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524A - 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524A
KR20040028524A KR1020030066155A KR20030066155A KR20040028524A KR 20040028524 A KR20040028524 A KR 20040028524A KR 1020030066155 A KR1020030066155 A KR 1020030066155A KR 20030066155 A KR20030066155 A KR 20030066155A KR 20040028524 A KR20040028524 A KR 20040028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training apparatus
rai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이미야마사오
이노우에다케시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0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139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0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1389B2/en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52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11Particular details or arrangement of cranks
    • A63B2022/0629Particular details or arrangement of cranks each pedal being supported by two or more cra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are a driving part structure and a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which adjust tension of a member for transferring the traction force of pedals to a load device, easily and properly, reduce the noise, secure the demanded strength, and carry out the adjustment of the seat position or other structure easily. CONSTITUTION: The structure of a driving part(5) is arranged in the front of a seating part(3) and driven by a user on the seating part(3). The driving part structure includes: a base frame(14), having a back and forth long length; a frame structure, installed on the base frame(14); a crank shaft, arranged on the frame structure and connected to pedals; an intermediate shaft(12), arranged on the frame structure; a load device, arranged on the base frame(14) and having a load device shaft(10); a first transferring member(30), arranged between the crank shaft and the intermediate shaft(12); and a second transferring member(32), arranged between the load device shaft(10) and the intermediate shaft(12).

Description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 및 좌석부 구조{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 및 좌석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structure and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종래부터, 실내 등에 있어서의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손쉽게 운동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트레이닝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various training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asily exercising in a limited space in a room or the like.

이러한 트레이닝 장치의 하나로서, 시트에 앉은 사용자가 다리를 전방으로 내던진 상태로 페달을 밟는, 이른바 리컴벤트(recumbent)식 에르고미터(ergometer)가 채용되고 있다.As one of such training apparatuses, a so-called recumbent ergometer is employed in which a user sitting on a seat presses a pedal in a state where the leg is thrown forward.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트레이닝 장치는 배터리 등의 전력 공급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자 브레이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전형(發電型) 부하 장치를 갖고 있으며, 이 부하 장치에 의해서 페달에 소정의 부하를 부여하게 되어 있다.In general, this type of training device has a power generation load device made of an electromagnetic brake or the like driven by electric power supply such as a battery, and the load device provides a predetermined load to the pedal. .

그리고 트레이닝 장치에 따라서는 부하 장치가 비교적 고속의 회전에 대응할 것을 요구되는 것이 있지만, 그 경우 페달로부터 부하 장치에 도달하기까지의 구동력의 전달에는 페달에 연결된 크랭크축, 부하 장치에 연결된 부하 장치 축, 및 상기 크랭크축과 부하 장치 축을 중계하는 중간축의 3 축에 의한 2 단 변속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And depending on the training device, it is required that the load device corresponds to a relatively high speed rotation, but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from the pedal to the load device includes a crank shaft connected to the pedal, a load device shaft connected to the load device, And it is effective to use the two-speed transmission mechanism by three axes of the intermediate shaft which relays the said crankshaft and the load device shaft.

이러한 3 축 2 단 변속 기구에 있어서는, 페달의 구동력이 각 축 사이에 배열 설치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전달부재를 통하여 부하 장치에 전달되는 것이지만, 이 때에 부하 장치에 의한 부하를 페달에 적정하게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전달부재의 텐션(tension)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필요가 있다.In such a three-axis two-speed transmission mechanism,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is transmitted to the load device through a transmission member such as a chain or a belt arranged between the axes, but at this time, the load by the load device is properly applied to the pedal. In order to do this,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needs to be maintained in a good state.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부터 각 축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전달부재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트레이닝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In view of this, conventionally, a training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between the respective axes has been adopted.

즉,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기존의 리컴벤트식 에르고미터(예를 들면, V60R/세노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풀리나 스프로켓 등을 통하여 외주에 전달부재(47)가 감긴 중간축(48) 및 부하 장치 축(49)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판금(50)(板金) 사이에 각 축(48, 49)의 축방향 양단부를 통하여 가설 유지되고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판금(50)에 있어서의 각 축(48, 49)의 유지 부분에는 판금(50)의 일부를 U자 형상으로 절결한 절결부(notch)(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51)에 의해서 각 축(48, 49)의 유지 위치가 어느 정도 규제되고 있다. 게다가, 각 절결부(51)의 근방 위치에는 이들 각 절결부(51)에 유지된 각 축(48, 49)의 축방향 단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체인 끈 등의 조정 수단(52)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recomvent type erometer (for example, V60R / SENO Co., Ltd.) shown in FIG. 11, the intermediate | middle which the transmission member 47 was wound to the outer periphery through the pulley, sprocket, etc. which are not shown in figure is shown. The shaft 48 and the load device shaft 49 are hypothetically held between a pair of sheet metals 50 (板 金) facing each other through the axial ends of the respective shafts 48 and 49. In the holding portions of the shafts 48 and 49 of the pair of sheet metals 50, notches 51 are formed in which a portion of the sheet metal 50 is cut into a U shape. The holding position of each shaft 48 and 49 is regulated to some extent by this notch 51. Moreover, in the vicinity of each cutout part 51, the adjusting means 52, such as a chain strap, which adjusts the position of the axial end part of each axis | shaft 48 and 49 hold | maintained at each cutout part 51, is arrange | positioned and installed. It is.

그리고, 각 조정 수단(52)에 의해서, 각 축(48, 49)에 있어서의 축방향 양단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양 축(48, 49)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축(48, 49)을 조정 후의 위치에 고정할 때에는, 각 축(48, 49)에 대해서 축방향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와셔(washer)를 통하여 너트를 조임으로써, 각 축(48, 49)을 판금(50)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Then, the respective adjusting means 52 adjusts the positions of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in each of the axes 48 and 49 to adjust the interaxial distance between the two axes 48 and 49. In addition, when fixing each axis 48, 49 to the position after adjustment, each axis 48, 49 is tightened by tightening a nut through the washer not shown from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axis 48, 49, respectively. ) Is fixed to the sheet metal 50.

또한, 본 출원의 발명에 관련하는 선행 기술 정보로서는 다음의 것이 있다.Moreover, the following are the prior art information concerning the invention of this application.

[비특허 문헌 1][Non-Patent Document 1]

인터넷 주소 <URL: http://www.senoh.co.jp/V60R/VR60D.htm>Internet address <URL: http://www.senoh.co.jp/V60R/VR60D.htm>

그런데, 전술한 체인 끈 등에 의해서 각 축(48, 49)의 양단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각 축(48, 49)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 축(48, 49)에 의한 기울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By the way,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both ends of each axis 48, 49 by the above-mentioned chain strap etc., the inclination by each axis 48, 49 is maintained so that each axis 48, 49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occurrence.

그러나, 이러한 축(48, 49)의 기울기가 생기지 않도록 조정을 행하는 데에는작업자의 숙련된 기능을 요구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달부재(47)의 텐션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However, since the skillful skill of the operator was required to perform the adjustment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hafts 48 and 49 did not occu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47 could not be easily adjusted.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축(48, 49)에 와셔를 통하여 너트를 조이는 경우, 판금(50)에 있어서의 절결부(51)의 형성 부위에서는 와셔와 판금(50)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너트의 하중을 판금(50)에 유효하게 전달할 수 없었다. 이 결과, 각 축(48, 49)을 소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t is tightened through the washers on the respective shafts 48 and 49, the washer and the sheet metal 5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forming portion of the cutout 51 in the sheet metal 50. As a result, the load of the nut could not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sheet metal 50. As a result, a problem arises in that each of the axes 48 and 49 cannot be stably h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한편, 각 축(48, 49)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너트의 체결 토크를 크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와셔의 변형이라고 하는 별도의 새로운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버린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tightening torque of a nut is enlarged so that each shaft 48 and 49 may be stably maintained, another new problem called deformation of a washer will arise.

