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124A -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 Google Patents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124A
KR20040028124A KR1020020059225A KR20020059225A KR20040028124A KR 20040028124 A KR20040028124 A KR 20040028124A KR 1020020059225 A KR1020020059225 A KR 1020020059225A KR 20020059225 A KR20020059225 A KR 20020059225A KR 20040028124 A KR20040028124 A KR 2004002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air
telephone
pairs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조
안정균
현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124A/ko
Publication of KR2004002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01R24/525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와 전화로 각각 제공하는 통신용 인출구로서, 상기 케이블의 제1 페어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제1 인출구; 상기 케이블의 제2 페어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 신호를 전화로 전달하는 제2 인출구; 상기 제1 인출구와 상기 제2 페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인출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UTP 케이블 1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와 LAN 서비스를 모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telecommunication outlet with line disconn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통신용 인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통신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새로 지어지는 건물에는 고도의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배선 규모에 따라 건물이 정보화 1등급 또는 정보화2등급으로 분류된다.
UTP 케이블은 모두 8가닥의 전선으로 이루어지나, 일반적인 LAN(local area network) 환경인 이더넷(Ethernet) 환경에서는 1,2,3,6번의 4개의 전선만이 데이터 전송시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신규로 건축되는 아파트의 경우에 LAN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UTP 케이블과 RJ-45 인출구가 주로 사용된다.
도 1에 UTP 케이블 1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통신용 인출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용 인출구는 하나의 RJ-45 인출구를 이용하여 전화와 LAN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통신용 인출구가 장착되는 건물은 일반적으로 정보화 2등급 건물로 분류된다.
통신용 인출구는 페이스 플레이트(1)에 하나의 RJ-45 인출구(2)가 장착되며, 세대 단자함(도시하지 않음)에서 RJ-45 인출구(2)로 UTP 케이블(3) 1조가 연결된다. 여기서 UTP 케이블(3)의 1번과 2번 전선쌍인 1-2 페어와, 3번과 6번 전선쌍인 3-6 페어가 LAN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으로 사용되고, UTP 케이블(3)의 4번과 5번 전선쌍인 4-5 페어와, 7번과 8번 전선쌍인 7-8 페어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으로 사용된다.
이 때, 하나의 RJ-45 인출구(2)에 전화와 컴퓨터를 동시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전화 및 LAN 분기가 가능한 패치코드(patch cord, 4)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RJ-45 인출구(2)와 컴퓨터 사이에는 1-2 페어 및 3-6 페어만 연결되고, RJ-45 인출구(2)와 전화 사이에는 4-5 페어 및 7-8 페어만 연결되도록 패치 코드(4)가 연결된다.
그러나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인출구의 다수 출력선을 컴퓨터와 전화로 분리하여 연결시키는 패치 코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패치 코드와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통신용 인출구는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구입 및 제작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화용 패치 코드와 LAN용 패치 코드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화용 인출구와 LAN용 인출구를 각각 사용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 경우, UTP 케이블의 모든 회선(1-2, 3-6, 4-5, 7-8)은 LAN용 인출구(예:RJ-45 인출구)에 연결되며, 4-5 페어와 7-8 페어는 동시에 전화용 인출구(예;RJ-11 인출구)에도 연결된다. 이 때, 전화는 일반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화용 인출구에 접속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컴퓨터가 일반 LAN용 패치 코드를 사용하면 전화 서비스가 불통된다. 즉, 컴퓨터의 LAN 카드에서는 4-5 페어와 7-8 페어가 단락 상태이기 때문에, 일반 LAN용 패치 코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화용 회선(4-5 페어, 7-8 페어)이 LAN 카드에서 단락되어 전화 서비스에 장애를 유발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UTP 케이블의 회선 중 1-2 페어 및 3-6 페어와 4-5 페어 및 7-8페어를 각각 분리하여 해당 인출구에 각각 연결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통신용 인출구를 기가비트(Giga bit) 이더넷과 같이 4 페어를 모두 사용하는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TP 케이블 1조로 전화 서비스와 LAN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통신용 인출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애 없이 전화 서비스와 기가비트의 이더넷 서비스를 모두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통신용 인출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통신용 인출구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신용 인출구의 구체적인 회선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스위치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는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와 전화로 각각 제공하는 통신용 인출구로서, 상기 케이블의 제1 페어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제1 인출구; 상기 케이블의 제2 페어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 신호를 전화로 전달하는 제2 인출구; 상기 제1 인출구와 상기 제2 페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인출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블은 UTP 케이블이며, 상기 제1 페어는 UTP 케이블의 1-2 페어, 3-6 페어이고, 상기 제2 페어는 UTP 케이블의 4-5 페어, 7-8 페어이다.
