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084A -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종량제 과금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종량제 과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084A
KR20040028084A KR1020020059177A KR20020059177A KR20040028084A KR 20040028084 A KR20040028084 A KR 20040028084A KR 1020020059177 A KR1020020059177 A KR 1020020059177A KR 20020059177 A KR20020059177 A KR 20020059177A KR 20040028084 A KR20040028084 A KR 2004002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age
service
billing
policy
cumul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947B1 (ko
Inventor
천왕성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9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947B1/ko

Lin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과금정책을 단순한 DB 구조를 통해 수용하기 위한 종량제 과금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용시각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1 단계; 특정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 및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혼합하여 관리하는 제 3 단계; 및 서비스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DB)와 사용자가 현재까지 사용한 서비스 사용내역 DB를 기반으로 과금액을 결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과금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Method for managing variant pricing policy by the service time and service usage log}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사용량에 따라 과금액을 결정하는 종량제 과금정책 중 과금액이 서비스 사용시점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라 변하는 과금 정책을 단순한 데이터베이스(DB) 구조를 통해 수용하고 과금액을 결정하기 위한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종량제 과금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시각이나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관계없이 사용량에 비례하여 일정한 과금액을 결정하는 단순한 종량제를 수용하거나, 자신의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과금 정책만을 수용하는 DB 테이블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과금 정책이 필요할 경우 과금 정책 수 만큼 DB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과금 정책에 대한 관리가 비효율적이거나 과금정책에 대한 확장 유연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어떤 과금시스템이 매일 특정 시간대에 할인정책을 쓰고자 할 때, {서비스ID, 할인시작시각(xx시 xx분xx초), 할인종료시각(xx시 xx분 xx초), 도수당과금액(혹은 할인율)}의 DB테이블을 구성하고 과금액을 결정할 것이다. 추후 할인시간대에 기준 도수이상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초과분에 대해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정책을 추가할 경우 {서비스ID, 기준도수,할인율}로 구성된 DB테이블을 추가로 구성하고, 이전의 과금 정책테이블과 함께 참조해야 할 것이다. 또한, 매월 1일부터 2일 정오까지는 무료로 서비스하거나, 할인시간대에 다른 기준 도수이상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정액요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추가할 경우 추가의 DB 테이블이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시각에 따른 종량제 과금 정책의 변화와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정책 변화, 혹은 그 두가지 기준의 혼합된 결과에 따라 변화하는 종량제를 수용하기 위한 과금정책 관리 방안과 이를 바탕으로 한 과금액 산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과금정책을 단순한 DB 구조를 통해 수용하기 위한 종량제 과금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과금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책 및 서비스 관리 테이블간 상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사용시각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요금정책테이블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요금정책테이블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중 과금액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서비스이용자12 : 서비스제공자
13 : 과금시스템14 : 과금 정책 DB
15 : 서비스 사용자 이용내역 D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용시각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1 단계; 특정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 및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혼합하여 관리하는 제 3 단계; 및 서비스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DB)와 사용자가 현재까지 사용한 서비스 사용내역 DB를 기반으로 과금액을 결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과금시스템에, 서비스 사용시각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1 기능; 특정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2 기능;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 및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혼합하여 관리하는 제 3 기능; 및 서비스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DB)와 사용자가 현재까지 사용한 서비스 사용내역 DB를 기반으로 과금액을 결정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과금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Service ID)(12)가 서비스 이용자(UserID)(11)에게 종량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서비스 이용 금액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때, 미리 결정된 서비스 제공 시점에 따른 과금 정책 DB(14)와 서비스 제공 시점까지의 서비스 사용자 사용내역 DB(15)를 기반으로 종량제 과금액을 변동하여 산출할 수 있는 과금시스템(13)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필요한 과금 정책 관리 DB는 후술되는 도 2와 같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책 및 서비스 관리 테이블간 상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서비스는 그 서비스의 제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이 존재하며 이를 서비스제공자(serviceID)로 지칭할 수 있다.
각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갖고, 각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두개이상의 서비스정보테이블에 해당될 수 없다. 또한, 각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가지며, 각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두개 이상의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에 해당될 수 없다.
각 서비스는 그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여러가지 속성(서비스이름, 정상/중지/해지 등의 상태)을 가지며, 이를 위한 DB 테이블 구조는 과금시스템 마다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서비스의 속성 중 종량제를 위한 정보를 주목하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서비스정보테이블이 후술되는 도 3과 같이 구성되어있다고 가정한다. 각 서비스는 serviceID라는 ID를 가지고, "ratetype"는 종량제인지 다른 방식의 과금 방법을 취하는지에 관한 필드로 "ratetype" 이 종량제일 경우만 본 발명에 유효하다. "unitkind"는 본 서비스가 건당 종량 방식인지, 초당 종량 방식인지, 분당 종량 방식인지와 같은 종량제 계산의 단위를 지칭하고 "unit" 은 과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도수 산정의 단위가 된다.
