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444A - 리소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소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444A
KR20040027444A KR1020030066850A KR20030066850A KR20040027444A KR 20040027444 A KR20040027444 A KR 20040027444A KR 1020030066850 A KR1020030066850 A KR 1020030066850A KR 20030066850 A KR20030066850 A KR 20030066850A KR 20040027444 A KR20040027444 A KR 2004002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server
resourc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553B1 (ko
Inventor
가와구치유이치
안도사토시
오오모토마사오
시미즈유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리소스의 예약 상황에 대한 정보와, 허브(10, 11)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전자기기는 새롭게 허브의 포트(21)에 접속되면, 리소스 요구와 그룹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관리 서버에 통지한다. 리소스 관리 서버는 통지에 관한 전자기기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전자기기간의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로서 설정하여, 설정된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이 통지에 관한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리소스 관리 시스템{RESOUR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네트워크 전자기기가 상호 접속되어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대역이나 통신 품질 등의 리소스을, 예약·관리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 리소스을, 단지, 「리소스」이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AV 전자기기나 전화, FAX 등의 네트워크 대응 가전 제품이, 접속되는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리소스을 예약·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정보를 패킷이라 불리는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통신이 행해진다. 패킷의 전송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베스트 에포트형(best effort type)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화상이나 음성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서는, 양호하게 통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의 경로 상의 리소스을 확보하여, 통신 품질을 보증해야 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리소스을 예약법으로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있어서,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등의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이 인터넷 표준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RSVP에서는, 멀티미디어 통신의 개시 전에, 멀티미디어 통신에 필요한 리소스을 통신 상대와의 경로 상에 확보한다. RSVP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스트림마다 필요한 리소스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통신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의 예약에 근거한 대역 예약 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IETF에서, DiffServ(Differenciated Services)나 IntServ(Integrated Services) 등이 규정되어 있다.
(1) RSVP에 의한 리소스 예약은 서비스 개시 시에 리소스 예약을 하는 것으로, 서비스를 받는 시점에서, 필요한 리소스을 반드시 확보할 수 있다는 보증은 없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만족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통신 서비스에서는, 불충분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에 설치되는 TV나 VTR 등의, AV 전자기기나 FAX 등의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즉, 이들 전자기기는 항상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회 통념이 있고, 시간대에 따라 사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은 허락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네트워크에서는, RSVP에 의한 리소스 예약은 불충분할 수밖에 없다.
(2) 또한, 리소스을 반드시 확보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고도한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설치, 설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홈 네트워크는 전문 지식을 갖지 않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보다 간단히, 설치·설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설치·설정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한 서비스 제공을 실현할 수 있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우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기기의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약 상황 테이블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족 위치 테이블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의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약 상황 테이블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 표시예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 표시예의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 표시예의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지 대상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 표시예의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 표시예의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정보 단말의 정면도,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정보 단말의 흐름도,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정보 표시예의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기기의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기기의 흐름도,
도 38(a) 내지 도 3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기기의 표시예의 도면,
도 39(a) 내지 도 3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허브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우터5 : 리소스 관리 서버
6 : 기기 성능 테이블7 : 예약 상황 테이블
8 : 부족 위치 테이블9 :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
10 : 제 1 허브12 : 전송로
13 : 제 2 허브15 : 전송로
제 1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은 능력에 따라 그룹 분할되는 전자기기와,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포트를 갖는 복수의 하층 전송 장치와, 이들 하층 전송 장치를 배하(配下)에 갖고, 이들 하층 전송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기기 사이의 정보를 중계하는 상층 전송 장치와, 하층 전송 장치와 상층 전송 장치와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을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 서버를 구비하되, 리소스 관리 서버는리소스의 예약 상황에 대한 정보와, 하층 전송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전자기기는, 새롭게 하층 전송 장치의 포트에 접속되면, 리소스 요구와 그룹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관리 서버에 통지하고, 리소스 관리 서버는, 이 통지를 취득하면, 이 통지에 관한 전자기기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전자기기 사이의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로서 설정하고, 설정된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이 통지에 관한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구성에서, 전자기기를 능력에 의해 그룹 분할함으로써, 예컨대, 전화와 VTR과 같이, 접속하여도 너무 실익이 되지 않는 접속의 조합을 배제하여, 합리적인 리소스 예약을 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서비스 수수(授受)에 리소스을 예약할 수 있어, 간단하고 또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확실히 받을 수 있다.
제 2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는, 설정된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이 통지에 관한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 경우, 리소스의 예약 상황을 갱신하여, 전자기기에 대해 예약을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약 상황을 리소스 요구에 맞춰 갱신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상 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를 간단히 알 수 있다.
제 4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 대응할 수 없는 원인으로 되는 네트워크 구성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 화상 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원인이 되는 위치를 알 수 있어,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 이 요구에 대응 가능한 대체 포트를 검색하여, 이 대체 포트가 존재할 때, 그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 화상 정보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대체 포트를 알 수 있고, 이 대체 포트에 전자기기를 접속하면, 확실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 6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으며, 또한, 이 전자기기의 그룹에 관한 서비스 품질이 복수인 경우에는, 보다 낮은 서비스 품질에 의해 재차 예약을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재차 예약에 성공하면, 서비스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고쳐 접속하지 않아도, 일정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제 7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 현재의 예약 상황을 파기하여, 재차 예약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재차 예약함으로써, 리소스 요구에 대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재차 예약은 리소스 요구가 높은 순서로 행해진다.
이 구성에 의해, 리소스 요구가 높아, 여간해서 할당하기 어려운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재차 예약은 리소스 요구가 낮은 순서로 행해진다.
이 구성에 의해, 리소스 요구가 낮아, 할당된 후에도 리소스이 대폭 줄지 않는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제 10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재차 예약은 사용자 입력으로 지시된 순서로 행해진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의지를 존중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따른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예약되어 있지만 실제로 통신이 행해지지 않은 리소스 요구를 다른 서비스로 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해, 불필요한 예약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소스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상층 전송 장치로서의 라우터(1)에는, 제 1 포트(2), 제 2 포트(3), 제 3 포트(4)의 세 개의 포트가 마련된다.
