 것이다.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 종동 풀리(7a)의 내주면의 중앙부에 확실하게 정합 및 고정되는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내주면중에, 롤러(26)(추후 설명됨)와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축 방향 중앙부는 단순한 원통부이다. 이 종류의 클러치용 외측 링(25) 역시 탄소 처리 강철판과 같은 강철판으로써 형성되고, 또 프레스와 같은 소성 가공 공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대면 플랜지 형상 칼라부(27a, 27b)가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 에 각각 형성된다.
이 칼라부(27a, 27b)에 관해 설명하자면, 칼라부(27a)(도 14의 좌측 칼라부)는 사전에 클러치용 외측 링(25)을 제조할 때 형성되므로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원통부와 두께가 동일하다. 한편, 다른 칼라부(27b)(도 14의 우측 칼라부)는 롤러(26)와 클러치 리테이너(28)(추후 설명됨)가 조립된 후에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므로 얇아진다 .
또한, 클러치용 외측 링(25) 및 내측 링(21)과 함께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롤러(26)는 클러치 리테이너(28)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원주 방향으로 약간 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데, 이 클러치 리테이너(28)는 클러치용 내측 링(21) 둘레에 정합되어 클러치용 내측 링(21)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이 클러치 리테이너(28)는, 합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66, 폴리아미드 46, 또는 유리 섬유가 약 20%의 양만큼 혼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같은 합성 수지)로써 일반적으로 바구니 모양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1쌍의 링 형상 림(29)과, 림(29)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칼럼(30)을 포함한다.
또한, 림(29) 부분의 내측면과 칼럼(30)의 원주 방향 측면에 의해 포켓(31)이 규정된다. 포켓(31)은 롤러(26)를 자유롭게 구를 수 있고 원주 방향으로 약간 변위할 수 있도록 유지시킨다.
또한, 원호 형상 볼록부(32)가 각 림(29) 부분의 내주면에서 다수의 위치에 형성되고, 또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23)와 결합됨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는 클러치용 내측 링(21)에 대해 회전할 수 없게 클러치용 내측 링(21)에 장착된다.
또한, 판 스프링 또는 합성 수지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클러치 리테이너(28)와 일체화되어,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칼럼(30) 부분과 롤러(26) 사이에 배치된다.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중앙부에서의 내주면(원통 형상의 면)과 캠 면(22) 사이에는 원통 형상 공간이 존재한다. 전술된 스프링은 반경 방향 폭의 크기가 더 좁은 원통 형상 공간의 부분을 향해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원주 방향으로 롤러(26)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양쪽 단부면이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칼라(27a, 27b)의 내측면과 밀접하게 대면하여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롤러(26)는 원통 형상의 공간 반경 방향 폭이 더 좁은 부분내로 맞물려 들어가고, 이에 의해 슬리브(8)에 대한 종동 풀리(7a)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를 잠금 상태라 지칭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를 교류기에 사용하는 것은 하기의 2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 번째 이유는 순환 벨트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구동 엔진이 디젤 엔진이고, 아이들링 동안에서와 같은 낮은 rpm에서 회전할 때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 각속도에 있어서의 변동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구동 풀리 둘레 로 연장되는 순환 벨트의 구동 속도 역시 약간은 변동한다. 한편, 종동 풀리를 거쳐 이 순환 벨트에 의해 회전 및 구동되는 교류기의 회전 샤프트(3)는 회전 샤프트(3)의 관성 질량 및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로터의 관성 질량 때문에 그다지 갑자기 변동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종동 풀리가 회전 샤프트에 막 고정된 때에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 각속도의 변동 때문에 순환 벨트와 종동 풀리가 양쪽 방향으로 마찰하려는 경향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종동 풀리와 마찰 관계에 있는 순환 벨트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순환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순환 벨트의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를 교류기에 대해 이 종동 클러치로서 사용함으로써, 순환 벨트의 구동 속도가 일정하거나 상승할 때는 종동 풀리로부터 회전 샤프트(3)로 회전력이 자유롭게 전달되며, 순환 벨트의 구동 속도가 감소할 때는 반대로 종동 풀리가 회전 샤프트(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바꿔 말하면, 순환 벨트의 가동 속도가 감소할 때는 종동 풀리의 회전 각속도가 회전 샤프트의 회전 각속도보다 느려지고, 따라서 순환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의 강한 마찰이 방지된다. 이런 방식으로, 종동 풀리와 순환 벨트 사이의 마찰 영역에 작용하는 응력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순환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현상이 방지되며, 순환 벨트 수명의 저하가 방지된다.
