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603A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603A
KR20040027603A KR1020040010217A KR20040010217A KR20040027603A KR 20040027603 A KR20040027603 A KR 20040027603A KR 1020040010217 A KR1020040010217 A KR 1020040010217A KR 20040010217 A KR20040010217 A KR 20040010217A KR 20040027603 A KR20040027603 A KR 20040027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op
main body
detachabl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102004001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603A/ko
Publication of KR2004002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6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에 손잡이봉이 설치되는 본체(10);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1놉(3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롤러(30); 본체(10)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2놉(4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롤러(40); 압압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에 연결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wet duster}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일반 주택, 사무실등에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택문화는 외국과는 달리 신발을 벗고서 생활하며 바닥에서 취침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청소기는 바닥에서 쉽게 분리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제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었던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물걸레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물걸레를 이용한 바닥청소를 할 때 물걸레에 강한 힘을 주지 않으면 바닥에 늘어붙은 묵은때를 제거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엎드린 상태에서 물걸레를 손으로 잡고 바닥을 닦아야 하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를 하다보면 허리 및 팔에 통증이 오곤 하였다. 즉, 물걸레 청소는 고된 노동을 필요로 하였고, 따라서 노약자나 임산부, 허리가 아픈 사람은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없었다. 특히, 대형 아파트가 보급되고 있는 요즈음, 물걸레 청소에 대한 어려움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여러 업체에서는 기다란 손잡이봉과, 그 손잡이봉의 하단에 물걸레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로 구성된 물걸레 청소기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걸레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가 더러워질 경우나 물걸레에 흡습된 물기가 없어질 경우 새로운 물걸레로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였기 때문에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또한, 물걸레가 부착되는 착탈부는 큰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기에 인가하는 힘이 분산된다. 즉, 물걸레가 바닥에 인가하는 단위 면적당 압력이 작아질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바닥의 묶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걸레를 교환할 필요가 없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에 큰 힘을 인가할 수 있어 묶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 있어서, 제2롤러의 제1착탈부에 걸레부의 제2착탈부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걸레부의 제2착탈부가 제1롤러의 제1착탈부에 부착된 후 제2롤러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압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롤러가 회전구속클러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롤러가 스토퍼기어 및 스토퍼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롤러가 렌치헤드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착탈부와 제2착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 사이의 경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물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걸레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 제2롤러의 제1착탈부에 걸레부의 제2착탈부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손잡이봉
12 ... 서브손잡이봉 13 ... 덮개
20, 25 ... 압압부 21, 26 ... 쿠션
21a, 26a ... 돌기 27 ... 원웨이클러치베어링
30 ... 제1롤러 31 ... 제1놉
32 ... 연결부 33, 43 ... 제1착탈부
35 ... 클러치기어 35a ... 제1치차
36 ... 레버 36a ... 제2치차
36b ... 지레 37 ... 탄성부재
35' ... 스토퍼기어 35a' ... 스토퍼홈
36' ... 스토퍼 36a' ... 볼
36b' ... 탄성부재 38 ... 클러치스위치
39 ... 렌치헤드 39a ... 방향전환스위치
40 ... 제2롤러 41 ... 제2놉
42 ... 연결부 60, 160 ... 걸레부
61, 62, 161, 162 ... 제2착탈부
150 ... 물공급장치 151 ... 물통
151a ... 뚜껑 152 ... 노즐관
152a ... 노즐 153 ... 물이송부
154 ... 서브용기 155 ... 피스톤
156 ... 손잡이로드 157 ... 탄성부재
158 ... 제1역류방지밸브 159 ... 제2역류방지밸브
159a ... 관 159b ... 볼
159c ... 탄성부재 159d ... 유출공
L1, L2 ... 제1,2라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후방에 손잡이봉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1놉(3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롤러(30); 상기 본체(10)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2놉(4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롤러(40); 상기 압압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에 연결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물통(151)과, 상기 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압부(20)를 감싸는 걸레부(160)를 향하는 노즐관(152)과, 상기 물통(10)의 물을 상기 노즐관(152)으로 이송하는 물이송부(153)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물이송부(153)는, 상기 물통(151)과 연결된 제1라인(L1)과 상기 노즐관(152)과 연결된 제2라인(L2)이 각각 연결되는 서브용기(154)와, 상기 서브용기(154)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155)과, 상기 피스톤(155)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용기(154)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로드(156)와, 상기 손잡이로드(156)가 상기 서브용기(154)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는 탄성부재(157)와, 상기 제1라인(L1)으로 공급되는 물이 서브용기(154)로만 유입되도록 하고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제1역류방지밸브(158)와, 물이 서브용기(154)로부터 