제 3 포트(4)는 ADSL 모뎀에 접속되고, 제 1 포트(2)는 제 1 하층 전송 장치로서의, 제 1 허브(10)의 제 1 포트(11)에 전송로(12)를 거쳐 접속되고, 제 2 포트(3)는 제 2 하층 전송 장치로서의, 제 2 허브(13)의 제 1 포트(14)에 전송로(15)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허브(10)는 제 1 포트(11) 외에, 제 2 포트(16) 내지 제 5 포트(19)를 갖고, 제 2 포트(16)에는 전자기기 A가 접속되고, 제 3 포트(17)에는 전자기기 B가 접속되며, 제 4 포트(18)에는 전자기기 C가 접속되어 있지만, 제 5 포트(19)는 비어 있다.
또한, 제 2 허브(13)는 제 1 포트(14) 외에, 제 2 포트(20) 내지 제 5 포트(23)를 갖고, 제 2 포트(20)에는 전자기기 D가 접속되어 있지만, 제 3 포트(21) 내지 제 5 포트(23)는 비어 있다. 그리고, 제 3 포트(21)에, 새롭게 전자기기 E가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또, 특히 단락이 없는 한, 각 포트끼리는, 쌍 방향으로 100Mbps의 전송 능력을 갖는 Ethernet(등록 상표)(100base-TX)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말하는 「하층 전송 장치」는 「상층 전송 장치」(본 실시예에서는 라우터(1))에 의해, 통신을 중개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제 1 허브(10)의 제 5 포트(19)에 케스케이드 접속되고, 또한 하층의 허브 등도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라우터(1)의 제 1 포트(2)와, 제 1 허브(10)의 제 1 포트(11)는 전송로(12)에 의해 바로 접속될 필요는 없고, 이 전송로(12) 중에, 중계 장치(예컨대, 별도의 허브 등)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상층 또는 하층이라는 표현은, 상대적인 것으로, 상층 전송 장치는 이것에 대응하는 하층 전송 장치에 대하여, 상층에 위치하면 충분하고, 최상층에 위치해야만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어떻게 접속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등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리소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리소스 예약 상황에 대한 정보와, 각 허브(10, 13)에 접속되는 모든 전자기기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도 3의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 도 5의 예약 상황 테이블(7), 도 6의 부족 위치 테이블(8), 도 7의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9)을 갖고, 이들 테이블(6∼9)을 이용하여, 이 시스템을 관리한다.
또, 도 1의 예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라우터(1)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지만, 이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위치이면,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라우터(1)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우터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우터(1)는 CPU(중앙 처리 장치)(30)와, 이 CPU(30)에, 버스(31)를 거쳐 접속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32), ROM(read-only memory)(33), 외부 기억 장치(하드디스크 등)(34), 통신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를 갖는다.
ROM(33)에는, 도 8 내지 도 10, 도 13, 도 15의 흐름도에 따른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CPU(30)는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리소스을 관리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각 테이블(6∼9)은 RAM(32), 외부 기억 장치(34) 등의 일정한 영역으로서 확보되어 있다.
또, 상층 전송 장치로서의 라우터(1)는 단순한 예이며, 스위치, 게이트웨이 등, 별도의 명칭을 갖는 요소를 상층 전송 장치에 사용하여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5)를, 라우터(1)에 내장했지만,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우터(1)와 리소스 관리 서버(5)간의 통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의 내용(특히, 전자기기 A∼E에 관한 그룹 그 외의 점)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은 전자기기명, 그룹, 기능 네트워크 수신 능력, 수신 서비스 능력, 네트워크 송신 능력, 송신 서비스 능력이라는 필드를 갖는다.
전자기기명의 필드에는 전자기기의 이름이 설정된다. 본 예에서 전자기기 A는 NTSC의 텔레비전이며, 전자기기 B는 하이비전 텔레비전이며, 전자기기 C는 전화기이며, 전자기기 D는 VTR이며, 전자기기 E는 하이비전 VTR이다.
그룹의 필드에는, AV, TEL, 그 밖의 값이 설정된다. 이 그룹의 값이 같은 것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고, 다른 것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기능 필드에는, 영상 표시, 음성, 영상 녹화, 영상 재생 등의 값이 설정된다.
네트워크 수신 능력 또는 동 송신 능력의 필드에는, 통신 속도값 또는 무(無)의 값이 설정된다. 수신 서비스 능력 또는 송신 서비스 능력의 필드에는, 채널수 또는 무의 값이 설정된다.
각 전자기기는 제 1 허브(10) 또는 제 2 허브(13) 중 어느 하나의 빈 포트에 접속되면, 도 4에 나타내는 요령으로, 리소스 관리 서버(5)로 통지를 행한다.
즉, 단계 1에서, 빈 포트에 전자기기의 접속이 완료하면, 단계 2에서, 이 전자기기는 이 포트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리소스 관리 서버(5)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3에서, 이 전자기기는 이 리소스 관리 서버(5)에 자기의 성능을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은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에 새로운 엔트리를 마련하고, 이 엔트리에 통지된 값을 설정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E가 제 3 포트(21)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의 전자기기 E에 대한 엔트리는 없고, 전자기기 E가 접속되어, 리소스 관리 서버(5)가 단계 3의 통지를 받은 후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에 전자기기 E의 엔트리가 추가되는 것으로 된다.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을 참조하여 예약을 취급한다. 도 3의 예에서, 도 4의 단계 3에서의 전자기기 D로부터 전자기기의 성능의 통지가 있었을 때,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다음과 같이, 전자기기 사이의 접속에 대하여,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검토한다.
전자기기 D는 VTR이며 영상을 네트워크 상에 배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전자기기 D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표시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동 AV 그룹에 속하는 전자기기 A 및 전자기기 B이다. 따라서, 전자기기 D와 전자기기 A 사이, 및 전자기기 D와 전자기기 B 사이의 리소스을 예약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또한, 이 검토에 있어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을 참조하고, 전자기기 D의 최대 전송 능력은 10Mbps이며, 또한 동시에 1ch의 영상만 배신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한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예약 상황 테이블(7)의 내용을 설명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에서는, 라우터(1), 제 1 허브(10), 제 2 허브(13)의 총 세 개의 전송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예약 상황 테이블(7)은 라우터(1)에 관한 테이블(도 5(a)), 제 1 허브(10)에 관한 테이블(도 5(b)), 제 2 허브(13)에 관한 테이블(도 5(c))의 세 개의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테이블은 포트마다, 접속처, 예약 가능 대역(입력), 예약 완료 대역(입력), 예약 가능 대역(출력), 예약 완료 대역(출력)이라는 필드를 갖는다.