한편, 상기 전화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각각 컴퓨터와 전화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제2 페어가 상기 제1 인출구와 분리된다.
또한, 이더넷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온되어 상기 제2 페어가 상기 제1 인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가상기 컴퓨터로 제공된다.
여기서, 스위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스위치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인출구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페어와 연결되는 제1 회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구와 연결되는 제2 회선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인출구에 전화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가 삽입되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제1 회선과 제2 회선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인출구에 패치 코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선과 제2 회선이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가 상기 제1 인출구를 통하여 컴퓨터로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통신용 인출구의 구체적인 회선 연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에서는 하나의 페이스 플레이트(10) 상에 LAN용 인출구(20)와 전화용 인출구(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세대 단자함으로부터 인입된 UTP 케이블(40)이각각의 인출구(20,30)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50)에 연결되어 있다.
UTP 케이블(40)의 회선은 접속 단자(50)를 통하여 각 인출구(20,3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속 단자(50)를 통하여 UTP 케이블(40)의 1-2 페어 및 3-6 페어는 LAN용 인출구(20)와 직접 연결되며, UTP 케이블(40)의 4-5 페어 및 7-8 페어는 전화용 인출구(30)와 직접 연결된다. 한편, 4-5 페어와 7-9 페어는 스위치(60)를 통하여 LAN용 인출구(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인출구(20,30)는 패치코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컴퓨터와 전화에 각각 연결된다.
스위치(60)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IP 스위치 등 일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LAN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60)를 오프시킨다. 스위치(60)가 오프됨에 따라 접속 단자(50)를 통하여 UTP 케이블(40)의 1-2 페어 및 3-6 페어만이 LAN용 인출구(20)에 연결되고, UTP 케이블(40)의 4-5 페어 및 7-8 페어는 전화용 인출구(30)에 연결된다.
따라서, UTP 케이블(4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화 신호(80)는 4-5 페어 및 7-8 페어를 통하여 전화용 인출구(30)로 입력되어 전화로 제공되며, UTP 케이블(40)을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70)는 1-2 페어 및 3-6 페어를 통하여 LAN용 인출구(20)로 입력되어 컴퓨터로 제공된다.
이 때, 컴퓨터가 일반 LAN용 패치 코드를 사용하여도 스위치(60)에 의하여 4-5 페어와 7-8 페어가 LAN용 인출구(20)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기가비트 이더넷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60)를 온시킨다. 스위치(60)가 온됨에 따라 접속 단자(50)를 통하여 UTP 케이블(40의 1-2 페어, 3-6 페어, 4-5 페어 및 7-8 페어가 모두 LAN용 인출구(20)에 연결된다. 따라서 UTP 케이블(40)의 4 페어를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가 전달되는 이더넷 서비스가 컴퓨터로 제공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기가비트 이더넷 서비스 포함)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60)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전화용 인출구(30)에 RJ-11 플러그를 삽입할 때, 자동으로 스위치(6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스위치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인출구의 구조도 위에 기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단지 스위치(6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구조만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각인출구(20,30) 내부에는 패치 코드가 삽입되어 결합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S1,S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AN용 인출구(20)에 형성된 스프링(S1)과 전화용 인출구(30)에 형성된 스프링(S2)이 회선(L)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화용 인출구(30)에 형성된 스프링(S2)과 회선(L)의 접촉점이 스위치(60)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접속 단자(50)를 통하여 UTP 케이블(40)의 4-5 페어 및 7-8 페어가 전화용 인출구(30)로 연결되며, 또한 전화용 인출구(30)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S2)과 스위치(60)를 통하여 LAN용 인출구(20)와 연결된다. 여기서는 4-5 페어 및 7-8 페어가 스프링과 연결되는 회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다수의 회선을 스프링을 통하여 다른 다수의 회선과 연결시키는 것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UTP 케이블(40)의 1-2 페어 및 3-6 페어는 도 3에서와 같이 바로 LAN용 인출구(20)로 연결된다.
일측에 플러그(예:RJ-11 플러그)가 형성된 패치 코드(90)가 전화용 인출구(30)에 삽입되기 전에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화용 인출구(20)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S2)이 회선(L)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치(60)가 온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UTP 케이블(40)의 4-5 페어 및 7-8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가 전화용 인출구(30)를 통하여 LAN용 인출구(20)로도 전달된다.
