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813A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813A
KR20040025813A KR1020030026922A KR20030026922A KR20040025813A KR 20040025813 A KR20040025813 A KR 20040025813A KR 1020030026922 A KR1020030026922 A KR 1020030026922A KR 20030026922 A KR20030026922 A KR 20030026922A KR 20040025813 A KR20040025813 A KR 2004002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piston
bolt
cylinder
hermet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834B1 (ko
Inventor
노자끼쯔또무
아베노부오
가또오겐스께
와따나베다께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5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시의 실린더 보어 변형의 영향을 저감하고, 피스톤과 실린더 블럭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켜 고성능인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린더 블럭(2)의 볼트 구멍(10)에 중공부(10a)를 설치하고, 그 깊이(H1)를 압축실(V)의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의 압축실(V)의 두께(H2)보다도 크게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 {CLOSED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룸 에어컨 등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블럭을 갖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및 룸 에어컨 등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 사이클에 압축 냉매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냉매의 종류로서는 프론계 냉매 및자연계 냉매가 있고, 지구 온난화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자연계 냉매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
이 자연계 냉매 중, 특히 탄화 수소계 냉매의 경우, 프론계 냉매와 동등한 냉동 능력으로 하기 위해서는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용적을 크게 해야만 한다. 밀폐형 압축기로서 왕복형 압축기를 고려한 경우, 실린더 보어 직경을 대경화할 필요가 있다.
실린더 보어가 대경화되면,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의 밀봉 길이가 길어져,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에 발생하는 압축 냉매의 누설이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에 발생하는 누설의 원인 중 하나는 실린더 보어의 변형이다. 실린더 보어의 변형은 실린더 블럭의 개구단부면에 흡입 밸브판, 실린더 헤드, 토출 밸브판, 헤드 커버 등을 체결 고정할 때에 발생한다.
종래, 실린더 블럭에 실린더 헤드를 볼트로 체결 고정했을 때에 생기는 보어의 왜곡을 완화하기 위해, 실린더 헤드측으로 휜 밸브 플레이트를 거쳐서 실린더 헤드를 실린더 블럭에 볼트로 체결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실린더 블럭의 볼트 구멍 주위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보어로 볼트의 체결 응력을 차단하려고 한 것도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63-230975호 공보(제3-11도)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2000-205136호 공보(도3, 도7, 도8)
그러나, 종래의 체결 고정 방법에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밸브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밸브 플레이트가 휘어져 있으므로, 토출 밸브판 및 실린더 헤드와의 접촉면에서 압축 가스의 누설이 발생되기 쉬운 특성이 있어 불안정해진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실린더 블럭의 볼트 구멍 주위에 홈을 마련하는 방법에서는 홈 깊이를 충분히 깊게 해야만 해 가공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트 체결시의 보어 변형량을 저감시켜, 압축 가스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용적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실린더 블럭에 마련된 볼트 구멍의 설명도.
도3은 중공부를 갖는 볼트 구멍의 A-A 단면의 확대도.
도4는 도3의 실린더 블럭(2)에 각 부재를 볼트(15)로 체결하여 고정했을 때의 볼트 구멍(10) 근방에 있어서의 변형 형상의 모식도.
도5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각 부재를 실린더 블럭에 체결하여 고정했을 때의 볼트 구멍(10) 근방에 있어서의 A-A 단면의 확대도.
도6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실린더 블럭에 각 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했을 때의 볼트 구멍(10) 근방에 있어서의 A-A 단면의 변형 형상의 모식도.
