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979A -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979A
KR20040024979A KR1020020056737A KR20020056737A KR20040024979A KR 20040024979 A KR20040024979 A KR 20040024979A KR 1020020056737 A KR1020020056737 A KR 1020020056737A KR 20020056737 A KR20020056737 A KR 20020056737A KR 20040024979 A KR20040024979 A KR 2004002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engine oil
sensor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4979A/ko
Publication of KR2004002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01M2011/1453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by considering oil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 냉각 및 방청을 위하여 엔진의 내부에 공급되는 엔진오일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과 동일한 높이의 유면이 유지되도록 순환관(6) 상에 설치된 오일보관통(10)과, 상기 오일보관통(10)에 담겨진 오일의 높이를 측정하는 오일센서(11)와, 상기 오일센서(11)에서 측정된 오일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수단(12)과, 상기 표시수단(12) 및 오일센서(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1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Engine oil remain volume indicato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 냉각 및 방청을 위하여 엔진의 내부에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잔량을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1)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엔진 내부에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밸브(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피스톤(1)에 의해서 발생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의 저부에는 엔진오일이 담겨지는 오일팬(4)이 부착되어 있고, 그 오일팬(4)의 상측에는 엔진오일을 엔진의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의 일측에는 엔진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관(6)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순환관(6)에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오일필터(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엔진의 일측에는 지지관(8)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관(8)의 내부에는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레벨 게이지(9)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을 작동시키면 오일펌프(5)가 작동되어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이 엔진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로 펌핑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펌핑된 엔진오일은 순환관(6)을 통하여 순환되는 것이고, 상기 순환관(6)을 통과하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은 오일필터(7)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장기간 사용으로 엔진오일이 소진되면 운전석의 엔진오일 보충램프가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있으나, 상기 엔진오일 보충램프가 점등되는 시기는 엔진오일이 거의 소진된 상태에서만 점등되므로, 엔진오일 보충램프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엔진오일 보충램프가 파손으로 인하여 점등되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이 과열되었으며, 심할 경우에는 엔진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레벨 게이지(9)를 이용하여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의 잔량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반드시 엔진룸이 개방시켜야 하므로 엔진오일을 확인하는 작업이 매운 번거로웠다.
또한 상기 엔진오일은 소정의 점도 및 청정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서 점도 및 청정도가 저하될 경우 또는 정기적으로 엔진오일을 교환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엔진에 충입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 시킨 후 적당량의 엔진오일을 엔진의 내부에 붓고 레벨 게이지(9)를 이용하여 엔진오일의 잔량을 확인한 후 부족한 양의 엔진오일을 재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시간 및 엔진오일의 공급량이 상이하였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엔진오일을 과다하게 공급할 경우에는 엔진오일을 배출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가 운전자가 급증하고 있은 근래에는 간단한 정비 및 소모품의 교환을 운전자가 직접 처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자가 운전자에 의한 엔진오일의 교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엔진오일이 부족 및 엔진오일의 과다한 공급으로 인한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엔진의 내부에 공급된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운전석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엔진오일을 보충 및 교환하여야 하는 시점을알려줄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엔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량 표시장치가 엔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오일팬6 : 순환관
10 : 오일보관통11 : 오일센서
12 : 표시수단13 : 베터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는 오일팬에 담겨진 엔진오일과 동일한 높이의 유면이 유지되도록 순환관 상에 설치된 오일보관통과, 상기 오일보관통에 담겨진 오일의 높이를 측정하는 오일센서와, 상기 오일센서에서 측정된 오일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및 오일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량 표시장치가 엔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이 소진됨에 따라서 상기 오일팬(4)으로 엔진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오일보관통(1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오일보관통(10)은 오일펌프(5)에 의해서 펌핑되어 엔진의 상부로 공급된 엔진오일을 오일팬(4)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관(6)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일보관통(10)은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과 오일보관통(10)에 담겨진 엔진오일의 유면이 동일한 높이로 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보관통(10)에는 그 오일보관통(10)에 담겨진 엔진오일의 높이를 측정하는 오일센서(1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오일센서(11)에는 측정값에 따라서 엔진오일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수단(12)이 연결되어 있되, 상기 