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807A -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 Google Patents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807A
KR20040027807A KR1020040015634A KR20040015634A KR20040027807A KR 20040027807 A KR20040027807 A KR 20040027807A KR 1020040015634 A KR1020040015634 A KR 1020040015634A KR 20040015634 A KR20040015634 A KR 20040015634A KR 20040027807 A KR20040027807 A KR 2004002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air
pressur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176B1 (ko
Inventor
용 석 금
Original Assignee
용 석 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금 filed Critical 용 석 금
Priority to KR10-2004-001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1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실과 건조실을 분리하여 건조실의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내용물)에서 발생한 수분을 내용물을 손상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의 건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손상을 최대한 줄이면서 건조할 수 있는 저온 저압에서 수분의 증발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감압 건조실과 고압 냉동 제습실로 분리하고, 감압건조실에서는 20℃이하에서 건조실의 내용물의 수분 증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건조실의 공기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감압을 할 수 있는 가변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냉동 제습실에는 수분의 응결 점을 높이기 위하여 다단계 고정압용 송풍 팬을 사용하여 대기압보다 높은 공기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수단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하여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냉매를 이용하여 응결 흡착시켜 집수/제거하는 수단과 히터를 구비하고 건조실의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을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와 같은 건조기로 사용하거나 선택스위치를 저온 저장고로 전환하여 수분의 응결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사용한 제습용 냉동기와 송풍 팬을 적절히 제어하여 건조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필요한 내용물의 저장고로 이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An air circulation drying machine and a store cabinet with drying room and dehumidifier room}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의 건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손상을 최대한 줄이면서 건조할 수 있는 저온 저압에서 수분의 증발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감압 건조실과 고압 냉동 제습실로 분리하고, 감압건조실에서는 20℃이하에서 건조실의 내용물의 수분 증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건조실의 공기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감압을 할 수 있는 가변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냉동 제습실에는 수분의 응결 점을 높이기 위하여 다단계 고정압용 송풍 팬을 사용하여 대기압보다 높은 공기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수단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하여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냉매를 이용하여 응결 흡착시켜 집수/제거하는 수단과 히터를 구비하고 건조실의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을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온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의 손상을 최대한 줄이면서 저온에서 건조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된 건조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동결 진공 건조 기술, 진공건조기술, 냉풍 건조기술 등이 있으며, a) 동결진공 건조 기술은 동결로인한 조직의 변형과 상태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매우 낮은 온도(-45℃ 이하)를 유지하여 수분의 승화작용을 이용하여 건조를 하는 기술임으로 장치 내부를 고진공으로 운전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용기의 형태와 크기가 제한적이고 유지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고 건조물의 종류도 극히 일부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b) 진공건조 기술은 상온에서 용기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장치내부의 공기 압력을 고진공 상태로 유지하여 수분의 증발 점을 가능한 낮게 유지하여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기술로서 고냉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떤 열유체의 이동의 실현이 사실상 어려워 저온에서의 건조라기보다 상온에서의 건조 기술에 해당하며 상기 동결진공건조기와 같이 용기의 크기 및 적용할 수 있는 건조 물품의 종류도 지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c) 냉풍건조기술은 건조실내부에 냉각장비와 냉동제습장치 그리고 대 용량의 송풍기를 동원하여 건조물 주변에 강한 바람을 일으켜 건조하는 방법으로 멸치 등 수산물 등의 건조에 이용되고 있으나, 건조실 내부의 압력 조절수단과 열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건조 효율이 낮고 유지비가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일 예로, 25평 기준 냉동 장비 및 건조장비의 필요 마력수를 보면 약 75마력 정도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창안된 것으로, 감압 건조실과 고압 냉동 제습실을 분리하여 내부의 압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방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냉동 제습실의 압력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압 