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785A - 자전거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785A
KR20040026785A KR1020020058350A KR20020058350A KR20040026785A KR 20040026785 A KR20040026785 A KR 20040026785A KR 1020020058350 A KR1020020058350 A KR 1020020058350A KR 20020058350 A KR20020058350 A KR 20020058350A KR 20040026785 A KR20040026785 A KR 2004002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crank
gear
bevel
i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지현
Original Assignee
마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지현 filed Critical 마지현
Priority to KR102002005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785A/ko
Publication of KR2004002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bevel g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1/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means of cranks, eccentrics, or like members fixed to one rotary member and guided along tracks on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1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rear-wheel-drive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베벨기어가 동심으로 결합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와 치합하여 구동축(60)을 회전시키는 아이들러(20);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베벨기어를 복귀시키는 가압부재(30); 후륜(110)의 중심부에 결합된 허브(101)의 일측에 부착되어 허브(101)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50); 및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베벨기어를 아이들러(20)와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변환레버(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동력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력의 손실을 방지하여 자전거의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고,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구동장치{A driving gear for a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지름을 갖는 베벨기어를 동심원의 형상으로 배열하여 크랭크 기어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구동력을 구동축에 의해 후륜으로 전달함으로써 동력전달 과정에서 인력의 손실을 방지하여 자전거의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자전거의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자전거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 또는 운송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자전거는 패달을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크랭크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한 크랭크 기어의 회전력을 체인을 통해 후륜으로 전달함으로써 진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크랭크 기어는 각기 다른 잇수를 갖는 다수의 스프라켓을 복합시킴에 따라 경사도를 포함한 노면의 상태 등에 의해 크랭크 기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체인(210)에 의해 크랭크 기어(220)의 구동력을 후방으로 전달함으로써 후륜(230)을 구동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와 같은 체인구동방식의 자전거(300)는, 프레임(250)의 전후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륜(240)과 후륜(230) 사이의 공간에 각기 다른 잇수의 기어가 적층된 크랭크 기어(220)가 구비되며, 상기한 크랭크 기어(220)의 중심부 양측에는 선단에 패달(211)이 부착된 크랭크(212)가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함께 최근의 자전거에서는 체인(210)이 연결되는 후륜(230)의종동기어(221)를 각기 다른 잇수를 갖는 스프라켓을 중첩시킴으로써 선택가능한 기어비를 증대시켜 변속범위를 넓히도록 한다.
한편, 크랭크 기어(220) 및 후륜(230)의 종동기어(221)에 연결된 체인(210)은 크랭크 기어(220) 및 종동기어(221)간의 간격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장거리의 동력전달이 가능한 반면, 동력전달과정에서 체인(210)의 특성상 하부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효율이 저하되는 한편, 이에 따라 인력소모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크랭크 기어(220) 및 종동기어(221)로부터 체인(210)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동시에 수명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구동력을 구동축에 의해 후륜으로 전달함으로써 동력전달 효율을 높여 자전거의 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장을 방지하는 한편,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크랭크 축의 외주면으로 동심으로 배열된 다수의 베벨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킨 크랭크 기어 조립체;
상기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베벨기어와 각각 치합하는 베벨기어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베벨기어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에 따라 일체로회전하는 아이들러;
상기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제 1베벨기어, 제 2베벨기어, 제 3베벨기어, 제 4베벨기어 및 제 5베벨기어와 각각 밀착되어 축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 1베벨기어, 제 2베벨기어, 제 3베벨기어, 제 4베벨기어 및 제 5베벨기어를 가압시키는 판스프링을 원호형상으로 각각 배열한 가압부재;
상기 크랭크 기어 조립체 및 아이들러와 가압부재의 외부에 결합되어 크랭크 축 및 아이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후륜의 중심부에 결합된 허브의 일측에 부착되어 허브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
상기 아이들러 및 종동 베벨기어 사이에 결합되어 선단 양측에 형성한 베벨기어에 의해 아이들러를 통해 전달된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구동력을 종동 베벨기어로 전달하는 구동축; 및
