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846A -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846A
KR20040026846A KR1020020058454A KR20020058454A KR20040026846A KR 20040026846 A KR20040026846 A KR 20040026846A KR 1020020058454 A KR1020020058454 A KR 1020020058454A KR 20020058454 A KR20020058454 A KR 20020058454A KR 20040026846 A KR20040026846 A KR 20040026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lash
mobile terminal
intensit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267B1 (ko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광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광도 값을 입력받아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광도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플래시를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광도를 제공하는 플레시를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N A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단말기는 개개인들의 취향에 맞게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전화기는 단순한 음성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던 형태에서 음성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로 그 서비스 형태가 발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동영상, 동화상 통화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카메라가 내장 또는 외장되어 있는 형태의 단말기가 필요하다. 카메라의 기능이 있는 단말기는 스틸 사진 저장과 동화상 통화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로 카메라 촬영을 하는 경우, 일정 밝기 이상의 빛이 없으면 원하는 화질의 카메라 촬영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정 밝기가 제공되지 못하는 환경에서는 스틸 사진 촬영이나, 동화상 촬영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플래시를 장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 촬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광도 값을 입력받아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광도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플래시를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광도를 제공하는 플레시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방법에 있어서, 촬영을 위한 화면을 포착하는 과정과, 상기 포착된 화면이 소정 밝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포착된 화면이 소정 밝기 이하이면, 플레시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카메라 촬영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촬영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 카메라의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플래시를 장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광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광도 세기를 입력받아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광도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플래시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광도를 제공하는 플레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카메라 촬영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도 1은 참조하면, 제어부 100은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 촬영 장치를 제어한다. 표시부 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테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 130은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롬(ROM)과 램(RA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센서부 140은 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0으로 제공한다. 카메라 150은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촬영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210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150은 촬영을 위한 화면을 포착(Capture)한다. 220단계에서 상기 센서부140은 상기 포착된 화면의 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값을 전송 받은 제어부 100은 230단계에서 상기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24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플래시110을 온(ON)시킨후 250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250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150내의 자동 이득 조절(Auto Gain Control : AGC)을 최적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값으로 카메라가 플레시 없이 촬영 가능한 최소 값을 기본 값으로 한다.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 100은 250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150내의 자동 이득 조절(Auto Gain Control : AGC)을 최적화시킨다.
상기 자동 이득 조절이 최적화되면, 260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150은 촬영을 시작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광다이오드 410은 반도체 다이오드 접합부위에 빛을 쪼일 수 있도록 투명한 창문을 만들어 놓은 2단자 반도체 소자이다. 상기 광다이오드 410에 빛을 쪼이면, 전도 전자의 수가 증가하여, 다이오드에 미약한 전류가 흐른다. 상기 미약한 전류를 광전류라고 하며, 광전류의 크기는 발생한 전도 전자의 수 즉, 빛의 세기에 비례한다. 연산 증폭기 430은 상기 광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상기 광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압으로 변환시 증폭율은 가변저항 420으로 조절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다이오드에 미리 전위차를 가하여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면, 빛을 쪼임에 따라서 전류가 증가하고 이러한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빛의 세기를 검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 촬영을 자유롭게 할 수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의 카메라 촬영 장치에 있어서
    광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광도 세기를 입력받아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광도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플래시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광도를 제공하는 플레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빛의 세기에 따라 전도 전자의 수가 증가하고, 상기 전도 전자의 수에 비례하여 광전류가 흐르는 광다이오드와,
    연산 증폭기의 증폭도를 조절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광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방법에 있어서,
    촬영을 위한 화면을 포착하는 과정과,
    상기 포착된 화면이 소정 밝기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포착된 화면이 소정 밝기 이하이면, 플레시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메라 촬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시가 동작되면, 상기 포착된 화면을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메라 촬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플레시가 동작되면, 카메라의 자동 이득 제어를 최적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카메라 촬영 방법.
KR10-2002-0058454A 2002-09-26 2002-09-2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KR10050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454A KR100506267B1 (ko) 2002-09-26 2002-09-2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454A KR100506267B1 (ko) 2002-09-26 2002-09-2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846A true KR20040026846A (ko) 2004-04-01
KR100506267B1 KR100506267B1 (ko) 2005-08-10

Family

ID=3732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454A KR100506267B1 (ko) 2002-09-26 2002-09-2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69B1 (ko) * 2003-04-22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밝기 조정가능 발광 회로
KR100889107B1 (ko) 2007-04-06 2009-03-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카메라활성화 상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9891A (ja) * 1986-02-14 1987-08-19 Fuji Photo Film Co Ltd オ−ト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KR100215309B1 (ko) * 1997-05-19 1999-08-16 유무성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100643447B1 (ko) * 1999-12-07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휴대 단말기
JP2002027495A (ja) * 2000-07-03 2002-01-25 Sony Corp 3次元画像生成システム、3次元画像生成方法及び3次元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KR20040026297A (ko) * 2002-09-24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69B1 (ko) * 2003-04-22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밝기 조정가능 발광 회로
KR100889107B1 (ko) 2007-04-06 2009-03-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카메라활성화 상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267B1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708B1 (ko) 카메라 제어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카메라 제어 방법
KR101361857B1 (ko) 휴대단말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US7164446B2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184047B (zh) 一种手机闪光拍照智能ae算法
US725097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improved auto focusing and method of autofocusing
WO2018121185A1 (zh) 红外灯功率的调整方法及摄像设备
JP2006033749A (ja) 撮像装置
WO2017071558A1 (zh) 移动终端拍摄装置和方法
US75767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backlight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JP4834465B2 (ja) 撮像装置
CN107820025B (zh) 进行拍照处理的方法和装置
EP2538662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automatic-exposure at camera device
KR100663455B1 (ko) 주변 조도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06267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US201702305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tage scene detection
KR101971535B1 (ko) 이미지 촬영 장치에서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600991B1 (ko) 플래시 자동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602722B1 (ko) 플래시 광량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CN113280913B (zh) 频闪频率信息的检测和频闪抑制方法及装置
KR100566977B1 (ko) 아날로그 이득을 이용한 카메라의 오토 플래쉬 장치 및 방법
KR20060014843A (ko) 플래쉬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163832A (ja) 撮像装置
JPH07298131A (ja) 撮像装置
JP2005184470A (ja) カメラ付き携帯型電話機
CN116499585A (zh) 亮度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