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153A -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153A
KR20040025153A KR1020020056992A KR20020056992A KR20040025153A KR 20040025153 A KR20040025153 A KR 20040025153A KR 1020020056992 A KR1020020056992 A KR 1020020056992A KR 20020056992 A KR20020056992 A KR 20020056992A KR 20040025153 A KR20040025153 A KR 2004002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ckle
tongue
cas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781B1 (ko
Inventor
이재호
최찬우
Original Assignee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781B1/ko
Priority to EP03077950A priority patent/EP1400419B1/en
Priority to CNB031594107A priority patent/CN1292943C/zh
Priority to DE60305117T priority patent/DE60305117T2/de
Priority to JP2003326957A priority patent/JP2004267744A/ja
Priority to US10/666,522 priority patent/US6907646B2/en
Publication of KR2004002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클에 텅이 결합및 분리될 때마다 기구적으로 버클프레임의 홀스위치몸체에서 경보스위치를 정확히 온/오프시키면서 바로 홀스위치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케이스부피가 작고 안정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40)가 케이스체결부(15, 15')에 결합되고 전단으로 텅이 체결되는 텅체결부(11)와 후단으로 전선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텅체결부(11)와 케이스체결부(15, 15')사이에 홀스위치고정부(13)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체결부(15, 15')주위에 좌우로 안내돌기(14, 14'), 결합봉(17, 17')및 걸림턱(16, 16'), 그리고 중앙의 축고정부(18)가 형성되는 바닥케이스(10)와; 상기 홀스위치고정부(13)에 전체가 놓여지고 패턴배선(36)상의 이동부재(33)가 이동되며, 후단에 훅조립부(32)를 형성하고 단자부(37)가 결합봉(17, 17')에 끼워지면서 안내돌기(14, 14')와 걸림턱(16, 16')사이에 고정되고, 전단에 프레임지지부(31)를 형성하고 홀 IC(38)가 상기 텅체결부(11)에 오게되는 홀스위치몸체(30); 그리고 전후단으로 상기 프레임지지부(31)와 훅조립부(32)가 지지홈(24, 24')과 조립구멍(25, 25')에 결합고정되면서 이젝터(21)와 연결축(26)이 설치되고, 스프링(23)이 결합되고 텅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22)의 결합돌기(22')가 상기 이동부재(33)의 결합홈(34)에 결합되는 버클프레임(20)등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BUCKLE SWITCH OF SAFETY BEL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클에 텅이 결합및 분리될 때마다 기구적으로 버클프레임의 홀스위치몸체에서 경보스위치를 정확히 온/오프시키면서 바로홀스위치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케이스부피가 작고 안정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이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써, 에어백장치와 안전벨트장치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와 안전벨트장치는 사고시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신체중, 일부가 차내의 구조물과 접촉하거나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물과 신체사이를 차단하고, 또 신체가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중 안전벨트장치는 일정한 폭을 갖는 웨빙의 양단을 플로워패널과 센터필라에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사용자가 위치되도록 함으로 사고시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 또는 사고방향으로 퉁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웨빙의 결합및 해제를 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센터필라에 고정되어 웨빙을 인출하고, 비상시 고정시키는 수단이 내장된 리트렉터와 플라워패널에 설치되어 웨빙의 단부에 구비된 텅(TONGUE)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버클 (BUCKLE)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안전벨트장치에서 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버클내에 별도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종래의 벨트착용여부 감지는 자석의 위치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에 따라 동작하는 홀센서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감지방법이나, 경보스위치로써 마이크로스위치나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하는 방법등이 각기 또는 동시에 이용되곤 하였다.