두 번째 이유는 교류기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교류기 로터 가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3)는 순환 벨트와 종동 풀리를 거쳐 차량 구동 엔진에 의해 구동 및 회전된다. 고정된 종동 풀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동 엔진의 회전 속도가 갑자기 떨어질 때, 로터의 회전 속도의 갑작스런 저하가 있으며, 교류기에 의한 발전량 역시 갑자기 감소한다.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를 교류기에 대해 교류기의 종동 클러치로서 사용함으로써, 관성력 때문에 로터의 회전 속도는 점차 떨어지고, 구동 엔진의 회전 속도가 갑자기 떨어질 때라도 발전은 지속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된 종동 풀리의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 샤프트와 로터의 운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교류기에 의한 발전량의 증가가 가능하다.
전술된 종래 기술 구조의 경우에,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변위는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1쌍의 칼라부(27a, 27b)에 의해 방지된다. 바꿔 말하면, 종동 풀리(7a)와 슬리브(8) 사이에 상대적 회전이 존재하는 과회전(overrun)중에 클러치 리테이너(28)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칼라부(27a, 27b)중 하나의 내측면이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응 단부면과 접촉(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그러나, 전술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교류기용 풀리 장치의 경우, 풀리(7a)와 슬리브(8) 사이의 상대 회전 속도가 수백 rpm(revolutions per minute) 내지 과도한 경우에는 수천 rpm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과 칼라부(27a, 27b)의 내측면 사이에 미끄럼 접촉이 존재할 때는,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의 마 모 가능성이 존재하거나,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과 칼라부(27a, 27b)의 내측면 사이의 미끄럼 접촉 때문에 발생하는 마찰열이 과도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의 마모 때문에 생성되는 분진이 롤러 클러치(10) 윤활용 그리스와 혼합되는 경우, 이 그리스의 윤활 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미끄럼 접촉의 영역에서 생성되는 마찰열이 과도해지는 경우, 열 때문에 그리스가 급격히 열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스의 열화는 롤러 클러치(10)의 내구성 손실을 유발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런 종류의 문제점은, 1쌍의 칼라부(27a, 27b)가 없고,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이 클러치 리테이너(28)에 대해 회전하는 다른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구조의 경우에도 역시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게 양도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2911 호에 개시되어 있는 클러치 리테이너의 경우,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양측 모두에 부착부가 존재하는데, 클러치 리테이너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롤러 클러치용 내측 링에 정합될 때, 전술된 부착부는 롤러 클러치용 내측 링을 그 사이에 유지시키고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그러나, 리테이너 재료의 종류와, 부착부 및 클러치용 내측 링 사이의 간섭량에 따라, 클러치 리테이너를 탄성 변형시켜 롤러 클러치용 내측 링에 정합시킬 때 리테이너가 파괴되거나, 지나치게 큰 간섭에 의해 과도한 정합력이 필요하여 정합을 어렵게 만들고, 혹은 지나치게 작은 간섭에 의해 클러치 리테이너가 쉽사리 분리되게 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는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종래 기술 구조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는, 회전 샤프트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내경측 부재와; 상기 내경측 부재 둘레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외경측 부재와; 상기 내경측 부재의 외주면의 축 방향 중앙부와, 상기 외경측 부재의 내주면의 축 방향 중앙부 사이에 배치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내경측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외경측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축 방향 양쪽 단부에 배치되는 1쌍의 지지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외경측 부재가 상기 내경측 부재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외경측 부재와 상기 내경측 부재 사이에서 회전력을 자유롭게 전달한다. 상기 1쌍의 지지 베어링은 상기 외경측 부재에 가해지는 반경 방향 부하를 지지하며, 동시에 상기 내경측 부재와 상기 외경측 부재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외경측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내경측 부재의 외주면중 하나의 주위면의 전체 둘레를 따라 축 방향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돌출부의 원주면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의 주위면의 일부가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클러치 리테이너의 원주면의 일부와 상호 잠금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는 상기 돌출부를 갖는 부재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지부가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양쪽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 에지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주위면을 향해 돌출하고, 이 유지부는 축 방향 양쪽 측면에서 상기 돌출부를 그 사이에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변위를 제한하고, 또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이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상기 회전 전달 장치의 일 특징은,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가 강화 섬유 25% 이하 혼합의 합성 수지 재료로써 제조된다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상기 회전 전달 장치의 경우에,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는 탄성적으로 충분히 변형할 수 있어, 롤러 클러치용 내측 링에 삽입될 때에 파괴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하나의 주위면이 상기 내경측 부재의 외주면이라는 것과, 클러치용 외측 링이 상기 외경측 부재의 축 방향 중앙부 내에 끼워지고, 상기 클러치용 외측 링은 1쌍의 링부를 축 방향 양쪽 단부에 가지며, 상기 1쌍의 링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링부의 상호 대면하는 내측면이 각각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과 밀접하게 되어 대면한다는 것이다.