제2라인(L2)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제2역류방지밸브(15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에는 쿠션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 각각에는 제1착탈부(33)(43)가 형성된 연결부(32)(42)가 형성되고, 상기 걸레부(60)(16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착탈부(33)(43)에 착탈되는 제2착탈부(61)(62)(161)(16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33)(43)와 제2착탈부(61)(62)는, 상호 착탈 가능한 벨크로이거나, 또는 단추이거나, 또는 고리와 고리걸이로 이루어진 구성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30)는 조작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5)는, 쿠션(26)을 가지는 롤러이고,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과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있어서, 제2롤러의 제1착탈부에 걸레부의 제2착탈부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걸레부의 제2착탈부가 제1롤러의 제1착탈부에 부착된 후 제2롤러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압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5는 제1롤러가 회전구속클러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롤러가 스토퍼기어 및 스토퍼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제1롤러가 렌치헤드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착탈부와 제2착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 사이의 경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는,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와,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1놉(3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롤러(30)와, 본체(10)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2놉(41)에의하여 회전되는 제2롤러(40)와, 압압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에 연결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롤러(30)는 본체(10) 내부 상방에 설치되고, 제2롤러(40)는 본체(10) 내부 하방에 설치된다. 그러나, 반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 상기한 제1롤러(30) 및 제2롤러(40)가 설치되고, 본체(10)의 전방에 압압부(20)가 설치된다.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손잡이봉(11)에는 그 손잡이봉(1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몰입되는 서브손잡이봉(12)이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봉(11) 및 서브손잡이봉(12)은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에서 광범위하게 채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에는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커버하기 위한 덮개(13)가 설치된다. 덮개(13)는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걸레부(60)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걸레부(60)로부터 물기가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전체적인 디자인을 향상시켜 다른 가구와의 시각적 조화를 유도한다.
압압부(20)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압압부(20)의 외주에는 쿠션(21)이 설치된다. 이때, 쿠션(2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돌기(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압부(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쿠션(26)이 형성된 롤러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롤러의 축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10)에 고정된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에 의하여 지지된다.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은 한쪽 방향의 회전을 억제하는 클러치부와 고속회전을 가능케 하는 정밀 볼베어링의 조합베어링으로 자전거나 낚시대용 릴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다.
제1롤러(30)는 본체(10) 내부 상방에 설치된다. 제1롤러(30)에는 제1착탈부(33)가 형성된 연결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32)는 내구성이 있으나 부드러운 천이나 필름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롤러(30)는 조작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만 회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30)와 본체(10) 사이에 회전구속클러치를 설치하여 구현한다. 이러한 회전구속클러치는, 제1롤러(30)의 가장자리측 외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치차(35a)가 형성된 클러치기어(35)와, 본체 소정부에 힌지결합되며 제1치차(35a)에 결합되는 제2치차(36a)와 길게 연장된 지레(36b)가 형성된 레버(36)와, 레버(36)를 클러치기어(35)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37)와, 지레(36b)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클러치스위치(3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클러치스위치(38)가 상부에 위치되면 탄성부재(37)에 의하여 제2치차(36a)가 제1치차(35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이 상태에서 클러치기어(35)와 결합된 롤러(30)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된다. 그러나, 클러치스위치(38)가 하방에 위치되어 지레(36b)를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제2치차(36a)와 제1치차(35a)는 분리됨으로써 클러치기어(35)와 결합된 롤러(30)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또, 제1롤러(3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30)의 축에, 그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35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35')가 설치되고, 본체(10)에 그 스토퍼홈(35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스토퍼기어(35')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토퍼홈(35a')에 끼어지는 볼(36a')과 그 볼(36a')을 스토퍼기어(35')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36b')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롤러(3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30)에는 토크렌치, 또는 라체트렌치, 또는 소켓렌치라 불리우는 공구의 헤드부분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렌치들은 일체로 결합된 방향전환스위치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정해지는데, 이러한 구성은 광범위하게 알려져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전환스위치(39a)가 일체화된 렌치헤드(39)를 사용하는데, 제1롤러(30)가 상기한 렌치헤드(39)의 축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방향전환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제1롤러(3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다.