다단계 송풍기를 사용하며 각 실의 압력을 다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측정압력을 기준으로 제습실에서 건조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정하여 일정압력 이하로 낮게 유지하여 공기의 개패 양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도어를 공기 교축변으로 사용하여 건조실의 압력을 감압과 정압을 교대로 수행하여 건조대상물(농수산물, 다양한 내용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열전달 매체인 공기의 정체로 야기되는 온도전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공기의 흐름이 없어 증발된 수분이 건조 대상물의 주변에 정체하는 현상으로 건조효과를 저해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건조 효율을 높이고 건조실에서 증발된 수분으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저온 다습한 공기는 다단계 고정압 송풍 팬(흡입 팬)에 의하여 제습실로 빠르게 유입되고 건조실로부터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냉동 제습실에서 높은 공기압을 형성하여 쉽게 응축할 수 있는 상태로 냉동 제습기를 통과하며 냉동기의 냉매를 매우 낮은 압력(사이클 내 냉매온도 -20℃이하 압력 15파운드 이하)으로 운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여 신속하게 흡착시켜 통과한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게 되고 흡착한 수분은 열원(히터)을 통해 가열 용해시킨 후 집수 배수과정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 2사이클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조정)을 교대로 운용함으로써 제습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건조기 내부에서 발생한 습한 공기는 송풍 팬에 의하여 다시 제습기로 유입되어 내용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순환방식을 사용하여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의 건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동 제습실을 통과한 매우 낮은 온도의 공기에 포함된 잔류 수분은 저온으로 눈과 같은 형태(서리 발 형상)로 가열 실에 도달하게 되고가열 실에 장치된 가열 시스템(히터)으로 결빙된 수분은 작은 물방울이 되어 집수되고, 다시 리듐브로마이드 제습기를 통과하게 되는데 리듐브로마이드의 수분흡수 능력이 대기압에서 약 900배 정도임으로 공기는 건조하게 만들어 교축변으로 동작하는 가변도어를 통과하여 건조실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냉동제습기는 항온의 기능도 같이 겸비하여 장치내부의 온도 상승을 제어하면서 가열장치 또한 필요 이상의 온도를 넘지 않도록 항온 가열을 병행하고, 건조실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변도어를 이용하여 기체분압을 최저로 낮추어 건조효과를 높임으로써 건조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온 건조기 및 저온 저장고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하는 모드로 운전을 할 수 있게 설계/제작하여 저온 건조기 및 저온 저장고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저온 건조기 및 저장고를 이중으로 구매하여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크게 줄이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 :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도2 :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시 공기흐름도
도3 :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
도4 :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분을 포함한 공기 2 : 고압제습실
3 : 도어4 : 냉동제습 유니트쿨러
5 : 집수/배수 장치6 : 가열장치(히터)
7 : 리듐브로마이드제습기8 : 가변도어
9 : 가변도어 개폐장치10 : 기계실
11 : 송풍기 토출 덕트12 : 다단계 고정압 송풍기
13 : 건조실의 수분이 포함된 공기14 : 저압 건조실
15 : 이동용 베이스16 : 편향판
17 : 지게차 이동구
19 : 피건조물(건조 대상물)20 : 증발한 수분
21 : 건조용 공기흡입덕트22 : 자동제어 판넬
23 : 센서류(온도, 습도, 압력)
본 발명은 제습실과 건조실을 분리하여 건조실의 내용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에서 발생한 수분을 내용물의 손상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양질의 내용물을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먼저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의 저온 건조는 상온에서 보다 낮은 온도라기보다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필요 건조 온도를 외기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하여 건조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의 저온 건조 기술은 동결 진공 건조 기술, 진공건조기술 및 냉풍 건조기술 등이 있다. 동결진공 건조 기술은 동결로 인한 건조대상물의 조직의 변형과 상태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매우 낮은 온도에서 수분의 승화작용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기술임으로 장치 내부를 고진공으로 운전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용기의 형태와 크기가 제한적이고 유지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고 건조물의 종류도 극히 일부에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진공건조 기술은 상온에서 용기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장치내부의 공기 압력을 고진공 상태로 유지하여 수분의 증발 점을 가능한 낮게 유지하여 이루어져 사실상 저온에서의 건조라기보다 상온에서의 건조 기술에 해당하며 상기 동결진공건조기와 같이 용기의 크기 및 적용할 수 있는 건조대상 물품의 종류도 지극히 제한적이다. 냉풍건조기술은 건조실내부에 냉각장비와 냉동제습 장치 및 대 용량의 송풍 팬을 동원하여 건조물 주변에 강한 바람을 일으켜 건조하는 방법으로 주로 수산물 건조에 사용되며 건조실 내부의 압력 조절수단과 열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건조 효율이 낮고 유지비가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수단들을 살펴보면, 감압 건조실과 고압 냉동 제습실을 분리하여 내부의 압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실(방)로 나누어 구성한다. 상기 냉동 제습실의 압력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용의 고정압 다단계 송풍 팬(도1의 12, 6단계로 나누어 압력을 아주 일정하게 가변하는 것이 가능함)을 사용하여 약 2기압 이상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제습실은 일반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동 제습 운전의 상태와 거의 동일하다. 