다른 특징적 구조의 경우, 상기 클러치용 외측 링의 축 방향 양쪽 단부에 형성된 상기 1쌍의 링부의 내측면과,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 사이에는 항상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간극은 상기 일방향 클러치가 충분히 윤활되게 하기 위해 그리스 포켓으로서 사용된다. 바꿔 말하면,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의 사용시에 이 간극 안의 그리스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또한, 이런 식으로 원심력을 받은 그리스는 상기 클러치용 외측 링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유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잠긴 부재(locked member)의 표면과, 상기 클러치용 외측 링의 내주면 사이의 영역에 적절한 그리스 공급이 가능한데, 상기 영역은 과회전중에 그리스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클러치의 윤활 상태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예의 절반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클러치용 리테이너, 롤러 및 클러치용 내측 링을 도시하는 도 1의 Ⅱ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Ⅲ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Ⅳ 방향으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예의 절반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예를 도시하는,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9는 도 8의 Ⅸ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4 예의 절반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4 예를 도시하는,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ⅩⅡ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3은 통상적인 교류기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종래 구조의 예의 절반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외경측으로부터 취한 클러치용 내측 링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내경측으로부터 취한 클러치용 리테이너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변위가 제한됨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과,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1쌍의 칼라부(링부)(27a, 27b)의 내측면 사이의 접촉(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록부(32)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23) 사이의 결합에 의거하여 클러치 리테이너(28a)가 클러치용 내측 링(21)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한다는 점을 포함하 여, 다른 부분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되고 전술된 종래 기술 구조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고, 중복되는 부품의 설명은 생략되거나 축약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에 집중될 것이다.
이 예의 경우,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크기(L28a)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축 방향 크기(L21)보다 크다(L28a > L21). 또한, 제 1 유지부, 즉 유지용 단편(33)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일 단부(도 1 및 도 2의 우단부)상의 내경측에 형성되고, 제 2 유지부, 즉 유지용 칼라부(34)가 축 방향 타 단부(도 1 및 도 2의 좌단부)상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클러치용 내측 링(21)은 축 방향 양측에서 결합부(35)와 유지용 칼라부(34)에 의해 결합부(35)와 유지용 칼라부(34) 사이에 유지되는데, 상기 결합부(35)는 유지용 단편(33)의 첨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용 단편(3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일 단부의 내경측에서의 원주 둘레의 한 위치 또는 다수의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이 유지용 단편(33)을 형성하기 위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볼록부(32) 사이에 릴리프 홈(relief groove)(36)이 형성되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주면에서 개방되고, 또 상기 일 단부상의 표면에서 개방된다. 또한, 유지용 단편(33)은 릴리프 홈(36)의 축 방향 내측면(37)의 내경측의 중앙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유지용 단편(33)의 첨단부의 내 주면에 결합부(35)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자유 상태일 때의 결합부(35)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주면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한다.
또한, 결합부(35)의 내주면의 일 단부에는 경사부(38)가, 상기 일 단부 근처에 가까워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릴리프 홈(36)의 반경 방향 깊이(D36)는 유지용 단편(33)의 결합부(35)가 릴리프 홈(36) 안으로 후퇴 이동되기에 충분히 커서, 클러치 리테이너(28a)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할 때에 클러치 리테이너(28a)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리프 홈(36)의 깊이(D36)는 유지용 단편(33)의 첨단부의 두께(T33)와 같거나 그보다 크다(D36 ≥T33).