예컨데,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텅을 버클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텅이 버클내부에 구비된 양측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를 동시에 온상태로 된다. 또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해제하기 위해 텅을 버클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동시에 오프되고 있음으로 탐승자에 대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기구적 또는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가 버클내에서 케이스양측에 각기 설치되는 관계로 상기 케이스의 부피가 커지는 한편 버클내부의 구조또한 복잡하게 되어 있다. 이는 버클 케이스의 양측으로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가 설치되어 텅이 체결 또는 분리될 때마다 두 지점에서 신속히 온/오프를 감지해야 하고, 동시에 기구적인 온/오프의 작동이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닌 간접적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어 작동상의 복잡성도 있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버클내 새로운 구조의 홀스위치를 개발하여 간접적인 온/오프 작동이 아닌 기구적으로도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를 직접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홀스위치를 근거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스와 프레임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이 개발한 홀스위치구조에 맞는 케이스와 프레임을 발명한 것으로, 버클프레임을 바닥케이스에 장착하는 구조로써 이 프레임의 이젝트 조립구멍에 홀스위치의 훅을 결합하여 상기 버클프레임에서 이탈방지를 단지 훅에 의한 체결력에 의존하므로 부피가 작고 간단한구조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를 도시해 놓은 결합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서 홀스위치몸체의 온/오프상태를 도시해 놓은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바닥케이스20 : 버클프레임
30 : 홀스위치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40)가 케이스체결부(15, 15')에 결합되고 전단으로 텅이 체결되는 텅체결부(11)와 후단으로 전선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텅체결부(11)와 케이스체결부(15, 15')사이에 홀스위치고정부(13)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체결부(15, 15')주위에 좌우로 안내돌기(14, 14'), 결합봉(17, 17')및 걸림턱(16, 16'), 그리고 중앙의 축고정부(18)가 형성되는 바닥케이스(10)와; 상기 홀스위치고정부(13)에 전체가 놓여지고 패턴배선(36)상의 이동부재(33)가 이동되며, 후단에 훅조립부(32)를 형성하고 단자부(37)가 결합봉(17, 17')에 끼워지면서 안내돌기(14, 14')와 걸림턱(16, 16')사이에 고정되고, 전단에 프레임지지부(31)를 형성하고 홀 IC(38)가 상기 텅체결부(11)에 오게되는 홀스위치몸체(30); 그리고 전후단으로 상기 프레임지지부(31)와 훅조립부(32)가 지지홈(24, 24')과 조립구멍(25, 25')에 결합고정되면서 이젝터(21)와 연결축(26)이 설치되고, 스프링(23)이 결합되고 텅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22)의 결합돌기(22')가 상기 이동부재(33)의 결합홈(34)에 결합되는 버클프레임(20)등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인 바, 이는 버클에 텅이 결합및 분리될 때마다 기구적으로 버클프레임(20)의 홀스위치몸체(30)에서 경보스위치를 정확히 온/오프시키면서 바로 홀스위치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케이스부피가 작고 안정되게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상기 케이스에서 바닥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40)가 케이스체결부 (15, 15')에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바, 전단으로는 텅(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되는 텅체결부(11)가 형성되면서 후단으로는 일정한 길이의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개구부(12)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텅체결부(11)와 케이스체결부(15, 15')사이의 내부에는 홀스위치고정부(13)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체결부(15, 15')주위에 좌우로 안내돌기(14, 14'), 결합봉(17, 17')및 걸림턱(16, 16'), 그리고 중앙의 축고정부(18)가 형성된다.
1 쌍으로 안내돌기(14, 14'), 결합봉(17, 17')및 걸림턱(16, 16')이 좌우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소자는 상기 홀스위치고정부(13)와 더불어 후술할 홀스위치몸체(30)를 정확히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홀스위치몸체(30)는 버클프레임(20)에 체결하여 상기 바닥케이스(10)에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시킨 다음 케이스의 상부케이스(40)를 체결함으로, 완성된 안전벨트의 버클로써 텅의 결합및 분리에 의해 상기 홀스위치몸체(30)의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가 온/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의 바닥케이스(10)에 설치되는 홀스위치몸체(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스위치고정부(13)에 전체가 놓여지고 경보스위치로써 온/오프되는 패턴배선(36)상의 이동부재(33)가 이동되고 있다. 상기 홀스위치몸체(30)의 후단에는 훅조립부(32)를 좌우로 형성하고 단자부(37)가 상기 바닥케이스(10)의 결합봉(17, 17')에 끼워지면서 안내돌기(14, 14')와 걸림턱(16, 16')사이에 안정되도록 고정되고 있다.