게다가, 기존 제품에 있어서는 고속 회전에 대응하고 또한 질량이 큰 부하 장치가 마루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경우, 부하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 전체의 강성을 크게 하지 않으면 진동을 일으키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부하 장치는 어쨌든 소음원이 되는 바, 종래와 같이 부하 장치가 마루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으면, 좌석에 착석해 운동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부하 장치의 소음이 크게 들려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existing products, load devices that correspond to high-speed rotation and have a large mass are arranged at a high position from the floor surface, but in this case, vibrations are generated unless the rigidity of the entire frame structure for holding the load devices is increased. There was problem to be easy. Since the load device becomes a noise source anyway, if the load device is arranged at a high position from the floor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of the load device is greatly heard by a user seated in the seat and exercising. .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페달의 구동력을 부하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의 텐션을 간편하고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어, 운동 중에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음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 및 좌석의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can easily and appropriately adjust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to the load device, thereby reducing the noise heard by the user during exercise, and at the same time, necessary rigid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position, and a seating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device that is easy to adjust a position of a seat.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구동부 구조를 구비한 트레이닝 장치의 전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fig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drive part structure in embodiment of the drive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2와 다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different from FIG. 2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4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석부 구조를 구비한 리컴벤트(recumbent)형의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umbent type training device having a seat structure in an embodiment of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석을 이동하기 위한 레일부 및 미끄럼이동 대좌부(臺座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 portion and a sliding base for moving the seat in the embodiment of the seat portion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폐 벨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hield belt in an embodiment of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장 커버의 내부 및 외장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at located in an interior of an exterior cov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exterior cover in the embodiment of the sea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장 커버의 내부 및 좌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exterior cov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in the embodiment of the sea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폐 벨트부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10 is a schematic diagram parti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hield belt portion in an embodiment of a seat portion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는 리컴벤트형 에르고미터의 구동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e unit of a recomvent type ergometer conventionally employ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9 : 크랭크축9: crankshaft

10 : 부하 장치 축10: load device axis

12 : 중간축12: intermediate axis

14 : 베이스 프레임14: base frame

15, 16, 17 : 제1 내지 제3 프레임15, 16, 17: first to third frames

30 : 제1 전달부재30: first transfer member

32 : 제2 전달부재32: second transmission member

39 : 소모 부품39: consumable parts

40 : 개공부(開孔部)40: opening part

102 : 베이스부102: base portion

103 : 전각부103: Engraving part

104 : 페달104: pedal

107 : 구동부107: drive unit

120 : 트레이닝 장치120: training device

123 : 좌석부123: seat

125: 외장 커버125: exterior cover

126, 127 : 좌석 부착용 프레임126, 127: frame for attaching the seat

129 : 레일부129: rail

131 : 좌석131: seat

132: 미끄럼이동 대좌부132: sliding base

142 : 차폐 벨트부142: shielding belt

143 : 가이드 부재143: guide member

151 : 가압 부재151: pressure member

본 발명은 좌석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석부 상의 사용자가 구동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에 있어서, 전후로 길이가 긴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구조에 설치된 페달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프레임 구조에 설치된 중간축과,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부하 장치 축을 가지는 부하 장치와, 크랭크축과 중간축에 걸쳐 놓여진 제1 전달부재와, 부하 장치 축과 중간축에 걸쳐 놓여진 제2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중간축은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device tha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portion, the user is driven on the seat portion, the base frame elongated back and forth, the frame structure provided on the base frame, and the crank connected to the pedal provided in the frame structure A shaft, an intermediate shaft provided in the frame structure, a load device provided on the base frame and having a load device shaft, a first transmission member disposed over the crank shaft and the intermediate shaft, and a load device shaft placed over the intermediate shaft and the intermediate shaft. And a transfer member, wherein the intermediate shaft is movable relative to the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제1 전달부재는 프레임 구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전달부재는 프레임 구조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ransfer memb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structure, the second transfer member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부(前端部) 베이스 프레임과 직교하는 길이가 긴 전각부(前脚部)를 설치하고, 프레임 구조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된 제1 프레임과, 이 제1 프레임의 상단부(上端部)에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각 제2 프레임의 전단부에 전각부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제3 프레임을 갖고, 크랭크축과 중간축은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ng full length portion orthogonal to a front end portion base frame of the base frame, and the frame structure includes a first frame provided on a base frame, and the first frame A pair of second frames provided at an upper end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base frame, and a third frame arranged to extend to the front part side of each second frame; It is a drive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in one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프레임에 중간축을 이동 조정 가능하게 배열 설치하고, 이 제1 프레임의 외측 위치에 전달부재를 배열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축간 거리의 조정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제3 프레임을 전달부재의 점유 영역이나 페달의 회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배열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제3 프레임의 축방향의 치수 혹은 양 제3 프레임 사이의 축방향의 거리를 크게 형성해, 프레임 구조 전체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게다가, 부하 장치 축을 마루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열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음을 경감함과 동시에 부하 장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이러한 강성이 우수하고 축간 거리의 조정이 용이한 프레임 구조를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by arranging the intermediate shaft in the first frame so that the movement can be adjusted and arranging the transmission member in the outer position of the first frame. By arranging the three frames in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occupied area of the transmission member or the rotational area of the pedal, the axial dimension of the third frame or the axial distance between both the third frames is formed large, It is possible to secure rigidity, and furthermore, by arranging the load device shaft in a position close to the floor surf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audible to the user and to keep the load device stable. To realize the frame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and the axis-to-axis distance adjustment is easy by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본 발명은, 제2 프레임 상에 소모 부품을 교환 가능하게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wherein consumable parts are arranged so as to be replaceable on a second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등의 교환을 필요로 하는 소모 부품을 구동부 본체에 탑재하는 경우, 소모 부품의 교환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sumable part requiring replacement of a battery or the like is mounted on the drive unit body, the consumable part can be easily replaced.

본 발명은, 제2 프레임의 후단부 근방 위치에, 좌석부로부터 사용자가 일어날 때에 파지하기 위한 핸들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arranging a handle for gripping when a user rises from a seat in a position near a rear end of a second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좌석부로부터 일어나기 쉽게 되어, 트레이닝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for a user to get out of the sea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2 프레임과 핸들 사이에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이 개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is invention is the drive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component arrangement | positioning installation reinforcement board | substrate interposed between 2nd frame and a handle.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을 구동부 본체에 안정적으로 배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사용자가 좌석부에서 일어나 트레이닝 장치로부터 내릴 때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stably arrange the handle on the drive unit body,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when the user gets up from the seat and gets off the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에 사용자가 보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컨트롤 패널의 내측에 소모 부품이 배열 설치되며, 컨트롤 패널을 프레임 구조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소모 부품을 노출시켜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anel for viewing by a user is detachably arranged in a frame structure, consumable parts are arranged in an inside of the control panel in the frame structure, and are consu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panel is separated from the frame structure.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exposing parts to enable replac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 패널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소모 부품의 교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 본체에 상기 소모 부품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덮개와 같은 구성부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렴화 및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replacement of consumable parts can be performed only by removing the control panel,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constituent part such as an openable / closeable cover for exposing the consumable part to the drive body.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apparatus can be made compact.

본 발명은, 제3 프레임의 상단부를 제2 프레임보다도 상방으로 연장시키고, 이 연장시킨 제3 프레임의 상단부와 제2 프레임의 후단부 근방 사이에 컨트롤 패널 부착부를 설치하고, 이 컨트롤 패널 부착부 상에 컨트롤 패널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above the second frame, and installs a control panel attaching portion between the extended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ame. The control unit is attached to the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부 상의 사용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컨트롤 패널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and stably attach the control panel to a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see on the seat.

본 발명은, 컨트롤 패널 부착부에 개공부(開孔部)를 형성하고, 컨트롤 패널을 컨트롤 패널 부착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개공부를 통하여 제2 프레임 상에 배열 설치된 소모 부품을 교환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x part is formed in the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and the consumable parts arranged on the second frame can be exchanged through th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panel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It is a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 패널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제2 프레임상의 소모 부품을 더욱 간편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보다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제조 비용을 더욱 저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place the consumable parts on the second frame only by removing the control panel,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by a simpler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제1 프레임에 있어서의 하단부 측에, 베이스 프레임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ㄷ 자 형상의 아치부를 설치하고, 이 아치부에 있어서의 개구부 안에 발열 부품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이다.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c-shaped arched part in which the opening part was formed in the base frame side in the lower end part side in the 1st frame, and the heat generating component arranged in the opening part in this arch part. The driving unit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하기 쉬운 위치에 발열 부품을 배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아치부에 의해서 발열 부품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부의 다른 구성부를 발열 부품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heat generating parts in a position where heat dissipation is easy, and also to protect other components of the drive unit located above the heat generating parts by the arch portion from heat of the heat generating parts. .

본 발명은, 레일부와,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트레이닝을 행하기 위한 좌석과, 좌석과 레일부 사이에 레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좌석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공(開孔)이 형성된 외장 커버를 구비하고, 좌석을 레일부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좌석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외장 커버의 개공의 근방 위치에 이 개공을 외장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 벨트부를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l portion, a seat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portion and arranged to cover the rail portion between the seat and the rail portion for training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and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seat. And (b) the outer cover is provided, and the position of the seat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ea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ail, and the opening is placed near the opening of the outer cover. It is the seat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arranging and providing the shielding belt part which shields from the in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 커버의 내부에 배열 설치된 차폐 벨트에 의해서, 외장 커버에 형성된 좌석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개공을 외장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기 때문에, 개공이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s for allowing movement of the seat formed in the exterior cover can be shield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rior cover by the shielding belts arranged inside the exterior c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s from being exposed. Become.

본 발명은, 차폐 벨트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장력을 가진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wherein 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and is arranged in a state of tension.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 벨트부를 자신의 탄성을 개재하여 장력을 가진 상태로 배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개공을 더욱 적정하게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느슨해진 상태의 벨트에 의해서 장치의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ielding belt portion can be arranged in a state having tension through its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shield the openings more appropriate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aesthetics of the device can be achieved by the belt in the loosen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is from being harmed.

본 발명은, 차폐 벨트부는 벨트 본체와, 이 벨트 본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The seat bel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belt portion includes a belt main body and a pressing member for applying tension to the belt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부재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개공을 더욱 적정하게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느슨해진 상태의 벨트에 의해서 장치의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shielding belt portion by the press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hield the openings more appropriately, and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the belt in the loosened state. Become.

