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911A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911A
KR20040052911A KR1020040034594A KR20040034594A KR20040052911A KR 20040052911 A KR20040052911 A KR 20040052911A KR 1020040034594 A KR1020040034594 A KR 1020040034594A KR 20040034594 A KR20040034594 A KR 20040034594A KR 20040052911 A KR20040052911 A KR 20040052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unit
pressing
dust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102004003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2911A/ko
Publication of KR2004005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47L13/225Steam 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에 손잡이봉이 설치되는 본체(10);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압압부(20)의 외주면에 새로운 걸레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레이동부;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가열시키기 위한 걸레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wet duster}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일반 주택, 사무실등에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택문화는 외국과는 달리 신발을 벗고서 생활하며 방바닥에서 취침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방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방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방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청소기는 방바닥에서 쉽게 분리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방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제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었던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물걸레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물걸레를 이용한 바닥청소를 할 때 물걸레에 강한 힘을 주지 않으면 방바닥에 눌어붙은 묵은때를 제거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엎드린 상태에서 물걸레를 손으로 잡고 방바닥을 닦아야 하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를 하다보면 허리 및 팔에 통증이 오곤 하였다. 즉, 물걸레 청소는 고된 노동을 필요로 하였고, 따라서 노약자나 임산부, 허리가 아픈 사람은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없었다. 특히, 대형 아파트가 보급되고 있는 요즈음, 물걸레 청소에 대한 어려움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여러 업체에서는 기다란 손잡이봉과, 그 손잡이봉의 하단에 물걸레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로 구성된 물걸레 청소기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걸레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가 더러워질 경우나 물걸레에 흡습된 물기가 없어질 경우 새로운 물걸레로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였기 때문에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또한, 물걸레가 부착되는 착탈부는 큰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기에 인가하는 힘이 분산된다. 즉, 물걸레가 방바닥에 인가하는 단위 면적당 압력이 작아질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방바닥의 묶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걸레를 교환할 필요가 없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바닥에 눌어붙은 때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롤러와 압압부에 걸레부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롤러와 압압부를 감싸는 걸레부가 무한궤도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롤러가 회전구속클러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물공급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걸레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물걸레 청소기와 방바닥 사이의 경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스팀노즐이 압압부에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손잡이봉
12 ... 서브손잡이봉 13 ... 덮개
20 ... 압압부 21 ... 쿠션
21a ... 돌기 30 ... 롤러
31 ... 놉 35 ... 클러치기어
35a ... 제1치차 36 ... 레버
36a ... 제2치차 37 ... 탄성부재
40 ... 가이드롤러 60 ... 걸레부
151 ... 물통 151a ... 뚜껑
152 ... 노즐관 152a ... 노즐
153 ... 압송부 154 ... 서브용기
155 ... 피스톤 156 ... 손잡이로드
157 ... 탄성부재 158 ... 제1역류방지밸브
159 ... 제2역류방지밸브 159a ... 관
159b ... 볼 159c ... 탄성부재
159d ... 유출공 161 ... 히터
171 ... 스팀노즐 172 ... 스팀발생기
L1, L2 ... 제1,2라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후방에 손잡이봉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상기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압압부(20)의 외주면에 새로운 걸레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레이동부; 상기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기 걸레부(60)를 가열시키기 위한 걸레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걸레(6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레가열부는, 상기 압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161)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레가열부는, 고온고압의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기(172)와, 상기 스팀발생기(172)에서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171)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노즐(171)은 상기 압압부(20)에 일체화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롤러와 압압부에 걸레부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롤러와 압압부를 감싸는 걸레부가 무한궤도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롤러가 회전구속클러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물공급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걸레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물걸레 청소기와 방바닥 사이의 경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는,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와,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압압부(20)의 외주면에 새로운 걸레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레이동부와,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가열시키기 위한 걸레가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체(10)의 소정부에 물걸레(6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는 물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손잡이봉(11)에는 그 손잡이봉(1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몰입되는 서브손잡이봉(12)이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봉(11) 및 서브손잡이봉(12)은 종래의 물걸레 청소기에서 광범위하게 채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에는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커버하기 위한 덮개(13)가 설치된다. 덮개(13)는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걸레부(60)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걸레부(60)로부터 물기가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전체적인 디자인을 향상시켜 다른 가구와의 시각적 조화를 유도한다.
압압부(20)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레부(60)의 면이 방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압압한다. 이러한 압압부(2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며, 그 걸레부(60)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바닥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21a)가 형성된 쿠션(21)이 설치된다.
