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391A -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391A
KR20040026391A KR1020020057847A KR20020057847A KR20040026391A KR 20040026391 A KR20040026391 A KR 20040026391A KR 1020020057847 A KR1020020057847 A KR 1020020057847A KR 20020057847 A KR20020057847 A KR 20020057847A KR 20040026391 A KR20040026391 A KR 2004002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arty call
communication terminal
subscriber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우
조범구
권상욱
심성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츠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츠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츠고
Priority to KR102002005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391A/ko
Publication of KR2004002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91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에서 다자간 통화를 원하는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면 입력된 상대방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중 어느 한 가입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 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2단계와 상기 제 3단계를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중 다른 가입자에 대하여 반복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voice communication method among subscribers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다자간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통신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상대방 목록에서 다자간 통화를 원하는 복수의 상대방을 선택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은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면 그 상대방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휴대통신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다자간 회의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다자간 회의 통화 서비스에 가입신청한다음에, 다자간 회의 통화서비스 모드를 선택하고 다자간 회의 통화를 하고자 하는 첫 번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러서 첫 번째 상대방과의 통화로를 형성시킨 후, 두 번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러서 두 번째 상대방과의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다자간 회의 통화를 하고자 하는 모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누르고 상대방과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에 다음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러서 다음 상대방과의 통화로를 형성시켜서 다자간 회의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상대방과의 통화로가 형성되고 나서 다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눌러야 하므로 통화로 형성 대기시간에 의한 다자간 통화 개시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통신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상대방 목록에서 다자간 통화를 원하는 복수의 상대방을 선택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은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면 그 상대방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자간 통화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은,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중 어느 한 가입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2단계와 상기 제 3단계를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중 다른 가입자에 대하여 반복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등록된 목록에서 복수의 가입자를 선택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은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로 다자간 통화요청을 안내하고 그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 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은,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 모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 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등록된 목록에서 복수의 가입자를 선택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은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로 다자간 통화요청을 안내하고 그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은,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 모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부에서 상기 통화로가 형성될 때마다, 그 통화로가 형성되어 다자간 통화에 참여한 휴대통신단말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다자간 통화에 대응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들에게 전송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다자간 통화 참여자로서표시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등록된 목록에서 복수의 가입자를 선택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은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로 다자간 통화요청을 안내하고 그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 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을 구현하는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통신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통신단말에서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의 시스템 신호처리흐름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흐름에서 다자간 통화요청 상대방의 휴대통신단말에 통지되는 문자메시지의 화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의 시스템 신호처리흐름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의 시스템 신호처리흐름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흐름에서 다자간 통화시에 다자간 통화요청자의휴대통신단말과 다자간 통화를 수락한 상대방의 휴대통신단말에 표시되는 다자간 통화 상태 화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무선기지국 30 : 기지국제어기
40 : 교환통신망부 42 : 이동통신교환기
44 : 단문메시지 센터(SMC) 46 : 망연동장치
50 : 커뮤니케이터 서비스 시스템 52 : 커뮤니케이터 서버
54 : 데이터베이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을 구현하는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휴대통신단말(AAA~FFF,KKK)과, 무선통신망부(10~30), 교환통신망부(40) 및 커뮤니케이터 서비스 시스템(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망부는 기저기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상기 다수의 휴대통신단말들(AAA~FFF,KKK)과 직접적으로 통신·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10~20)과; 이들 기지국(10~20)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각 휴대통신단말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기능과, 각 휴대통신단말과 각 기지국의 송신출력 제어기능 및, 각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보수기능 등과 같이 교환통신망부와 기지국 사이에서 기지국의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제어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환통신망부(40)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기능과 가입자 휴대통신단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 휴대통신단말의 위치등록 절차와 핸드오프 절차 처리기능 및, 이동통신망과 타 망과의 연동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는 이동통신교환기(42)와; 휴대통신단말에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센터(44)와;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타망으로서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서킷 데이터(circuit data)를 패킷 데이터(packet data)로 상호변환하는 망연동장치(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뮤니케이터 서비스 시스템(50)은,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커뮤니케이터 서비스를 상기 교환통신망부(40)와 무선통신망부를 매개로 본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휴대통신단말에게 제공하는 커뮤니케이터 서버(52)와, 본 서비스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정 휴대통신단말의 이용자가 본 커뮤니케이터 서비스에 자신의 인적사항(예를 들면 성명, 주소, 전자메일주소 등)과 휴대통신단말의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 등) 및 인증정보(예를 들면 식별코드와 비밀번호)를 기재하여 가입하면 그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다. 그리고, 휴대통신단말에서 커뮤니케이터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통신망부(10~30)와 상기 교환통신망부(40)를 매개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대리점에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통신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주소록(등록된 상대방 목록)에 자신과 관련된 사람을 다양한 형태로 분류하여 각 분류별로 그룹핑하여 성명과 전화번호 등을 직접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주소록의 등록은 상기 무선통신망부(10~30)와 상기 교환통신망부(40)를 매개로 상기 커뮤니케이터 서비스 시스템(5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자신과 관련있는 가입자를 주소록에 등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커뮤니케이터의 주소록에서 자신과 다자간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키입력부(63)의 특정 키 또는 키들을 조작하여 소망하는 다자간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 그룹을 억세스하면 제어유니트는 메모리(66)에 저장된 해당 주소록 그룹을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65)에 표시하도록 표시구동부를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63)의 특정 키를 조작하여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소록 리스트에서 음영처리된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커서를 소망하는 사람에 위치시키고서 키입력부(63)의 특정 키 조작에 의하여 선택하는 방식으로 자신과 다자간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선택한 후, 키입력부(63)의 특정키의 조작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화면을 불러와서 메뉴화면에서 다자간 통화를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다자간 통화 설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통신단말에서 다수의 사람과의 다자간 통화 설정을 완료한 상탸에서, 다자간 통화요청 휴대통신단말과 다자간 통화요청수신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의 시스템 신호처리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의 휴대통신단말기(KKK)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기(AAA)(DDD)(GGG)와의 다자간 통화 설정을 완료한 것으로 가정한다.
