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064Y1 -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064Y1
KR200283064Y1 KR2020020004256U KR20020004256U KR200283064Y1 KR 200283064 Y1 KR200283064 Y1 KR 200283064Y1 KR 2020020004256 U KR2020020004256 U KR 2020020004256U KR 20020004256 U KR20020004256 U KR 20020004256U KR 200283064 Y1 KR200283064 Y1 KR 200283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lanetary
gear
flow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훈
Original Assignee
오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훈 filed Critical 오세훈
Priority to KR2020020004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064Y1/ko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동스쿠터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전기스위치로 조작하여 바꿔서 변속한다. 이를 위해 풀리(10)를 중심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풀리(10)의 구동력을 유동캐리어(20)를 통해 상기 중심축(12)에 자유롭게 회전되게 설치된 선기어(25)로 전달한다. 상기 선기어(25)에 외접되게 유성기어(30)를 설치하고, 상기 유성기어(30)와 내접되게 링기어(50)를 설치한다. 상기 유성기어(30)의 회전중심은 유성캐리어(33)에 구비되는데, 상기 유성캐리어(33)에는 그 양면으로 돌출되게 제1 및 제2 피스톤(35,36)이 스프링(37)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 2 피스톤(35,36)과 대응되는 유동캐리어(20) 및 고정캐리어(40)의 일측면에는 각각 스파이럴홈(22,42)이 형성되어 상기 유성캐리어(33)가 상기 유동캐리어(20)나 고정캐리어(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풀리(10)의 동력이 상기 링기어(50)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륜(72)으로 전달되게 한다.

Description

변속장치{A transmission}
본 고안은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원에서 풀리나 스프라켓 등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구동원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속비가 달라지게 하여 기계적인 변속장치 필요없이 구동원에 가하는 전원의 극성을 변화시켜 변속하는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속 전동스쿠터의 변속장치는 2단 유성기어 감속부와 상기 유성기어 회전축 상에 설치된 스플라인축, 상기 스플라인 축과 치합되는 스플라인 보스, 스플라인 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는 레버를 통해 운전자가 변속조작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상기 스프라인의 치형이 미끄러져 치합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변속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하며, 변속과정에서 기계적인 소음과 스플라인 치형의 마모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계적인 변속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구동장치가 복잡해져 부품 가공 및 조립 비용의 소요가 크다. 운전자의변속조작은 레버를 통해 이루어지고, 구동부는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의 정확한 설치가 요구되며, 일정 기간 사용후에는 와이어가 인장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한 길이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수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소형 전동 및 엔진 스쿠터는 후륜에 밴드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고 전류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언덕길을 주행하다가 정지하면, 스쿠터가 후진방향으로 밀려 내려가려 한다. 이때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잡아도 후륜의 밴드브레이크는 후진방향으로는 제동력을 가할 수 없으므로 스쿠터는 뒤로 밀려가게 되어 운전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제품중 전륜에 캘리퍼 브레이크가 장착된 제품도 있지만 언덕길에서는 운전자의 하중이 후륜으로 이동하고, 전륜하중은 급격히 감소하므로 전륜브레이크를 작동시키더라도 전륜과 노면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원하는 제동을 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바꿔주는 전기 스위치 조작만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진방향으로는 구동륜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언덕길 주행중 정지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마찰토오크가 최소화된 변속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곳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변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캐리어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유동캐리어의 스파이럴홈이 형성된 부분을 보인 평면도.
도 2b는 유동캐리어의 정면도.
도 2c는 스파이럴홈의 구성을 보인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캐리어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고정캐리어의 스파이럴홈이 형성된 부분을 보인 평면도.
도 3b는 고정캐리어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풀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풀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풀리 12: 중심축
20: 유동캐리어 22: 스파이럴홈
25: 선기어 30: 유성기어
33: 유성캐리어 35: 제1피스톤
36: 제2피스톤 40: 고정캐리어
42: 스파이럴홈 50: 링기어
60: 연결프레임 70: 휠프레임
72: 구동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수부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력전수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캐리어와, 상기 유동캐리어와 대향되는 위치인 상기 중심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캐리어와, 상기 구동력전수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유동캐리어와 고정캐리어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유성감속부와, 상기 유성감속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수부와, 구동륜측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구동륜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유동캐리어와, 상기 유동캐리어와 대향되는 위치인 상기 중심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캐리어와, 상기 구동력전수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유동캐리어와 고정캐리어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되어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유성감속부와, 상기 유성감속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성감속부는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외접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선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자전과 공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동을 수행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가 내접되어 치합되게 내주부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고 연결프레임과 일체로 회전되는 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중심이 구비되어 유성기어의 공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유동캐리어와 고정캐리어에 그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성캐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성캐리어에는 유성캐리어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과 대응되는 유동캐리어 및 고정캐리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파이럴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이 유성캐리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파이럴홈에 걸어진다.