여기서 말하는 「입력」이란, 해당하는 포트에 데이터가 도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출력」이란, 해당하는 포트로부터 데이터가 송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도 5의 상태에서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허브(13)의 제 3 포트(21)에 대하여, 접속처는 없고, 예약 완료 대역은 입력도, 출력도 모두 「O」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부족 위치 테이블(8)과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족 위치 테이블(8)은 전자기기명, 포트, 부족 대역의 세 개의 필드를 가진다. 도 6은 제 2 허브(13)의 제 1 포트(14)가 5Mbps만큼 대역이 부족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 이 부족 위치 테이블(8)이 비어있을(엔트리가 없음) 때에는, 현재의 모든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여, 비어 있지 않을 때에는, 엔트리에 표시된 위치에서,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9)은 전자기기명, 포트의 두 개의 필드를 갖는다. 도 7은 제 2 허브(13)의 제 1 포트(14)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리소스 관리 서버(5)가 네트워크의 경로를 검색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단계 3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전자기기로부터 통지를 수취하면, 단계 10에서, 이 전자기기의 접속 위치를 특정한다.
이 특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제 1 허브(10), 제 2 허브(13)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SNMP을 이용해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정보를 취득하여, 각각의 허브에 등록된 MAC 어드레스와, 통지를 송신한 전자기기의 MAC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이 비교에 의해, 전자기기의 접속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11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특정한 접속 위치를 예약 상황테이블(7)에 등록한다.
다음에, 단계 12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5)을 검색하여, 통지를 송신한 전자기기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엔트리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있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13에서, 발견한 전자기기와, 통지를 송신한 전자기기 사이의 경로를 특정하여, 단계 14에서, 이 경로를 예약 현황 테이블(7)에 기록한다.
만약 없으면, 단계 15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다른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검색하여, 모든 검색이 종료할 때까지, 단계 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도 9를 이용하여, 리소스 관리 서버(5)가 리소스을 검색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도 9의 단계 20에서, 도 8의 처리로 기록된 네트워크 경로를 판독한다. 또한, 단계 21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경로에 대하여, 현재의 대역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22에서, 통지를 송신한 전자기기에 의해 요구된 대역과, 현재의 대역을 비교하여, 예약 가능한 대역이 요구된 대역 이상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 23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경로에 대하여, 이용 가능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여, 원하는 전자기기에 도달할 때까지(단계 24), 검토할 위치를, 통지를 송신한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포트로부터 목적하는 전자기기를 향해 진행시키면서, 단계 21 내지 단계 24의 처리를 반복하고, 단계 26으로 이행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단계 25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대역이 부족한 위치를 특정하여, 이 정보를 부족 위치 테이블(8)에 설정하여 단계 26으로 이행한다.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26에서, 모든 경로를 체크한 것을 확인하여, 부족 위치 테이블(8)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비어 있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하지만, 비어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28에서, 도 12에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약을 할 수 없었던 취지를 표시할 수 있는 화상을 생성한다.
이 화상은, 네트워크에 있어서, 화상 표시를 행하는 전자기기(전자기기 A, B 등)에 송신되어 표시된다. 또, 표시 수단을 갖지 않는 전자기기에 대해서는, LED의 표시나, 음성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0을 이용하여, 리소스 관리 서버(5)가 리소스을 예약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도 10의 단계 30에서, 도 8의 처리로 기록된 네트워크 경로를 판독한다.
또한, 단계 31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약해야할 전자기기 내의 하나를 선택하여, 이것에 예약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32). 그리고, 예약을 해야할 전자기기 모두에 대해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31 내지 단계 32의 처리를 행하고, 전 경로에 대하여, 단계 30 내지 단계 33의 처리를 반복한다(단계 34).
또, 예약 요구는 RSVP 등에 따라 네트워크의 각 노드(라우터(1)나 각 허브(10, 13) 등)에 통지된다. 각 노드는 통지에 따라 자신의 리소스을 그 서비스를 위해 예약한다.
또, 이상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예약 요구를 발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전자기기가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약이 실행되면, 예약 상황 테이블(7)은 전자기기 E가 접속되기 전에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E가 제 2 허브(13)의 제 3 포트(21)에 접속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예의 리소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자기기 E가, 제 3 포트(21)에 접속되면, 전자기기 E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리소스 관리 서버(5)에 통지한다.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통지를 수취하면, 도 8의 흐름도에 따라 네트워크의 경로를 검색한다.
이 예에서는, 전자기기 E는 AV 그룹에 속하므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에서, 같은 AV 그룹에 속하는 전자기기를 검색하여, 전자기기 A, B, D가 히트한다.
그리고,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다음 세 개의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로서 특정한다.
(경로 1) 전자기기 E의 제 3 포트(21)∼제 2 허브(13)의 제 1 포트(14)∼라우터(1)의 제 2 포트(3)∼라우터(1)의 제 1 포트(2)∼제 1 허브(10)의 제 1 포트(11)∼제 1 허브(10)의 제 2 포트(16)∼전자기기 A
(경로 2) 전자기기 E의 제 3 포트(21)∼제 2 허브(13)의 제 1 포트(14)∼라우터(1)의 제 2 포트(3)∼라우터(1)의 제 1 포트(2)∼제 1 허브(10)의 제 1 포트(11)∼제 1 허브(10)의 제 3 포트(17)∼전자기기 B
(경로 3) 전자기기 E의 제 3 포트(21)∼제 2 허브(13)의 제 2 포트(20)∼전자기기 D
다음에,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도 9에 따라, 경로 1∼3의 각각에 대하여, 전자기기 E가 요구하는 리소스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경로 1에 대해, 전자기기 E가 요구하는 리소스의 최대값이, 경로 1의 모든 위치에서, 리소스의 잔량보다도 작으면, 할당 가능하다 하고, 그렇지 않으면, 할당 불가능이라고 판정한다.
경로 1의 각 위치에 대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전자기기 E와 제 2 허브(14)의 제 3 포트(21) 사이의 위치에서는, 대역 100Mbps가 완전히 사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22Mbps의 할당은 가능하다.
제 2 허브(13)의 제 1 포트(14)와 라우터(1)의 제 2 포트(3) 사이의 위치에서는, 100Mbps의 대역 중, 10Mbps가 이미 할당되어 있지만, 90Mbps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22Mbps의 할당은 가능하다.
라우터(1)의 제 1 포트(2)와 제 1 허브(10)의 제 1 포트(11) 사이의 위치에서는, 100Mbps의 대역 중, 11Mbps가 이미 할당되어 있지만, 89Mbps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22Mbps의 할당은 가능하다.