또한, 유지용 칼라(34)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타 단부상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원주 둘레에 전체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지용 단편(33)과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는 유지용 칼라(34)의 부분에는, 유지용 단편(33)의 결합부(35)의 폭 크기(W35)와 같거나 그보다 큰 폭 크기(W39)를 갖는 노치(39)가 있다(W39 ≥W38). 이 노치(39)는, 사출 성형에 의해 합성 수지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를 제조할 때[유지용 단편(33)은 축 방향 인발 가공(axial drawing)에 의해 형성됨]에 사출 성형에 사용된 금형의 일부를 축 방향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볼록부(32)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오목부(23)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전술된 클러치 리테이너(28a)를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에 장착하는 경우, 다수의 볼록부(32)와 다수의 오목부(23)의 원주 방향 상이 조화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클러치 리테이너(28a)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타 단부(도 1 및 도 2의 좌단부)측으로부터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향해 밀린다. 유지용 단편(33)의 결합부(35)에 형성된 경사면(38)이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타 단부상의 외측 원주 에지(outer peripheral edge)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클러치 리테이너(28a)를 밀 때에 유지용 단편(33)의 첨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결합부의 경사면의 축에 대한 각도(α)는 35도 이하여야 한다. 상기 각도가 크게 되면, 삽입 부하가 지나치게 커져 작업자의 힘으로 삽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상기 각도가 작으면, 삽입은 쉬우나, 삽입중에 경사면이 클러치용 내측 링의 외측 원주 에지와 확실하게 접촉하게 되기 위해서는, 간섭 때문에 리테이너의 결합부의 폭이 크게 되어야만 하고, 따라서 축 방향 공간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각도(α)를 아주 작게 만드는 것은 실제적이지 못하다. 이 각도(α)는 25도 내지 3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중 최대 온도(약 110℃ 내지 약 140℃)에서의 클러치용 내측 링과 리테이너의 팽창을 고려하여, 리테이너의 결합부와 클러치용 내측 링 사이의 반경 방향 간섭은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클러치 리테이너를 클러치용 내측 링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 삽입 후에 결합부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클러치용 내측 링의 외경 형상의 방 향이 조정된다. 바꿔 말하면, 삽입측은 클러치용 내측 링의 외경 형상에서 큰 롤오버(roll-over)가 있는 쪽이고, 삽입측의 반대쪽은 클러치용 내측 링의 외경 형상에서 롤오버가 거의 없는 쪽이다. 클러치용 내측 링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때에, 삽입측은 롤오버측[프레스 가공중 컬(curl)측]이고, 삽입측의 반대쪽은 롤오버가 거의 없는 쪽(프레스 가공중 저부측)이다.
이 탄성 변형 때문에, 결합부(35)가 릴리프 홈(36) 안으로 후퇴 이동하여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지난다. 또한, 결합부(35)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지난 후에는, 유지용 단편(33)의 첨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복원하고, 클러치용 내측 링(21)이 결합부(35)와 유지용 칼라(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유지된다.
또한, 이 예의 경우, 클러치용 내측 링(21)을 결합부(35)와 유지용 칼라부(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변위가 제한된다. 클러치용 외측 링(25)은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대해 회전한다. 또한, 클러치 리테이너(28a)를 전술된 바와 제한함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이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에 형성된 1쌍의 칼라부(27a, 27b)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리테이너(28a)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을 때에,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단부면중 하나가 칼라부(27a, 27b)중 하나의 대응하는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기 전에 결합부(35)나 유지용 칼라(34)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축 방향 대응 단부면과 접촉하게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의 경우,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대해 회전하는 1쌍의 칼라부(27a, 27b)의 내측면과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양쪽 대향 단부면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양쪽 단부중 어느 것에도 마모가 없고, 또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양쪽 단부의 영역에 생성되는 마찰열도 없다. 따라서, 클러치 리테이너(28a)로부터의 마모 분진이 롤러 클러치(10) 윤활용 그리스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그리스가 고온 및 급격한 열화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1쌍의 칼라부(27a, 27b)의 내측면과,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 사이에는 항상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간극은 롤러 클러치(10)의 적절한 윤활을 위한 그리스 포켓으로서 사용된다. 바꿔 말하면,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의 작동중에 이 간극 안의 그리스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이 원심력을 받는 그리스는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유포된다. 결과적으로, 종동 풀리(7a)와 슬리브(8) 사이에 상대적 회전이 있는 과회전중에, 그리스를 필요로 하는 부품, 혹은 바꿔 말하면 롤러 클러치(10)의 다수의 롤러(26)의 구름 접촉면과 클러치용 외측 링(25)의 내주면 사이에 그리스를 적절히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롤러 클러치(10)의 양호한 윤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풀리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클러치 리테이너는 합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6, 폴리이미드 46, 또는 유리 섬유가 혼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결합부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클러치용 내측 링에 삽입되는 이 예와 같은 구조에 대해서, 재료는 결합부의 변형시 파괴되지 않는 것이라야 한다. 혼합되는 유리 섬유의 양이 증가되면 소정 변형이 가해질 때 결합부가 파괴되기 쉬워지므로, 혼합되는 유리 섬유의 양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가 행한 시험에 따르면, 혼합되는 유리 섬유의 양이 25% 이하이면 파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혼합되는 양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에 릴리프 홈이 없는 구조도 역시 가능하다. 