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153A -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153A
KR20040030153A KR10-2004-7002346A KR20047002346A KR20040030153A KR 20040030153 A KR20040030153 A KR 20040030153A KR 20047002346 A KR20047002346 A KR 20047002346A KR 20040030153 A KR20040030153 A KR 2004003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rake
rotating part
drive sheav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1537B1 (ko
Inventor
야스에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권양기에서는, 구동시브를 가진 회전부가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부에는, 구동시브 및 브레이크드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드럼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부측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에는 회전부측 결합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핸들측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양기{ELEVATOR HOISTING MACHINE}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0-351548호 공보에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양기가 나타내어 있다. 본 예에서는 수동핸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설치시 또는 정전시에 카를 이동시킬 경우, 결합부에 수동핸들이 결합되어, 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가 개방되어, 수동핸들에 의해 회전축이 수동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권양기의 구동시브가 회전되어 카가 승강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버터제어의 보급에 의해 회전축의 단부에 속도검출부가 장착된 권양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권양기에서는,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부를 구비하며는 속도검출기를 제거한 후에 까지도 수동핸들을 결합부에 결합할 수가 없어서, 부담이 된다.
또, 회전축이 일단부에 속도검출기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결합부를 설치하는 경우, 일단부의 주위에는 속도검출기의 보수ㆍ교환공간을 확보하고, 타단부의 주위에는 수동핸들에 의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승강로내에 권양기가 설치되는 기계실무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양기의 주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주축이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형의 권양기에서는 주축의 단부에 결합부를 구비하여도 구동시브를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 하였다.
본 발명은 메인로프가 감겨진 구동시브(Driving sheave)를 가지며, 메인로프에 현수된 카를 구동시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1예에 의한 권양기의 수동회전작업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회전부측 결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회전부측 결합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1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무기어 (gear-less)권양기)의 수동회전작업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단면도이다.
도에서, 케이스(1)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2)와, 케이스 본체(2)에 부착된 원판형의 뒷판(3)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본체(2)의 중심에는 주축(4)이 고정되어 있으며, 주축(4)에는 주축(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부(5)가 축수(6)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회전부(5)는 원통형의 구동시브(7)와, 브레이크 회전체로서의 원통형의 브레이크 드럼(8)을 가지고 있다. 구동시브(7) 및 브레이크 드럼(8)은 회전부(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시브(7)에는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메인로프(9)가 감겨져 있으며, 메인로프(9)는 구동시브(7)의 외주부에 구비된 복수의 로프홈에 각각 삽입된다.
브레이크 드럼(8)은 구동시브(7)가 설치되어 있는 제1단부(8a)와, 제1단부 (8a)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단부(8b)를 가지고 있다. 제2단부(8a)에는 회전부측 결합부로서의 복서의 노치(notch)가 구비되어 있다. 노치(8c)는 브레이크 드럼(8)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노치(8c)는 주축(4)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90도씩 간격을 두고 4개의 노치(8c)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8)은 모터회전자를 겸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2)의 내주면에는, 브레이크 드럼(8)이 외주면에 대향하도록 모터고정자(10)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5)를 회전시키는 모터(11)는 브레이크 드럼(8) 및 모터고정자(10)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드럼(8)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드럼(8)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 본체(12)가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장치 본체(12)는 뒷판(3)에 탑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장치 본체(12)의 지지구조는 도면생략 되었다. 구동시브 (7)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전자브레이크)(13)는 브레이크 드럼(8) 및 브레이크장치 본체(12)를 가지고 있다.
뒷판(3)에는 케이스(1)밖에서 브레이크장치 본체(12)의 보수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30a)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운전시에는, 개구부(3a)는 뚜껑(도면생략)에 의해 닫혀 있다. 상기와 같이, 뒷판(3)에는 브레이크장치 본체(12)가지지되어 있으므로, 개구부(3a)는 원형으로 안되며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구부(3a)를 열었을 때, 브레이크 드럼(8)의 제2단부(8b)의 단면의 일부는 항상 뒷판(3)에 의해 숨겨져 있다. 그러나, 개구부(3a)를 열었을 때 브레이크 드럼(8)의 회전각도에 관계 없이, 최소한 2개의 노치(8c)가 개구부(3a)에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부(5)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14)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면(15a,15b)을 가진 평판형의 핸들본체(15)와, 제1면(15a)에 설치되어, 노치 (8c)에 결합하는 핸들측 결합부로서의 복수의(한쌍의) 돌기(16)와, 제2면(15b)에 구비되어 있는 그립(grip)(17)을 가지고 있다.