도7은 도2에 있어서의 각 부재를 실린더 헤드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볼트 구멍(10) 근방의 B-B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실린더 블럭
3 : 슬라이더
4 : 피스톤
5 : 크랭크 샤프트
7a : 크랭크 핀
8 : 실린더 보어
10 : 볼트 구멍
11 : 흡입 밸브
12 : 실린더 헤드
13 : 토출 밸브
14 : 헤드 커버
15 : 볼트
16 : 너트
17 : 블럭
17a : 암형 나사부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 내에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는 보어를 갖는 실린더와, 그 보어의 개구단부를 폐색하는 밸브부와, 그 밸브부를 고정하는 볼트를 갖고, 실린더의 보어와 피스톤과 밸브부로 이루어지는 압축실의 압력이 토출 압력이 될 때의 보어의 개구단부로부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가 보어의 개구단부와 동일한 면으로부터 실린더에 설치된 중공부를 관통한 볼트와 결합하는 암형 나사의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트와 결합하여 체결하는 암형 나사가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암형 나사를 갖는 너트에 의해 볼트가 밸브부를 고정해도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밸브부라 함은 실린더의 보어 개구단부에 부착되는 실린더 헤드, 토출 밸브판, 헤드 커버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의 밀봉성이 요구되는 돌출압 부근의 압축실로부터 누설되는 압축 냉매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각각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는, 밀폐 용기 내의 프레임(1) 상부에 부착된 실린더 블럭(2) 내를 단부에 슬라이드관(3a)을 접합한 피스톤(4)이 왕복 이동하여 압축 요소를 구성하는 본 발명을 적용한 왕복형 압축기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 하부에는, 전동기를 구성하는 고정자(5) 및 회전자(6)가 부착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7)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크랭크 핀(7a)이 있다. 이 크랭크 샤프트(7)는 프레임(1)의 베어링부에 관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크랭크 샤프트(7)와 회전자(6)는 직결하고 있고, 크랭크 샤프트(7)의 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함)에 의해 피스톤(4) 단부에 접합된 슬라이드관(3a)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3)를 거쳐서 피스톤(4)을 왕복 이동시킨다.
다음에, 실린더 블럭(2)에 대해 도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린더 블럭(2)은 피스톤(4)이 삽입되는 실린더 보어(8) 및 프레임(1)과 실린더 블럭(2)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 구멍(9) 및 도1에 도시한 밸브부로서의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및 헤드 커버(14)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 구멍(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10) 형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실시 형태>
도3은 도2에 도시한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를 체결 고정하는 볼트 구멍(10) 근방의 A-A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흡입 밸브(11)나 헤드 커버(14) 등은 생략하고 있다. 압축기 동작시의 압축실은 실린더 블럭(2)과 피스톤(4)과, 도3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 밸브(11)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V)이다.
볼트 구멍(10)은 길이가 H1인 중공부(10a)와 암형 나사부(10b)로 이루어진다. 볼트 구멍(10)의 중공부(10a)의 길이(H1)는, 즉 보어(8)의 개구단부와 동일 평면으로부터 보어(8)의 개구단부에 대한 중공부(10a)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는, 공간(V)의 압력이 토출 압력이 될 때 돌출압 공간(Vd)의 두께(H2)보다도 길 필요가 있다. H1이 길수록 실린더 블럭(2)과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이 높아진다. 상세에 대해서는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중공부(10a)의 길이(H1)는 크랭크 샤프트(7)의 크랭크 핀(7a)의 편심량(R)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 중공부(10a)의 길이(H1)는 편심량(R)의 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트 구멍(10)의 중공부(10a)의 길이(H1)를 7.5 ㎜, 공간(V)의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의 공간(Vd)의 두께(H2)를 2.1 ㎜, 크랭크 샤프트(7)의 크랭크 핀(7a)의 편심량(R)을 9.1 ㎜로 할 수 있다. 또한, 냉매를 고려하면, 중공부(10a)의 길이(H1)는 냉매(R600a)(이소부탄)의 경우 편심량(R)의 0.6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냉매(R134a)의 경우 편심량(R)의 0.88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4에 있어서, 볼트(15)를 체결함으로써 볼트 구멍(10)의 암형 나사부(10b) 근방의 실린더 보어(8)가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어 국부적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실(V)의 위치와 국부적인 변형 부분이 떨어져 있으므로, 실린더 보어(8)와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이 국부적인 변형은 볼트(15)의 수형 나사가 암형 나사부(10b)와 체결되어, 암형 나사부(10b) 주변의 부재가 볼트(15)에 인장됨에 따른 왜곡에 의해 생긴다. 또한, 실린더 보어(8) 내를 피스톤(4)이 이동할 때에, 아직 압축실 내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동안은 실린더 보어(8)가 다소 왜곡되어도 작동 유체의 누설은 적지만, 토출 압력 부근까지 압축된 작동 유체가 누설되는 것은 압축 효율을 대폭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밀폐 용기 내가 토출 압력인 경우, 압축 공정의 초기에 있어서 밀봉성이 저하되어도 압축실 밖의 압력 쪽이 높으므로, 작동 유체의 누설도 경미하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8)의 실린더 헤드측 개방단부로부터의 암형 나사부(10b)의 위치를 압축 공정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와의 관계로 결정함으로써, 가령 실린더 보어(8)가 변형을 일으켜도 소정의 토출 압력을 얻을 수 있다. 즉, 피스톤(4)과 실린더 보어(8) 사이에 높은 밀봉성이 요구되는 영역으로부터 실린더 보어(8)가 변형되는 영역이 제외되는 구조로 하였다.