상기 스파이럴홈은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이동궤적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입구에서 내측을 향해 점차로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력전수부는 밸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변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10)는 중심축(12)에 베어링(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리(10)를 사용하여 구동원의 동력을 받도록 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스프라켓을 설치하여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풀리(10)와 함께 회전되게 유동캐리어(20)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캐리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중심을 관통하여 관통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캐리어(20)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중심축(12)과 동심으로 된다. 상기 중심축(12)은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그 양단이 예를 들면 스쿠터 본체 측에 지지된다.
상기 유동캐리어(20)의 일측면에는 스파이럴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럴홈(22)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럴홈(22)은, 도 2 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입구에서 내측을 향해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깊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은 상기 풀리(10)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동캐리어(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프레임(60)의 내주면에 베어링(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중심축(12)과 동축으로 선기어(25)가 설치된다. 상기 선기어(25)는 상기 유동캐리어(20)의 관통공(2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캐리어(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선기어(25)는 상기 중심축(1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선기어(25)의 기어치에는 다수개의 유성기어(30)가 치합된다. 즉, 상기 선기어(25)에 외접하게 유성기어(3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유성기어(30)가 사용된다.
상기 유성기어(30)는 그 회전중심축이 유성캐리어(33)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성캐리어(33)는 상기 유성기어(30)가 상기 선기어(25) 주위를 공전함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유성캐리어(33)는 그 회전중심이 상기 고정축(12)과 동심이다.
상기 유성캐리어(33)는 두개의 원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그 양면으로 관통하여 각각 돌출되게 제1피스톤(35)과 제2피스톤(3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5,36)과 유성기어(30)는 상기 유성캐리어(33)의 중심에서 소정 반경만큼 떨어진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35,36)과 유성기어(30)는 서로 교대로 설치된다.
상기 제1피스톤(35)은 상기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피스톤(36)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캐리어(40)에 형성되는 스파이럴홈(42)과 대응되는 위치와 갯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제1피스톤(35)과 제2피스톤(36)은 스프링(37)에 의해 상기 유성캐리어(33)의 양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각각 지지된다.
상기 유성캐리어(33)는 연결프레임(60)의 내부에 상기 유동캐리어(20)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캐리어(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캐리어(20)와 고정캐리어(40) 사이에는 상기 유성캐리어(33)가 설치되고도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유성캐리어(33)의 제2피스톤(36)의 선단과 마주보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캐리어(4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캐리어(40)는 상기 중심축(12)에 압입되어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캐리어(40)에는 상기 제2피스톤(36)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피스톤(36)의 위치와 갯수에 대응되는 스파이럴홈(42)이 형성된다. 상기스파이럴홈(42)은 그 일측에서 내측을 향해 점차로 깊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과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의 형성 방향은 서로 반대로 된다. 즉 상기 풀리(10)에서 볼 때 상기 스파이럴홈(42)의 형성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된다.