제 1 허브(10)의 제 2 포트(16)와 전자기기 A 사이의 위치에서는, 100Mbps의 대역 중, 10Mbps가 할당되어 있지만, 90Mbps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22Mbps의 할당은 가능하다. 단, 텔레비전(전자기기 A)은 1ch밖에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기기 A는 전자기기 D 또는 전자기기 E 중 어느 하나인가 밖에 수신할 수 없다.
이상의 검토 결과, 경로 1은 할당 가능이라고 판정된다. 마찬가지로, 경로 2, 경로 3에 대해서도, 판정이 행해진다.
(할당할 수 있는 경우)
판정 결과, 할당 가능으로 되면, 도 10에 따라, 리소스이 예약된다. 전자기기 E가 접속되어, 경로 1이 선택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이 예약되고, 그 후, 예약 상황 테이블(7)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 천이한다.
도 11을 보면, 도 11(c)의 제 3 포트의 접속처가 「무」로부터 「전자기기 E」로 변경되고, 전자기기 E에 관련하는 경로의 값이 변경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할당할 수 없는 경우)
부족 위치 테이블(8)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리소스을 예약할 수 없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GUI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표시 수단을 갖지 않는 전자기기에 대해서는, LED 표시나 음성으로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소스을 할당할 수 없었던 위치를 GUI로 표시한다.
도 13은 이 표시를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40에서, 부족 위치 테이블(8)이 비어 있지 않으면, 단계 41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AM(32)에 확보한 묘화(描畵)용 영역에,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과 예약 상황 테이블(7)을 참조하여, 라우터(1), 각 허브(10, 13)를 묘화한다. 또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접속 관계에 있는 전자기기 사이에 선을 묘화한다.
다음에, 단계 42에서, 부족 위치 테이블(8)에 근거해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족한 위치에 「리소스 부족입니다」라고 하는 문자를 묘화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떤 위치에서, 리소스이 모자라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빈번하게 리소스이 부족한 부분의 대역을 확대하거나, 별도의 경로를 준비하는 등, 네트워크의 합리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리소스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접속 위치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GUI로 표시하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위치로의 올바른 접속을 재촉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5는 이 처리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의 단계 50 및 단계 51의 처리는 도 13의 단계 40 및 4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52에서, 전자기기 성능 테이블(6)에접속된, 라우터 또는 허브의 포트 중, 전자기기가 아직 접속되어 있지 않은 포트를 하나 선택한다. 이 선택에서, 라우터를 우선시켜도 좋고, 허브를 우선시켜도 좋다.
그리고,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53에서, 선택한 포트에 대하여, 도 8, 도 9와 마찬가지로, 리소스을 할당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한다.
할당 가능한 것이 있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57에서, 그 포트를 도 7의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9)에 설정한다. 이 처리는 할당 가능한 포트(대체 포트)를 하나 찾아내면 곧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고, 할당 가능한 포트(대체 포트)를 모두 찾아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 리소스 관리 서버(5)는 고른 포트에 대하여,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음 포트에 대하여 검토를 행한다(단계 55, 56).
그런데, 포트의 검색이 종료하면,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9)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58),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상술한 영역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묘화를 한다. 즉, 이용 가능 위치 테이블(9)에 유지된 전자기기의 포트(대체 포트)로부터 묘화되는 접속선의 위에, 「여기에 연결」이라는 문자를 묘화한다.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검색한 네트워크 상의 접속 위치를, GUI에서 표시함으로써,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접속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에 따라, 접속 위치를 변경하면, 확실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 예약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예약과 마찬가지로 삭제하려는 전자기기의 경로를 검색하고, 그 경로 상에서, 삭제할 전자기기의 리소스을 예약 상황테이블(7)로부터 삭제하도록 하면 좋다.
(재차 예약)
판정의 결과,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수법 1 내지 수법 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재차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수법 1) 이 수법에서는, 하이비전 화질에 의한 영상 배신과, VTR 화질에 의한 영상 배신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기기와 같이, 하나의 전자기기가 복수의 리소스에 의한 서비스 제공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 높은 리소스 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낮은 리소스에 의해, 재차 예약을 행한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 E는, 하이비전 품질의 화상 22Mbps와, VTR 품질의 화상 6Mbps를 송신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우선 높은 리소스이 필요한 하이비전 품질에서의 예약을 시도한다.
여기서, 이 예약에 실패한 경우, 낮은 리소스으로 충분한 VTR 품질로 재차 예약을 시도한다.
(수법 2) 이 수법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모든 전자기기의 예약을 한번에 개방하여, 네트워크 상의 리소스 중 리소스 요구가 높은 전자기기(예컨대, 하이비전 화질의 VTR이나 DVD 플레이어 등은 필요한 대역이 많기 때문에, 요구가 높다고 함)부터, 순차적으로 재차 예약을 행한다.
우선, 전자기기 E의 접속 시에, 리소스의 예약에 실패한 것으로 하면, 이때, 리소스 관리 서버(5)는 한번에 모든 예약을 취소한다.
다음에,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리소스 요구가 높은 것(도 3에 나타내는 전자기기 상황 테이블(6)에서의, 네트워크 송신 능력의 값이 큰 전자기기)부터 우선적으로, 예약을 고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자기기 E, 전자기기 D, 전자기기 C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이용할 수 없게 된 전자기기가 발생하는 경우, GUI를 통해, 그 전자기기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면 좋다.
(수법 3) 이 수법에서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모든 전자기기의 예약을 한번에 개방하여, 네트워크 상의 리소스 중 리소스 요구가 낮은 전자기기부터, 순차적으로 재차 예약을 행한다.
우선, 전자기기 E의 접속 시에, 리소스의 예약에 실패한 것으로 하면, 이 때, 리소스 관리 서버(5)는 한번에 모든 예약을 취소한다.
다음에,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리소스 요구가 낮은 것(도 3에 나타내는, 전자기기 상황 테이블(6)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송신 능력의 값이 작은 전자기기)부터 우선적으로, 예약을 고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자기기 C, 전자기기 D, 전자기기 E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이용할 수 없게 된 전자기기가 발생하는 경우, GUI를 통하여, 그 전자기기의 사용자에 통지하면 좋다.
(수법 4) 이 수법에서는,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우선 순위를 임의로 정해 주고, 그에 따라, 재차 예약한다.