즉, 제습은 냉동기의 증발기 냉매를 매우 낮은 압력(사이클 내 냉매온도 -20℃이하 압력 15파운드 이하)으로 운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여 신속하게 흡착시켜 통과한 공기의 건조도를 높이게 되고 흡착한 수분은 열원(도1의 6, 히터)을 통해 가열 용해시킨 후 집수 배수과정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진다. 집수하여 배수하는 구성은 배수시 외부 공기와 차단을 유지하기 위하여 절수변을 사용하여 일정량이 집수되면 자동으로 밸브(솔레노이드)를 열어서 외부로 내보내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겸 저장고는 수분 흡수 능력이 뛰어난 리듐브로마이드(Libr.) 제습기(도1의 7)를 채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 제거능력을 종래보다 약 10내지 15% 정도 향상시켜 높은 건조도를 유지하여 건조기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참고로, 리듐브로마이드의 수분 흡수 능력은 상온에서 체적의 약 900배에 상당한다. 상기 대기압보다 높은 냉동 제습실에서 냉매와 히터를 이용하여 송풍 팬(흡입 팬)에 의하여 유입된 수분이 포함된 공기 중의 수분을 순간적으로 냉동/흡착시켜고 이를 히터로 가온시켜 조그만한 물방울로 만들어 건조기 외부로 내보내고, 리듐브로마이드 제습기를 이용하여 한 번 더 수분을 제거한 후에 공기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가변도어(도1의 8)를 공기 교축변(팽창변)으로 사용하여 저압으로 유도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기체)를 건조실로 내보낸다. 상기 가변도어는 가변도어 개폐장치(도1의 9)를 통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공기압은 0.3기압 이하의 저기압으로 유지하고 건조실 내부의 온도는 10℃내지 20℃에서 유지하여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수분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하게 된다. 상기 건조실의 내용물에서 증발된 수분(습기)을 포함한 공기는 다시 송풍 팬(흡입 팬)에 의하여 냉동 제습실로 유도되어 수분들은 냉매 의하여 냉동/흡착되고 이를 가온하여 조그만한 물방울로 만들어 장치 외부로 배출하며, 그 다음 리듐브로마이드 제습기를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다시 한번 더 제거하여 공기압의 제어가 가능한 가변도어를 통해서 저압으로 유도하여 건조실로 다시 보내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필요한 건조대상물들을 필요한 만큼 건조하여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얻는다. 상기 건조실과 냉동 제습실에는 온도, 습도 및 압력 센서를 구비하고 각 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의 표시패널에 표시함은 물론이고, 온도 센서와 컴퓨레샤를 연동시켜 각 실 내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압력센서와 송풍 팬 및 가변도어를 연동시켜 각 실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저온 저장고로 동작하는 구성수단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건조기로 작동하는 경우 또는 저장고로 작동하는 경우의 선택은 장치 외부에 부착된 모드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를 저장고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입력하여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를 제습실과 건조실이 거의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게 송풍 팬이 작동하여 공기를 제습실에서 건조실로 다시 건조실에서 제습실로 순환시켜 건조실 전체가 거의 일정한 온도를 가지는 황온의 저온 저장고를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저장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온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컴퓨레샤가 작동하여 저장고의 온도를 강하시키고, 온도가 내려가면 컴퓨레샤의 작동을 중지하여 온도의 강하를 방지하여 제습실과 건조실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때 송풍 팬은 고정압 다단계중 가장 낮은 압력으로 송풍 팬을 작동시켜 동작하거나 일반적인 송풍 팬을 하나 더 부가하여 구성하고 냉동 제습실에서 발생한 찬 공기를 건조실로 단순히 불어넣어 건조실 및 제습실 전체를 항온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조기에 있어서, 냉동 제습기의 제습운전 시에는 가능한 높은 압축비를 형성시켜 유니트쿨러의 냉매 온도를 -20℃정도로 낮게 유지하여 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빠른 속도로 동결/흡착시킨 후 일정한 시간(조정) 경과 후에 제열 기능(히터)을 구비한 가온실을 통과하면서 조그만한 물방울로 용해되어 집수되고, 집수장치에는 절수변을 사용하여 일정량 이상이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배수 수단을 통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냉동 제습기는 낮은 증발온도를 유지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동결/흡착하여 배출하며 아주 낮은 온도로 항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중 효용성을 구비하여야 함으로 상기 유니트쿨러를 2내지 3중 사이클로 형성시키고 필요에 따라 제습 시에는 1사이클씩 교대로 운전하여 압축비를 높이며, 항온 시는 3사이클의 동시에 운전하여 냉각 효과를 높여 -20℃의 아주 낮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습기능을 달성하여 제습기로서의 효율을 최대로 높이고, 또한 제습실내부의 공기 압력을 높게 유지하여 수분의 응축 온도를 높여 제습효과를 한층 더 높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온실(히터)은 상기 냉동 제습기를 통과한 건조 공기 중 동결 후 흡착되지 못한 일부 수분이 공기 중에 눈서리 현상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 히터를 설치한 가온실을 형성하여 상기 동결 후 흡착되어 제거되지 못한 공기 중 눈서리가 건조실에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고냉 공기가 필요 이하의 저온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 히터를 운용하여 냉동제습기의 냉방시스템과 함께 건조기내의 항온을 유지하는 기능도 겸비하여 온도변화가 거의 없는 저온에서의 제습을 완성한다. 상기 가변도어는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여 건조실에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량을 조절하여 제습실의 공기 압력은 높게 유지시켜 주고, 건조실의 공기 압력은 감압을 유도함으로써 습한 공기들이 제습실의 유니트 쿨러를 통과하는 시간을 늘려 건조공기의 건조도를 한층 더 높여주고 압력과 조정 시간에 따라 적절하게 운용하여 건조기의 성능 및 효율을 제어한다. 상기 리듐브로마이드(Libr.) 