제2롤러(40)는 본체(10) 내부 하방에 설치된다. 제2롤러(40)에는 제1착탈부(43)가 형성된 연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42)는 내구성이 있으나 부드러운 천이나 필름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롤러(40)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회전시 적절한 부하가 인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롤러(40)와 본체(10) 사이에 마찰을 인가하는 고무링이나 마찰패드(미도시)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레부(60)는 바닥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기다랗게 되어 있다. 이러한 걸레부(60)의 양측단에는 후술할 제2착탈부(61)(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2롤러(30)(40)의 연결부(32)(42)에 형성된 제1착탈부(33)(43)와, 걸레부(60)의 양측단에 형성된 제2착탈부(61)(62)는, 상호 착탈 가능한 벨크로이거나, 또는 단추이거나, 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33')(43')와 고리걸이(61')(62')로 이루어진 구성중 어느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착탈부(33,43)(61,62)는 공지의 벨크로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물걸레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걸레부(60)를 물에 적셔서 척척한 상태로, 그 걸레부(60) 하단의 제2착탈부(62)를 제2롤러(40)의 제1착탈부(43)에 부착시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40)와 압압부(20) 사이로 넣어 압압부(20)를 감싼다. 이후, 걸레부(60) 상단의 제2착탈부(61)를 제1롤러(30)의 제1착탈부(33)에 부착시킨다. 이때, 클러치스위치(38)를 상부에 위치시켜 탄성부재(37)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치차(36a)가 제1치차(35a)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놉(41)을 회전시키면 걸레부(60)는 제2롤러(40)에 감겨지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한 상태가 되고, 따라서 걸레부(60)의 일부는 압압부(20)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물걸레 청소기를 비스듬하게 세워서 바닥 청소를 하게 된다. 이때, 압압부(20)에는 쿠션(21)이 형성됨으로써 걸레부(60)와 바닥(F) 사이의 밀착력이 크게 된다. 더 나아가, 쿠션(21)의 돌기(21a)는 바닥(F)에 밀착되는 걸레부(60)의 면적을 크게 한다.
바닥을 닦은 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가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제1놉(31)을 회전시켜 제1롤러(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롤러(30)의 연결부(32)에 연결된 걸레부(60)는 잡아당겨지고, 압압부(20)에 밀착되어 있던 걸레부(60)의 더러운 부분은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걸레부(60)의 더러운 부분은 제1롤러(30)에 감겨지게 된다.
여기서, 제1롤러(30)와 결합된 클러치기어(35)의 제1치차(35a)에 제2치차(36a)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롤러(30)는 일방향으로밖에 회전될 수 없다. 즉, 제1롤러(30)는 걸레부(6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따라서 제1롤러(30)에 일단 잡아당겨지거나 감겨진 걸레부(60)는 다시 느슨해지거나 풀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는 항상 텐션을 받게 된다.