우선, 전자기기 E의 접속 시에, 리소스의 예약에 실패한 것으로 하면, 이 때, 리소스 관리 서버(5)는 한번에 모든 예약을 취소한다.
다음에, 리소스 관리 서버(5)는 GUI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자기기 우선 순위의 입력을 구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있으면, 그에 따라, 우선적으로, 예약을 고친다.
또, (수법 1) 내지 (수법 4)는, 단독으로 실시하여도 좋고, 서로 모순되지 않으면, 조합해서 실시하여도 좋다. 그 위에, 예약되어 있지만 실제로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리소스 요구를, 불필요한 예약을 배제하기 위해, 다른 서비스로 전용하면 좋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전자기기 E의 접속 시에, 전자기기 E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전자기기와의 사이에서, 확실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리소스을 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E의 사용 시에는, 확실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예약할 리소스으로서 대역(帶域)을 이용하고 있지만, 지연 등 다른 파라미터를 이용하여도 물론 괜찮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Ethernet(등록 상표)에 의한 접속으로 설명했지만, IEEE 802.11 등의 무선 LAN 등, 다른 접속 형태에서도 유효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서, 도 12, 도 14 및 도 16에 있어서, 세 개의 화상 정보 표시예를 나타내었다. 이들 표시예나 그에 관한 처리 알고리즘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더 확장할 수 있다.
(1)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요구된 전자기기의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안에, 접속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 중에 있는 취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단지,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와 같이 표시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의 상태를 알 수 있다.
(2)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포트에 접속하기 전에, 각 포트에 대하여, 현재 어느 만큼 대역이 비어 있는 가를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접속 전에, 원하는 포트에 어떠한 전자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전자기기를 구입하는 것과 같은 경우, 이 정보를 참고로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 도 18에서는, 모든 비어 있는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역이 비어 있음을 표시하고 있지만, 포트마다 대역이 비어 있음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3) 리소스 관리 서버(5)가 도 9의 처리를 모든 빈 포트에 대해 실행하면, 도 19와 같은 표시를 할 수도 있다. 즉, 이 처리의 결과, 복수의 포트에 전자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판명한 경우,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가능한 포트후보를 모두 표시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설치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도 19에서는, 접속 가능한 모든 포트 후보를, 동시에 표시하고 있지만, 이 포트 후보를 하나씩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서, 해당하는 포트가 접속 가능하다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예컨대, 「OK」표를 붙이는 등, 다른 표시 형태로 하여도 좋다. 또는, 접속할 수 없는 포트에만 부정적인 표시, 예컨대 「×」표 등을 하여도 좋다.
(4) 도 12 등에서는,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타이밍에, 해당하는 포트를 이용하면 리소스 부족으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취지를 표시하도록 했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가, 예컨대, 재생 동작 등 실제로 리소스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에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취지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와 그 원인으로 되어있는 개소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편리하다.
(5)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지 리소스 부족으로 예약을 할 수 없으면 사용자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서 그 사용을 그만두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실행하면 좋다. 우선,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컨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갖는 정지 대상 테이블을 RAM(32)에 확보한다.
다음에,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도 23에 예시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정지 대상으로 되는 전자기기를 검색한다. 우선, 단계 60에서, 부족 위치 테이블(8)에 기록된 전자기기에 관한, 예약 상황의 정보를, 예약 상황 테이블(7)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61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약 상황 테이블(7)에 예약 완료 대역이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62로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62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해당하는 포트에 대하여 예약 완료 대역을 취득하고, 단계 63에서, 부족 대역이 해당하는 포트의 예약 완료 대역보다 작은 지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63에서, 작지 않은 것으로 될 때는, 단계 64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부족 대역을 RAM(32)에 확보한 정지 대상 테이블에 기록하고, 단계 65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부족 대역이 정지 대상 테이블의 대역의 합계보다 작은지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65에서, 작지 않은 것으로 될 때는, 단계 66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약 완료 대역이 있는 다른 포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처리를 종료하고, 존재하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62로 처리를 되돌린다.
단계 63에서, 작은 것으로 될 때는, 단계 67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정지 대상 테이블을 클리어하고, 단계 68에서, 정지 대상 테이블에 해당하는 포트를 기록하여, 단계 69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65에서, 작은 것으로 될 때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69로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69 및 단계 70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정지 대상 테이블에 기록된모든 포트에 대하여, 「이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용할 수 있다」는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이상에 의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지 리소스 부족으로 예약을 할 수 없으면, 사용자에게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서, 그 사용을 그만두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부 전자기기의 사용을 그만두면, 새로운 전자기기를 확실히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는, 리소스 관리 서버(5)에 의한 상기 처리의 결과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하여도 좋다. 즉, 단계 69로부터 단계 70에서, 「이 전자기기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으면 좋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 전자기기를 제거하면 좋다」는 취지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부 전자기기를 포트로부터 제거하면, 새로운 전자기기를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 도 24에서는, 접속을 해제해야 할 전자기기를 하나만 표시하고 있지만, 접속을 해제해야 할 전자기기 복수를 한 번에 표시하여도 좋다.
(6)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지 리소스 부족으로 예약을 할 수 없으면 사용자에게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에서, 그 포트를 다른 포트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26에 예시하는 처리를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실행하면 좋다. 단계 80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임시 이동하는 전자기기를 하나 선택하지만,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81에서, 임시 이동하는 전자기기가 전혀 없든지 남아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처리를 단계 82로 이행한다.
단계 82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약 상황 테이블(7)의 내용을 RAM(32)에 복사하고, 단계 83에서, RAM(32)에서, 임시 이동하는 전자기기의 예약을 삭제한다.
단계 84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비어 있는 포트 중에서 임시 이동 전의 포트를 하나 선택한다.
단계 85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비어 있는 포트가 하나도 없든지, 모든 비고 있는 포트에 대한 검토가 완료되어 있을 때에는, 처리를 단계 80으로 되돌려, 다음 임시 이동할 기기를 선택한다. 그렇지 않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처리를 단계 86으로 이행한다.
단계 86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도 8과 마찬가지로 경로를 취득하고, 단계 87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이용 가능 플래그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88에서, 부족 위치 테이블(8)이 비어 있으면, 단계 89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도 25에 나타내는 묘화를 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처리를 단계 80으로 되돌린다.