첫번째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의 시스템 신호처리흐름의 제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 1실시예는 이동통신교환기(40)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자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요청받은 가입자의 정보를 취득하여 다자간 통화에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와 같이 도 1의 휴대통신단말기(KKK)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기(AAA)(DDD)(GGG)와의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을 완료하면(단계 S1), 휴대통신단말(KKK)의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 내용을 메모리(66)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 내용 중에서 첫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AAA)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를 무선모뎀모듈(61)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단계 S2).
여기서, 휴대통신단말(AAA)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는 해당 신호가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AAA)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는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달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에 포함된 통화 발신 가입자 식별코드(즉, KKK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 가입자의 성명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에서 취득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3).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1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AAA)로 전송한다(단계 S4).
한편, 상기 휴대통신단말(KKK)의 제어유니트(62)는 첫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AAA)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의 전송후, 즉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 내용 중에서 두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DDD)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를 무선모뎀모듈(61)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단계 S6).
상기 두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DDD)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도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달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에 포함된 통화 발신 가입자 식별코드(즉, KKK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 가입자의 성명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에서 취득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7).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2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DDD)로 전송한다(단계 S8). 여기서, 문자메시지 신호에는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단계 S4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AAA)의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10).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11).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통신단말(KKK)의 제어유니트(62)는 두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DDD)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의 전송후, 즉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 내용 중에서 세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GGG)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를 무선모뎀모듈(61)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단계 S12).
상기 두 번째 선택자인 휴대통신단말(DDD)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도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달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에 포함된 통화 발신 가입자 식별코드(즉, KKK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 가입자의 성명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에서 취득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13).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2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GGG)로 전송한다(단계 S14). 여기서, 문자메시지 신호에는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GGG)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단계 S14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GGG)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GGG)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2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16).
한편, 상기한 단계 S8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DDD)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DDD)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2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18).
두 번째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의 시스템 신호처리흐름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 2실시예는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에서 다자간 통화선택된 모든 휴대통신단말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이동통신교환기(40)로 전송하고, 이동통신교환기(40)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자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요청받은 가입자의 정보를 취득하여 다자간 통화에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와 같이 도 1의 휴대통신단말기(KKK)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기(AAA)(DDD)(GGG)와의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을 완료하면, 휴대통신단말(KKK)의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단계 S21).
여기서, 휴대통신단말(AAA)(DDD)(GGG)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는 해당 신호가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들[즉, 휴대통신단말기(AAA)(DDD)(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통신단말(AAA)(DDD)(GGG)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는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달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에 포함된 통화 발신 가입자 식별코드(즉, KKK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 가입자의 성명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에서 취득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22).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1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AAA)로 전송한다(단계 S23).
한편,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첫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AAA)에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단문메시지 센터(SMC;44)에 전달한 후, 즉시 상기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과 다자간 통화 요청받은 두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DDD)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24).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DDD)]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2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DDD)로 전송한다(단계 S25).
한편, 상기한 단계 S23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AAA)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26).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27).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두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DDD)에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단문메시지 센터(SMC;44)에 전달한 후, 즉시 상기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과 다자간 통화 요청받은 세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GGG)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28).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2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GGG)로 전송한다(단계 S29).