걸레이동부는,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더러운 걸레부가 새로운 걸레부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압압부(20)를 감싸는 걸레부가 감싸여지며 본체(10) 외부의 놉(31)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러(30)와, 본체(10) 내부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걸레부(60)의 궤도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40)를포함한다. 이때, 롤러(30)의 외주에는 감싸여지는 걸레부(60)와의 마찰력을 배가하는 마찰돌부(30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30)는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와 본체(10) 사이에 회전구속클러치를 설치하여 구현한다. 이러한 회전구속클러치는, 롤러(30)의 가장자리측 외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치차(35a)가 형성된 클러치기어(35)와, 본체 소정부에 힌지결합되며 제1치차(35a)에 결합되는 제2치차(36a)가 형성된 레버(36)와, 레버(36)를 클러치기어(35)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3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2치차(36a)는 탄성부재(37)에 의하여 제1치차(35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따라서 클러치기어(35)와 결합된 롤러(3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된다.
걸레가열부는,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가열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압압부(20)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161)로 구현할 수 있다. 히터(161)는 압압부(20)의 외주면을 효과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20)의 외주면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이때, 히터(161)가 과열되지 않도록, 과열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나 또는 바이메탈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레가열부는,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가열시킴으로써, 방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을 힘들이지 않고 효과적으로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걸레가열부는 전원코드(미도시)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본체(10) 내부에 충전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코드 없이 전원을 인가받을 수 도 있도록 한다.
물공급부는,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걸레부(60)에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물통(151)과, 물통(15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걸레부(60)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관(152)과, 물통(151)의 물을 노즐관(152)으로 압송하는 압송부(153)를 포함한다.
물통(151)은 외부에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가 형성되고, 그 주입구로 뚜껑(151a)이 결합된다. 이러한 물통(151)에는 후술할 제1라인(L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151b)가 형성된다. 끼움돌부(151b)에는 제1라인(L1)이 끼어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미늘(151b')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관(152)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40)와 압압부(20) 사이에 설치되며, 노즐관(152)에는 압압부(20)로 감겨질 걸레부(60)를 향하는 노즐(152a)이 폭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관(152)으로 유입되는 물은 노즐(152a)을 통하여 압압부(20) 근처의 걸레부(60)로 분사된다. 이러한 노즐(152a)에는 후술할 제2라인(L2)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부(152b)가 형성된다. 끼움돌부(152b)에는 제2라인(L2)이 끼어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미늘(152b')이 형성되어 있다.
압송부(153)는 본체(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압송부(153)는 물통(151)에서 공급되는 물을 노즐관(152)으로 압송시키는 것으로서, 한번 작동할 때마다 소정 양만큼의 물이 분사되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의 예를 장난감 물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장난감 물총은, 방아쇠를 당길때마다 일정량의 물이 총구 밖으로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압송부(153)는, 물통(151)에 연결된 제1라인(L1)과 노즐관(152)에 연결된 제2라인(L2)이 각각 연결되는 서브용기(154)와, 서브용기(154)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155)과, 피스톤(155)과 연결되어 서브용기(154)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로드(156)와, 손잡이로드(156)가 서브용기(154)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그 손잡이로드(156)에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는 탄성부재(157)와, 제1라인(L1)으로 공급되는 물이 서브용기(154)만 유입되도록 하고 역류되지 안도록 하는 제1역류방지밸브(158)와, 물이 서브용기(154)로부터 제2라인(L2)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제2역류방지밸브(159)를 포함한다.
서브용기(154)에는 제1라인(L1)과 제2라인(L2)이 결합되는 끼움돌부(154a)(154b)가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움돌부(154a)(154b)에는 제1,2라인(L1)(L2) 각각이 끼어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미늘(154a')(154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역류방지밸브(158)나 제2역류방지밸브(159)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1,2역류방지밸브(158)(159)의 구성 역시 일반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역류방지밸브(158)는 실리콘판이나 고무판과 같은 가요성부재로서, 끼움돌부(154a)의 하방에 대응되는 서브용기(154)의 일측에 부착된다.따라서, 제1라인(L1)으로 유입되는 물은 끼움돌부(154a)를 경유한 후 제1역류방지밸브(158)를 거쳐 서브용기(154)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제2역류방지밸브(159)는, 서브용기(154)와 끼움돌부(154b) 사이를 연결시키는 관(159a)과, 그 관(159a) 내부에 설치되는 볼(159b)과, 그 볼(159b)을 서브용기(154)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59c)로 구성된다. 이때, 서브용기(154)와 관(159a) 사이에는 볼(159b)보다 작은 직경의 유출공(159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평상시에 탄성부재(159c)가 볼(159b)을 유출공(159d)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를 가하므로, 서브용기(154) 내부의 물이 끼움돌부(154b)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그러나, 손잡이로드(156)를 눌러서 수압을 발생시키면 볼(159b)은 유출공(159d)으로부터 분리되고, 유출공(159d) 및 끼움돌부(154b)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물걸레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걸레부(6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20)를 감싼 후 가이드롤러(40)의 상부를 거쳐 롤러(30)를 감싸게 한후 착탈부(60a)(60b)를 부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부(60)는 무한궤도를 이루게되고, 일부는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걸레가열부의 히터(161)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물걸레 청소기를 비스듬하게 세워서 바닥 청소를 하게 된다. 이때, 압압부(20)에는 쿠션(21)이 형성됨으로써, 걸레부(60)를 바닥(F)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는 압압부(20)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이므로, 방바닥에 달라붙은 먼지, 눌어붙은 기름때나 음식물 찌꺼기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바닥을 닦은 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가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놉(31)을 회전시켜 롤러(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롤러(30)에 감겨진 걸레부(60)는 궤도운동되면서 회전되고,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걸레부(60)의 더러운 부분은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된다.