이상에 의해,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지 리소스 부족으로 예약을 할 수 없으면, 사용자에게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서, 그 포트를 별도의 포트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시대로 특정한 전자기기를 이동하기만 하면, 희망하는 전자기기를 희망하는 포트에 접속하여,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7) 이상에서는, 네트워크 경로를 트리 구조로 표시했지만, 전자기기가 설치되는 건물(예컨대, 가옥이나 오피스 빌딩 등)의 방 배치도가, 기지(旣知)일 때에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의 배치에 따라, 전자기기나 포트 등을 표시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희망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이용 가능한 포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또한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편리하다.
(8)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허브 또는 스위치 등을 구입하면, 전자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를 위한 알고리즘은 상술한 각종 알고리즘을 적절히 조합하면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지시대로 새로운 허브 등을 구입하여 접속하면, 희망하는 전자기기를 확실히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9) 이상에서는, 주로, 사용자 자신이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사용자가 서비스 직원을 부르고, 전자기기의 접속을 의뢰하는 것도생각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좋다.
도 29는 서비스 직원용 휴대 정보 단말(예컨대, PDA, 휴대전화, 노트북 등)을 나타낸다. 이 단말은 본체(40)와 본체(40)에 마련되는 다음 요소를 구비한다.
표시부(41)는 터치 패널, 태블릿 또는 표시 패널(LCD 등)이며, 리소스의 사용상황 등을 표시한다. 포트(42)에는, 네트워크 케이블(43)을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네트워크 케이블(43)의 선단에는, 포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4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40)에는, 기기 설정 버튼(45), 접속 관계 표시 버튼(46), 예약 상황 표시 버튼(47)이 마련된다. 또, 이들 버튼(45∼47)은 표시부(41)가 터치 패널 또는 태블릿 등으로 구성될 때에는, 표시부(41)에 소프트웨어 키로서 마련하여도 좋다.
기기 설정 버튼(45)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리소스 요구나 그룹에 관한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은 표시부(41) 등에 의해 직접 입력하여도 좋고,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네트워크 경유로 취득하여도 좋다. 또는, 이 정보는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메이커의 web 서버 등에, 전자기기의 형식 번호 등을 입력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기기 설정 버튼(45)을 누르면, 도 30에 나타내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단계 111 내지 단계 117에서, 기기명, 그룹명, 기능, 네트워크 수신 능력, 수신 서비스 능력, 네트워크 송신 능력, 송신 서비스 능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 입력 순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결국, 도 3에 나타낸 기기 성능 테이블(6)의 내용을 특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 입력은 실제 전자기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구입 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의 설치 장소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29에서, 접속 관계 표시 버튼(46)은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접속 관계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44)를 적당한, 빈 포트에 삽입한 후에, 접속 관계 표시 버튼(46)이 눌려지면, 도 31에 나타내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01에서, 휴대 정보 단말은 케이블(43)을 거쳐, 리소스 관리 서버(5)에 접속한다.
다음에, 단계 102에서, 휴대 정보 단말은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접속 관계 정보를 취득하고, 단계 103에서, 취득한 내용을 그대로 표시부(41)에 표시한다.
도 29에 있어서, 예약 상황 표시 버튼(47)은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예약 상황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44)를 적당한 빈 포트에 삽입한 후에, 예약 상황 표시 버튼(47)이 눌려지면, 도 32에 나타내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91에서, 휴대 정보 단말은 케이블(43)을 거쳐, 리소스 관리 서버(5)에 접속된다.
다음에, 단계 92에서, 휴대 정보 단말은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예약 상황 테이블(7)의 내용을 취득하고, 단계 93에서, 취득한 내용을 그대로 표시부(4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휴대 정보 단말이 있으면, 예약의 상황이나 접속관계를 확인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편리하다.
(10)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전자기기(여기서는, 하이비전 VTR)를 이미 다른 전자기기(여기서는, 전화)가 접속되어 있는 포트에, 어떻게 해서라도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방의 레이아웃 상, 그 장소가 아니면 안 되는 경우 등이다.
여기서, 접속하고 싶은 포트의 지시는, 예컨대, 전자기기에 부속하는 리모컨이나 도 29에 나타낸 휴대 정보 단말 등으로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경우, 도 35에 예시하는 처리를 행하면,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전자기기의 이동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35의 단계 120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전자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포트의 위치를 입력한다.
단계 121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예약 상황 테이블(7)을 검색하여, 해당하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122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전자기기의 접속처가 「무」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122에서, 「무」가 아니면, 단계 123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테이블(6∼8)을 RAM(32)에 복사하고, 단계 124에서 해당하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예약 정보를 RAM(32)에 복사하고, 단계 125에서, 이 예약 정보를 RAM(32)에 복사한 예약 상황 테이블(7)로부터 삭제한다.
단계 126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10 내지 단계 15 및 단계 20 내지 단계 28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해당하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대해, 이동처의 포트를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127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동처의 포트에 대해, 해당하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접속할 수 없으면, 단계 132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접속할 수 없다는 취지를 표시한다.
접속할 수 있으면, 단계 128 내지 단계 131에서,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124에서 예약 정보를 복사한 전자기기의 이동처의 포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런데, 단계 122에서, 해당하는 포트의 접속처가 「무」이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단계 133 내지 단계 136의 처리를 행한다.
어떻게 하여도, 해당하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하나라도 이동처의 포트로서, 이 전자기기를 접속하여도 지장 없는 것이 발견되면,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접속할 수 있다는 취지를 표시하고(단계 137), 그렇지 않을 때에는, 접속할 수 없다는 취지를 표시한다(단계 132, 138).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새로운 전자기기를 희망하는 포트에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희망하는 포트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이동해야 할 곳의 포트를 알 수 있어 편리하다.
또, 도 34에서는, 이미 희망하는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이동처의 포트를 하나만 표시하고 있지만, 이동처의 포트가 복수일 때에는, 동시에 몇 개의후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11) 도 36은 전자기기의 예인 DVD 플레이어의 프론트 마스크를 나타낸다. 이 플레이어는 본체 케이스(50)와, 디스크 트레이(51)와, 조작 버튼(52)과, 표시부(53)와, 통신부(54)와, 포트(55)를 구비한다.
포트(55)에는, 네트워크 케이블(56)이 접속되고, 그 선단에는, 허브의 포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57)가 장착되어 있다.
통신부(54)는 네트워크 케이블(5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경로를 거쳐 리소스 관리 서버(5)와 통신한다.