한편, 압압부(20)는, 본체(10)에서 하방 및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물걸레 청소기를 세우거나 뉘일때에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는 바닥(F)을 닦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F) 사이의 경사 범위(θ)가 크게 되므로, 사람손이 잘 닫지 않는 침대나 소파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청소를 마감한 후 걸레부(60)를 분리할 때에는,클러치스위치(38)를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지레(36b)를 하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제2치차(36a)와 제1치차(35a)가 분리되고 제1롤러(30)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놉(3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롤러(30)에 감겨진 걸레부(60)를 풀은 후 제2착탈부(61)를 제1롤러(30)의 제1착탈부(33)에 분리시킨다. 그리고 제2착탈부(62)를 제2롤러(40)의 제1착탈부(43)로부터 분리하면 걸레부(60)는 제1,2롤러(30)(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분리된 걸레부(60)는 세척한 후 재사용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9 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물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걸레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 제2롤러의 제1착탈부에 걸레부의 제2착탈부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는,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와, 본체(10) 내부 상방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1놉(3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롤러(30)와, 본체(10) 내부 하방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2놉(4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롤러(40)와, 압압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에 연결되는 걸레부(16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압압부(20)에 감싸지는 걸레부(16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에 설치된 손잡이봉(11), 서브손잡이봉(12), 덮개(13), 압압부(20), 쿠션(21) 및 돌기(21a)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롤러(30)에 설치되는 회전구속클러치 및 방향전환스위치(39a)가 일체화된 렌치헤드(39) 역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고, 제1,2롤러(30)(40)에 연결되는 연결부(32)(42), 제1착탈부(33)(43), 걸레부(160)에 형성된 제2착탈부(161)(162)의 구성 역시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걸레부(160)는 제1실시예에서의 걸레부(60)와는 달리 물에 적시지 않고 건조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제1롤러(30) 및 제2롤러(40)에 감겨지는 전체길이는 제1실시예에서의 적셔진 걸레부(60)에 비하여 많아진다. 예를 들면, 적셔진 걸레부(60)가 제2롤러(40)에 1 m 정도 감긴다면, 건조된 걸레부(160)는 2 m 정도가 감긴다.
물공급장치(150)는, 본체(10)에 형성된 물통(151)과, 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압압부(20)에 감싸지는 걸레부(160)를 향하는 다수의 노즐(152a)이 형성된 노즐관(152)과, 물통(151)의 물을 노즐관(152)으로 이송하는 물이송부(153)를 포함한다.
물통(151)은 외부에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가 형성되고, 그 주입구로 뚜껑(151a)이 결합된다. 이러한 물통(151)에는 후술할 제1라인(L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151b)가 형성된다. 끼움돌부(151b)에는 제1라인(L1)이 끼어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미늘(151b')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관(15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40)와 압압부(20) 사이에설치된다. 노즐관(152)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20)로 감겨질 걸레부(160)를 향하는 노즐(15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관(152)으로 유입되는 물은 노즐(152a)을 통하여 압압부(20) 근처의 걸레부(160)로 분사된다. 이러한 노즐(152a)은 폭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152a)에는 후술할 제2라인(L2)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152b)가 형성된다. 끼움돌부(152b)에는 제2라인(L2)이 끼어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미늘(152b')이 형성되어 있다.
물이송부(153)는 본체(10)의 측부, 예를 들면 제1놉(31)과 제2놉(41) 사이에 설치된다. 물이송부(153)는 물통(151)에서 공급되는 물을 노즐관(152)으로 압송시키는 것으로서, 한번 작동할 때마다 소정 양만큼의 물이 분사되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의 예를 장난감 물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장난감 물총은, 방아쇠를 당길때마다 일정량의 물이 총구 밖으로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이송부(153)는, 물통(151)에 연결된 제1라인(L1)과 노즐관(152)에 연결된 제2라인(L2)이 각각 연결되는 서브용기(154)와, 서브용기(154)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155)과, 피스톤(155)과 연결되어 서브용기(154)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로드(156)와, 손잡이로드(156)가 서브용기(154)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그 손잡이로드(156)에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는 탄성부재(157)와, 제1라인(L1)으로 공급되는 물이 서브용기(154)만 유입되도록 하고 역류되지 안도록 하는 제1역류방지밸브(158)와, 물이 서브용기(154)로부터 제2라인(L2)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제2역류방지밸브(159)를 포함한다.