하우징에 의해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각 베벨기어의 후방 양측을 가압시키는 가압볼을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나선형으로 각각 삽입시킨 변환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구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구동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전거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베벨기어 2 : 제 2베벨기어
3 : 제 3베벨기어 4 : 제 4베벨기어
5 : 제 5베벨기어 10 : 크랭크 기어 조립체
11,12,13,14,15 : 베벨기어 20 : 아이들러
21 : 판스프링 30 : 가압부재
40 : 하우징 50 : 종동 베벨기어
60 : 구동축 61,62,63,64,65 : 가압볼
70 : 변환레버 90 : 크랭크 축
110 : 후륜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자전거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구동장치(100)는, 각기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베벨기어가 동심원의 형상으로 배열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와 치합되어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와 함께 회전하는 아이들러(20),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각 베벨기어를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부재(30),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및 아이들러(20)와 가압부재(30)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40)과, 후륜의 허브에 부착된 종동 베벨기어(50),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및 종동 베벨기어(50)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축(60)과 변환레버(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는, 크랭크 축(9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1베벨기어(1)의 외주면에 제 2베벨기어(2)가 결합되고, 상기한 제 2베벨기어(2)의 외주면으로는 제 3베벨기어(3)가 결합되며, 상기한 제 3베벨기어(3)의 외주면으로는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각 베벨기어의 외주면으로는 스플라인(spline,S)이 각각 형성되고,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의 내주면으로는 스플라인홈(H)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는 크랭크 축(90), 또는 인접한 기어로부터 전방으로의 출몰이 가능한 반면, 회전시에는 일체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는,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 각각 치합하는 베벨기어(11,12,13,14,15)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아이들러(20)가 치합됨으로써 크랭크 축(90)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크랭크 기어 조립체(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아이들러(2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는 직경에 비례한 기어이가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잇수가 증가되므로크랭크 기어 조립체(10)와 치합된 아이들러(20)는 각 베벨기어와의 접촉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회전수를 갖는다.
즉 예로써 아이들러(20)가 제 1베벨기어(1)와 치합된 상태에서는 크랭크 축(90)의 1회전에 대해 가장 작은 회전수를 갖는 반면, 제 5베벨기어(5)와 치합된 상태에서는 가장 큰 회전수를 갖는다.
이와 함께 아이들러(20)는 제 5베벨기어(5)와 치합된 상태에서는 가장 작은 회전력을 갖는 반면, 제 4베벨기어(4), 제 3베벨기어(3), 제 2베벨기어(2) 및 제 1베벨기어(1)와의 치합과정에서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증대되어 제 1베벨기어(1)와의 치합과정에서 가장 큰 회전력을 갖는다.
계속해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를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부재(30)는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 각각 접촉되어 상기한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를 원호형상으로 배열한 판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각각 가압시키는 가압부재(30)가 결합된다.
이때, 가압부재(30)의 상기한 판스프링(21)은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의 양측을 각각 가압시키도록 좌우를 대칭시켜 복수로 배열함으로써 각 베벨기어에 대한 가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의 접촉부위를 기어가 형성되지 않은 주연 하부로 한정시킴으로써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의 과도한 마찰에 따른 회전저항과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및 아이들러(20)와 가압부재(30)의 외부에는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및 아이들러(20)를 지지하고, 가압부재(3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하부의 공간을 통해 윤활유가 저장되는 하우징(40)이 결합되며, 일측으로는 변환레버(70)가 수평으로 결합된다.
상기한 변환레버(70)는 회전각도에 따라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를 선택적으로 가압시켜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이들러(20)의 베벨기어(11,12,13,14,15)중 어느 하나와 치합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아이들러(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를 가압시키는 가압볼(61,62,63,64,65)이 나선형으로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한 가압볼(61,62,63,64,65)은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대칭된 상태로 결합되며, 변환레버(70)의 중심부에는 각도 가변과정에서 크랭크 축(90)과의 접촉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만곡부(70A)를 형성한다.
이와 함께 각 가압볼(61,62,63,64,65)의 인접부에는 다수의 볼(66)을 회전가능하게 연속 배열함으로서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방지하는 한편, 이에 따라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후륜의 중심부에 결합된 허브(101)의 일측으로는 상기한 허브(101)를 구동시킴으로써 후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베벨기어 형상의 종동 베벨기어(50)가 부착되며, 상기한 종동 베벨기어(50)는 구동축(60)의 선단 일측이 연결된다.
