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801A -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801A
KR20040031801A KR1020020059668A KR20020059668A KR20040031801A KR 20040031801 A KR20040031801 A KR 20040031801A KR 1020020059668 A KR1020020059668 A KR 1020020059668A KR 20020059668 A KR20020059668 A KR 20020059668A KR 20040031801 A KR20040031801 A KR 2004003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bow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elb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179B1 (ko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순 filed Critical 박점순
Priority to KR10-2002-005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1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배관시 엘보우관이 설치되는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엘보우관과 이에 연결·조립되는 연결관체를 통해 배수되는 오·폐수가 직각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와류 현상 및 수압에 의한 유속의 변화에 의해 상기 연결부위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최소화하여 방음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는 바닥 슬라브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관체와, 이 고정관체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접속관체에 의해 연결·조립되고 내·외관 및 다수의 분할커버로 조립 구성된 다중관 구조의 엘보우관과, 이 엘보우관이 타단에 연결·조립되는 이중구조의 연결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엘보우관을 이루는 내관과 연결관체의 내측면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차음관이 끼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PIPE LAYING STRUCTURE OF ELBOW TUBE}
본 발명은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배관시 엘보우관이 설치되는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엘보우관과 이에 연결·조립되는 연결관체를 통해 배수되는 오·폐수가 직각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와류 현상 및 수압에 의한 유속의 변화에 의해 상기 연결부위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최소화하여 방음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보우관이라 함은 각종 배관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공급함에 있어, 절곡되는 부위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되어지는 용도 및 형태에 따라 다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엘보우관은 주로 하수관이나 변기등의 배관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재의 관체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근래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의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들이 선출원되어, 관체 내부에서 상기와 같은 배관라인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의 마찰음이나 낙수에 의한 소음 및 결빙,결로 현상등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 바 있다.
우선,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엘보우관의 배관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 6 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바닥슬라브(S')에 고정설치되며 내,외측으로 단열재(12'),(14')가 내장되는 고정관체(10')와, 일단이 이 고정관체(10')의 하부측으로 연결·조립되고, 내·외(30')(32')관 및 다수의 분할커버(31')로 조립 구성된 다중관 구조의 엘보우관(L')과, 상기 엘보우관(L')의 타단에 연결조립되는 이중관구조의 연결관체(P')로 구성 되어져, 상기 고정관체(10')와 엘보우관(L')의 연결부위를 통과하는 오·폐수에 의한 마찰소음을 1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다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엘보우관(L')에 의해 낙수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배관구조에 따르면, 상기 엘보우관(L')과 연결관체(P')가 조립되는 연결부위에 별도의 방음재나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연결관체(P')가 엘보우관(L')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배관라인을 통해 배수되는 오·폐수가 상기 엘보우관(L')을 통해 낙하되어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류 현상 및 유속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엘보우관(L')과 연결관체(P')의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거나, 배수되는 오·폐수가 상기 연결관체(P')의 내벽과 부딪치면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 배관시 엘보우관이 설치되는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따른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엘보우관을 통해 배수되는 오·폐수가 상기 엘보우관의 일측으로 연결·조립되는 연결관체의 연결부위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의 효과를 높여줄 줄 수 있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슬라브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관체와, 이 고정관체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접속관체에 의해 연결·조립되고 내·외관 및 다수의 분할커버로 조립 구성된 다중관 구조의 엘보우관과, 이 엘보우관이 타단에 연결·조립되는 이중구조의 연결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엘보우관을 이루는 내관과 연결관체의 내측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차음관이 끼워져 구성된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배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관체 20 : 접속관체
22a: 숫나사부 30 : 내관
30a: 암나사부 30b: 단턱
31 : 구획관 32 : 외관
33 : 중공부 34 : 단열재
40 : 차음관 42 : 조립부
42a: 걸림턱 44 : 연결부
44a: 격살 L : 엘보우관
P : 연결관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 슬라브(S)에 고정설치되며 단열재(12),(14)가 내장되는 고정관체(10)와, 상기 고정관체(1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는 접속관체(20)에 의해 연결·조립되고 내관(30)과 외관(32)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내관(30)과 외관(32) 사이에 중공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33)에 등분,분할된 다수의 구획관(31)들에 의해 상기 내관(30)의 외주면에 감싸지는 단열재(34)가 차폐되도록 구성된 엘보우관(L)과, 상기 엘보우관(L)의 타측에 연결·조립되는 이중구조의 연결관체(P)로 구성된 엘보우관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체(20)는 외주면에 숫나사부(20a)가 형성되고, 상기 엘보우관(L)은 내관(30) 일측의 내주면에 상기 접속관체(20)의 숫나사부(20a)에 나합되는 암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관체(10)의 하부측에 연결·조립된다.