본 발명은, 차폐 벨트부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좌석에 연결되어, 레일부상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미끄럼이동 대좌부(臺座部)에 그 일부가 고정되고, 또한 레일부에 있어서의 좌석의 이동 방향의 양단부의 외측에 배열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외주에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a part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at, and is fixed to the sliding movement pedestal portion which is held on the rail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t is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t least one pair of guide members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both end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at in a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 벨트부를 레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환상(環狀)으로 형성하고, 또한 좌석과 부분적으로 고정하고, 게다가 가이드부재의 외주에 감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가 상기 좌석의 이동에 수반하여 레일부의 외측을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좌석의 이동에 맞추어 차폐 벨트부에 의해서 가장 효율적이고 또한 자연스러운 상태로 개공을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ail portion, and is partially fixed to the seat, and further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member to hold the shielding belt portion of the seat. Since the outside of the rail portion can travel along with the movement, it becomes possible to shield the opening in the most efficient and natural state by the shielding bel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at.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의 외주에 차폐 벨트부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미끄럼이동 부재가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liding member for assisting the running of the shield belt portion is slidably hel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부재의 외주에 유지된 미끄럼이동 부재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의 주행을 원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좌석의 이동에 맞추어 차폐 벨트부에 의해서 개공을 더욱 적정하게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차폐 벨트부의 느슨해짐을 보다 유효하게 방지해 장치의 미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ing belt portion can be smoothly moved by the sliding member hel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member, the opening can be more properly shielded by the shielding bel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at. Loosening of the shielding belt part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and the aesthetics of the apparatus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은, 가압 부재는 벨트 본체로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ttachment to the belt main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부재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트레이닝 장치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attachment of a press member can be performed easily, and also the number of the assembly process of a training apparatus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차폐 벨트부는 적어도 1 개소에서 환상의 상태로부터 분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가이드부재에 의한 되접힘부를 경계로 상하에 서로 대향하는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갖도록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상측 부분의 일부가 미끄럼이동 대좌부에 고정되고, 하측 부분이 레일부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하는 관 형상의 레일기부(基部)의 내부를 통하도록 배열 설치되며, 게다가 레일 기부에는 차폐 벨트부의 조립이나 분해를 행하기 위한 작업용의 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belt portion can be disassembled from an annular state at at least one position, and is arranged so as to have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facing each other up and down at the boundary with the refolded portion by the guide member. A part is fixed to the sliding base, and the lower part is arrang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ular rail base which holds the rail part from below, and the rail base i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e shield belt part. It is a sea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for work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레일 기부를 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차폐 벨트부를 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고 레일 기부 상에 레일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레일 기부에 형성된 작업용의 개공을 통하여 상기 차폐 벨트부의 조립 작업이나 분해 작업을 원활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rail base in a tubular shape and allowing the inside of the shielding belt to pass therethrough, the rail base can be stably held on the rail base without disturbing the running of the shielding belt. Through the opening for work formed in the base,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assembling work and disassembly work of the said shield belt part smoothly.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drive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를 구비한 트레이닝 장치의 일례로서의, 리컴벤트식 에르고미터를 나타낸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 recumbent ergometer as an example of a training apparatus having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트레이닝 장치(1)는 장치 본체의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인 후방측에 사용자가 착석해 운동을 행하기 위한 좌석(2)을 가지는 좌석부(3)를 구비하고 있다.This train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the seat part 3 which has the seat 2 for the user to sit and exercise in the back side which is the right side in FIG. 1 of the apparatus main body.

그리고, 장치 본체의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에는 상기 좌석부(3) 상의 사용자가 페달(4)을 개재한 다리 젓기 운동을 행하기 위한 구동부(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On the left side in FIG. 1 of the apparatus main body, a drive unit 5 for arranging a leg-stroke exercise by the user on the seat portion 3 via the pedal 4 is arranged.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좌석부(3)와 상기 구동부(5) 사이에는 트레이닝 장치(1)로의 사용자의 승강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공간부(7)가 형성되어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space portion 7 is provided between the seat portion 3 and the drive portion 5 for simplify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user to the training apparatus 1.

도 2 내지 도 4는 트레이닝 장치(1)의 구동부(5)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2 to 4 show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5 of the training apparatus 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5)는 주요한 구성부로서, 사용자가 구동하기 위한 페달(4)과, 이 페달(4)에 부하를 부여하는 부하 장치(8)를 갖고, 또한 상기 페달(4)에 연결된 크랭크축(9)과, 상기 부하 장치(8)에 연결된 부하 장치 축(10)과, 상기 크랭크축(9)과 상기 부하 장치 축(10)을 중계하는 중간축(12)으로 이루어지는 3축 2단 변속 기구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어서, 종래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The drive part 5 in this embodiment has a pedal 4 for a user to drive as a main structure part, and the load device 8 which loads this pedal 4, and the said pedal 4 Crank shaft (9) connected to the crankshaft (9), the load device shaft (10) connected to the load device (8), and the intermediate shaft (12) relaying the crankshaft (9) and the load device shaft (10). I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it has a three-axis two-speed mechanism.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5)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처럼 종래와 다른 여러 가지의 구조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drive part 5 in this embodiment has various structural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as shown below.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5)는 외장 커버(13)의 내부에 구동부 본체의 골격이 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 구조는 전후에 길이가 긴 베이스 프레임(14)을 가지고 있으며, 이 베이스 프레임(14)의 전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주 형상의 전각부(1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의 후단부는 상기 좌석부(3)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도시되지 않음)과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4) 상에는 연직 상방으로 길이가 길게 된 단면 4각 형상의 관 형상의 제1 프레임(1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프레임(15)의 상단부 에 있어서의 도 1에 있어서 지면 수직 방향이 되는 축방향의 양 측면에는, 단면이 4각 형상인 관 형상의 한 쌍의 제2 프레임(16)이 각 측면으로부터 전후로 연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제2 프레임(16)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외측의 측면에는, 단면 4각 형상의 관 형상의 한 쌍의 제3 프레임(17)이 상기 전각부(19) 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고, 각 제3 프레임(17)의 하단부는 상기 전각부(19)에 연결되어 있다.That is, the drive part 5 in this embodiment has the frame structure used as the frame | skeleton of a drive part main body in the exterior cover 13. As shown in FIG. This frame structure has a long base frame 14 before and after, and a columnar embossed portion 19 having a long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s arranged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14. 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base frame 14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not shown) constituting the seat portion (3). And on the said base frame 14, the tubular 1st frame 15 of cross-sectional quadrangular shape which lengthened perpendicularly upwards is provided upright. In FIG. 1 at the upper end of this first frame 15, a pair of tubular second frames 16 having a quadrilateral cross section is formed from each side on both sides of the axial direction, which becomes the paper vertical direction. It is arranged so as to extend back and forth. In addition, on the lateral outer side surface at the front end of each second frame 16, a pair of tubular third frames 17 having a quadrilateral cross section are arranged to extend toward the front part 19 side. It is provided, and the lower end of each third frame 17 is connected to the full width part 19.

게다가, 상기 제1 프레임(15)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측면에는, 상기 페달(4)에 연결된 크랭크축(9)이 상기 제1 프레임(15)에 고정된 원통형의 크랭크 베어링(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In addition, on th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ame 15, a crankshaft 9 connected to the pedal 4 is provided through a cylindrical crank bearing 20 fixed to the first frame 15. It is kept rotatable.

상기 제1 프레임(15)의 상기 후방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크랭크축(9)의 상방 위치에는, 상기 중간축(12)이 원통형의 중간 베어링(2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The intermediate shaft 12 is rotatably held via the cylindrical intermediate bearing 21 at an upper position of the crankshaft 9 on th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ame 15.

상기 중간 베어링(21)과 상기 제1 프레임(15)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측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크랭크축(9)의 축간 거리를 조정 하기 위한 축간 조정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An interaxial adjustment mechanism 22 for adjusting the interaxial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crankshaft 9 between the intermediate bearing 2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in the first frame 15. ) Is installed.

상기 축간 조정 기구(22)는 상기 제1 프레임(15)과 평행한 평판 형상의 중간축 이동판(24)을 갖고 있으며, 이 중간축 이동판(24)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중간 베어링(21)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의 내측 표면은 상기 제1 프레임(15)의 상기 전방측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의 외측 표면에 있어서의 상단측에는, 암나사부 등으로 되는 조정부재 결합부(25)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조정부재 결합부(25)에는 제1 프레임(1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의 상방에 유지된 볼트 등으로 되는 조정부재(26)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조정부재(26)를 나사돌리개나 스패너 등의 공구에 의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을 상기 중간 베어링(21) 및 상기 중간축(12)과 함께 제1 프레임(15)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The interaxial adjustment mechanism 22 has a plate-shaped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parallel to the first frame 15, and the intermediate bearing 21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t is fixed by methods such as welding.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15. And on the upper end side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intermediate-axis moving plate 24, the adjustment member engagement part 25 which becomes a female thread part etc. is fixed, and this adjustment member engagement part 25 is equipped with the 1st frame ( The adjusting member 26, such as a bolt held above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n 15), is engaged. Then, by rotating the adjusting member 26 by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or a spanner,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s moved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bearing 21 and the intermediate shaft 12 to the first frame 15. It can slide up and down along the side of).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크랭크축(9)의 축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crankshaft 9 can be adjusted.