제습기는 냉동제습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중 수분의 제습능력은 약 80%정도이므로 이러한 제습능력을 10내지 15% 정도 향상시켜 보다 높은 건조도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건조실은 송풍 팬과 가변도어에 의하여 항상 공기의 흐름이 존재하여 매우 낮은 공기 압력 속에서 빠른 속도로 수분의 증발을 유도하게 되고 압력이 낮아짐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열 유체의 이동 및 전달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공기흐름은 내용물에서 증발한 수분이 정체되어 내용물 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수분증발을 향상시켜 건조 효과를 최대한 높여 준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겸 저장고의 편리한 작동과 관리를 위하여 장치 외부에는 조작 버튼들이 부착된 전자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의 정도 및 저장 온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온도 및 건조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 및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는 상기 건조실과 냉동 제습실에 부착된 온도, 습도 및 압력 센서(도1의 23)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표시하여 주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상기 전자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내장하여 음성메시지, 설정치 및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필요시에 스피커를 통해서 음성으로 필요한 메시지를 내보내는 기능과 무선 송수신 부를 구비하고 리모콘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습실과 건조실을 분리하고 서로 다른 압력을 유지시켜 냉각 및 건조를 효율적으로 이루고 제습실에서 발생하는 김 서리 현상을 제거하면서 건조실내부의 온도가 필요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열 장치 및 가온 실을 운용하고 리듐 브로마이드 제습기를 사용하여 건조효과를 크게 향상시키고 저온에서 물품을 효율적으로 건조함으로써 맛과 영양소 및 색상 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가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저온 건조기 및 저온 저장고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하는 모드로 모드 선택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여 저온 건조기 및 저온 저장고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저온 건조기 및 저장고를 이중으로 구매하여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및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이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건조를 필요로 하는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켜 가공할 수 있는 건조기에 있어서,
    송풍 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면서 냉매와 히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냉동 제습실과,
    상기 냉동제습 실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저온 상태인 공기의 팽창을 제어하여 저압으로 유도하는 가변도어와,
    상기 가변도어를 통과한 저온이면서 저압을 가진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내용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내장된 내용물에 의하여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냉동 제습실로 송풍하는 송풍 팬을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냉동 제습실로 송풍하는 송풍 팬은 적어도 3단 이상의 단계를 구비하고 고정압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냉동 제습실로 송풍하는 송풍 팬은 적어도 3단 이상의 단계를 구비하고 고정압을 유지하되 필요시 2기압 이상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냉동 제습실과 건조실 내부에는 각각의 실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습도 및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냉동 제습실 및 건조실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다양한 제어버튼 및 표시부를 가진 전자제어부를 더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무선송수기를 구비하고 리모콘에 의하여 작동하거나 음성 메모리에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필요시에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알려주는 수단을 더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7.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수분을 제거하는 냉동 제습실은 기체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냉동/흡착한 후 가온하여 조그만한 물방울로 유도하여 집수하고 외부 공기와의 차단을 위하여 절수변을 사용하여 일정량 이상 집수한 후에 외부로 배출하는 외기 차단용 밸브를 구비한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8. 건조 및 저장을 필요로 하는 농수산물을 비롯한 다양한 내용물들을 건조시켜 가공하거나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건조기 겸 저장고에 있어서,
    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고압을 유지하면서 냉매와 히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냉동 제습실과,
    상기 냉동 제습실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저온 상태인 공기의 팽창을 제어하여 저압으로 유도하는 가변도어와,
    상기 가변도어를 통과한 저온이면서 저압을 가진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내용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에 내장된 내용물에 의하여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냉동 제습실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건조기 또는 저장고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모드 선택스위치를 구비한 건조기 겸 저장고.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일반 상용의 송풍팬과 건조실에서 유입된 공기를 냉매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냉동 제습실 및 온도계를 이용하여 건조실과 냉동 제습실의 온도와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수단을 구비한 저장고.