이때, 상기 엘보우관(L)은 내관(30)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30a)를 상기 고정관체(1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관체(20)의 숫나사부(20a)에 나합시켜 주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엘보우관(L)이 설치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배관시 한정되어 있는 공간내에서의 배관시공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내관(30)의 내부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연질의PVC, 고무재 등)로 된 차음관(40)이 삽입되어 구성되되, 상기 차음관(40)은 일측의 상단부가 외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확개되어 환형의 걸림턱(42a)이 형성된 조립부(42)와, 타측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격살(44a)이 등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사출성형된 연결부(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음관(40)의 일측 조립부(42)에 형성된 걸림턱(42a)은 상기 엘보우관(L)을 구성하고 있는 내관(3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단턱(30b)에 걸려지지 되고, 그 상부측으로부터 조립되는 밀폐링(22)과 접속관체(20)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다수의 격살(44a)들이 형성된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는 상기격살(44a)들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관체(P)가 연결·조립되는 내관(30)의 타측 단부에 걸려 지지되면서 일측으로 연장·돌출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체(P)는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에 형성된 격살(44a)들이 상기 연결관체(P)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형태로 연결·조립되어 배수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관체(P)의 내주면과 차음관(40)의 연결부(44) 외주면 사이에는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격살(44a)들에 의해 소정의 방음공간부(43)가 형성되어 다중의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관(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차음관(40)에 의해 낙수에 의한 소음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엘보우관(L)의 방음효과 및 단열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차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에 형성된 격살(44a)들의 선단부에 플랜지(44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상기 격살(44a)들에 의해,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와 이에 조립구성되는 연결관체(P) 사이에 형성되는 방음공간부(43)를 공명상태로 유지시켜 방음의 효과를 높여 주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격살(44a)들이 선단으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이격된 중간부분과 후단부에 상기 연결부(44)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의 보강살(44c)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것이다.
이는 상기 차음관(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격살(44a)들이 상기 보강살(44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획 형성됨에 따라, 사용도중 상기 격살(44a)들이 쉽게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관체의 연결부위에 대한 방음효과를 한층 더 보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도 5와 도 6에서 보여주는 플랜지(44b) 및 보강살(44c)은 상기 연결부(44)에서 격살(44a)들이 이루는 전체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도록 하여, 연결관체(P)와의 조립시 상기 연결부(44)의 격살(44a)과 함께 연결관체(P)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2)는 배수체의 슬리브를 나타내는 것이고, (35)는 조임캡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로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물의 바닥 슬라브(S)에 설치되어 하수관 이나 변기등의 배수체와 연결된 합성수지관에 엘보우관(L)을 연결시켜 배수토록 함에 있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체(P)와 상기 엘보우관(L)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여 조용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체(10)를 하수관이나 변기등이 설치되는 건물의 바닥 슬라부(S)에 매설하여 시공한 후, 상기 고정관체(10)의하부측에 상기한 본 발명의 차음관(40)이 내장된 엘보우관(L)의 일단을 배수체와 연통되도록 접속관체(20)에 의해 연결,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엘보우관(L)의 타단에 오·폐수의 배수로가 되는 연결관체(P)를 끼워 연통되도록 하여 조입캡(35)으로 고정시켜 주면, 오·폐수의 배수를 위한 배관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엘보우관(L)은 배관시 상기 엘보우관(L)이 설치되는 바닥공간부의 폭에 따라, 상기 고정관체(10)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관체(20)와 이에 나합되어 있는 엘보우관(L)의 나합정도를 조절하여 배관에 따른 엘보우관(L)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용이하게 배관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체로부터 오폐수가 엘보우관(L)을 통해 연결관체(P)로 배수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수체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배수하게 되면, 상기 배수체로부터 낙하되는 오·폐수가 상기 고정관체(10) 및 엘보우관(L)을 거쳐 이와 연통되도록 조립된 연결관체(P)을 통하여 배수된다.