한편, 압압부(20)는, 본체(10)에서 하방 및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물걸레 청소기를 세우거나 뉘일때에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는 바닥(F)을 닦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F) 사이의 경사 범위(θ)가 크게 되므로, 사람손이 잘 닫지 않는 침대나 소파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청소를 마감한 후 걸레부(60)를 분리할 때에는, 롤러(30)를 회전시켜 착탈부(60a)(60b)가 보이는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착탈부(60a)(60b)를 분리시킴으로써 걸레부(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걸레부(60)는 세척한 후 재사용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스팀노즐이 압압부에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걸레가열부가, 물공급부의 물통(15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 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발생기(172)와, 스팀발생기(172)에서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는스팀노즐(171)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스팀발생기(172)는 그 자체에 히터를 설치하는 타입일 수도 있고, 공급되는 물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증기로 변환한 후 그 증기를 가열시키는 타입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발생기(172)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스팀노즐(171)은 압압부(20) 내부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걸레가열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스팀발생기(172)에서 스팀이 발생하고, 이 스팀은 압압부(20)에 일체화된 스팀노즐(171)을 통하여 걸레부를 가열시키고 일부는 걸레부를 통하여 빠져나온다. 이때의 스팀은 고온 고압의 상태이므로, 방바닥에 달라붙은 먼지, 눌어붙은 기름때나 음식물 찌꺼기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바닥을 닦은 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가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놉(31)을 회전시켜 롤러(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롤러(30)에 감겨진 걸레부(60)는 궤도운동되면서 회전되고,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던 걸레부(60)의 더러운 부분은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된다.
바닥 청소를 마감한 후 걸레부(60)를 분리할 때에는, 롤러(30)를 회전시켜 착탈부(60a)(60b)가 보이는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착탈부(60a)(60b)를 분리시킴으로써 걸레부(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걸레부(60)는 세척한 후 재사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에 따르면,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압압부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를 새로운 걸레부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청소도중 물걸레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
또한, 걸레부를 가열시킴으로써, 방바닥에 눌어붙은 기름때나 먼지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보다 깨끗한 물걸레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5)

  1. 후방에 손잡이봉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상기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걸레부(60)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압압부(20)의 외주면에 새로운 걸레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걸레이동부;
    상기 압압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기 걸레부(60)를 가열시키기 위한 걸레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걸레(6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가열부는, 상기 압압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1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가열부는, 고온고압의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기(172)와, 상기 스팀발생기(172)에서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1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171)은 상기 압압부(20)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040034594A 2004-05-17 2004-05-17 물걸레 청소기 KR20040052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594A KR20040052911A (ko) 2004-05-17 2004-05-17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594A KR20040052911A (ko) 2004-05-17 2004-05-17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911A true KR20040052911A (ko) 2004-06-23

Family

ID=3734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594A KR20040052911A (ko) 2004-05-17 2004-05-17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29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546B2 (en) Bare floor cleaner
KR101655684B1 (ko) 물걸레 및 스팀 겸용 청소기
AU2004202941B2 (en) Complex type cleaner
US20090000051A1 (en) Fabric Pad for a Steam Mop
CN101712035B (zh) 湿法清洗器
KR20040052911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98703Y1 (ko) 스팀 겸용 진공 청소기
KR101120273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60131436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52779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29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52777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30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60095856A (ko) 스팀청소기
KR20060107464A (ko) 스팀청소기
KR200352778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52780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120007481A (ko) 물걸레 청소기
KR101169069B1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KR101337037B1 (ko) 진공 물걸레 청소기
KR101348830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03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04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60095855A (ko) 스팀청소기
KR20060095857A (ko) 진공스팀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