실제로, 실린더 보어(8)와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이 요구되는 것은 공간(V) 내의 가스 압력이 토출 압력 부근이 되었을 때이며, 토출 압력일 때, 실린더 보어(8)의 변형이 생긴 부분에 피스톤(4)의 선단부가 걸리면 밀봉이 손상되어 있으므로 압축 가스가 누설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트(15)를 체결했을 때에 볼트 구멍(10)의 암형 나사부(10b) 근방의 실린더 보어가 최대 7.5 ㎛ 외측으로 변형하였지만, 그 변형 위치는 압축실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 피스톤(4)의 선단부 위치(H2)로부터 6.2 ㎜ 떨어져 있었으므로,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밀폐형 압축기에 따르면, 중공부(10a)와 암형 나사부(10b)로 구성된 볼트 구멍(10)과 볼트(15)에 의해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를 체결 고정할 때 실린더 보어(8)의 변형 위치를 압력이 토출 압력(Pd)인 공간(Vd)으로부터 분리하여 설치하였으므로, 실린더 블럭(2)과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할 수 있어,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실린더 보어(8)와 볼트 구멍(10) 사이의 거리가 12 ㎜ 이하이고, 실린더 보어(8)의 내경이 20 ㎜이상이고, 재질이 회주철인 실린더 블럭(2)을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에 적용한 경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 선단부라 함은, 피스톤(4) 중, 보어(8)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외주면을 구비한 부분 중 밸브부측 단부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압축 공정에 있어서의 상사점에 피스톤(4)이 있을 때, 밸브부에 생긴 무효 공간을 나타내는 돌기형 부분이 피스톤에 설치되어도, 상술한 밸브부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구멍(10)은 중공부(10a)와 암형 나사부(10b)에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구멍(10)은 중공부(10a)뿐이다. 도5에 있어서, 볼트(15)와 너트(16)로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 실린더 블럭(2)을 협입함으로써 체결 고정한다.
이 경우, 볼트 구멍(10)의 중공부(10a) 길이(H1)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결정할 수 있고, 편심량(R)의 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한 일예로서, 예를 들어 볼트 구멍(10)의 중공부(10b) 길이(H1)를 7.5 ㎜, 공간(V)의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 공간(Vd)의 두께(H2)를 2.1 ㎜, 크랭크 샤프트(7)의 크랭크 핀(7a)의 편심량(R)을 9.1 ㎜로 할 수 있다. 또한, 냉매를 고려하면 중공부(10a)의 길이(H1)는 냉매(R600a)(이소부탄)의 경우는 편심량(R)의 0.6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냉매(R134a)의 경우는 편심량(R)의 0.88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5)와 너트(16)를 체결함으로써 너트(16) 근방의 실린더 보어(8)의 내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변형된다. 이 변형이 돌출 압력에 가까운 압축실(V)의 위치와 떨어져 있으므로, 즉 변형이 생기는 장소가 돌출 압력(Pd)이 될 때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실린더 보어(8)와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한 일예로서, 볼트(15) 및 너트(16)를 체결했을 때에 너트(16) 근방의 실린더 보어가 최대 5.5 ㎛ 외측으로 변형하였지만, 압축실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 피스톤(4)의 선단부 위치(H2)로부터 7.5 ㎜ 떨어져 있었으므로,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볼트(15)와 너트(16)에 의해 실린더 블럭(2),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를 체결 고정할 때 실린더 보어(8)의 변형 위치를 압력이 토출 압력(Pd)인 공간(V)으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고, 실린더 블럭(2)과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할 수 있어,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예를 들어 실린더 보어(8)와 볼트 구멍(10) 사이의 거리가 12 ㎜ 이하이고, 실린더 보어(8)의 내경이 20 ㎜ 이상이고, 재질이 회주철인 실린더 블럭(2)을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에 적용한 경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3 실시 형태>