이때, 낙하되어 배수되는 오·폐수는 소정의 압력(수압)을 갖게 되므로, 상기 오·폐수가 엘보우관(L)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와류 현상 및 유속의 변화에 의해 상기 엘보우관(L)과 연결관체(P)의 연결부위를 통과하면서, 이들 연결부위를 통해 마찰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마찰소음은 이중으로 구성된 연결관체(P)와 이 연결관체(P)의 내주면과 연결·조립되며 내관(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차음관(40)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분산되어 소멸되므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방음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에 형성된 다수의 격살(44a)들에 의해 상기 연결관체(P)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부(44)를 이루는 차음관(40)의 외주면 사이에 방음공간부(43)가 형성됨에 따라, 이들 연결부위에 대한 방음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음관(40)은 이들 연결부위에 대한 방음효과 뿐만 아니라, 엘보우관(L) 대한 단열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오·폐수 배수시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이나 결빙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에 의하며, 하수관 배관시 엘보우관이 설치되는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에 따른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엘보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의 연결관체와 연결·조립되는 차음관에 의해, 이 엘보우관을 통해 배수되는 오·폐수가 상기 엘보우관과 연결관체의 연결부위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방음의 효과를 높여줄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바닥 슬라브(S)에 고정설치되며 단열재(12),(14)가 내장되는 고정관체(10)와, 상기 고정관체(10)의 하부측으로 결합되는 접속관체(20)에 의해 연결·조립되고 내관(30)과 외관(32)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내관(30)과 외관(32) 사이에 중공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33)에 등분,분할된 다수의 구획관(31)들에 의해 상기 내관(30)의 외주면에 감싸지는 단열재(34)가 차폐되도록 구성된 엘보우관(L)과, 상기 엘보우관(L)의 타측에 연결·조립되는 이중구조의 연결관체(P)로 구성된 엘보우관의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체(20)는 외주면에 숫나사부(20a)가 형성되고, 상기 엘보우관(L)은 내관(30) 일측의 내주면에 상기 접속관체(20)의 숫나사부(20a)에 나합되는 암나사부(30a)가 형성되며,
    상기 내관(30)의 내부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차음관(40)이 삽입되어 구성되되, 상기 차음관(40)은 일측으로 상단부가 외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확개되어 환형의 걸림턱(42a)이 형성된 조립부(42)와, 타측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격살(44a)이 일체로 사출성형된 연결부(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살(44a)들은 상기 차음관(40)의 연결부(44) 외주면에 등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에 형성된 격살(44a)들은 선단부에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플랜지(44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4)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격살(44a)들은 이들 선단으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이격된 중간부분과 후단부에 상기 연결부(44)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의 보강살(44c)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2002-0059668A 2002-10-01 2002-10-01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2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668A KR100527179B1 (ko) 2002-10-01 2002-10-01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668A KR100527179B1 (ko) 2002-10-01 2002-10-01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400U Division KR200300720Y1 (ko) 2002-10-01 2002-10-01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01A true KR20040031801A (ko) 2004-04-14
KR100527179B1 KR100527179B1 (ko) 2005-11-09

Family

ID=3733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668A KR100527179B1 (ko) 2002-10-01 2002-10-01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751A (zh) * 2016-08-11 2016-11-23 宁波市鄞州亚大汽车管件有限公司 一种弯管
CN106287085A (zh) * 2016-08-11 2017-01-04 宁波市鄞州亚大汽车管件有限公司 一种功能弯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9604B2 (ja) * 2019-09-30 2023-11-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空調設備用ドレン配管構造、及び管継手製造方法
KR102201375B1 (ko) * 2020-06-03 2021-01-11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양변기용 이음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599B1 (ko) * 1999-10-20 2002-05-03 김용안 파이프용 연결관
KR200218346Y1 (ko) * 2000-11-02 2001-03-15 두리화학주식회사 방음 및 보온 효과를 갖는 배관용 이음관
KR200261548Y1 (ko) * 2001-09-29 2002-01-24 두리화학 주식회사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100561622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엘보형 이음관
KR200310352Y1 (ko) * 2002-09-12 2003-04-18 박점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751A (zh) * 2016-08-11 2016-11-23 宁波市鄞州亚大汽车管件有限公司 一种弯管
CN106287085A (zh) * 2016-08-11 2017-01-04 宁波市鄞州亚大汽车管件有限公司 一种功能弯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179B1 (ko)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62165B1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US5329646A (en) Drain flusher device
KR200269746Y1 (ko) 수지재 이중 파이프
KR200436876Y1 (ko) 소음방지용 배수관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KR200346745Y1 (ko) 오배수용 삼중 엘보우 이음관
KR20050120613A (ko) 이탈방지용 일체형 편수 이음관
KR20023433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KR20010044523A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KR200289286Y1 (ko)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KR200321697Y1 (ko) 다중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
JP4527909B2 (ja) リブ付き管用マンホール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KR100561622B1 (ko) 배수용 엘보형 이음관
KR101945033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하부구조
KR100561621B1 (ko) 배수용 곡관형 이음관
JP2008133721A (ja) 旋回流型管継手
KR100561618B1 (ko) 배수용 소켓형 이음관
KR200330938Y1 (ko) 주철용 배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