릴리프 홈이 없는 구조의 경우, 전체 리테이너가 변형 및 삽입되어야 한다.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지 몇 개의 결합부만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2개의 위치에 결합부가 있어야 한다. 2개의 위치의 경우에는, 결합부를 원주 둘레에 거의 대칭적인 위치로 배치시키거나 원주 둘레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킴으로써, 리테이너를 변형시키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3개 이상의 위치의 경우에는, 결합부를 균일하지 않은 피치로 위치시킴으로써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클러치 리테이너(28b)의 일 단부의 내경측에 형성되는 유지용 단편(33a)의 형상은 전술된 제 1 예에서와 상이하다. 이 예에서는, 이런 종류의 유지용 단편(33a)을 형성하기 위해서,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1쌍의 볼록부(32) 사이에 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40)이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클러치 리테이너(28b)의 일 부를 관통한다. 또한, 유지용 단편(33a)의 기단부의 에지가 관통 구멍(40)의 일 단부에서의 내경측상의 내측면 부분과 연결된다. 자유 상태에서 이 유지용 단편(33a)은 클러치 리테이너(28b)의 축 방향 중심을 향해 진행할수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다.
이 예의 경우, 유지용 단편(33a)과 관통 구멍(40) 부분을 포함하는 클러치 리테이너(28b)는 반경 방향 인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유지용 칼라부(34)(도 1, 도 2 및 도 4 참조)의 일부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데, 상기 노치는 다른 경우라면 클러치 리테이너(28b)의 타 단부상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축 방향 인발 사출 성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구조를 갖는 이 예의 경우, 클러치 리테이너(28b)를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향해 밀 때(도 1 및 도 2 참조), 유지용 단편(33a)이 관통 구멍(40) 안으로 탄성적으로 후퇴 이동하면서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지난다. 또한, 유지용 단편(33a)은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을 지난 후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복원하고, 클러치용 내측 링(21)이 유지용 단편(33a)의 첨단부와 유지용 칼라(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유지된다.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전술된 제 1 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가 본 발명의 제 3 예를 도시한다. 이 예의 경우, 클러치 리테이너(28c)의 일 측(도 7의 우단부)에서의 림부(29)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록부(32)에 대해, 유지부, 즉 유지용 반원형 판상부(41)가 볼록부(32)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클러치용 내측 링(21)은 축 방향으로 대향 한 양쪽 단부에서, 볼록부(32)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더 돌출하는 이런 유지용 판상부(41)중 일부와, 클러치 리테이너(28c)의 타 단부상의 내주면에 형성된 유지용 칼라부(34) 사이에 유지된다.
클러치 리테이너(28c)를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시킬 때, 유지용 판상부(41)는 클러치용 내측 링(21)의 외주면 위로 지나면서, 클러치 리테이너(28c)의 일 단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전술된 제 1 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지용 판상부의 내접원의 직경과 클러치용 내측 링 사이의 반경 방향 간섭을 지지용 판상부의 내접원의 직경으로 나눈 몫은 0.01 내지 0.04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4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클러치 리테이너(28d)의 일 단부(도 10의 우단부)상의 림부(29)의 내주면 둘레에 다수의 볼록부(32)가 형성된다. 또한, 반원형 돌출부(유지부)(42)가 볼록부(32)중 적어도 하나의 일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클러치 리테이너(28d)의 타 단부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유지용 칼라부(34)가 있다. 클러치용 내측 링(21)은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에서 이 돌출부(42)와 유지용 칼라부(34) 사이에 유지된다.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전술된 제 3 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롤러 클러치를 일방향 클러치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스프래그 클러치(sprag clutch)나 캠 클러치와 같은 다른 통상적인 구조의 일방향 클러치가 사용되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캠 클러치를 사용할 때는, 캠과 결합되는 원주면이 모두 원통 형상의 면이다. 따라서, 캠 클러치의 부재중에 원주면과 정합되는 것이 없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단차면을 갖는 돌출부가 하나의 주위면에 직접 형성되어, 단차면이 하나의 주위면과 축 방향 대향 양쪽 측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 방향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1쌍의 지지 베어링은 1쌍의 볼 베어링에 제한되지 않고, 1쌍의 롤러 베어링을 사용하는 경우나 1개의 볼 베어링과 1개의 롤러 베어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교류기의 풀리에 적용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차량의 시동 장치의 시동 모터의 회전 전달 유닛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가 원통 형상 외경측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플라이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 기어와 자유롭게 맞물린다.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가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함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는 클러치용 내측 링에 삽입될 때 파괴되지 않도록 충분히 탄성 변형한다. 또한, 그리스 포켓 안의 그리스가 원심력에 의해 클 러치에 공급됨으로써, 클러치의 양호한 윤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클러치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3)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내경측 부재(8)와;
    상기 내경측 부재(8) 둘레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외경측 부재(7)와;
    상기 외경측 부재(7)가 상기 내경측 부재(8)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외경측 부재(7)와 상기 내경측 부재(8) 사이에서 회전력을 자유롭게 전달하도록, 상기 내경측 부재(8)의 외주면의 축 방향 중앙부와, 상기 외경측 부재(7)의 내주면의 축 방향 중앙부 사이에 배치되는 일방향 클러치(10)와;