표시수단(12)은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엔진오일의 잔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수단(12)에는 엔진오일의 잔량을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12) 및 오일센서(11)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13)가 각각 연결되어 있되, 그 베터리(13)는 별도로 설치 할 수도 있지만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을 작동시키면 오일펌프(5)가 작동되어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은 엔진의 내부에 공급되어 상기 엔진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펌프(5)에 의해서 펌핑되어 엔진을 냉각시킨 엔진오일은 순환관(6)을 통하여 순환되는 것이고, 상기 순환관(6)을 통과하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은 오일필터(7)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6)에 설치된 오일보관통(10)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엔진오일이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이 소진되면, 상기 오일보관통(10)에 저장된 엔진오일은 오일팬(4)으로 공급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오일보관통(10)에 담겨진 엔진오일의 잔량은 오일센서(11)에 의해서 측정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센서(11)에 의해서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서 운전석에 설치된 표시수단(12)에는 엔진오일의 잔량이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표시수단(12)에 표시되는 눈금에 따라서 엔진오일의 소진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 주행으로 엔진오일의 점도 및 청정도가 저하되거나 엔진오일의 사용 기간이 경과되어 엔진오일을 교환 할 때에는 엔진에 충입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엔진오일을 충입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에 엔진오일을 충입하면, 오일팬(4) 및 그 오일팬(4)에 연결된 오일보관통(10)의 내부에 엔진오일이 충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일보관통(10)에 충입되는 엔진오일의 잔량은 오일센서(11)에서 감지하게 되고 그 오일센서(11)에서 감지된 측정값은 표시수단(12)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레벨 게이지(9)를 이용하지 않고도 엔진오일()의 충입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의 냉각 및 윤활작용을 위하여 공급되는 엔진오일의 잔량을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게되므로 엔진오일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엔진의 손상(과열, 작동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오일을 보충 및 교환 할 때 엔진오일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 및 자가운전자의 자가 정비시 시간을 단축시킴과 함께 엔진오일의 부족 및 엔진오일의 과 충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오일팬(4)에 담겨진 엔진오일과 동일한 높이의 유면이 유지되도록 순환관(6) 상에 설치된 오일보관통(10)과, 상기 오일보관통(10)에 담겨진 오일의 높이를 측정하는 오일센서(11)와, 상기 오일센서(11)에서 측정된 오일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수단(12)과, 상기 표시수단(12) 및 오일센서(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1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2)은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KR1020020056737A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KR20040024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737A KR20040024979A (ko)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737A KR20040024979A (ko)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979A true KR20040024979A (ko) 2004-03-24

Family

ID=3732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37A KR20040024979A (ko) 2002-09-18 2002-09-18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497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914A (ja) * 1988-10-01 1990-09-13 Gustav Gallert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ケーシングのオイルパン内のオイルレベルを測定する測定装置
JPH06260689A (ja) * 1993-03-09 1994-09-16 Toshiba Toransupooto Eng Kk 低温容器の液面計測器
KR19980025514U (ko) * 1996-11-04 1998-08-05 박병재 오일량 적정 수준 유지장치
KR19990018978U (ko) * 1997-11-14 1999-06-05 정몽규 플로트 액면 릴레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오일 경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914A (ja) * 1988-10-01 1990-09-13 Gustav Gallert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ケーシングのオイルパン内のオイルレベルを測定する測定装置
JPH06260689A (ja) * 1993-03-09 1994-09-16 Toshiba Toransupooto Eng Kk 低温容器の液面計測器
KR19980025514U (ko) * 1996-11-04 1998-08-05 박병재 오일량 적정 수준 유지장치
KR19990018978U (ko) * 1997-11-14 1999-06-05 정몽규 플로트 액면 릴레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오일 경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762A (en) Automatic crankcase oil change and makeup system
US4869346A (en) Automatic crankcase oil change and makeup system
ES2426214T3 (es) Aparato para determinar la degradación de un aceite lubricante
US4480718A (en) Engine lubricating oil level regulator and replenish oil warning system
JP2017516941A (ja) 方法及び装置
KR20040024979A (ko) 자동차용 엔진오일 잔량 표시장치
US3777852A (en) Automatic oil level regulator
US8069884B1 (en) Automotive fluid reservoir
EP135619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ubrication fluid level
SE530936C2 (sv) Bränsletankarrangemang för ett fordon
KR101406333B1 (ko) 주사기 타입의 오일체크구
KR20100060544A (ko) 엔진오일 측정방법 및 엔진오일 경고등 제어방법
KR20070064506A (ko) 오일레벨 게이지
KR101515016B1 (ko) 오일레벨센서 테스트 장치
JPS6242233Y2 (ko)
CA1214697A (en) Engine lubricating oil level regulator and replenish oil warning system
KR20020081624A (ko) 오일팬의 오일 보충장치
JP2011117348A (ja) オイル供給時期判定装置
KR200190090Y1 (ko) 게이지 눈금을 보호할 수 있는 윤활유 저장고
KR100409570B1 (ko) 엔진오일의 보충장치
KR0168758B1 (ko) 팬히터용 기름탱크의 유량감지장치
KR100535456B1 (ko) 오일 팬의 오일 드레인 장치
KR101486660B1 (ko) 자력형 오일 교체 장치
JP2021179114A (ja) 作業機
KR20010063445A (ko) 엔진 오일 레벨 자동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