또,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한쪽의 단면에는, 상하로 간격을 마련하도록 하여, 한 쌍의 유지용 돌기부(27)가 상기 제1 프레임(15)의 축방향의 측면 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지용 돌기부(27)에 의해서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에 의한 미끄럼이동, 즉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크랭크축(9)의 축간 거리의 조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space | interval is provided up and down in the one end surface of the axial direction in the said intermediate-axis moving plate 24, and the pair of holding | maintenance protrusions 27 are axially-oriented of the said 1st frame 15 It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side. The holding projections 27 keep the sliding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that is, the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shafts 12 and the crankshaft 9 between shafts stable. .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에는 상기 중간 베어링(21)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간격을 마련하도록 하여 볼트 등으로 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29)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체결부재(29)에 의해서 조정 후의 위치에 중간축 이동판(24)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에 있어서의 각 체결부재(29)의 배열 설치 위치에는, 제1 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한 쌍의 긴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각 긴 구멍에 의해서 상기 체결부재(29)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축 이동판(24)에 의한 상하 이동이 허용되게 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s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ing members 29 arranged in a bolt or the like so as to provide a gap vertically with the intermediate bearing 21 therebetween, and these fastening members 29 are arranged. By this,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can be fixed to the position after adjustment. Moreover, a pair of long holes (not shown) which are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st frame 15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position of each fastening member 29 in the said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and the long hole allows the vertical movement by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n the state where the fastening member 29 is loosened.

상기 제1 프레임(15)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한쪽(도 3에 있어서의 앞쪽)의 외측 위치에는, 상기 크랭크축(9)의 회전을 상기 중간축(12)에 전달하기 위한 무단벨트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달부재(30)가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 전달부재(30)는 풀리나 스프로켓 등의 회전부재(31)를 통하여 상기 크랭크축(9) 및 상기 중간축(12)의 외주에 감겨 유지되고 있다.An endless belt or chai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9 to the intermediate shaft 12 at an outer position of one side (front in FIG. 3)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first frame 15.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30 is formed in an array,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30 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ank shaft 9 and the intermediate shaft 12 through a rotating member 31, such as a pulley or a sprocket It is wound up and is kept.

또, 상기 제1 프레임(15)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다른 쪽(도 2에 있어서의 앞쪽)의 외측 위치에는, 상기 중간축(12)의 회전을 상기 부하 장치 축(10)에 전달하기 위한 무단 벨트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전달부재(32)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전달부재(32)는 풀리나 스프로켓 등의 회전부재(31)를 통하여 상기 중간축(21) 및 상기 부하 장치 축(10)의 외주에 감겨 유지되고 있다.Moreover, in order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said intermediate shaft 12 to the said load apparatus shaft 10 in the outer position of the other side (front in FIG. 2)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said 1st frame 15. FIG.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32 which consists of an endless belt, a chain, etc. is arrange | positioned, The said 2nd transmission member 32 is the said intermediate shaft 21 and the said load apparatus via rotating members 31, such as a pulley and a sprocket. It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10, and is hold | maintained.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축(12, 9)에 있어서의 축방향 양단부의 위치를 각각 미조정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중간축(12)을 제1 프레임(15)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크랭크축(9)의 축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부하 장치 축(10)의 축간 거리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intermediate shaft 12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frame 15 without necessitating fine adjustment of the positions of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in each axis 12 and 9,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crankshaft 9 only.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load device shaft 10 can also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이것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9)과 상기 중간축(12)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제1 전달부재(30), 및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부하 장치 축(10)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제2 전달부재(32)의 텐션을 간편하고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by, it is woun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1st transmission member 30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crankshaft 9 and the said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said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said load device shaft 10. As shown in FIG. The tens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32 can be adjusted simply and appropriately.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하 장치 축(10)을 가지는 부하 장치(8)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의 전단부 측의 상부 근방 위치에 설치되고, 부하 장치 축(10)은 하우징 등의 유지부(18)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ad device 8 which has the load device shaft 10 is provided in the upper vicinity posi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said base frame 14, and the load device shaft 10 is hold | maintained, such as a housing | casing or the like. The part 18 is rotatably held.

이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서, 상기 좌석부(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부하 장치(8)를 설치할 수 있고, 이 결과, 좌석부(3) 상의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음을 경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마루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질량이 큰 부하 장치(8)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고속 회전에 의한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b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load device 8 can be provided in the position away from the said seat part 3, As a result, the noise which a user hears on the seat part 3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load device 8 having a large mass at a position close to the floor surface, and to reduce vibration due to high speed rotation.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제3 프레임(17)이 각 전달부재(30, 32)의 점유 영역 및 상기 페달(4)의 회전 영역(이하, 「간섭 영역(33)」이라 칭함)의 외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aid 3rd frame 17 occupies the area | region occupied by each transmission member 30, 32, and the rotation area | region of the said pedal 4 (henceforth "interference area 33).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ide of ").

이것에 의해, 각 제3 프레임(17)의 축방향의 치수를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양 제3 프레임(17)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어, 프레임 구조 전체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by, the dimension of the axial direction of each 3rd frame 17 can be formed large, or the space | interval between both 3rd frames 17 can be enlarged, and the rigidity of the whole frame structure can be improved. .

또, 이러한 강성이 뛰어나고 또한 축간 거리의 조정이 용이한 프레임 구조를, 상기 제1 내지 제3 프레임(15, 16, 17) 및 상기 전각부(19)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frame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in such rigidity and easy to adjust an interaxial distance can be implement | achieved by the simpl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said 1st-3rd frame 15, 16, 17 and the said embossed part 19. As shown in FIG. .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16)의 상부에는 이 제2 프레임(16)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편평한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이 부착되어 있고, 이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에 있어서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좌석부(3)로부터 사용자가 일어날 때에 파지하기 위한 축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주형상의 핸들(35)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좌석부(3)로부터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핸들(35)과 상기 제2 프레임(16) 사이에 상기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을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핸들(35)을 안정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트레이닝 장치(1)로부터 사용자가 내릴 때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어 있다.A flat component array mounting reinforcement board 34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frames 16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frame 1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end of the columnar columnar handles 35, which are long in the axial direction for gripping when the user rises from the seat 3, are arranged.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rise from the seat 3. In addition, since the component array installation reinforcement board 34 is interposed between the handle 35 and the second frame 16, the handle 35 can be stably arranged and furthermore, the training device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when the user gets off from 1).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17)은 그 상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16) 보다도 상방으로 연장해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상단부 측의 일정 범위의 부위가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으로 굴절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3 프레임(17)의 상단부와 상기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의 후단부 근방 부위 사이에는, 판 형상의 컨트롤 패널 부착부(36)가 그 평면을 좌석부(3) 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방으로 기운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컨트롤 패널 부착부(36)에는 운동 중에 좌석부(3) 상의 사용자가 보기 위한 컨트롤 패널(37)이 착탈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said 3rd frame 17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may extend upwards rather than the said 2nd frame 16, and the site | part of the predetermined range by the upper end side by the predetermined angle is carried out. It is refracting backwards. And between the upper end part of this 3rd frame 17 and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part of the said part arrangement reinforcement board | substrate 34, the plate-shaped control panel attachment part 36 makes the plane the seat part 3 side. It is arranged so as to face forward. And this control panel attachment part 36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panel 37 detachably arrange | positioned for viewing by the user on the seat part 3 during exercise.

이것에 의해, 좌석부(3) 상의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37)을 보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컨트롤 패널 부착부(36)를 통하여 컨트롤 패널(37)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is makes it easy for the user on the seat 3 to see the control panel 37. Moreover, the control panel 37 can be stably held through the control panel attachment part 36.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 상에 있어서의 상기 컨트롤 패널 부착부(36)의 내측에는, 배터리나 AC 어댑터 등의 교환을 필요로 하는 소모 부품(39)이 교환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 부착부(36)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37)을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 상의 소모 부품(39)을 노출시키는 개공부(40)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sumable parts 39 which require replacement | exchange of a battery, an AC adapter, etc. are replaceable inside the said control panel attachment part 36 on the said component arrangement | position mounting reinforcement board | substrate 34. FIG. Array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36 is provided with an opening 40 for exposing the consumable parts 39 on the component array installation reinforcement board 34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panel 37 is separated. have.

따라서, 컨트롤 패널(37)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개공부(40)를 통하여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34) 상의 소모 부품(39)의 교환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소모 부품(39)의 교환시에 소모 부품(39)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덮개와 같은 구성부를 특별히 마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염가로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consumable parts 39 on the component array mounting reinforcement board 34 through the opening 40 in the state where the control panel 37 is separated. In addition, for exampl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pecial configuration such as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for exposing the consumable part 39 when the consumable part 39 is replac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t a low cost. It is.

상기 제1 프레임(15)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4) 사이에는 베이스 프레임(14) 측에 개구부(41)가 형성된 ㄷ 자 형상의 아치부(42)가 개재되어 있고, 이 아치부(42)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41)의 안에 저항기 등의 발열 부품(43)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first frame 15 and the base frame 14 is a c-shaped arch portion 42 having an opening 41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frame 14 is interposed therebetween, Heat generating parts 43 such as resistors are arranged in the openings 41 in the above.