핸들본체(15)는 케이스(1)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핸들본체(15)는 케이스(1)보다도 작아도 되나, 이것을 크게 하여 그립(17)을 주축에서 멀게하는 만큼, 핸들(15)을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수동핸들(14)은 노치(8c)에 돌기(16)를 삽입하는 만큼 회전부(5)에 장착됨으로, 회전부(5)에의 착탈은 용이하게 된다. 또, 수동핸들(14)은 필요시에만 회전부 5)에 장착하는 것이며, 통상 운전시에는 회전부(5)에서 제거하며 소정의 보관장소에 보관된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에는 수동핸들 (14)은 회전부(5)에서 제거하며, 뒷판(3)의 개구부(3a)는 뚜껑으로 덮혀져 있다. 또, 브레이크장치(13)의 보수점검시에는, 뚜껑이 제거되어 개구부(3a)가 개방된다. 또한, 속도검출기(18)의 보수ㆍ교환을 하는 경우에는 뒷판(3)이 케이스 본체(2)에서 제거된다.
또, 어떠한 이상으로 모터 고정자(1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여, 승객을 태운 카가 층간에 정지하는 경우, 구동시브(7)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카를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킨다. 이 경우, 개구부(3a)가 개방되어, 예로써 도 1에 타나난 것 같이 회전부(5)(브레이크 드럼(8))에 수동핸들(1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장치(13)를 개방하면서 수동핸들(14)을 조작하여 회전부(5)가 회전된다.
이때, 돌기(16)가 뒷판(3)과 간섭함으로, 수동핸들(14)을 연속하여 회전시킬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예로써 도 1의 실선의 위치에서 2점 쇄선의 위치까지 수동핸들(14)을 회전시키면서, 브레이크장치(13)를 닫고, 수동핸들(14)을 회전부(5)에서 제거한다. 그후, 브레이크핸들(14)을 실선의 위치에 다시 부착시켜, 브레이크장치(13)를 개방하면서 수동핸들(14)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서, 구동시브(7)가 서서히 회전되어, 카가 가장 가까운 층에 이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권양기에서는, 수동핸들(14)을 결합시키는 노치(8c)가 주축(4)에는 아니고, 회전부(5)에 설치시켜 있음으로, 주축(4)에 속도검출기(18)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속도검출기(18)와 동일측에서 수동핸들(14)을 장착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보수공간을 주축(4)의 축방향의 한측에 모을 수가 있어, 확보해야 할 보수공간을 축소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도 엘리베이터 권양기를 설치할 수가 있어, 기계실무ㆍ엘리베이터 등에의 적용이 유효하다.
또, 속도검출기(18)를 제거 않아도 수동핸들(14)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구동시브(7)의 수동회전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가 있다. 또한, 주축(4)이 회전 않는 경우에도, 수동핸들(14)에 의해 구동시브(7)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노치(8c)는 주축(4)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동핸들(14)이 주축(4)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동핸들(14)에서의 회전력을 회전부(5)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장치(13)의 보수용의 개구부(3a)에서 노치(8)가 노출되도록 하였으므로, 뒷판(3)을 제거 않아도 수동핸들(14)을 장착할 수가 있어, 구동시브 (7)의 수동회전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구동시브(7)와 브레이크드럼(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5)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드럼(8)의 제2단부(8b)에 노치(8c)를 설치하였으므로, 수동핸들 (14)에서의 회전력을 구동시브(7)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수동핸들(14)에 의한 작업을 브레이크장치(13)의 보수작업과 동일측에서 시행할 수가 있어서, 보수공간을 축소할 수가 있다.