한편, 상기한 단계 S29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GGG)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GGG)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2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30).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31).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25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DDD)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DDD)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2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33).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DDD)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DDD)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32).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세 번째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화방법의 시스템 신호처리흐름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도 1의 휴대통신단말기(KKK)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기(AAA)(DDD)(GGG)와의 다자간 통화 요청 설정을 완료하면, 휴대통신단말(KKK)의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단계 S41).
여기서, 휴대통신단말(AAA)(DDD)(GGG)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는 해당 신호가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들[즉, 휴대통신단말기(AAA)(DDD)(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통신단말(AAA)(DDD)(GGG)에게의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는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달되고, 이동통신교환기(42)는 신호식별코드에 의하여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임을 인식하여 해당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를 망연동장치(46)를 통해서 커뮤니케이터 서비스 시스템(50)의 커뮤니케이터 서버(52)로 전송한다.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는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에 포함된 통화 발신 가입자 식별코드(즉, KKK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 가입자의 성명을 데이터베이스(54)에서 취득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와 함께 통화 발신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을 이동통신교환기(42)로 전송한다(단계 S42).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상기 상기 다자간 통화요청신호에 포함된 첫 번째 휴대통신단말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와 함께 통화 발신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43).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1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AAA)로 전송한다(단계 S44).
한편,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첫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AAA)에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단문메시지 센터(SMC;44)에 전달한 후, 즉시 상기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과 다자간 통화 요청받은 두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DDD)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45).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DDD)]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2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DDD)로 전송한다(단계 S46).
한편, 상기한 단계 S44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AAA)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1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47).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48).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망연동장치(46)를 통해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로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 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를 수신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는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4)에서 가입자의 성명을 취득하고 이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를 생성하여 망연동장치(46)와 이동통신교환기(42)를 통해서 다자간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KKK)(AAA)로 전송되도록 한다(단계 S49). 여기서, 상기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의 전송은 음성 채널이 아닌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채널 또는 단문메시지 CVOSJF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통신단말(KKK)(AAA)에서는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가 수신되어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자간 통화 커뮤니케이터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두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DDD)에의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단문메시지 센터(SMC;44)에 전달한 후, 즉시 상기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과 다자간 통화 요청받은 세 번째 가입자 휴대통신단말(GGG)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를 생성해서 단문메시지 센터(SMC; 44)로 전달한다(단계 S50).
여기서,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는 해당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요청한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KKK)]의 성명 및,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즉, 휴대통신단말기(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문메시지 센터(SMC; 44)에서는 문자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다자간 통화 안내 문자메시지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이동통신교환기(42)로부터 전달받은 통화발신 가입자의 성명(예를 들면 'KKK')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식을 가진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교환기(42)와 기지국제어기(30) 및 기지국(20)을 통하여 다자간 통화요청받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기(GGG)로 전송한다(단계 S51).
한편, 상기한 단계 S51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GGG)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GGG)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2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52).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53).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망연동장치(46)를 통해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로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 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를 수신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는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4)에서 가입자의 성명을 취득하고 이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를 생성하여 망연동장치(46)와 이동통신교환기(42)를 통해서 다자간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KKK)(AAA)로 전송되도록 한다(단계 S54).
상기 휴대통신단말(KKK)(AAA)(GGG)에서는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가 수신되어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자간 통화 커뮤니케이터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46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휴대통신단말(DDD)의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문자메시지 신호에 포함된 통화발신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전화번호는 메모리(66)에 임시 저장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본 휴대통신단말(DDD)의 가입자가 예를 들어 키입력부(63)의 통화버튼을 눌러서 다자간 통화에 대한 통화 승인을 하면, 상기 제어유니트(6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모뎀모듈(61) 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함에 따라,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는 기지국(20)과 기지국제어기(30)를 통해서 이동통신교환기(42)에 전송된다(단계 S55).
여기서,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승인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DDD)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기(42)는 다자간 통화 승인신호를 분석한 후,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과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DDD) 사이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한다(단계 S56). 이에 따라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가입자와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의 가입자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교환기(42)는 망연동장치(46)를 통해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로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에는 본 신호가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 신호임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식별코드와, 다자간 통화 요청 휴대통신단말(KKK)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다자간 통화 승인한 휴대통신단말(AAA)(GGG)(DDD)의 식별코드로서 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를 수신한 커뮤니케이터 서버(52)는 상기 다자간 통화로 형성정보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4)에서 가입자의 성명을 취득하고 이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를 생성하여 망연동장치(46)와 이동통신교환기(42)를 통해서 다자간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KKK)(AAA)(DDD)로 전송되도록 한다(단계 S57).