이것에 의해, 발열 부품(43)을 방열하기 쉬운 위치에 배열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발열 부품(43)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부(5)의 다른 구성부를 발열 부품(43)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by, the heat generating component 43 can be arranged in a position where it is easy to dissipate heat, and the other components of the drive unit 5 located above the heat generating component 43 can be protected from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component 43. It is supposed to be.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전달부재(30) 및 제2 전달부재(32)의 텐션을 조정하는데는, 우선, 상기 축간 조정 기구(22)의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29)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중간축 이동판(24)에 의한 상하로의 미끄럼이동을 허용시킨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1st transmission member 30 and the 2nd transmission member 32, the said 1st fastening member 29 of the said interaxial adjustment mechanism 22 is loosened. This permits the sliding movement up and down by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다음에, 상기 조정부재(26)를 공구를 이용해 회전시킴으로써, 중간축 이동판(24)을 중간축(12)과 함께 상하로 적절히 이동시키고, 소정 위치에 있어서 조정부재(26)의 회전을 정지한다.Next, by rotating the adjusting member 26 using a tool, the intermediate shaft moving plate 24 is appropriately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shaft 12 to stop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26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o.

그 후, 체결부재(29)를 다시 조임으로써, 상기 중간축(12)을 이동 후의 위치에 고정한다.Thereafter, the fastening member 29 is tightened again to fix the intermediate shaft 12 to the position after the movement.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크랭크축(9)의 축간 거리, 및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부하 장치 축(10)의 축간 거리를, 각 축(9, 10, 12)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crankshaft 9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load device shaft 10 are determined by the respective axes 9, 10, 12. It can be adjusted simply and appropriately while maintaining the parallel state of.

이것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9)과 상기 중간축(12)의 외주에 감겨진 제1 전달부재(30) 및 상기 중간축(12)과 상기 부하 장치 축(10)의 외주에 감겨진 제2 전달부재(32)의 텐션을 간편하고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reby, the first winding member 3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rankshaft 9 and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agent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load device shaft 10. 2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32 can be adjusted simply and appropriately.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 구조를 구비한 트레이닝 장치(1)를 사용해 운동을 행하는 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좌석부(3)에 착석한 상태에서 구동부(5)의 페달(4)을 구동한다.Moreover, in order to exercise using the training apparatus 1 provided with the drive part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pedal 4 of the drive part 5 in the state which the user was seated in the seat part 3 like conventionally To drive.

이 때, 상기 부하 장치(8)는 고속 회전에 의해서 어느 정도의 소음을 발하지만, 부하 장치 축(10)이 부하 장치(8)와 함께 마루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음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마루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부하 장치(8)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load device 8 makes some noise by a high speed rotation, since the load device shaft 10 is arrange | positioned with the load device 8 in the near position from the floor surface, You can reduce the noise you hear. And at the position near the floor surface, the load apparatus 8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vibration can be reduced.

게다가, 상기 제3 프레임(17)이 상기 페달(4)의 회전 영역 및 상기 제1 전달부재(30) 및 상기 제2 전달부재(32)의 점유 영역에 간섭하지 않는 간섭 영역(33)의 외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3 프레임(17)의 축방향의 치수 혹은 양 제3 프레임(17) 사이의 거리를 크게 형성하여 프레임 구조 전체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운동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rame 17 is outside of the interference region 33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region of the pedal 4 and the occupied regions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3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32. Since the arrangement is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17 or the distance between both the third frame 17 can be form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entire frame structure, thereby contributing to a safer movement ha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hing of the said embodiment, It can change in various ways as needed.

예를 들면, 상기 크랭크축(9)을 상기 제1 프레임(15)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중간축(12)과 크랭크축(9)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게 해도 좋다.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shaft 12 and the crankshaft 9 may be adjusted by arranging the crankshaft 9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first frame 15.

게다가,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한 쌍의 제3 프레임(17) 사이에 보강 프레임(45)을 배열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프레임 구조의 강성을 더욱 향상하게 해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rigidity of the frame structure may be further improved by arranging the reinforcing frames 45 between the pair of third frames 17.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에 의하면, 전달부재의 텐션을 간편하고 정하게 조정하여, 트레이닝 장치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운동 중에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음을 경감해 쾌적한 운동을 실현할 수 있고, 게다가 필요한 강성을 확보해 안정성이 뛰어난 트레이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rive unit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simply and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training apparatus, and also the noise heard by the user during exercis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mfortable exercise by reducing the pressure, and to secure the necessary rigidity and to realize a training device having excellent stability.

또, 부품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트레이닝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좌석부로부터 일어날 때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the convenience of the training apparatus can be improved, and the safety when the user rises from the seat can be improved.

그리고, 제조 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다.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트레이닝 장치의 열에 의한 열화를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제품 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deterioration by the heat of a training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also product life can be improved.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seat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를 구비한 리컴벤트형의 트레이닝 장치(120)를 나타낸 것이다.Fig. 5 shows a recomvent type training device 120 provided with a seat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이 트레이닝 장치(12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트레이닝 장치의 바닥부가 되는 베이스부(102) 상에 있어서의 전각부(103) 측에 구동부(107)를 갖고 있고, 이 구동부(107)에는 페달(104)을 비롯하여, 이 페달(104)에 부하를 부여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하 장치나, 주행거리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 표시기(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승강을 보조하는 승강 보조 핸들(121)이나, 드링크 홀더(122)가 필요에 따라서 배열 설치되게 되어 있다.This training apparatus 120 has the drive part 107 in the full-angle part 103 side on the base part 102 used as the bottom part of a training device like the conventional one, and this drive part 107 has the pedal 104 ), A load device (not shown) for applying a load to the pedal 104, and an indicator 5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travel distance are arranged. And the lifting aid handle 121 and the drink holder 122 which assist a user's lifting and lowering are arrange | positioned as needed.

상기 베이스부(102) 상에 있어서의 후각부(後脚部)(109) 측에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페달(104)을 젓기 위한 좌석(131)을 구비한 좌석부(123)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좌석부(123)에는 운동 중에 사용자가 파 지하기 위한 운동 보조 핸들(130)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On the base part 102, the seat part 123 provided with the seat 131 for rowing the pedal 104 in the state which a user is seated is arranged in the olfactory part 109 side. It is installed. The seat 123 is provided with an exercise assist handle 130 for holding by the user during the exercise.

또, 상기 구동부(110)와 상기 좌석부(123) 사이에는, 사용자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간부(11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pace 112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unit 110 and the seating unit 123 to facilitate the lifting of the user.

도 6은 상기 좌석부(123)에 있어서의 외장 커버(125)의 내부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베이스부(102) 상에는 이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도록 하여 한 쌍의 좌석 부착용 프레임(126, 127)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양 좌석 부착용 프레임(126, 127) 중 상기 페달(104)에 근접하는 전방측, 즉 도 6에 있어서의 안쪽의 좌석 부착용프레임(126)은 후방측, 즉 도 6에 있어서의 앞쪽의 좌석 부착용 프레임(127) 보다도 치수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6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the exterior cover 125 in the seat 123. As shown in FIG. 6, a pair of seat mounting frames 126 and 127 are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102 so as to provid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2, and for both seat attachments. The front seat attaching frame 126 in the front side, ie, in FIG. 6, which is close to the pedal 104 among the frames 126, 127, is the rear seat attaching frame 127 in the back, that is, in FIG. 6.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dimension.

그리고, 양 좌석 부착용 프레임(126, 127) 상에는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길게 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레일 기초부(128)가 양 좌석 부착용 프레임(126, 127)에 걸쳐지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 기초부(128)는 양 좌석 부착용 프레임(126, 127)의 치수 차이에 의해서 전방측이 하방으로 기운 상태로 되어 있다.On both seat attachment frames 126 and 127, the length is increa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2, and a tubular rail base portion 128 having an opening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frame for attaching both seats ( 126 and 127 are arranged so as to span. The rail base portion 128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is inclined downward due to the dimens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rame for attaching the two seats 126 and 127.

상기 레일 기초부(128)에 있어서의 상벽부(128a)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레일부(129)가 상기 레일 기초부(128)에 대해서 평행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레일부(129) 상에는 이 레일부(129)를 따라 좌석(131)을 이동시키기 위한 미끄럼이동 대좌부(132)가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portion 128a in the rail foundation portion 128, a rail portion 129 having a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2 is parallel to the rail foundation portion 128. Attached. On this rail part 129, the sliding base part 132 for moving the seat 131 along this rail part 129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sliding is possible.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131)에 면하는 도 6의 상면에는, 이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좌석(131)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구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결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연결부(133)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내는 좌석 받이부(135) 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볼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재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상기 좌석(131)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FIG. 6 that faces the seat 131 in the sliding seat 132,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including screw hole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he seat 131 to the sliding seat 132. 133 is formed. And it connects to the said sliding base part 132 by screwing together the connection member (not shown), such as a bolt, from the seat receiving part 135 side shown in FIG. The seat 131 can be connected.