상기한 구동축(60)은 종동 베벨기어(50) 및 아이들러(20) 사이에 결합되어 아이들러(20)를 통해 전달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구동력을 종동 베벨기어(50)로 전달하여 후륜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양측으로는 아이들러(20) 및 종동 베벨기어(50)와 치합하는 베벨기어(51,52)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베벨기어를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로 구성하고, 상기한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 직접 접촉되는 아이들러(20)를 5개의 베벨기어(11,12,13,14,15)로 구성하며, 이와 함께 변환레버(70)의 외주면에 5개의 가압볼(61,62,63,64,65)을 각각 결합시킨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자전거의 종류에 따라 각 베벨기어 및 가압볼의 수량을 가감함으로써 3내지 8단의 변속기어를 갖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B는 베어링이고, 부호 70A는 치합된 기어의 단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변환레버(70)의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호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구동장치(100)는 전륜(110)과 후륜(120)을 사이에 위치한 프레임(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패달 및 크랭크를 통해 전달된 인력에 의해 크랭크 축(90)을 회전시키고, 상기한 크랭크 축(90)의 회전력이 후륜(110)으로 전달됨에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주행상태에서는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제 3베벨기어(3)를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상기한 제 3베벨기어(3)가 아이들러(20)의 베벨기어(11,12,13,14,15)중 중간위치의 베벨기어(13)와 치합시켜 회전수 및 회전력이 중간단계를 유지한 상태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경사도가 급한 노면의 주행을 위해 큰 회전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변환레버(70)를 1단 변속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외주면에 결합된 가압볼(61,62,63,64,65)중 변환레버(70)의 중심부에 인접한 가압볼(61)을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상기한 가압볼(61)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인접한 가압볼(61)이 수평으로 위치하면,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중 크랭크 축(90)에 직접 연결된 제 1베벨기어(1)를 전방으로 가압시킨다.
이에 따라 제 1베벨기어(1)는 아이들러(20)의 선단에 위치한 베벨기어(11)와 치합되어 구동축(60)을 강한 회전력에 의해 저속 회전시키고, 상기한 구동축(60)은 타단에 형성된 베벨기어(52)에 의해 허브(101)에 부착된 종동 베벨기어(50)를 회전시킴으로써 후륜(11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평탄한 노면을 주행함으로써 고속으로 주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변환레버(70)를 전술한 과정과 같은 방향으로 연속 회전시켜 해당 단수로 변환시키게 되는데, 예로써 변환레버(70)를 5단 변속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변환레버(70)의 외주면에 결합된 가압볼(61,62,63,64,65)중 선단에 위치한 가압볼(61)이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양단 방향의 가압볼(61)이 수평으로 위치하면,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중 가장 큰 잇수를 갖는 제 5베벨기어(5)가 후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한 제 5베벨기어(5)가 아이들러(20)의 베벨기어(15)와 밀착한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후방으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및 제 4베벨기어(4)는 가압부재(30)에 부착된 판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관계로 제 5베벨기어(5)를 제외한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및 제4베벨기어(4)는 아이들러(20)와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 5베벨기어(5)는 아이들러(20)의 최외곽에 위치한 베벨기어(15)와 치합되어 선단의 베벨기어(51)를 통해 구동축(6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며, 상기한 구동축(60)은 타단에 형성된 베벨기어(52)에 의해 허브(101)에 부착된 종동 베벨기어(50)를 증속 회전시킴으로써 후륜(11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의 완료에 따라 통상의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과 같이 변환레버(70)를 해당 기어단수로 전환시킴에 따라 노면이나 주행속도 등에 따른 자전거(200)의 선택적인 기어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축(60)을 통해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자전거(200)의 주행과정에서 동력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함께 동력전달체계가 단순하여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고장의 방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구동력이 구동축(60)에 의해 후륜(110)으로 직접 전달되므로 동력전달 효율을 높이는 한편, 이에 따라 자전거의 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이와 함께 단순한 구조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이나 기능의 저하 등을 방지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크랭크 축(90)의 외주면으로 동심으로 배열된 다수의 베벨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킨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상기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베벨기어와 각각 치합하는 베벨기어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크랭크 기어 조립체의 베벨기어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아이들러(20);