상기 고정캐리어(40)의 일측으로는 중심보스(45)가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보스(45)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고정캐리어(4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통공(46)이 천공된다. 상기 중심통공(46)에는 상기 중심축(1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캐리어(40)는 베어링(40')에 의해 연결프레임(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유동캐리어(20)에 설치된 유성기어(30)가 각각 내접되게 링기어(50)가 설치된다. 상기 링기어(50)는 상기 유성기어(3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프레임(6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링기어(50)는 연결프레임(60)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유동캐리어(20)와 고정캐리어(40) 및 유성캐리어(33) 등은 원통형의 연결프레임(60)내에 안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60)은 휠프레임(70)의 중심에 그 중심이 되는 중심축(12)이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휠프레임(70)에는 구동륜(72)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변속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풀리(10)가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풀리(10)가 회전하면 상기 유동캐리어(20)는 풀리(10)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선기어(25)도 역시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선기어(2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선기어(25)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유성기어(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유성캐리어(33)의 제1피스톤(35)이 상기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에 진입하게 되고, 상기 제2피스톤(36)이 상기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상기 유동캐리어(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피스톤(36)이 상기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에서 빠져나옴에 따라 상기 유동캐리어(20)는 도 1의 화살표 A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피스톤(35)이 상기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유동캐리어(30)와 유성캐리어(33)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피스톤(35)이 스파이럴홈(22)에 걸리는 것은 상기 유동캐리어(20)와 선기어(25)는 동일한 각속도이고 유성캐리어(33)의 회전속도는 선기어(25)보다 느리므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캐리어(20)와 유성캐리어(33)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유성캐리어(33)의 회전에 의한 유성기어(30)의 공전에 의해 상기 링기어(50)가 상기 유성캐리어(33)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50)의 회전속도와 상기 풀리(10)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되어 상기 구동륜(72)이 상기 풀리(10)와 동일한 속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풀리(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전기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원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바꾸면, 예를 들어 구동원인 구동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상기 풀리(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동캐리어(20)와 선기어(25)는 동일한 각속도로 동일한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선기어(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유성기어(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유성캐리어(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캐리어(33)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서는 상기 제1피스톤(35)은 스파이럴홈(22)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피스톤(36)은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2피스톤(36)이 스파이럴홈(42)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유성캐리어(33)는 상기 고정캐리어(40)에 걸어져 회전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링기어(50)는 상기 선기어(25)에 의해 자전하는 유성기어(3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도 5의 (b) 참조) 이와 같은 링기어(5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구동륜(72)의 반시계방향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감속비는 링기어(50)의 잇수/선기어(25)의 잇수비로 구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링기어(50)가 상기 풀리(10)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본 고안에서는 전기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조작하여 2단감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구동륜(72)만 전진방향(반시계방향)으로 관성에 의해회전할 경우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로는 내리막길 주행을 들 수 있다. 이때에는 풀리(10)의 회전속도보다 구동륜(72)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되고, 상기 풀리(1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륜(72)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같은 원리에 의해 구동원의 구동전원이 소진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발로 스쿠터를 구동시키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즉, 선기어(25)는 풀리(10)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원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링기어(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유성캐리어(33)도 반시계방향(약1/2회전속도)으로 회전한다. 이럴 경우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과 유성캐리어(33)의 제1피스톤(35)의 사이에는 상대운동이 발생하고 제1피스톤(35)이 스파이럴홈(22)으로부터 빠져나온다. 그리고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과 유성캐리어(33)의 제2피스톤(36) 사이에는 상대운동이 발생하고 상기 제2피스톤(36)이 스파이럴홈(22)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유성캐리어(33)의 양측의 제1 및 제2 피스톤(35,36)이 스파이럴홈(22,42)에 들어가지 못하므로 유성캐리어(33)는 공회전을 하게 되고 선기어(25)가 고정되더라도 링기어(50)는 저항이 거의 없이 회전하여 구동륜(72)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스쿠터를 후진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바로 전 상태에서 제1 및 제2 피스톤(35,36)이 각각 유동캐리어(20)에 물려 있는 경우와 유성캐리어(33)에 물려 있는 경우로 구분된다. 첫번째의 경우에는 구동륜(72)과 유동캐리어(20)와 선기어(25) 모두가 일체로 물려 있으므로, 풀리(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만약, 우측피스톤(36)이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에서 완전히분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유성캐리어(3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어 뒤로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게 된다.
유성캐리어(33)가 고정캐리어(40)에 물려 있는 경우는 구동륜(72)의 회전방향과 선기어(25)는 반대방향으로 증속이 된다. 따라서 링기어(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선기어(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만약 제1피스톤(35)이 유동캐리어(20)의 스파이럴홈(22)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선기어(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성캐리어(33)와 맞물리게 되고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언덕길 주행중 변속과정에서 급격한 구름저항 발생으로 인해 스쿠터가 정지했을 경우 스쿠터는 뒤로 밀리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변속이 이루어지면 곧바로 전진방향으로 주행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동캐리어(20)를 상기 풀리(10)에 연결하지 않고 상기 링기어(50)나 연결프레임(60) 등 구동륜(72)측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캐리어(20)는 풀리(10)에 베어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10)의 동력은 상기 선기어(25)로 직접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동캐리어(20)에 형성되는 스파이럴홈(22)은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풀리(10)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캐리어(40)의 스파이럴홈(42)은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결정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따.