상기 레일 기부(128)의 상벽부(128a)에 있어서의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의 이동 영역 내에는,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이 레일 기부(128)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In the movement area of the sliding base 132 in the upper wall portion 128a of the rail base 128, a seat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made of a circular hole is formed of the rail base 128. A plurality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에 도시하지 않은 좌석위치 고정핀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이 좌석위치 고정핀에 미끄럼이동 대좌부(132)를 맞닿게 하여, 그 미끄럼이동을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연결된 좌석(13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n, by inserting a seat position fixing pin (not shown) into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the sliding position base 13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thereby restricting the sliding movement. It is supposed to be.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seat 131 connected to the sliding base part 132 can be fixed.

또한,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외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에 대해서 원근 가능하게 된 좌석위치 고정 레버(137)를 상기 좌석(131)의 바닥부에 마련하고, 이 좌석위치 고정 레버(137)의 선단부에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을 형성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가 좌석위치 고정 레버(137)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좌석(131)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bout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aid seat position fixing pin, as shown, for example in FIG. 9, the seat position fixing lever 137 which became perspective with respect to the said seat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at 131, and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eat position fixing lever 137.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131 by operating the seat position fixing lever 137.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레일부(129)의 상부 근방에는 단면이 ㄷ 자 형상인 레일 커버(138)가 상기 레일부(129)를 상방 및 측방으로부터 에워싸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near the upper part of the said rail part 129, the rail cover 138 which has a c-shaped cross section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aid rail part 129 may be enclosed from upper and side sides.

또 8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레일 커버(138)의 상벽부(138a)에 있어서의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의 연결부(1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레일 커버(138)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된 긴구멍 모양의 한 쌍의 개공(140)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8,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133 of the said sliding base part 132 in the upper wall part 138a of the said rail cover 138 i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cover 138. A pair of long holes 140 having a long elongated shape is formed.

그리고, 이들 각 개공(140)에 의해서, 상기 레일 커버(138)의 하부에 위치하는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와 상방에 위치하는 좌석(131)의 연결이 허용되고, 또한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연결된 좌석(131)에 의한 레일부(129)를 따른 이동이 허용되게 되어 있다.The openings 140 allow the connection between the sliding base 132 located below the rail cover 138 and the seat 131 located above, and the sliding base section ( Movement along the rail portion 129 by the seat 131 connected to 132 is allowed.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레일 커버(138)와 좌석(131) 사이에 위치하는 외장 커버(125)의 상벽부(125a)에도, 좌석(131)과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의 연결 및 좌석(131)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긴구멍 모양의 개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개공(141)은 상기 레일 커버(138)의 개공(140) 보다도 폭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고, 형성 개수도 도 5에 있어서는 1개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seat 131 and the sliding base 132 are also connected to the upper wall portion 125a of the outer cover 125 located between the rail cover 138 and the seat 131. And a long hole opening 141 for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seat 131 is formed. In addition, the opening 141 has a larger width dimension than the opening 140 of the rail cover 138, and the number of formations is one in FIG.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외장 커버(125)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공(141)에 근접하는 위치, 즉 상기 개공(141)이 형성된 상기 외장 커버(125)의 상벽부(125a)와 상기 레일 커버(138) 사이에, 상기 개공(141)을 외장 커버(125)의 내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 벨트부(14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nd FIG. 9, a position close to the opening 141 in the interior of the exterior cover 125, that is, the exterior cover in which the opening 141 is formed ( Between the upper wall part 125a of 125 and the said rail cover 138, the shielding belt part 142 which shields the said opening 141 from the inner side of the exterior cover 125 is arrange | positioned.

이것에 의해, 상기 개공(141)이 노출하는 것에 의한 폐해, 즉 상기 개공(141)을 통과한 좌석부 내로의 의복 등의 휘감김이나 티끌 먼지의 흡입, 장치의 미관의 조악화라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problems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openings 141, that is, the enveloping of clothing and the like into the sea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openings 141, the inhalation of dust dust, and the coarsening of the aesthetics of the device are solved. It is to be solved.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폐 벨트부(142)는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그 일부가 고정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레일부(129)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131)의 이동 방향의 양단부의 외측에는, 원주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143)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가이드 부재(143)의 외주에 상기 차폐 벨트부(142)가 감겨 유지되게 되어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said shielding belt part 142 is formed in the annular shape by which the one part was fixed to the said sliding base part 13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pair of circumferential guide members 143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both end portions of the rail 129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t 131. The shielding belt part 142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is maintained.

즉, 상기 차폐 벨트부(142)는 상기 가이드 부재(143)에 의한 되접힘부를 경계로 상하에 서로 대향하는 상측 부분(142a)과 하측 부분(142b)을 갖도록 배열 설치되게 되어 있다.That is, the shielding belt part 142 is arranged so as to have an upper part 142a and a lower part 142b which face each other up and down at the boundary of the refolded part by the guide member 143.

여기서, 상기 차폐 벨트부(142)와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의 고정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술하면,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차폐 벨트부(142)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부분(142a)은 상기 레일 커버(138)의 상벽부(138a)와 상기 좌석 받이부(13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석 받이부(135)의 바닥벽부(135a)에 있어서의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의 연결부(1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대한 좌석(131)의 연결을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바닥벽부(135a)의 위로부터 상기 연결부(133) 측으로 전술한 연결부재를 나사식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바닥벽부(135a)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 좌석위치 고정핀에 의한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으로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좌석 받이부(135)와 상기 차폐 벨트부(142) 사이에는 좌석(131)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한 고정 보강판(144)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고정 보강판(144)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13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시키는 관통공(145)이 형성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보강판(144)에 있어서의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으로의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의 삽입을 허용하는 관통공(146)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고정 보강판(144)에 전장 코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147)을 형성하게 해도 좋다.Here, the fixing structure of the shielding belt part 142 and the sliding base 13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9, the upper portion 142a of the shielding belt part 142 is I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138a of the rail cover 138 and the seat receiving portion 135. The position of the seat 131 with respect to the sliding base 132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133 of the sliding base 132 in the bottom wall portion 135a of the seat receiving part 135.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making a connection is formed, and through this through hole,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member can be screw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3 from above the bottom wall portion 135a. Further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sition fixing pin in the bottom wall portion 135a,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allowing insertion into the seating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by this seating position fixing pin is made. The ball is formed. In addition, a fixing reinforcing plate 144 for reinforcing the fixing of the seat 131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t receiving part 135 and the shielding belt part 142. The through hole 145 penetrating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133 in the fixed reinforcement plate 144. The through hole 146 allows insertion of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into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in the fixed reinforcing plate 144.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fixing reinforcing plate 144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47 for passing the electric length cord.

게다가, 차폐 벨트부(142)의 상기 상측 부분(142a)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보강판(144)의 각 관통공(145, 146, 14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들 각 관통공(145, 146, 147)과 마찬가지의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142)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부분(142a)을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부분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through holes 145 and 146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ough holes 145, 146 and 147 of the fixed reinforcing plate 144 in the upper portion 142a of the shield belt portion 142. 147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in the same manner. Thereby, the said upper part 142a in the shielding belt part 142 can be partially fixed to the said sliding base part 132.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차폐 벨트부(142)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부분(142b)은 상기 레일 기부(128)의 내부를 통과해 상기 레일부(129)의 하측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lower part 142b in the said shield belt part 142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aid rail base 128, and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said rail part 129. As shown in FIG.

이것에 의해, 상기 차폐 벨트부(142)가 상기 좌석(131)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개공(141)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레일부(129)의 외측을 주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좌석(131)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차폐 벨트부(142)가 가장 효율적으로 또한 자연스러운 상태로 개공(141)을 차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레일 기부(128)에 의해, 상기 차폐 벨트부(142)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레일부(129)를 하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by, the said shield belt part 142 can drive the outer side of the said rail part 129, maintaining the state which shielded the said opening 141 with the movement of the said seat 131. FIG. .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 131,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can shield the opening 141 in the most efficient and natural state. In addition, the rail base 128 makes it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rail portion 129 from below without disturbing the running of the shield belt portion 142.

또한, 상기 각 가이드 부재(143)에 있어서의 폭방향 양단부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랜지(149)를 형성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플랜지(149)에 의해서차폐 벨트부(142)를 폭방향의 양단부 측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폐 벨트부(142)의 사행(蛇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 벨트부(142)에 이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 이 차폐 벨트부(142)에 의한 개공(141)의 차폐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고, 아울러, 느슨해진 상태의 차폐 벨트부(142)에 의해서 장치의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you may make it form the flange 149 shown in FIG. 7 i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in each said guide member 143. FIG. In this case, since the shielding belt part 142 can be stably held from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by the flange 149, meandering of the shielding belt part 142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relaxation of the shielding belt part 142 can be prevented, and the opening of the opening 141 can be properly shielded by the shielding belt part 142, and the shielding belt part 142 in the loosened state can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esthetics of the device from being damaged.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차폐 벨트부(142)가 벨트 본체(150)와 이 벨트 본체(150)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151)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aid shielding belt part 142 is provided with the belt main body 150 and the press member 151 which tensions this belt main body 150.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가압 부재(151)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142)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개공(141)을 더욱 적정하게 차폐할 수 있고, 또한 느슨해진 상태의 차폐 벨트부(142)에 의해서 장치(120)의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by the pressing member 151, the openings 141 can be shielded more appropriately, and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in the loosened state is provided. This effectively prevents the beauty of the device 120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기 가압 부재(151)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길이가 긴 벨트 본체(150)의 양단부를 서로 접근시킨 상태에서, 이들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양단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배열 설치된 코일 스프링이라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pressing member 151 is provided with a coil detachably arranged between both ends so as to connect these both ends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long belt main body 150 are close to each other. It may be a spring.