상기 홀스위치몸체(30)의 전단에는 프레임지지부(31)를 좌우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33)의 자석과 스위치접점(35)이 온/오프의 패턴배선(36)상에 이동하면서 경보스위치와 더불어 홀스위치의 홀 IC(38)가 상기 텅체결부(11)쪽으로 오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33)의 좌우 결합홈(34)에는 후술하게 될 버클프레임(20)의 이동부재(22)에 나 있는 결합돌기(22')가 체결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22)가 텅의 체결또는 분리에 의해 기구적으로 동시에 상기 이동부재(33)도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케이스(10)내에서 홀스위치몸체(30)의 이동부재(33)를 이동시켜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버클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클프레임(20)에는 전후단으로 상기 프레임지지부(31)와 훅조립부(32)가 지지홈(24, 24')과 조립구멍(25, 25')에 결합고정되면서 이젝터(21)와 연결축(26)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이젝터(21)에는 전술한 바 있는 텅이 체결 또는 분리할 때 이용되고 있고, 상기 연결축(26)은 전술한 바닥케이스(10)의 축고정부(18)에 결합되어 버클프레임(20)이 일정한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할 때 이용되고 있다. 상기 버클프레임(20)에서는 다른 스프링이 이젝터(21)에 연결됨과 더불어 이동부재(22)에스프링(23)이 결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텅에 의해 홀스위치몸체(30)가 작동되도록 이동부재(22)의 결합돌기(22')가 상기 이동부재(33)의 결합홈(34)에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버클프레임(20)을 바닥케이스(10)에 장착하는 간단한 구조로써 이 프레임(20)의 이젝트조립구멍에 홀스위치의 훅을 결합하여, 상기 버클프레임(20)에서 이탈방지를 단지 훅에 의한 체결력에 의존하므로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버클은 크게 상부케이스와 바닥케이스(10)의 케이스와, 이젝터(21)의 버클프레임(20) 그리고 경보스위치및 홀스위치의 홀스위치몸체(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서 홀스위치몸체의 온/오프상태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발명의 버클스위치작동은 상부케이스(40)가 벗겨진 바닥케이스(10)에 순차적으로 홀스위치몸체(30)가 체결된 버클프레임(20)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상태에서 텅(50)이 이젝터(21)의 체결부에 끼워지거나 빠질 때의 동작상태이다.
도 3 은 홀스위치몸체의 온상태로써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텅(50)을 버클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텅(50)이 버클프레임(20)에 있는 이젝터(21)내에서 이동부재(22)를 이동시켜 빠지지 않는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바닥케이스(10)내에서 버클프레임(20)의 이동부재(22)와 체결된 이동부재(33)의 홀스위치몸체(30)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홀스위치몸체(30)에서 패턴배선(36)의 경보스위치와 홀 IC(38)의 홀스위치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홀스위치몸체(30)의 온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벨트 버클은 오프상태로 있던 상기 이동부재(22, 33)들은 텅(50)이 버클내에 체결될 때마다 상기 홀스위치몸체(30)의 온/오프 패턴배선(36)상에서 이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재(33)의 자석과 스위치접점(35)이 패턴배선(20)상에서 온상태로 접촉하여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동시에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온상태로 유지된다.
도 4 은 홀스위치몸체의 오프상태로써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해제하기 위해 텅을 버클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텅(50)이 버클프레임(20)에 있는 이젝터(21)내에서 이동부재(22)를 이동시켜 빠지지 나오는 상태로 상기 이젝터(21)를 누르게 된다. 이때 바닥케이스(10)내에서 버클프레임(20)의 이동부재(22)와 체결된 이동부재(33)의 홀스위치몸체(30)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22)의 스프링(23)이 복원되어어, 상기 홀스위치몸체(30)에서 패턴배선(36)의 경보스위치와 홀 IC(38)의 홀스위치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홀스위치몸체(30)의 오프상태로 원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벨트 버클은 온상태로 유지되었던 상기 이동부재(22, 33)들은 상기 버클프레임(20)의 이젝터(21)를 눌러 텅(50)이 버클내에 분리될 때마다 상기 홀스위치몸체(30)의 온/오프 패턴배선(36)상에서 이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재(33)의 자석과 스위치접점(35)이 패턴배선(20)상에서 오프상태로 접촉하여 원위치되어 동시에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유지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최초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닥케이스(10)내에 장착된 버클프레임(20)과 홀스위치몸체(30)가 텅(50)의 체결및 분리에 의해 작동될 때마다 정확히 탑승자에 대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기구적 또는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클프레임을 바닥케이스에 장착하는 구조로써 이 프레임의 이젝트조립구멍에 홀스위치의 훅을 결합하여 상기 버클프레임에서 이탈방지를 단지 훅에 의한 체결력에 의존하므로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의 홀스위치와 경보스위치가 장착된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상부케이스(40)가 케이스체결부(15, 15')에 결합되고 전단으로 텅이 체결되는 텅체결부(11)와 후단으로 전선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텅체결부(11)와 케이스체결부(15, 15')사이에 홀스위치고정부(13)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체결부(15, 15')주위에 좌우로 안내돌기(14, 14'), 결합봉(17, 17')및 걸림턱(16, 16'), 그리고 중앙의 축고정부(18)가 형성되는 바닥케이스(10)와;
    상기 홀스위치고정부(13)에 전체가 놓여지고 패턴배선(36)상의 이동부재(33)가 이동되며, 후단에 훅조립부(32)를 형성하고 단자부(37)가 결합봉(17, 17')에 끼워지면서 안내돌기(14, 14')와 걸림턱(16, 16')사이에 고정되고, 전단에 프레임지지부(31)를 형성하고 홀 IC(38)가 상기 텅체결부(11)에 오게되는 홀스위치몸체(30); 그리고
    전후단으로 상기 프레임지지부(31)와 훅조립부(32)가 지지홈(24, 24')과 조립구멍(25, 25')에 결합고정되면서 이젝터(21)와 연결축(26)이 설치되고, 스프링(23)이 결합되고 텅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22)의 결합돌기(22')가 상기 이동부재(33)의 결합홈(34)에 결합되는 버클프레임(20)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케이스(10)내에서 홀스위치몸체(30)의 이동부재(33)를 이동시켜 경보스위치와 홀스위치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버클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케이스(10)에 설치되는 홀스위치몸체(30)에는 홀스위치고정부(13)에 전체가 놓여지고 경보스위치로써 온/오프되는 패턴배선(36)상의 이동부재(33)가 이동되고, 텅에 의해 상기 홀스위치몸체(30)가 작동되도록 이동부재(22)의 결합돌기(22')가 상기 이동부재(33)의 결합홈(34)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프레임(20)에는 전후단으로 상기 프레임지지부(31)와 훅조립부(32)가 지지홈(24, 24')과 조립구멍(25, 25')에 결합고정되면서 이젝터(21)와 연결축(2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벨트의 버클스위치.