서브용기(154)에는 제1라인(L1)과 제2라인(L2)이 결합되는 끼움돌부(154a)(154b)가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움돌부(154a)(154b)에는 제1,2라인(L1)(L2) 각각이 끼어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미늘(154a')(154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역류방지밸브(158)나 제2역류방지밸브(159)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1,2역류방지밸브(158)(159)의 구성 역시 일반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역류방지밸브(158)는 실리콘판이나 고무판과 같은 가요성부재로서, 끼움돌부(154a)의 하방에 대응되는 서브용기(154)의 일측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라인(L1)으로 유입되는 물은 끼움돌부(154a)를 경유한 후 제1역류방지밸브(158)를 거쳐 서브용기(154)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제2역류방지밸브(159)는, 서브용기(154)와 끼움돌부(154b) 사이를 연결시키는 관(159a)과, 그 관(159a) 내부에 설치되는 볼(159b)과, 그 볼(159b)을 서브용기(154)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59c)로 구성된다. 이때, 서브용기(154)와 관(159a) 사이에는 볼(159b)보다 작은 직경의 유출공(159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평상시에 탄성부재(159c)가 볼(159b)을 유출공(159d)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므로, 서브용기(154) 내부의 물이 끼움돌부(154b)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그러나, 손잡이로드(156)를 눌러서 수압을 발생시키면 볼(159b)은 유출공(159d)으로부터 분리되고, 유출공(159d) 및 끼움돌부(154b)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건조된 걸레부(160)의 하단에 형성된 제2착탈부(162)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40)의 제1착탈부(43)에 부착시키고, 걸레부(160)를 제2롤러(40)와 압압부(20) 사이로 넣어 압압부(20)를 감싼다. 이후, 걸레부(160) 상단의 제2착탈부(161)를 제1롤러(30)의 제1착탈부(33)에 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놉(41)을 회전시키면 걸레부(160)는 제2롤러(40)에 감겨지게 되어 팽팽하게 감겨진 상태가 되고, 따라서 걸레부(160)의 일부는 압압부(20)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물걸레 청소기를 직립시키면, 물통(151)에 담겨진 물이 제1역류방지밸브(158)를 통하여 서브용기(154)로 유입되는데, 제2역류방지밸브(159)는 제2라인(L2)을 폐쇄하므로 물은 서브용기(154) 내부에 충만한 상태가 된다.
걸레부(160)를 적시기 위하여 본체(10)의 측부에 설치된 손잡이로드(156)를 누르게 되면, 수압이 발생하면서 제1역류방지밸브(158)가 제1라인(L1)을 폐쇄하고, 제2역류방지밸브(159)가 열리면서 물은 제2라인(L2)을 통하여 노즐관(152)으로 공급된다. 노즐관(152)으로 공급된 물은 노즐(152a)을 통하여 압압부(20)를 감쌀 걸레부(160)로 분사되고, 그럼으로써 걸레부(160)가 적셔진다. 분사되는 물의 양은 손잡이로드(156)를 누르는 회수에 비례하므로 적정한 양의 물이 걸레부(160)로 분사되도록 한다. 걸레부(160)가 충분히 적셔진 후 바닥을 닦는다.
소정 범위를 청소한 후에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160)가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제1놉(31)을 회전시켜 제1롤러(30)를 회전시켜 걸레부(160)의 더러운 부분을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걸레부(160)의 더러워진 부분은 제1롤러(30)에 감겨지게 된다. 이때,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160)는 마른 상태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이송부(153)를 작동시켜서 걸레부(160)가 적셔지도록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바닥 청소를 하는 과정과 청소 이후의 과정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에 따르면, 2 개의 롤러에 두루마리 형상으로 감겨지고 풀어지는 걸레부를 가짐으로써, 바닥을 닦는 도중에 걸레부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물걸레 청소기에 큰 힘을 인가할 수 있어 묶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9)

  1. 후방에 손잡이봉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1놉(3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롤러(30);
    상기 본체(10) 내부 타측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제2놉(41)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롤러(40);
    상기 압압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에 연결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물통(151)과, 상기 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압부(20)를 감싸는 걸레부(160)를 향하는 노즐관(152)과, 상기 물통(10)의 물을 상기 노즐관(152)으로 이송하는 물이송부(1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송부(153)는, 상기 물통(151)과 연결된 제1라인(L1)과 상기 노즐관(152)과 연결된 제2라인(L2)이 각각 연결되는 서브용기(154)와, 상기 서브용기(154)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155)과, 상기 피스톤(155)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용기(154)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로드(156)와, 상기 손잡이로드(156)가 상기 서브용기(154)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는 탄성부재(157)와, 상기 제1라인(L1)으로 공급되는 물이 서브용기(154)로만 유입되도록 하고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제1역류방지밸브(158)와, 물이 서브용기(154)로부터 