또한, 회전부측 결합부를 노치(8c)로 하여, 핸들측 결합부를 돌기(16)로 하였으므로, 수동핸들(4)을 회전부(5)에 결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회전부측 결합부로서 노치(8c)를 나타냈으나, 예로써 도 3에 나타난 것 같이 브레이크드럼(8)의 단면(8d)에 회전부측 결합부로서 볼트구멍(8e)을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 볼트구멍(8e)을 공장내 조립시의 물자운반을위하여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2단부(8b)의 내주면측에 노치(8c)를 설치하였으나, 뒷판(3c)에서 제2단부(8b)전체가 노출되어 있으면, 제2단부(8b)의 외주면측에 노치 (8f)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개구부(3a)가 2개로 분리되어 있으나, 개구부가 3개로 분리되어도 된다. 이 경우, 회전부측 결합부를 정3각형의 정점에 배치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개구부가 4개이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주축이 고정되어 있으나, 주축이 회전부와 일체로 회전되는 권양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회전부(5)중에 브레이크드럼(8)에 노치(8c)를 구비하였으나, 회전부측 결합부는, 예로써 구동시브 및 모터 회전자 등 회전부의 브레이크 회전체이외의 부분에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수공간을 축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시브의 수동회전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 권양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는, 주축,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가 감겨지는 구동시브를 가지며, 주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부,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구동시브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며, 회전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부측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부측 결합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핸들측 결합부를 가지고 회전부를 수동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을 또한 구비한 것이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가 감겨지는 구동시브를 가지며, 상기 주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시브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부측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측 결합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핸들측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권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수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주축, 상기 회전부, 상기 모터 및 브레이크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측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구동시브와 일체로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회전체와, 상기 브레이크 회전체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 본체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브레이크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회전체는 상기 구동시브가 설치되어 있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가지며, 상기 회전부측 결합부는 상기 브레이크 회전체의 상기 제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양기.
KR1020047002346A 2002-06-20 2002-06-20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KR100571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6167 WO2004000710A1 (ja) 2002-06-20 2002-06-20 エレベータ用巻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153A true KR20040030153A (ko) 2004-04-08
KR100571537B1 KR100571537B1 (ko) 2006-04-14

Family

ID=2980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346A KR100571537B1 (ko) 2002-06-20 2002-06-20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14825B1 (ko)
JP (1) JPWO2004000710A1 (ko)
KR (1) KR100571537B1 (ko)
CN (1) CN1310820C (ko)
DE (1) DE60236216D1 (ko)
WO (1) WO2004000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52B1 (ko) 2019-07-25 2019-10-30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권상기용 시브의 수동 회전 조작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8304B1 (en) * 2004-12-01 2019-02-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oist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5596A (ja) * 1982-01-13 1983-07-26 山久チエイン株式会社 巻上機
JPS6115281U (ja) * 1984-07-03 1986-01-2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巻上機
JPH0755786B2 (ja) * 1989-04-20 1995-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トラクシヨンマシン
FI98724C (fi) * 1995-03-24 1997-08-11 Kone Oy Hissikoneiston hätäkäyttölai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52B1 (ko) 2019-07-25 2019-10-30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권상기용 시브의 수동 회전 조작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1537B1 (ko) 2006-04-14
EP1514825A1 (en) 2005-03-16
CN1543426A (zh) 2004-11-03
EP1514825A4 (en) 2008-12-10
DE60236216D1 (de) 2010-06-10
CN1310820C (zh) 2007-04-18
WO2004000710A1 (ja) 2003-12-31
EP1514825B1 (en) 2010-04-28
JPWO2004000710A1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133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KR100571537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EP2263962B1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JP4558724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JP4476809B2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JP5385601B2 (ja) クレーン
US5076544A (en) Connecting apparatus of a hoist drum
JP2000063063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0784923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WO2003008320A1 (fr) Treuil d'ascenseur
US7500652B2 (en) Hoist for elevator
KR20070105150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KR200421632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3721353B2 (ja) 揚重機
KR100906040B1 (ko) 엘리베이터
KR100343982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6884262B2 (ja) 巻上機組立治具及び巻上機組立治具を用いた巻上機組立方法
KR940004774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장치
KR100351280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2004091215A5 (ko)
KR20000016371U (ko) 엘리베이터용 시브
JPH1067489A (ja) ホイ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