게다가 또, 상기 각 가이드 부재(143)의 외주에 상기 차폐 벨트부(142)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미끄럼이동 부재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게 해도 좋다.In addition, a cylindrical sliding member (not shown) for assisting the traveling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may be hel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guide members 143 so as to be slidable.

이와 같이 하면, 차폐 벨트부(142)의 주행을 원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좌석(131)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차폐 벨트부(142)에 의해서 상기 개공(141)을 더욱 적정하게 차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차폐 벨트부(142)의 이완을 더욱 유효하게 방지해 장치(120)의 미관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running of the shielding belt part 142 can be made smooth, the opening 141 can be shielded more appropriately by the said shielding belt part 142 with movement of the seat 131.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relaxation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to maintain aesthetics of the device 120 better.

또한, 상기 벨트 본체(150)를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서 형성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벨트 본체(150) 자신의 탄성을 이용하여 보다 유효하게 차폐 벨트부(142)를 장력을 가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 상기 가압 부재(151)를 거치지 않고서도 차폐 벨트부(142)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 부재(151)를 구성 요소로부터 제거하고, 차폐 벨트부를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벨트만으로 간단하고 염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The belt body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In this way, the shielding belt part 142 can be more effectively maintained in tension with the elasticity of the belt main body 150 itself. 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th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member 151, the pressing member 151 is removed from the component and the elasticity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for example, is removed. It becomes possible to comprise simply and inexpensively only by the annular belt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to have.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폐 벨트부(142)를 구성하는 상기 가압 부재(151)는 상기 벨트 본체(150)로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said press member 151 which comprises the said shielding belt part 14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an perform attachment to the said belt main body 150 easily.

즉, 상기 레일 기부(128)에 있어서의 바닥벽부(128b)에는, 예를 들면 상기 벨트 본체(150)로의 상기 가압 부재(151)의 부착 작업 등의 상기 차폐 벨트부(142)의 조립 작업이나 상기 가압 부재(151)의 분리 작업 등의 분해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용의 개공(128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개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가압 부재(151)와 같은 상기 차폐 벨트부(142)에 있어서의 환상의 상태로부터의 분해가 가능한 부위가 위치되게 되어 있다.That is, the bottom wall portion 128b of the rail base 128 has an assembly operation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such as, for example, an attachment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 151 to the belt body 150. Opening 128c for work for disassembling work, such as the separating work of the said pressing member 151, is formed, and it is the same as the pressing member 151 shown in FIG. 10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is opening, for example. The site | part which can be disassembled from the annular state in the said shield belt part 142 is located.

이것에 의해, 상기 작업용의 개공을 통하여 벨트 본체(150)로의 가압 부재(151)의 부착 등의 차폐 벨트부(142)의 조립 작업이나, 혹은 부품 교환 등의 시에 있어서의 차폐 벨트부(142)의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트레이닝 장치(120)의 조립공수를 삭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by, the shielding belt part 142 at the time of assembling work of the shielding belt part 142, such as the attachment of the press member 151 to the belt main body 150, or the parts replacement etc., through the opening for the said operation | work. )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furthermore, the labor for assembling the training apparatus 120 can be reduced.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ea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또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석(131)에 배열 설치된 좌석위치 고정핀은 상기 좌석 받이부(135) 및 상기 차폐 벨트부(142)의 상측 부분(142a)을 관통해 상기 레일 기부(128)에 형성된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 중의 하나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itial state, the seat position fixing pins arranged in the seat 131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142a of the seat receiving part 135 and the shielding belt part 142 and the rail base 128. It is assumed that it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eating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s 136 formed in the groove.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129) 상의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의 측면에는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이 맞닿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의한 레일부(129)의 미끄럼이동이 규제되고 있다.In this state, the seating position fixing pi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base 132 on the rail portion 129, whereby the rail portion 129 by the sliding base 132 ) Sliding movement is regulated.

따라서,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좌석(131)의 이동이 규제되어, 좌석(13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initial state, the movement of the seat 131 connected to the sliding base 132 via the connecting member is restricted, and the position of the seat 131 is fixed.

이 때, 상기 개공(141)이 형성된 외장 커버(125)에 있어서의 상벽부(125a)의 내측에는, 상기 차폐 벨트부(142)의 상측 부분(142a)이 위치되어 있고, 개공(141)이 외장 커버(125)의 내측으로부터 차폐된 상태로 되어 있다.At this time, an upper portion 142a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is positioned inside the upper wall portion 125a of the exterior cover 125 in which the opening 141 is formed, and the opening 141 is formed. The state is shield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rior cover 125.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석(131)에 착석해 페달(104)의 다리 젓기 운동을 개시했다 하더라도, 개공(141)을 통하여 좌석부(123) 내에 의복이나 몸의 일부가 휘감겨 들어가는 일없이, 안전한 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개공(141)을 통하여 좌석부(123) 내에 티끌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를위한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개공(141)이 노출하는 것에 의해서 장치(120)의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31 in this state to start the leg 104 movement of the pedal 104, the clothing or part of the body in the seat 123 through the opening 141 is not wound around , Can exercise saf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dust from entering the seat 123 through the opening 141, thereby reducing the effort for cleaning. In addition, by exposing the openings 141, the aesthetics of the apparatus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초기 상태와는 다른 위치로 좌석(13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는, 상기 좌석위치 고정 레버(137)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이 좌석위치 고정 레버(137)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을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으로부터 이탈시킨다.When the position of the seat 131 is changed to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initial state, the seat position fixing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eat position fixing lever 137 by releasing the seat position fixing lever 137. The pin is released from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이것에 의해,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대한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의 맞닿음이 해제되고,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의한 레일부(129) 상의 미끄럼이동이 허용된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연결된 좌석(131)의 이동도 허용된다.As a result, the abutment of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with respect to the sliding base 132 is released, and the sliding on the rail 129 by the sliding base 132 is allowe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movement of the seat 131 connected to the sliding base 132 is also permitted.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상기 좌석(131)을 이동시키면, 이 좌석(131)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가 상기 레일부(129) 상을 미끄럼이동하고, 이 미끄럼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미끄럼이동 대좌부(132)에 고정된 상기 차폐 벨트부(142)가 상기 레일부(129)의 외측을 주행한다.Then, when the seat 131 is moved from this state, the sliding base 132 slides on the rail 129 with the movement of the seat 131, and is accompanied by the sliding movement. The shielding belt part 142 fixed to the sliding base 132 travels outside of the rail part 129.

이 때, 차폐 벨트부(142)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43)에 의해서 그 형상이 유지되고, 또한 가압 부재(151)에 의해서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개공(141)의 차폐 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is maintained in its shape by the pair of guide members 143, and a constant tension is applied by the pressing member 151, so that the opening state of the opening 141 is closed. Can be maintained appropriately.

이러한 좌석(131)의 이동 동작은, 통상 좌석(131)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행할 수 있는 경우가 많고, 그러한 구성의 장치의 경우, 의복이 휘감겨 들어가는 등에 의한 위험성은 특히 좌석(131)의 이동시에 큰 일이 된다.Such movement of the seat 131 can usuall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31. In the case of the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risk of the clothing being wound up is particularly high. It becomes a big thing at the time of movement of.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석(131)의 이동시에도 차폐 벨트부(142)에 의해서 상기 개공(141)이 적정하게 차폐되고 있기 때문에, 좌석 이동시의 휘감겨 들어가는 위험성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aid opening 141 is appropriately shielded by the shielding belt part 142 also at the time of the movement of the seat 131, the danger of entrapment at the time of a seat movement can be effectively avoided. .

그리고, 상기 좌석(131)을 소정 위치에 이동시킨 후는, 상기 좌석위치 고정핀을 새로운 좌석위치 고정핀 삽입 구멍(136)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 완료 후의 위치에 좌석(131)을 고정한다.Then, after the seat 131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at 131 is fixed to the position after completion of movement by inserting the seat position fixing pin into the new seat position fixing pin insertion hole 136. .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장 커버(125)의 내부에 배열 설치된 차폐 벨트부(142)에 의해서, 개공(141)을 내측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기 때문에, 개공(141)을 통하여 좌석부(123) 내에 의복 등이 휘감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안전성을 향상하고, 또한 개공(141)을 통하여 좌석부(123) 내에 티끌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청소의 노력을 경감하고, 게다가 개공(141)이 노출하는 것을 방지해 장치(120)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ning 141 can be shielded from the inside by the shielding belt part 142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exterior cover 125, the seat part 123 through the opening 141. ), To prevent the clothing and the like from being entangled, to improve safety, and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seat 123 through the opening 141, to reduce cleaning efforts, and to expose the opening 141. It can be prevent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device 12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hing of the said embodiment, It can change in various ways as needed.