  10. 청구항8 또는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상기 냉동 제습실 및 건조실의 온도 및 온도 설정 등을 제어하여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다양한 제어버튼 및 표시부를 가진 전자제어부를 더 구비한 저장고.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무선송수기를 구비하고 리모콘에 의하여 작동하거나 음성 메모리에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필요시에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알려주는 수단을 더 구비한 저장고.
KR10-2004-0015634A 2004-03-08 2004-03-08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KR10050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34A KR100504176B1 (ko) 2004-03-08 2004-03-08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34A KR100504176B1 (ko) 2004-03-08 2004-03-08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807A true KR20040027807A (ko) 2004-04-01
KR100504176B1 KR100504176B1 (ko) 2005-07-27

Family

ID=3733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634A KR100504176B1 (ko) 2004-03-08 2004-03-08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1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294B1 (ko) * 2004-09-02 2006-11-02 (주)지노시스템 흡착식 제습캐비넷의 수분토출구 제어장치
KR20190117941A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위프 농산물 저장 장치
CN110523096A (zh) * 2019-07-24 2019-12-03 天津科技大学 可缩短益生菌料液冷冻干燥时间的规模化干燥装置与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92B1 (ko) 2005-03-04 2006-12-05 강신태 저압의 생육적온에서의 농산물 건조방법 및 건조된 농산물
KR101013337B1 (ko) * 2010-04-02 2011-02-10 한의선 농산물을 이용한 무공해 추출수액과 건조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6680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캐리어플랜트 제습 기능을 구비한 가변형 저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2357A (ja) * 1987-11-30 1989-06-05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100226679B1 (ko) * 1996-05-27 1999-11-01 윤수규 건조기 겸 냉장창고
KR100320632B1 (ko) * 1998-08-14 2002-06-20 김길환 곡물저장용공기냉각장치및곡물냉각저장방법
JP2000176199A (ja) * 1998-12-17 2000-06-27 Hiroshi Nishifuji 温風布団乾燥機
KR100341139B1 (ko) * 1999-11-26 2002-06-20 이종형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
KR200241331Y1 (ko) * 2001-04-06 2001-11-22 이희진 Dsp를 이용한 자동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294B1 (ko) * 2004-09-02 2006-11-02 (주)지노시스템 흡착식 제습캐비넷의 수분토출구 제어장치
KR20190117941A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위프 농산물 저장 장치
CN110523096A (zh) * 2019-07-24 2019-12-03 天津科技大学 可缩短益生菌料液冷冻干燥时间的规模化干燥装置与方法
CN110523096B (zh) * 2019-07-24 2022-03-04 天津科技大学 可缩短益生菌料液冷冻干燥时间的规模化干燥装置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176B1 (ko)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CN105806010B (zh) 一种包含可调温湿度区域的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CN105180556B (zh) 冰箱
CN105972929A (zh) 一种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KR101117786B1 (ko) 농ㆍ수산물 제습건조기의 제어방법
CN105466103A (zh) 冰箱
CN101199914A (zh) 复合式高压空气冷冻除湿系统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KR20130019881A (ko) 저온냉풍제습방식 고추 건조장치
KR100775144B1 (ko) 저온저장고에 사용되는 저고습도 겸용 유닛 쿨러
JP4785414B2 (ja) 冷蔵庫
KR20180064059A (ko)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CN109405526A (zh) 一种自调式除湿烘干热泵的控制系统及方法
KR100504176B1 (ko)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KR20130051305A (ko)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JP2009008326A (ja) 冷蔵庫および冷蔵庫の加湿方法
CN104634066B (zh) 多功能空调、热泵烘干及除湿装置
CN209570859U (zh) 一种除湿除霜装置
JP5049500B2 (ja)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除湿空調機
CN105276912A (zh) 干物室的控制方法及冰箱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130051306A (ko) 저온 저장장치
KR101570763B1 (ko) 저온 및 냉동 저장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EP2055212A1 (en) Cooling plant
JP3096673B2 (ja) 冷風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