이 때, 패치 코드(90)가 전화용 인출구(30)에 삽입되면 패치 코드(90)의 일측에 형성된 플러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스프링(S2)이 압축되어, 스프링(S2)과 회선(L)이 분리되어 스위치(60)가 오프된다.
따라서, UTP 케이블(40)의 1-2 페어 및 3-6 페어만이 LAN용 인출구(20)에 연결되고, UTP 케이블(40)의 4-5 페어 및 7-8 페어는 전화용 인출구(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인출구로의 플러그 삽입에 따라 자동으로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전화 서비스와 LAN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UTP 케이블 1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와 LAN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회선 분리용 스위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UTP 케이블 1조를 LAN용 인출구에 연결시킴으로써, UTP 케이블의 4페어를 통하여 데이터 전달되는 기가비트 이더넷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댁내 통신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8)

  1.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와 전화로 각각 제공하는 통신용 인출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제1 페어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제1 인출구;
    상기 케이블의 제2 페어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 신호를 전화로 전달하는 제2 인출구;
    상기 제1 인출구와 상기 제2 페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인출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통신용 인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UTP 케이블이며, 상기 제1 페어는 UTP 케이블의 1-2 페어, 3-6 페어이고, 상기 제2 페어는 UTP 케이블의 4-5 페어, 7-8 페어인 통신용 인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각각 컴퓨터와 전화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제2 페어가 상기 제1 인출구와 분리되는 통신용 인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이더넷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가 온되어 상기 제2 페어가 상기 제1 인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가 상기 컴퓨터로 제공되는 통신용 인출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구는 하나의 인출구 페이스플레이트상에 설치되는 통신용 인출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수동으로 동작되는 통신용 인출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인출구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페어와 연결되는 제1 회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구와 연결되는 제2 회선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통신용 인출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구에 전화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가 삽입되면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제1 회선과 제2 회선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2 인출구에 패치 코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선과 제2 회선이 연결되어, 상기 제2 페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가 상기 제1 인출구를 통하여 컴퓨터로 제공되는 통신용 인출구.
KR1020020059225A 2002-09-30 2002-09-30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KR2004002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25A KR20040028124A (ko) 2002-09-30 2002-09-30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25A KR20040028124A (ko) 2002-09-30 2002-09-30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124A true KR20040028124A (ko) 2004-04-03

Family

ID=3733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25A KR20040028124A (ko) 2002-09-30 2002-09-30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6450A (zh) * 2014-12-12 2015-03-25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适用于10/100Base-TX网络的双绞线复用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6450A (zh) * 2014-12-12 2015-03-25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适用于10/100Base-TX网络的双绞线复用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9414B2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配線上での通信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154774A (en) In-wall data translator and a structured premise wir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same
JP2002330506A (ja) 分電盤、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電気コード付きプラグ、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用端子盤、テーブルタップ及び宅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A2364133A1 (en) Local area and multimedia network using radio frequency transceivers and coaxial cable
US20020111077A1 (en) Universal splitter for xDSL modems
KR100756244B1 (ko) 파워오버이더넷 기반의 랜 중계장치 및 파워오버이더넷하이브리드 중계장치
KR20080057614A (ko) 유티피 케이블을 이용한 전화 및 데이터 통합형 네트워크
KR20040028124A (ko) 회선 분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용 인출구
KR200271527Y1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GB2361590A (en) Adapter for connecting multiple telephones using a single eight-wire cable
KR100945106B1 (ko) 홈 네트워크 공유장치
KR200257733Y1 (ko) 디지털 터미널 억세스 멀티허브 다중화시스템
KR200261297Y1 (ko) 근거리통신망에서의 다중화 억세스 통신망 분산 시스템과복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00007773A (ko) 통신용 세대단자
KR20030032146A (ko) 아이피분배기 멀티커플러
KR200256253Y1 (ko) 통신과 데이타용 멀티잭
KR200262624Y1 (ko) 공용 배선용 접속 유니트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JP2000050474A (ja) 情報コンセントおよび配線システム
KR20010099345A (ko) 디지털 터미널 억세스 멀티허브 다중화시스템
WO2002017437A1 (en) Communication line separator
KR20020013617A (ko)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의 공용화 장치 및 이 장치를이용하여 데이터라인과 전화선을 배선하는 방법
KR20010106354A (ko) 근거리통신망에서의 다중화 억세스 통신망 분산 시스템과복합 인터페이스 장치
GB2346031A (en) Patch connector and method of modifying a communication system
JP2000032505A (ja) 情報コンセントの設置方法および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