예를 들면, 상기 레일 커버(138)에 형성된 개공(140)의 수는, 한 쌍으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레일 커버(138)의 상벽부(138a)에 개공(140)의 비형성 영역을 마련하도록 하면, 이 상벽부(138a)에 의해서 차폐 벨트부(142)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할 수 있어, 좌석(131)의 압력에 의한 차폐 벨트부(142)의 에워쌈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openings 140 formed in the rail cover 138 is not limited to a pair, but as shown in FIG. 8, the openings 140 are formed in the upper wall portion 138a of the rail cover 138. When the non-formation area is provided,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can be held from below by the upper wall portion 138a, and the enclosing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142 due to the pressure of the seat 131 can be prevented. have.

그리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각력을 단련하는 근력 트레이닝 장치와 같이,착석한 상태로 운동을 행하는 트레이닝 장치이면, 도 5에 나타낸 구성 이외의 것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tha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as long as it is a training device for exercising in a seated state, for example, a strength training device for training angular for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에 의하면, 안전성, 청소성 및 미관이 뛰어난 트레이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a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raining apparatus excellent in safety, cleaning and aesthetics.

Claims (17)

좌석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석부 상의 사용자가 구동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에 있어서,In the driving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the user on the seat is driven, 전후로 길이가 긴 베이스 프레임과,With a long base frame back and forth,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와,A frame structur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프레임 구조에 설치된 페달에 연결된 크랭크축과,A crankshaft connected to a pedal installed in the frame structure, 프레임 구조에 설치된 중간축과,An intermediate shaft installed in the frame structure,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부하 장치 축을 가지는 부하 장치와,A load devic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having a load device axis; 크랭크축과 중간축에 걸쳐 놓여진 제1 전달부재와,A first transmission member placed over the crankshaft and the intermediate shaft, 부하 장치 축과 중간축에 걸쳐 놓여진 제2 전달부재를 구비하고,And a second transmission member disposed over the load device shaft and the intermediate shaft, 중간축은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The intermediate shaft is movable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structure relative to the fram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 전달부재는 프레임 구조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전달부재는 프레임 구조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structure,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is a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부(前端部)에 베이스 프레임과 직교하는 길이가 긴 전각부(前脚部)를 설치하고,At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a long full length part perpendicular to the base frame is provided. 프레임 구조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된 제1 프레임과, 이 제1 프레임의 상단부(上端部)에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각 제2 프레임의 전단부에 전각부 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제3 프레임을 갖고,The frame structure includes a first fr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 pair of second frames which ar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and extend in parallel with the base frame, and a front end of each second frame. Having a third frame arranged to extend to the front part side, 크랭크축과 중간축은 제1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The crankshaft and the intermediate shaft are provided in the first frame, the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제2 프레임 상에 소모 부품을 교환 가능하게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A drive unit structure for a training apparatus, wherein consumable parts are arranged so as to be replaceable on a second fram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제2 프레임의 후단부 근방 위치에 좌석부로부터 사용자가 일어날 때에 파지하기 위한 핸들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A drive unit structure for a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rranging a handle for gripping when a user rises from a seat in a position near a rear end of a second fram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제2 프레임과 핸들 사이에 부품 배열 설치 보강 기판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component array installation reinforcement substr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프레임 구조에 사용자가 보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컨트롤 패널의 내측에 소모 부품이 배열 설치되며, 컨트롤 패널을 프레임 구조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소모 부품을 노출시켜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Control panels for user viewing are arranged in the frame structure in a detachable manner, consumable parts are arranged inside the control panel in the frame structure, and the consumable parts are exposed while the control panel is separated from the frame structure. A drive unit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enabling replacemen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제3 프레임의 상단부를 제2 프레임보다도 상방으로 연장시키고, 이 연장된 제3 프레임의 상단부와 제2 프레임의 후단부 근방 사이에 컨트롤 패널 부착부를 설치하고, 이 컨트롤 패널 부착부상에 컨트롤 패널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An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is extended above the second frame, and a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extended third frame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ame, and a control panel is attached on the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The drive uni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컨트롤 패널 부착부에 개공부(開孔部)를 형성하고, 컨트롤 패널을 컨트롤 패널 부착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개공부를 통하여 제2 프레임 상에 배열 설치된 소모 부품을 교환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A perforated part is formed in the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and the consumable parts arranged on the second frame can be exchanged through the perforating part while the control panel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attaching part. The drive par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made into.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제1 프레임에 있어서의 하단부 측에, 베이스 프레임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ㄷ 자 형상의 아치부를 설치하고, 이 아치부에 있어서의 개구부 안에 발열 부품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부 구조.A c-shaped arch portion having an opening formed on the base frame side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frame, and a heat generating component is arranged in the opening portion in the arch portion. 레일부와,Rail section,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트레이닝을 행하기 위한 좌석과,A seat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and configured to perform training while the user is seated; 좌석과 레일부 사이에 레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고, 좌석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공(開孔)이 형성된 외장 커버를 구비하고,An exterior cover disposed between the seat and the rail to cover the rail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to allow movement of the seat, 좌석을 레일부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좌석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The position of the seat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ea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ail, 외장 커버의 개공(開孔)의 근방 위치에 이 개공을 외장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 벨트부를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A seating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arranging a shielding belt portion for shielding th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exterior cover at a position near the opening of the exterior cove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차폐 벨트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장력을 가진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and the seat portion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is provided in a state with a tens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차폐 벨트부는 벨트 본체와, 이 벨트 본체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A shielding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belt main body and a pressing member for applying tension to the belt main body.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차폐 벨트부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좌석에 연결되어, 레일부상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미끄럼이동 대좌부(臺座部)에 그 일부가 고정되고, 또한 레일부에 있어서의 좌석의 이동 방향의 양단부의 외측에 배열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외주에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part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at and is fixed to the sliding movement pedestal portion which is held on the rail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A seating structure of a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un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t least one pair of guide members arranged in an outer side of both end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at.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가이드 부재의 외주에 차폐 벨트부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미끄럼이동 부재가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A seating structure of the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liding member for assisting the running of the shielding belt portion is hel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member so as to be slidabl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가압 부재는 벨트 본체로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the attachment to the belt main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차폐 벨트부는 적어도 1 개소에서 환상(環狀) 상태로부터 분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가이드 부재에 의한 되접힘부를 경계로 상하에 서로 대향하는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갖도록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상측 부분의 일부가 미끄럼이동 대좌부에 고정되고, 하측 부분이 레일부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하는 관 형상의 레일 기부(基部)의 내부를 통하도록 배열 설치되며, 게다가 레일 기부에는 차폐 벨트부의 조립이나 분해를 행하기 위한 작업용의 개공(開孔)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장치의 좌석부 구조.The shielding belt part can be disassembled from an annular state at at least one position, and is arranged so as to have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facing each other up and down at the boundary with the refolded part by the guide member, and a part of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sliding base, and the lower part is arrang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ular rail base which holds the rail part from below, and the rail base is for work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e shield belt part. The seat structure of th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KR1020030066155A 2002-09-26 2003-09-24 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KR2004002852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0240A JP4091390B2 (en) 2002-09-26 2002-09-26 Seat structure of training equipment
JP2002280239A JP4091389B2 (en) 2002-09-26 2002-09-26 Training unit drive structure
JPJP-P-2002-00280239 2002-09-26
JPJP-P-2002-00280240 200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24A true KR20040028524A (en) 2004-04-03

Family

ID=3427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155A KR20040028524A (en) 2002-09-26 2003-09-24 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28524A (en)
CN (1) CN100569318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16B1 (en) * 2008-02-22 2010-07-07 김선도 Healthy bicy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16B1 (en) * 2008-02-22 2010-07-07 김선도 Healthy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6746A (en) 2004-05-19
CN100569318C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660B2 (en)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EP1845922B1 (en) Vibrational ergometer
JP2004504229A (en) Bicycle gear device
WO2006110604A3 (en) Structural and patient positioning features of an x-ray system
JP2009538805A (en) Structure of the drive device for the traveler, a method for replacing the drive bel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the traveler, and a support member for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the traveler
JP6002911B2 (en) Seeding machine
KR20040028524A (en) Driving part structure and seating part structure of training apparatus
JP5018285B2 (en) Belt tensioning device and conveying device
JP4091389B2 (en) Training unit drive structure
US20030087730A1 (en) Leg-exercising device
EP1364681A1 (en) Training apparatus for bicycle
TWI222371B (en) Training apparatus
JP4624488B2 (en) Vehicle seat drive mechanism
KR101666218B1 (en) Health bike with horse riding function
JP2007083811A (en) Bicycle
JPH0649555B2 (en) Handrail drive for passenger conveyor
KR20010069596A (en) Back Support Driving Device
IT201900014526A1 (en) EQUIPMENT FOR THE ELECTRIC PROPULSION OF A VEHICLE, IN PARTICULAR OF A HUMAN PROPULSION VEHICLE
CN216366483U (en) Improved body-building cycle
JP4310575B2 (en)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219579376U (en) Massage instrument
KR20230140901A (en) Fitness bike
JP2009154982A (en) Passenger conveyer driving system
JP3125927U (en) Weight training machine with selector device operated easily and conveniently
JP2000219309A (en) Belt converyor with meandering preventing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