    상기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 각각 밀착되어 축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를 가압시키는 판스프링(21)을 원호형상으로 각각 배열한 가압부재(30);
    상기 크랭크 기어 조립체(10) 및 아이들러(20)와 가압부재(30)의 외부에 결합되어 크랭크 축(90) 및 아이들러(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40);
    후륜(110)의 중심부에 결합된 허브(101)의 일측에 부착되어 허브(101)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50);
    상기 아이들러(20) 및 종동 베벨기어(50) 사이에 결합되어 선단 양측에 형성한 베벨기어(51,52)에 의해 아이들러(20)를 통해 전달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구동력을 종동 베벨기어(50)로 전달하는 구동축(60); 및
    하우징(10)에 의해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크랭크 기어조립체(10)의 각 베벨기어의 후방 양측을 가압시키는 가압볼을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나선형으로 각각 삽입시킨 변환레버(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베벨기어는, 크랭크 축(9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 축(9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 1베벨기어(1)의 외주면에 제 2베벨기어(2)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베벨기어(2)의 외주면으로는 제 3베벨기어(3) 및 제 4베벨기어(4)와 제 5베벨기어(5)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제 1베벨기어(1)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아이들러(20)는,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와 각각 치합하는 베벨기어(11,12,13,14,15)를 순차적으로 각각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레버(70)는, 크랭크 기어 조립체(10)의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의 후방 양측을 가압시키는 가압볼(61,62,63,64,65)을 각각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구동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레버(70)는, 가압볼(61,62,63,64,65)의 인접부에 제 1베벨기어(1), 제 2베벨기어(2), 제 3베벨기어(3), 제 4베벨기어(4) 및 제 5베벨기어(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66)을 각각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구동장치.
KR1020020058350A 2002-09-26 2002-09-26 자전거용 구동장치 KR20040026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350A KR20040026785A (ko) 2002-09-26 2002-09-26 자전거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350A KR20040026785A (ko) 2002-09-26 2002-09-26 자전거용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817U Division KR200298784Y1 (ko) 2002-09-26 2002-09-26 자전거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785A true KR20040026785A (ko) 2004-04-01

Family

ID=3732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350A KR20040026785A (ko) 2002-09-26 2002-09-26 자전거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7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5609A1 (en) * 2005-08-03 2007-02-08 Ji Hyun Ma A gear transmission for a bicycle
KR100869557B1 (ko) * 2007-10-18 2008-11-27 김종대 무체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
KR200450260Y1 (ko) * 2010-03-22 2010-09-15 민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5609A1 (en) * 2005-08-03 2007-02-08 Ji Hyun Ma A gear transmission for a bicycle
KR100869557B1 (ko) * 2007-10-18 2008-11-27 김종대 무체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
KR200450260Y1 (ko) * 2010-03-22 2010-09-15 민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8903B2 (ja) 遊星歯車装置を有す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ユニット
CN102470911B (zh) 无链条自行车用动力传递装置
CN110997472B (zh) 驱动组件和车辆
CN101435493A (zh) 齿啮合传动无级变速器
EP1620307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bicycle
KR200246082Y1 (ko) 중차축의쌍방향변속기
US4702121A (en) Multiple speed driving wheel for pedal powered vehicles
KR200298784Y1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KR20040026785A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US6361461B1 (en) Multiple-speed chain driving device
CN1097182C (zh) 带有复合超速传动器的动力传动装置
CN207496879U (zh) 一种塔轮变速双轮驱动装置
CN113226909A (zh) 一种用于增加旋转力的曲柄可变速齿轮装置
KR101029316B1 (ko)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CN210889938U (zh) 超越式轴心换挡的变速器
KR102034744B1 (ko) 자전거 구동장치
CN113048162A (zh) 一种自行车变速系统的离合机构及变速箱
US11802610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07205874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US2795970A (en) Planetary transmission
JPS6346753Y2 (ko)
KR20150063948A (ko) 자전거 자동 변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KR200283064Y1 (ko) 변속장치
KR20150009684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N214788684U (zh) 一种自行车变速系统的离合机构及自行车变速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