제2라인(L2)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제2역류방지밸브(1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에는 쿠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 각각에는 제1착탈부(33)(43)가 형성된 연결부(32)(42)가 형성되고, 상기 걸레부(60)(16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착탈부(33)(43)에 착탈되는 제2착탈부(61)(62)(161)(1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33)(43)와 제2착탈부(61)(62)는, 상호 착탈 가능한 벨크로이거나, 또는 단추이거나, 또는 고리와 고리걸이로 이루어진 구성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30)는 조작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30)의 축에는,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35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3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스토퍼홈(35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기어(35')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5)는, 쿠션(26)을 가지는 롤러이고,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원웨이클러치베어링(27)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040010217A 2004-02-17 2004-02-17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217A KR20040027603A (ko) 2004-02-17 2004-02-17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217A KR20040027603A (ko) 2004-02-17 2004-02-17 물걸레 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21U Division KR200352777Y1 (ko) 2004-03-19 2004-03-19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603A true KR20040027603A (ko) 2004-04-01

Family

ID=3732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217A KR20040027603A (ko) 2004-02-17 2004-02-17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30B1 (ko) * 2011-09-06 2014-01-09 어수곤 물걸레 청소기
CN106137065A (zh) * 2016-08-31 2016-11-23 太仓贝明家日用品有限公司 一种收纳便捷的拖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42A (en) * 1983-12-19 1985-04-16 Century International Corp. Combination bowling lane stripper and duster
KR890000009U (ko) * 1987-06-25 1989-03-02 김동술 이앙기의 식입 포오크와 식모침
KR950028727A (ko) * 1994-04-23 1995-11-22 김남선 수동 물걸레 청소기
JPH10262887A (ja) * 1997-03-24 1998-10-06 Unitika Ltd 床クリーナー
KR19990007967U (ko) * 1998-11-10 1999-02-25 윤기연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42A (en) * 1983-12-19 1985-04-16 Century International Corp. Combination bowling lane stripper and duster
KR890000009U (ko) * 1987-06-25 1989-03-02 김동술 이앙기의 식입 포오크와 식모침
KR950028727A (ko) * 1994-04-23 1995-11-22 김남선 수동 물걸레 청소기
JPH10262887A (ja) * 1997-03-24 1998-10-06 Unitika Ltd 床クリーナー
KR19990007967U (ko) * 1998-11-10 1999-02-25 윤기연 물걸레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30B1 (ko) * 2011-09-06 2014-01-09 어수곤 물걸레 청소기
CN106137065A (zh) * 2016-08-31 2016-11-23 太仓贝明家日用品有限公司 一种收纳便捷的拖把
CN106137065B (zh) * 2016-08-31 2019-01-25 太仓贝明家日用品有限公司 一种收纳便捷的拖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546B2 (en) Bare floor cleaner
US4953999A (en) Golf club grip cleaner
AU2017100144A4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1100021A4 (en) Mop assembly
US6532619B2 (en) Extraction cleaner and agitator therefor
KR101967348B1 (ko) 물걸레 청소기
US5423621A (en) Garbage disposal cleaning device
JP2023078357A (ja) 多機能モップ付きスティッククリーナー
KR200352777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03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52778Y1 (ko) 물걸레 청소기
JPH1057289A (ja) 電動清掃機およびその洗剤タンク
KR200352779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29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04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30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52780Y1 (ko) 물걸레 청소기
US3028615A (en) Combined polisher and shampooer
KR20050088743A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KR101169069B1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KR20040052911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52534A (ko) 물걸레 청소기
US6523211B2 (en) Self-wringing mop with rotating offset
KR20060095858A (ko) 물걸레 청소기
EP1787565A1 (en) Brush for cleaning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