즉, 3분을 1도수로 계산하는 종량제의 경우 "unit"은 '3', "unitkind"는 '분'이 되는 방식이다.
한편, 도 3과 같은 서비스정보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할 때, 다양한 변동형 종량제의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술되는 도 4와 도 5와 같은 테이블 구조를 제안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사용시각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요금정책테이블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로서, "validstart"와 "validend"는 해당 요금 정책의 유효기간을 나타내고, "period"와 "periodtype" 은 해당 요금정책의 주기를 나타내며, "applystart"는 해당 요금 정책이 적용되는 시작시각, "applyend"는 해당 요금 정책이 적용되는 종료시각을 나타낸다.
가령, 두달단위로 전월 1일부터 10일까지와 11일부터 익일 말일까지의 요금이 다른 과금정책을 표현할 경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해당 "serviceID"에 해당하는 튜플이 두개 존재하고,각 튜플의 "period"는 '2', "periodtype"은 '월'이 되며, 첫번째 튜플의 "applystart"는 yyyy년 mm월 1일 0시0분 0초, "applyend"는 yyyy년 mm월 10일 23시 59분 59초가 된다. 두번째 튜플의 "applystart"는 yyyy년 mm월 11일 0시 0분 0초, "applyend"는 yyyy년 mm+1월 31일 0시 0분 0초가 된다. 여기서, yyyy년 mm월은 해당 요금 정책의 유효기간 이전의 임의의 값을 지정한다.
제한사항으로는 동일 "serviceid"에 속하는 "timepolicyid"의 "period", "periodtype", "validstar"t, "validend"는 동일하며, 그와 같은 "timepolicyid"의 가장 작은 "applystart"와 가장 큰 "applyend"의 간격은 "period/periodtype"이 나타내는 주기와 동일하고, 각 "timepolicyid"의 "applystart"와 "applyend"가 나타내는 영역은 서로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모든 "applystart"와 "applyend"의 시각은 "validstart"보다 작아야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요금정책테이블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riodstart"는 적용이 시작되는 적용 사용도수 "periodend"는 적용이 종료되는 적용사용도수를 나타내며, "fixedrate"는 "periodstart"와 "periodend"로 표현되는 구간에 누적사용량이 최초로 들어왔을 때 부과되는 금액을 나타내며 "scaledrate"는 구간내에서 1도수당 부과할 금액을 나타낸다.
가령, 과금 도수가 3분인 종량제에서 처음 60분간은 정액 1000원을 부과하고 60분 초과시 3분당 50원을 부과하며 120분 초과시 3분당 20원을 부과하는 과금정책을 표현할 경우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해당 "timepolicyID"에 해당하는튜플이 3개 존재하고, 첫번째 튜플의 "periodstart"와 "periodend"는 1과 20, 두번째 튜플은 21과 40, 세번째 튜플은 41과 무한대가 된다.
제한사항으로는 동일 "timepolicyID","serviceID"에 해당하는 "ratepolicyid"의 "periodstart", "periodend"로 표현되는 구간은 서로 중복되는 영역이 없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되는 도 6은 상기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서비스의 과금정책테이블과 사용자의 현재까지 사용내역 DB를 기반으로 과금액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중 과금액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금시스템은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서비스 이용자(UserID)[가], 서비스 제공자(ServiceID)[나], 사용시각[다], 사용량[라] 등의 과금정보를 입력받는다(601).
이어서, serviceID의 ratetype이 종량제일 경우, 과금단위(unit과 unitkind로 표현됨)[마]로 사용량을 나누고 올림하여 사용도수[바]를 구한다(602). 예를 들어, 과금단위가 3분(unit=3,unitkind=분)이고 사용량이 3분 30초일 경우 사용도수는 2가 된다.
한편, 과금방식인 ratetype이 종량제인지를 확인하여(603), 종량제가 아니면 정액제처리루틴(609)로 진행하고, 종량제이면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의 serviceID가 주어진 serviceID[나]인 튜플 중에서 주어진 사용시각[다]이 validstart와 validend의 구간에 포함되고 applystart와 applyend에 의해 계산되는 적용구간[사]에 포함되는 튜플의 timepolicyID(아)를 구한다(604).