상기 휴대통신단말(KKK)(AAA)(GGG)(DDD)에서는 다자간 통화 참가자 정보가 수신되어 안테나와 무선모뎀모듈(61)을 통하여 제어유니트(62)에 전달되고,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제어유니트(62)에 의하여 표시구동부(64)가 구동되어 표시부(65)에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자간 통화 커뮤니케이터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등록된 상대방 목록)에서 다자간 통화를 원하는 복수의 상대방을 선택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소록(등록된 상대방 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복수의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고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거나, 또는 주소록에 등록된 상대방은 주소록에서 선택하고 주소록에 등록되지 않은 상대방에 대해서는 해당 상대방의 번호를 입력한 후에 이들 상대방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마차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에서 다자간 통화를 원하는 복수의 상대방을 선택하고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은 그 번호를 입력한 후에 그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요청하면선택된 상대방들과의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다자간 통화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중 어느 한 가입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2단계와 상기 제 3단계를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중 다른 가입자에 대하여 반복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등록된 목록에 등록된 가입자의 경우에는 상기 목록에서 해당 가입자를 선택하여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의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 번호를 입력한 후에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로 다자간 통화요청을 안내하고 그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4.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 모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등록된 목록에 등록된 가입자의 경우에는 상기 목록에서 해당 가입자를 선택하여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의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 번호를 입력한 후에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로 다자간 통화요청을 안내하고 그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7. 휴대통신단말에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들 모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의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부에서 상기 통화로가 형성될 때마다, 그 통화로가 형성되어 다자간 통화에 참여한 휴대통신단말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다자간 통화에 대응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들에게 전송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휴대통신단말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가입자 정보를 다자간 통화 참여자로서 표시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휴대통신단말에 기 저장된 등록된 목록에 등록된 가입자의 경우에는 상기 목록에서 해당 가입자를 선택하여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의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 번호를 입력한 후에 다자간 통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교환망부에서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신호에 포함된 각 가입자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휴대통신단말로 다자간 통화요청을 안내하고 그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다자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이 해당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휴대통신단말과 상기 다자간통화를 요청한 휴대통신단말과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KR1020020057847A 2002-09-24 2002-09-24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KR20040026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47A KR20040026391A (ko) 2002-09-24 2002-09-24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47A KR20040026391A (ko) 2002-09-24 2002-09-24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91A true KR20040026391A (ko) 2004-03-31

Family

ID=3732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847A KR20040026391A (ko) 2002-09-24 2002-09-24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3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17B1 (ko) * 2005-09-15 2007-05-17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883112B1 (ko) * 2006-11-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방법
KR101437161B1 (ko) * 2007-08-01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 통화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983A (ko) * 1997-12-30 1999-07-26 서평원 멀티콜 단말기를 이용한 다중 통화장치
KR100216235B1 (ko) * 1996-10-29 1999-08-16 구자홍 다자간 통화연결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97858B1 (ko) * 1998-12-30 2001-08-07 윤종용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회의통화 주재 방법
KR100400725B1 (ko) * 1999-01-27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일제 지령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235B1 (ko) * 1996-10-29 1999-08-16 구자홍 다자간 통화연결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8983A (ko) * 1997-12-30 1999-07-26 서평원 멀티콜 단말기를 이용한 다중 통화장치
KR100297858B1 (ko) * 1998-12-30 2001-08-07 윤종용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회의통화 주재 방법
KR100400725B1 (ko) * 1999-01-27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일제 지령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17B1 (ko) * 2005-09-15 2007-05-17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883112B1 (ko) * 2006-11-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방법
KR101437161B1 (ko) * 2007-08-01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 통화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1194B2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US11596014B2 (en) Multimode base station and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193824B1 (ko) 교환기의 착신 서비스 방법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20010099059A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0994889B1 (ko) 영상 채팅 시스템 및 영상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86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유저 서비스 방법
KR20040026391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방법
KR100606154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02015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6519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JP2001166843A (ja) パスワード入力方法、パスワード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20010087601A (ko) 휴대폰을 이용한 궁합/사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6457A (ko)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1910B1 (ko) 유선 전화기를 위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54373B1 (ko) 음성문자 통합 자동응답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3125616B2 (ja) パーソナル移動通信装置
KR100368595B1 (ko)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58501B1 (ko) 개인통신가입자 부가서비스 원격기능제어방법
KR20040076514A (ko) 서비스 제공자 변경과 무관하게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048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방법
KR101219803B1 (ko)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8

Effective date: 200701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79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8

Effective date: 200701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100200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