도7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구멍(10)은 중공부(10a)와 암형 나사부(10b)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구멍(10)은 중공부(10a)뿐이며, 암형 나사부(17a)는 실린더 블럭(2)과 별개의 부재인 블럭(17)에 설치하여, 볼트(15)와 블럭(17)으로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 실린더 블럭(2)을 협입함으로써 체결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볼트 구멍(10)의 중공부(10a) 길이(H1)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 중공부(10a) 길이(H1)는, 편심량(R)의 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트 구멍(10)의 중공부(10b) 길이(H1)를 7.5 ㎜, 공간(V)의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 공간(V)의 두께(H2)를 2.1 ㎜, 크랭크 샤프트(7)의 크랭크 핀(7a)의 편심량(R)을 9.1 ㎜로 할 수 있다. 또한, 냉매를 고려하면, 중공부(10a) 길이(H1)는 냉매(R600a)(이소부탄)의 경우는 편심량(R)의 0.6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냉매(R134a)의 경우는 편심량(R)의 0.88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린더 블럭(2)에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를 볼트(15) 및 블럭(17)에 의해 체결 고정했을 때 볼트 구멍(10) 근방의 변형 형상은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볼트(15)와 블럭(17)을 체결함으로써 블럭(17)의 암형 나사부(17a) 근방에 있어서의 실린더 보어(8)의 내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변형된다. 이 변형되는 부위가 압축실(V)의 위치와 떨어져 있으므로, 실린더 보어(8)와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트(15) 및 블럭(16)을 체결했을 때에 블럭(17)의 암형 나사부(17a) 근방의 실린더 보어가 최대 5.5 ㎛ 외측으로 변형하였지만, 압축실 압력이 토출 압력(Pd)이 될 때 피스톤(4) 선단부 위치(H2)로부터 7.5 ㎜ 떨어져 있었으므로,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럭(17)의 암형 나사부(17a)와 볼트(15)에 의해 실린더 블럭(2)과 흡입 밸브(11), 실린더 헤드(12), 토출 밸브(13), 헤드 커버(14)를 체결 고정할 때의 실린더 보어(8)의 변형 위치를 압력이 토출 압력(Pd)인 공간(V)으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고, 실린더 블럭(2)과 피스톤(4)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할 수 있어, 밀폐형 압축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예를 들어 실린더 보어(8)와 볼트 구멍(10) 사이의 거리가 12 ㎜ 이하이고, 실린더 보어(8)의 내경이 20 ㎜ 이상이고, 재질이 회주철인 실린더 블럭(2)을 이용한 밀폐형 압축기에 적용한 경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용적형 압축기에는 회전수가 일정한 압축기와 회전수가 가변하는 압축기가 있다. 이들의 용적형 압축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는 반드시 일정한 위치가 되는 일은 없다. 이들의 압축기가 조립된 냉동 사이클 내의 압력이 변동하므로, 압축기의 토출 압력이 일정하게는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한 용적형 압축기를 냉장고에 적용하는 경우는, 토출압력의 변동에 수반하는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의 변동이 그렇게 많지는 않다. 예를 들어, 냉동 냉장고나 냉장고 등의 냉동 사이클에 이용된 경우의 본 발명을 적용한 용적형 압축기의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가 보어 선단부로부터 가장 멀어지는 조건 중 하나는 압축기의 회전수가 가장 느린 경우이다. 이 경우, 냉동 사이클 내는 냉매를 압축하는 일이 가장 요구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고, 압축기에 요구되는 일도 가능한 한 작은 것이 요구되는 상태에 있다.