여기서, 적용구간[사]은 applystart와 applyend에 적용주기(period/periodtype에 의해 표현됨)만큼 더해가며 주어진 사용시각(다)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을 경우 적용구간에 포함된다고 하고, 그때의 applystart+적용주기의 배수값과 applyend+적용주기의 배수값을 적용구간으로 한다.
이어서, 서비스 이용자(UserID)[가]의 과금내역테이블로부터 (604)에서 구한 적용구간[사]에 속하는 자료의 사용량을 과금단위[마]를 이용하여 사용도수로 변환하여 누적한 값을 구한 것을 누적사용량[자]이라 한다(605,606).
그리고 나서,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의 timepolicyID와 serviceID가 (604)에서 구한 timepolicyID[아]와 주어진 서비스 제공자(ServiceID)[나]와 같은 튜플들 중에서 periodstart와 periodend의 영역(누적구간이라한다)이 (606)에서 구한 누적사용량[자]과 누적사용량[자]+(603)에서 구한 사용도수[바]와 영역(추가사용구간)이 겹치는 ratepolicyID[차]들을 구한다(607).
그러면, (607)의 각 ratepolicyID[차]의 누적구간과 추가사용구간이 중복되는 도수에 scaledrate를 곱한값을 과금액[카]으로 정하고, 누적사용량[자]와는 중복되지 않으나 추가사용구간과는 중복되는 ratepolicyID에 대해서는 과금액[카]에fixedrate를 더한다(608). 이렇게 구한 각 구간의 과금액의 합이 (601)에서 주어진 과금정보에 대한 과금액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서비스 과금정책 : 두달 단위로 전월 1일부터 10일까지는 90분까지는 3분당 100원, 그이후는 200원이고, 11일부터 익일 말일까지는 60분간은 정액 1000원을 부과하고 60분 초과시 120분까지 정액 500원을 부과하며 120분 초과시 3분당 50원을 부과하며 이는 2002년 8월 1일부터 적용한다.
- 테이블 구성
<서비스정보테이블>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
- 과금액 산출 예
A라는 사용자가 8월 20일 현재 누적사용도수가 19도수일때, 사용량이 90분인 과금건이 발생할 경우,
(602)에 의해 사용도수는 30이고 (604)에서 적용구간은 6월11일~7월31일에 적용주기인 2달을 더할경우 현재시각인 8월20일이 포함되므로 선택된 timepolicyID는 'b'이다.
(605,606)에서 누적사용도수가 19도수이므로, (607)에서 [19,19+30]의 추가사용구간에 포함되는 ratepolicyID는 다),라),마)이다.
가)의 경우, 중복영역이 [20,20]이고 이전 누적사용량에도 포함된 영역이므로 fixedrate는 더하지 않고 1 * scaledrate = 0원이 결정된다.
라)의 경우 이전 누적사용량에는 포함되지 않은 영역이므로 fixedrate + 20 * scaledrate = 500원으로 결정된다.
마)의 경우 중복영역이 [41,49]이고 이전 누적사용량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fixedrate+ 9 * scaledrate = 180원이다. 따라서 최종 과금액은 0 + 500 + 180 = 680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종량제 과금정책의 주요 요소가 서비스 시각과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내역에 기반함에 착안하여 이들 요소를 최대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DB화하고, 그로부터 과금액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량제 과금시스템 구축시, 사용시각과 누적사용량에 따른 다양한 과금정책을 추가적인 DB구조의 변경없이 간단히 표현할 수 있어 과금정책의 자유로운 확장이나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용시각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1 단계;
    특정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 및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혼합하여 관리하는 제 3 단계; 및
    서비스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DB)와 사용자가 현재까지 사용한 서비스 사용내역 DB를 기반으로 과금액을 결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과금시스템이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서비스 이용자(userID), 서비스 제공자(ServiceID), 사용시각, 사용량 등의 과금정보를 입력받는 제 5 단계;
    상기 ServiceID의 과금방식(ratetype)이 종량제일 경우, 과금단위로 사용량을 나누고 올림하여 사용도수를 구하는 제 6 단계;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의 serviceID가 주어진 serviceID인 튜플 중에서 주어진 사용시각이 요금정책의 유효기간(validstart와 validend)의 구간에 포함되고, 요금이 적용되는 기간(applystart와 applyend)에 의해 계산되어 적용구간에 포함되는 튜플의 요금계획 아이디(timepolicyID)를 구하는 제 7 단계;
    상기 userID의 과금내역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용구간에 속하는 자료의 사용량을 과금단위를 이용하여 사용도수로 변환하여 누적한 값을 구하는 제 8 단계;
    상기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의 요금계획 아이디(timepolicyID)와 상기 serviceID가 상기 제7 단계에서 구한 timepolicyID와 주어진 serviceID와 같은 튜플들 중에서 누적구간(periodstart와 periodend)의 영역이 상기 제 8 단계에서 구한 누적사용량과 누적사용량 + 사용도수와 영역(추가사용구간)이 겹치는 요금 아이디(ratepolicyID)들을 구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각 ratepolicyID의 누적구간과 추가사용구간이 중복되는 도수에 유닛 당 요금(원), 종량(scaledrate)을 곱한값을 과금액으로 정하고, 누적사용량과는 중복되지 않으나 추가사용구간과 중복되는 ratepolicyID에 대해서 과금액에 고정요금(fixedrate)을 더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해당 요금 정책의 유효기간(validstart와 validend), 해당 요금정책의 주기(period와 periodtype), 해당 요금 정책이 적용되는 시작시각(applystart), 해당 요금 정책이 적용되는 종료시각(applyend)을 나태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은,
    적용이 시작되는 적용 사용도수(periodstart), 적용이 종료되는 적용사용도수(periodend), periodstart와 periodend로 표현되는 구간에 누적사용량이 최초로 들어왔을 때 부과되는 고정요금(fixedrate), 구간내에서 1도수당 부과할 요금(scaledrate)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과금시스템에,
    서비스 사용시각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1 기능;
    특정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라 변동되는 종량제 과금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구축하는 제 2 기능;
    상기 사용시각기준 요금정책테이블 및 누적사용량기준 요금정책테이블을 혼합하여 관리하는 제 3 기능; 및