표시부(53)는 LCD나 형광 표시관 등으로 이루어지고, 통상 표시에서는, 디스크 트레이(51)에 설정된 DVD의 트랙, 타이틀, 재생 시간, 현재 일자, 현재 시각 등을 표시한다.
그러나, 표시부(53)는 이 통상 표시에 앞서, 단자(57)를 허브의 포트에 접속하고 나서 잠시 접속 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부(54)는, 네트워크 경로에 접속되면 리소스 요구와 그룹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관리 서버(5)에 통지하고,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접속 정보를 취득하여, 접속 정보를 표시부(53)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 접속 정보는 표시부(53)에 관계없이, 음성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접속 정보의 표시 후, 표시부(53)는 통상 표시 상태로 천이한다. 접속 정보의 표시는, 예컨대, 도 38(a) 내지 도 3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한다.
다음에, 도 37에 의해, DVD 플레이어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단계141에서, 단자(57)가 허브의 포트에 접속되면, 통신부(54)는 리소스 관리 서버(5)에, 리소스 요구와 그룹의 정보를 통지하려고 시도한다.
단계 142에서, 이 통지가 성공했다면, 통신부(54)는 리소스 관리 서버(5)로부터 접속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접속 정보는 표시부(53)로 출력되어 표시된다.
이 접속 정보는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생성하는 것이다. 전자기기가 문자 ROM 등, 캐릭터 코드로부터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질 때에는, 텍스트 형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리소스 관리 서버(5)가 표시부(53)에 맞춘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화상 정보를 통신부(54)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위에, 전자기기가 복수의 메시지 각각을 단일 메시지 인덱스(예컨대, ID 등)와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이 메시지 인덱스만을 통신부(54)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통상 표시가 아닌, 접속 정보의 표시는 일정 시간만 행해지고(단계 144), 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표시부(53)는 통상 표시를 행하는 모드로 천이하고(단계 145), 이하는 보통의 전자기기의 동작과 변함없다(단계 146, 147).
(12) 또한, 허브에 대해서도, 도 3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궁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9(a)는 포트에 어떤 전자기기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3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한 전자기기를 접속해서 양호한 포트에 대하여, 해당하는 LED를 점등시키거나, 도 3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특정한 전자기기를 접속해서 양호한 포트에 대해, 해당하는 LED를 점멸시키거나 하면 좋다.
또는, 도 3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한 전자기기를 어떤 포트에 접속했을 때,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을 때에는, 부정적인 음(예컨대, 「부」와 같은 소리)을 울리면 좋다. 반대로,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때에는, 긍정적인 음(예컨대, 「핑퐁」과 같은 소리)을 울리면 좋다.
이상의 표시나 발음은 허브에 LED 등의 발광 소자나 스피커 등을 마련하여, 리소스 관리 서버(5)가 해당하는 허브에 통지를 발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13) 또한,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전에, 접속 위치를 제안하는 「위임」 모드를 추가할 수 있다. 「위임」 모드에서는, 전자기기 또는 도 29에 나타낸 휴대 정보 단말로부터 리소스 관리 서버(5)로의 통지 후에,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예약 상황 테이블(7)을 참조하고,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포트에 대하여, 단계 10 내지 단계 15 및 단계 20 내지 단계 28의 처리를 행하여, 접속 가능한 포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포트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예약 상황 테이블(7)의 선두 엔트리로부터 검색하여도 좋고, 말미의 엔트리로부터 검색하여도 좋다. 리소스 관리 서버(5)는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포트를 발견할 수 없을 때에는, 접속할 수 없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발견할 수 있으면, 발견한 포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면 좋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관리 서버(5)가 이미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전자기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리소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1)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서비스 수수에 필요한 네트워크의 예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고 또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확실히 받을 수 있다.
(2) 또한, 전자기기를 접속한 시점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것을 안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접속 위치를 제시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고도한 지식이 불필요하게 되어, 간단·확실하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1)

  1. 능력에 따라 그룹 분할되는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가 접속되는 포트를 가진 복수의 하층 전송 장치와,
    이들 하층 전송 장치를 배하(配下)에 갖고, 이들 하층 전송 장치에 접속되는 전자기기 사이의 정보를 중계하는 상층 전송 장치와,
    상기 하층 전송 장치와 상기 상층 전송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을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리소스의 예약 상황에 대한 정보와, 상기 하층 전송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고,
    상기 전자기기는,
    새롭게 상기 하층 전송 장치의 포트에 접속되면, 리소스 요구와 그룹에 관한 정보를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이 통지를 취득하면,
    이 통지에 관한 전자기기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전자기기 사이의 경로를, 네트워크 경로로서 설정하며,
    설정된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이 통지에 관한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 지 여부를 판정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설정된 네트워크 경로 상에서, 이 통지에 관한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 경우, 리소스의 예약 상황을 갱신하여, 전자기기에 대한 예약을 행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 대응할 수 없는 원인으로 되는 네트워크 구성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이 요구에 대응 가능한 대체 포트를 검색하고, 이 대체 포트가 존재할 때, 그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 불가능하며, 또한, 이 전자기기의 그룹에 관한 서비스 품질이 복수인 경우에는, 보다 낮은 서비스 품질에 의해 재차 예약을 행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서버는, 전자기기의 리소스 요구에 대응 불가능인 경우, 현재의 예약 상황을 파기하고, 재차 예약을 행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재차 예약은, 리소스 요구가 높은 순서로 행해지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재차 예약은, 리소스 요구가 낮은 순서로 행해지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재차 예약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된 순서로 행해지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예약되어 있지만 실제로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리소스 요구를, 다른 서비스로 전용(轉用)하는 리소스 관리 시스템.