또한,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용적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냉동 냉장고나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에 이용된 경우,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거나 시키지 않거나 한다. 그 때문에, 그 일정 속도로 회전할 때의 피스톤 선단부의 위치를 고려하면 되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지금까지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적용하면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 이동하여 그 피스톤이 압축 공정에 있을 때에, 볼트의 체결에 의한 실린더 보어의 변형이 압축실이 토출 압력이 되는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보다도 실린더 보어의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생기게 되므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할 수 있어 압축기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압축 공정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와 실린더 보어의 변형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한 구조에 의해 압축기의 효율이 향상되므로, 대규모 설비 투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처음부터 실린더 보어의 변형을 고려해 둠으로써 생산성도 높아,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블럭과 피스톤 사이의 밀봉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실린더 헤드 등을 실린더 블럭에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할 수 있어, 높은 효율의 압축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밀폐 용기 내에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는 보어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를 폐색하는 밸브부와, 그 밸브부를 고정하는 볼트를 갖고, 상기 보어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부로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를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로부터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토출 압력이 될 때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와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를 관통한 볼트가 결합하는 암형 나사의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나사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상기 밸브부를 고정할 때에, 상기 암형 나사를 구비한 너트가 상기 볼트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4. 밀폐 용기 내에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는 보어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를 폐색하는 밸브부와, 그 밸브부를 고정하는 볼트를 갖고, 상기 보어와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부로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를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로부터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토출 압력이 될 때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와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와 연속하여 상기 실린더에 상기 볼트와 체결하는 암형 나사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체결하는 상기 암형 나사를 갖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가 상기 중공부를 거쳐서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7. 밀폐 용기 내에 모터의 회전 구동에 따라서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는 보어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를 폐색하는 밸브부와, 그 밸브부를 고정하는 볼트를 갖고, 상기 보어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부로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를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토출압으로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되었을 때의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로부터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와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를 관통한 볼트가 결합하는 암형 나사의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로부터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상기 압축기의 운전 중에 가장 낮은 회전수일 때에 상기 압축실이 토출압이 되었을 때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로부터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압축기가 정격 운전시의 상기 모터 회전수일 때에 상기 압축실이 토출압이 되었을 때의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 위치와 상기 보어의 개구단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KR10-2003-0026922A 2002-09-20 2003-04-29 밀폐형 압축기 KR100508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4257 2002-09-20
JP2002274257A JP3996827B2 (ja) 2002-09-20 2002-09-20 密閉形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813A true KR20040025813A (ko) 2004-03-26
KR100508834B1 KR100508834B1 (ko) 2005-08-18

Family

ID=3198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922A KR100508834B1 (ko) 2002-09-20 2003-04-29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33150B2 (ko)
JP (1) JP3996827B2 (ko)
KR (1) KR100508834B1 (ko)
CN (1) CN12749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123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JP2005133707A (ja) * 2003-10-1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KR100822563B1 (ko) * 2004-11-24 2008-04-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압축기
KR100856796B1 (ko) 2007-07-16 2008-09-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AT10065U1 (de) * 2007-08-28 2008-08-15 Acc Austria Gmbh Kältemittelkompressor
DE102007052580B3 (de) * 2007-11-03 2009-07-02 Danfoss Compressors Gmbh Kältemittelkompressor
EP2580540A2 (en) * 2010-06-08 2013-04-17 Arçelik Anonim Sirketi A hermetic compressor
JP2012082785A (ja) * 2010-10-14 2012-04-26 Panasonic Corp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575A (ja) * 1995-01-13 1996-07-30 Sanden Corp 弁板装置
JPH1193832A (ja) * 1997-09-25 1999-04-06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
JP3860311B2 (ja) * 1997-10-21 2006-12-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
JP3915227B2 (ja) * 1998-02-20 2007-05-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US6171076B1 (en) * 1998-06-10 2001-01-09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compressor assembly having a suction chamber and twin axially disposed discharge cha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33150B2 (en) 2006-04-25
US20040057850A1 (en) 2004-03-25
CN1274959C (zh) 2006-09-13
JP2004108313A (ja) 2004-04-08
KR100508834B1 (ko) 2005-08-18
CN1483935A (zh) 2004-03-24
JP3996827B2 (ja)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245B2 (en) Fluid machine
US5149254A (en) Refrigeration compressor having a contoured piston
KR101637446B1 (ko) 로터리 압축기
US5577901A (en) Compressor with valve unit for controlling suction and discharge of fluid
KR100508834B1 (ko) 밀폐형 압축기
US20040009077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reducing structure
KR20110072313A (ko) 로터리 압축기
JP2009257206A (ja) ロータリ圧縮機
JP2002089450A (ja) 冷媒圧縮機
US6835050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10968911B2 (en) Oscillating piston-type compressor
US20040013552A1 (en) Valve assembly in hermetic compressor
JP2003065236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KR100228857B1 (ko) 압축기의 플랩퍼형 밸브구조
CN2869390Y (zh) 密封型旋转式压缩机的机箱与汽缸体固定结构
JP4017853B2 (ja) 密閉型レシプロ圧縮機
KR20015400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충진파이프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200159710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장치
KR20210028979A (ko) 실린더 및 이를 포함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KR200154000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KR100253997B1 (ko) 압축기 크랭크축의 윤활유 급유량 측정장치
KR19980077161A (ko) 고정밴드 일체형 밸브카버를 지니는 압축기
KR20070051064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80040168A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파이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