    서비스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DB)와 사용자가 현재까지 사용한 서비스 사용내역 DB를 기반으로 과금액을 결정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9177A 2002-09-28 2002-09-28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사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KR10092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177A KR100927947B1 (ko) 2002-09-28 2002-09-28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사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177A KR100927947B1 (ko) 2002-09-28 2002-09-28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사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084A true KR20040028084A (ko) 2004-04-03
KR100927947B1 KR100927947B1 (ko) 2009-11-23

Family

ID=3733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177A KR100927947B1 (ko) 2002-09-28 2002-09-28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사용자의 누적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50B1 (ko) * 2005-11-14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에서의 과금 처리방법및 장치
KR101013215B1 (ko) * 2008-10-10 2011-02-10 박승민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975B1 (ko) * 1999-11-05 2006-09-19 주식회사 케이티 과금데이터 통합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340022B1 (ko) * 1999-12-11 2002-06-10 이상철 요금 청구서 발행을 위한 통화 기록 메시지 처리 방법및장치
KR100351473B1 (ko) * 2000-08-02 2002-09-05 주식회사 빌테크놀로지 과금 회수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7941B1 (ko) * 2000-12-05 2007-05-11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망에서 과금을 위한 종량제 과금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4431B1 (ko) * 2000-12-30 2004-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통합 과금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50B1 (ko) * 2005-11-14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에서의 과금 처리방법및 장치
KR101013215B1 (ko) * 2008-10-10 2011-02-10 박승민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947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2745B2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financial settlement of service access transactions between multiple parties
US8798578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elecommunications rating
US8009817B2 (en) Tracking and notification of telephone plan minute status
US7986936B2 (en)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bills
US20100035576A1 (en) Usage Measurement Collection and Analysis to Dynamically Regulate Customer Network Usage
US20010034677A1 (en) Method and system to normalize transaction data pertaining to accesses to a service provided via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WO2003025870A2 (en) Real-time reservation of charges for pre-paid services
US20010034693A1 (en) Method and system to broker a service access transaction
EP1782349A1 (en) An electronic payment system for providing regular payment services for pre-paid mobile phones
KR20040028084A (ko) 서비스 사용시각 및 서비스 이용자의 누적 사용량에 따른종량제 과금방법
AU2012346010B2 (en) Configurable billing with subscriptions having conditional components
TWI700942B (zh) 行動上網數據流量加購推薦之方法
US8494918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ing program product for applying an offer scheme to usage data using a user interface
JP2003242415A (ja) ソフトウェア課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0809410A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calls based on real-time call pricing information
JP2003016357A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ビスの収益分配方法、その収益分配装置、その収益分配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8097848A (zh) 充电系统计费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976805A (zh) 差旅管理方法、存储介质和电子终端
Mitchell Alternative Measured-Service Rate Structures for Local Telephone Service
CN112200651A (zh) 一种按收入配置要素核算ifrs15收入的方法及工具
Wang et al. Demand Reserves Partnership Program in California Power Market
JP2003242416A (ja) 課金方法及び課金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80094332A (ko) 누적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요금을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Sen et al. Pricing by Timing: Innovating Broadband Data Plans
JP2002092500A (ja) 情報料を徴収する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