    상기 외경측 부재(7)에 가해지는 반경 방향 부하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내경측 부재(8)와 상기 외경측 부재(7)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내경측 부재(8)의 외주면과 상기 외경측 부재(7)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10)의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에 배치되는 1쌍의 지지 베어링(9)을 포함하며,
    돌출부(14, 21)가, 상기 외경측 부재(7)의 내주면과 상기 내경측 부재(8)의 외주면중 하나의 주위면의 전체 둘레를 따라 축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주위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10)는 클러치 리테이너(28)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4, 21)의 원주면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의 주위면의 일부가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원주면의 일부와 상호 잠금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는 상기 돌출부(14, 21)를 갖는 부재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유지부(33, 34)가,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14, 21)의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 에지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주위면을 향해 돌출하고, 또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 대향 양쪽 단부면이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에 대해 회전하는 링부(27)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14, 21)를 축 방향 양쪽 측면에 유지시키며,
    하나 이상의 상기 유지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서,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가 상기 내경측 부재(8)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거나 상기 외경측 부재(7)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는 강화 섬유가 25% 이하로 혼합된 합성 수지 재료로써 제조되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주위면은 상기 내경측 부재(8)의 외주면이고, 상기 클러치용 외측 링(25)은 상기 외경측 부재(7)의 축 방향 중앙부 내에 끼워지며 또 1쌍의 링부(27)를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에 가지며, 상기 1쌍의 링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링부(27)의 상호 대면하는 내측면이 각각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 방향으로 대향한 양쪽 단부면과 밀접하게 되어 대면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방향으로의 일측면 상의 유지부가 오목부 및 볼록부의 결합부와 원주방향으로 상이한 위상을 갖는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KR1020037016231A 2001-06-12 2001-06-12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KR100760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4971 WO2002101256A1 (en) 2000-03-28 2001-06-12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698A KR20040007698A (ko) 2004-01-24
KR100760730B1 true KR100760730B1 (ko) 2007-09-21

Family

ID=5015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231A KR100760730B1 (ko) 2001-06-12 2001-06-12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28B1 (ko) 2009-10-16 2012-03-23 덕지산업주식회사 베어링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47B1 (ko) 2018-03-12 2019-04-12 유병수 복층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7238A (en) * 1998-02-27 2000-11-14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cta-2,7-dienyl-1-amine from butadiene and ammonia in the presence of palladium complex cataly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7238A (en) * 1998-02-27 2000-11-14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cta-2,7-dienyl-1-amine from butadiene and ammonia in the presence of palladium complex catalys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개2001-32911호(공개 2001.2.6)
일본 특개평6-147238호(공개 1994.5.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28B1 (ko) 2009-10-16 2012-03-23 덕지산업주식회사 베어링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698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113B2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EP1482212A1 (en) Engine start roller clutch-housed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US6749050B2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pulley device
US6957728B2 (en) 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and the assembly method thereof
EP1403546B1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US20040211063A1 (en) Method for assembling 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KR100760730B1 (ko)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KR100809176B1 (ko)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JP2001349413A (ja)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1165201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
JP2010185547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6307922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6161827A (ja) 一方向クラッチ付きプーリユニット
JP2001032911A5 (ko)
JP2001032911A (ja) 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4470910B2 (ja) 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0240688A (ja) ローラクラッチ
JP2001099272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3090415A (ja)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5233324A (ja) 一方向クラッチ付きプーリユニット
JP2002139133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と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