KR10-2002-0056992A 2002-09-18 2002-09-18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KR10045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992A KR100452781B1 (ko) 2002-09-18 2002-09-18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EP03077950A EP1400419B1 (en) 2002-09-18 2003-09-18 Seatbelt buckle
CNB031594107A CN1292943C (zh) 2002-09-18 2003-09-18 座椅安全带带扣装置
DE60305117T DE60305117T2 (de) 2002-09-18 2003-09-18 Sicherheitsgurtschloss
JP2003326957A JP2004267744A (ja) 2002-09-18 2003-09-18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US10/666,522 US6907646B2 (en) 2002-09-18 2003-09-22 Seatbelt buckl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992A KR100452781B1 (ko) 2002-09-18 2002-09-18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153A true KR20040025153A (ko) 2004-03-24
KR100452781B1 KR100452781B1 (ko) 2004-10-14

Family

ID=3732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992A KR100452781B1 (ko) 2002-09-18 2002-09-18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7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100B1 (ko) * 2002-09-18 2005-05-17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용 홀스위치
KR100490101B1 (ko) * 2002-09-18 2005-05-17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의 버클장치
KR101383230B1 (ko) * 2012-08-27 2014-04-09 아시모리코리아(주) 시트벨트 버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0590U1 (de) * 1995-06-29 1996-11-07 Trw Repa Gmbh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in Fahrzeugen
KR970051549U (ko) * 1996-02-24 1997-09-08 자동차 시트벨트의 경보장치
JP3455428B2 (ja) * 1998-06-17 2003-10-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用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
JP2001224407A (ja) * 2000-02-16 2001-08-21 Katsuyama Finetech Kk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100B1 (ko) * 2002-09-18 2005-05-17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용 홀스위치
KR100490101B1 (ko) * 2002-09-18 2005-05-17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의 버클장치
KR101383230B1 (ko) * 2012-08-27 2014-04-09 아시모리코리아(주) 시트벨트 버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781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7646B2 (en) Seatbelt buckle apparatus
US6729427B1 (en) Locking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vehicle's buckle
EP1400420B1 (en) Multi-purpose buckle sensor assembly
EP3656242A1 (en) Buckle assemblie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personal restraint systems
US20060207074A1 (en) Buckle switch, buckle including buckle switch, and seat belt device including buckle
CN115107851A (zh) 扣具、扣具监测系统及婴幼儿载具
KR100452781B1 (ko)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EP1680971B1 (en) Tongue of inflatable belt device
EP0412942B1 (en) Quick-release device for safety belts for motorvehicles
KR101148166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홀스위치
KR100490101B1 (ko) 안전벨트의 버클장치
US7258189B2 (en) Seat belt apparatus
KR100490100B1 (ko) 안전벨트용 홀스위치
KR101148167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KR0178661B1 (ko) 차량의 시트벨트버클 자동해제장치
KR101404687B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CN114801915A (zh) 儿童安全座椅安全警示系统
KR100452780B1 (ko) 안전벨트용 버클의 홀스위치연결구
KR200322237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101383231B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AU2022213483A1 (en) Child safety seat for safety warning system and child safety seat
KR20190076505A (ko) 안전벨트용 버클 장치
KR101404688B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KR101383229B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KR20040094476A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