KR1020030066850A 2002-09-27 2003-09-26 리소스 관리 시스템 KR100955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3682 2002-09-27
JP2002283682 2002-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444A true KR20040027444A (ko) 2004-04-01
KR100955553B1 KR100955553B1 (ko) 2010-04-30

Family

ID=3197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50A KR100955553B1 (ko) 2002-09-27 2003-09-26 리소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87472B2 (ko)
EP (1) EP1404059B1 (ko)
KR (1) KR100955553B1 (ko)
CN (1) CN1323519C (ko)
DE (1) DE60301182T2 (ko)
TW (1) TWI31883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64B1 (ko) * 2004-12-10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25349B1 (ko) * 2005-07-15 2008-04-2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되는 관리 서버, 단말유닛, 및 네트워크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8892A1 (en) 2004-03-13 2005-09-29 Cluster Resour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elf-optimizing reservation in time of compute resources
US8782654B2 (en) 2004-03-13 2014-07-15 Adaptive Computing Enterprises, Inc. Co-allocating a reservation spanning different compute resources types
EP1725947A4 (en) 2004-03-13 2008-08-06 Cluster Resour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RESERVATIONS IN A CALCULATION ENVIRONMENT
US9778959B2 (en) 2004-03-13 2017-10-03 Iii Holdings 12, Llc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a pre-reservation analysis to yield an improved fit of workload with the compute environment
CA2831359A1 (en) 2004-03-13 2005-09-29 Adaptive Computing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allocating a reservation spanning different compute resources types
US20050259683A1 (en) * 2004-04-15 2005-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service capacity
EP1745378B1 (en) * 2004-04-23 2009-04-08 Panasonic Corporation Network resource management device
US20070266388A1 (en) 2004-06-18 2007-11-15 Cluster Resour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anced reservations in a compute environment
US8176490B1 (en) 2004-08-20 2012-05-08 Adaptive Computing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interfacing a workload manager and scheduler with an identity manager
US7626510B2 (en) * 2004-09-07 2009-12-01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light based configuration guide for electronic ports
CA2827035A1 (en) 2004-11-08 2006-05-18 Adaptive Computing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ystem jobs within a compute environment
US8863143B2 (en) 2006-03-16 2014-10-14 Adaptive Computing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hybrid compute environment
US9231886B2 (en) 2005-03-16 2016-01-05 Adaptive Computing Enterprises, Inc. Simple integration of an on-demand compute environment
CA2603577A1 (en) 2005-04-07 2006-10-12 Cluster Resources, Inc. On-demand access to compute resources
US7847174B2 (en) * 2005-10-19 2010-12-07 Yamaha Corporation Tone generation system controlling the music system
US8116317B2 (en) * 2006-01-31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ng quality of service policy abuse in a network
JP2007286908A (ja) * 2006-04-17 2007-11-01 Canon Inc 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8050259B2 (en) * 2006-06-23 2011-11-0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of precedence identification for real time services
US8374621B2 (en) * 2006-09-29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likelihood of deadlo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41773B2 (en) 2007-09-24 2011-10-18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utomatic clustering for self-organizing grids
US10877695B2 (en) 2009-10-30 2020-12-29 Iii Holdings 2, Llc Memcached server functionality in a cluster of data processing nodes
US11720290B2 (en) 2009-10-30 2023-08-08 Iii Holdings 2, Llc Memcached server functionality in a cluster of data processing nodes
US8605132B1 (en) * 2010-03-26 2013-12-10 Insors Integrated Communications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resource distribution among a plurality of server applications
KR101837085B1 (ko) * 2010-08-20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인터페이스에 기초해 성립된 네트워크에서 경로 대역폭을 확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696B1 (en) * 1996-10-15 2003-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JPH10308776A (ja) 1997-05-08 1998-11-17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予約方式
CA2236285C (en) 1997-05-08 2003-09-16 Hitachi Ltd. Network and switching node in which resource can be reserved
US6748428B1 (en) * 1998-12-08 2004-06-08 Sony Corporation Devic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 manager device, a program supply medium for supplying a device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an controller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JP3757669B2 (ja) 1999-03-19 2006-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システムの設定方法
US6363434B1 (en) * 1999-03-30 2002-03-26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within a network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6876668B1 (en) * 1999-05-24 2005-04-05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US6826612B1 (en) * 1999-12-21 2004-11-30 Alcatel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US6502101B1 (en) * 2000-07-13 2002-12-31 Microsoft Corporation Converting a hierarchical data structure into a flat data structure
JP2002051076A (ja) 2000-08-07 2002-02-15 Fujitsu Ltd 管理サーバ
US20030005130A1 (en) * 2001-06-29 2003-01-02 Cheng Doreen Yining Audio-video management in UPnP
US7072958B2 (en) * 2001-07-30 2006-07-04 Intel Corporation Identifying network management policies
US7120147B2 (en) * 2002-01-28 2006-10-10 Motorola, Inc. Reservation proxy function supporting filtering of multicast traffic in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64B1 (ko) * 2004-12-10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25349B1 (ko) * 2005-07-15 2008-04-2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교환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되는 관리 서버, 단말유닛, 및 네트워크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7472B2 (en) 2009-09-08
EP1404059B1 (en) 2005-08-03
DE60301182T2 (de) 2006-06-01
EP1404059A1 (en) 2004-03-31
CN1323519C (zh) 2007-06-27
KR100955553B1 (ko) 2010-04-30
CN1497898A (zh) 2004-05-19
DE60301182D1 (de) 2005-09-08
US20040122970A1 (en) 2004-06-24
TW200405698A (en) 2004-04-01
TWI318831B (en) 200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53B1 (ko) 리소스 관리 시스템
JP3964872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のためのデータ構造、方法及びシステム
EP2237498A1 (en) A method, system, gateway device and authentication server for allocating multiservice resources
EP2675132B1 (en) System for dynamic stream management in audio video bridged networks
US7773615B2 (en) Connection state control device, connection state control method, and connection state controlling program
CN101160805B (zh) 保障多业务服务质量的资源管理设备、接入系统及方法
US20080123690A1 (en) Broadband Acces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Guaranteeing QoS of Services
JP2007274577A (ja) 中継装置、中継方法、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681659B2 (en) Ethernet equipment utilizing catalogs and continuity checks to enhance UPnP and AVB applications
US8233390B2 (en) Priority and source aware packet memory reservation and flow control in forwarding planes
US7327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reservation of network resources, and terminal therefore
CN102404226A (zh) Linux系统下基于802.1p的数据帧绝对优先级调度方法
JP2005526452A (ja) 品質駆動するストリーミング方法及び装置
CN100450093C (zh) 一种为虚拟专用网用户提供QoS服务的方法
JP2004140814A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
US20050055466A1 (en) Automatic network provisioning system
JP2006115362A (ja) パケット中継装置
US20090323548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qos level
KR101698286B1 (ko)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라우팅
JP5095648B2 (ja) 帯域管理装置、帯域設定要求装置、帯域管理装置の制御方法、帯域設定要求装置の制御方法、帯域管理システム、帯域管理プログラム、帯域設定要求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504788A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データを通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4260613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
US8830893B2 (en) Management of network layer packets in an access network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1901252A (zh) 一种网络管理消息的传输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