본 고안을 사용하면 구동원인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저속과 고속의 2단 변속가능하여 복잡한 기계적 변속장치의 필요없이 전기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변속이 가능하게 되고, 변속을 위한 기구장치나 상기 기구장치를 움직이기 위한 와이어가 필요없으므로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없다.
그리고 변속을 위해 기구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변속과정에서 기계적 소음과 부품의 마멸이 발생하지 않아 변속장치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힘으로 스쿠터를 앞으로 이동시킬 경우 중립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없이 구동륜이 자유상태로 회전하여 전원소진 상태에서의 운전이 용이하다.
그리고, 언덕길 주행중 정지할 경우 스쿠터가 후진방향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유성캐리어의 회전에 있어서 고정캐리어나 유동캐리어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마찰구동토오크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동력손실이 적은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변속장치는 기존의 전동스쿠터에서 구동원인 모터가 구동륜에 달려 있지 않은 구조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스쿠터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수부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력전수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캐리어와,
    상기 유동캐리어와 대향되는 위치인 상기 중심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캐리어와,
    상기 구동력전수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유동캐리어와 고정캐리어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유성감속부와,
    상기 유성감속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2.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수부와,
    구동륜측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구동륜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유동캐리어와,
    상기 유동캐리어와 대향되는 위치인 상기 중심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캐리어와,
    상기 구동력전수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유동캐리어와 고정캐리어중 어느일측에 일체로 되어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유성감속부와,
    상기 유성감속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감속부는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외접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선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자전과 공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동을 수행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가 내접되어 치합되게 내주부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고 연결프레임과 일체로 회전되는 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중심이 구비되어 유성기어의 공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유동캐리어와 고정캐리어에 그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성캐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캐리어에는 유성캐리어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과 대응되는 유동캐리어 및 고정캐리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파이럴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이 유성캐리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파이럴홈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홈은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이동궤적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입구에서 내측을 향해 점차로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수부는 밸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장치.
KR2020020004256U 2002-02-08 2002-02-08 변속장치 KR200283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56U KR200283064Y1 (ko) 2002-02-08 2002-02-08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56U KR200283064Y1 (ko) 2002-02-08 2002-02-08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064Y1 true KR200283064Y1 (ko) 2002-07-26

Family

ID=7311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56U KR200283064Y1 (ko) 2002-02-08 2002-02-08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0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4316B1 (en) Drive system for driving a vehicle wheel
US4779485A (en) Flywheel driven vehicle comprising plural flywheel energizing means and a forward reverse planetary gear set
CN110997472B (zh) 驱动组件和车辆
US3850044A (en) Bicycle transmission
JP2002509054A (ja) 自転車ハブの駆動方向切換装置
KR100491743B1 (ko)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
KR20180127231A (ko) 자전거용 다단기어 변속모터
KR200246082Y1 (ko) 중차축의쌍방향변속기
CN1043673A (zh) 自行车自动变速装置
JP4160628B1 (ja) 変速装置
CN106972693B (zh) 一种中置电机和配置该中置电机的电动自行车
JP2968204B2 (ja) 逆転ブレーキ装置付き内装ハブ
KR200283064Y1 (ko) 변속장치
JP2010274900A (ja) 回生機構を備えた電動補助自転車
KR100258785B1 (ko) 자전거의 동력 변환장치
KR100546751B1 (ko) 자전거의 속도변환장치
KR100863350B1 (ko) 변속 클러치 기능을 보유한 자전거 페달 하우징
KR200239868Y1 (ko) 변속장치
JP2001234990A (ja) 変速装置
KR20030069422A (ko) 자전거의 변속장치
KR100956067B1 (ko) 자전거 변속장치
KR200298784Y1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CN215956210U (zh) 一种可换挡变速轮毂电机
KR20130007211A (ko) 래치기어를 이용한 유성기어식 변속기
KR20040026785A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