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629A - 유디피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디피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629A
KR20040024629A KR1020020055203A KR20020055203A KR20040024629A KR 20040024629 A KR20040024629 A KR 20040024629A KR 1020020055203 A KR1020020055203 A KR 1020020055203A KR 20020055203 A KR20020055203 A KR 20020055203A KR 20040024629 A KR20040024629 A KR 20040024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udp
synchroniz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290B1 (ko
Inventor
전석빈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5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2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역폭이 제한되고 변화가 심한 무선망에서 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UDP 제어시스템인 바,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3 계층 기술에 속하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UDP를 개선하여 무선망 환경하에서도 보다 빠르고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디피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10)와 서버(20)가 이동통신망(21)과 인터넷망(22)을 통해 연결되고 전송프로토콜로 UDP/IP를 사용하도록 함에 있어서, UDP 신뢰성보장을 위해 OSI 7 레이어중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의 위치를 나타내고, 이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어플리케이션(30, 30')과 UDP(32, 32')사이에 있으며, 이 UDP(32, 32')의 밑단에는 IP(33, 33'), 데이터링크(34, 34') 및 물리층(35, 35')순으로 되어 있고; 상기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트래픽제어모듈(41), 에러정정모듈(42), 동기화모듈(43) 및 타임아웃 처리모듈 (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디피 제어시스템{UDP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대역폭이 제한되고 변화가 심한 무선망에서 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UDP(USER DATAGRAM PROTOCOL)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3 계층 기술에 속하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UDP를 개선하여 무선망 환경하에서도 보다 빠르고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디피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데이터통신은 호스트컴퓨터나 단말기, 워크스테이션 및 현금인출기등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간의 통신을 말한다. 따라서, 통신할 두 시스템사이에는 서로간에 합의된 통신규칙들이 있어야 하는 데, 이 규칙들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이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하는 네트워크모듈, 사용자 시스템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보정하는 트랜스포트모듈 및, 사용자에게 파일전송, 메일전송 등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모듈 등이 있다.
상기 트랜스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PROTOCOL/INTERNET PROTOCOL)의 UDP와 TCP 는 사용자 시스템간의 데이터전송을 담당하고 있는 바, 상기 UDP는 비연결, 신뢰성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편, 상기 TCP는 연결,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은 종점시스템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데, 통신망 또는 응용프로토콜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상기 UDP 는 송신패킷과 수신패킷의 순서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패킷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헤더 및 데이터에 대해 에러검사는 하지만 에러회복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간단한 LAN 상에서의 통신에 적절하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달리 TCP에서는 송신패킷과 수신패킷의 순서가 항상 일치하고, 패킷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헤더 및 데이터에 대해 에러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또한, 흐름제어와 멀티프랙싱 기능도 제공하고, 여러 망을 경유하는 경우의 통신에 적합하고 FTP(FILE TRANSFER PROTOCOL) 및 TELNET등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UDP는 전송속도가 빠르나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어,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대역폭이 제한된 무선망에서 상기 TCP보다 효율적이고 빠르게 전송 가능하므로, 무선망에서는 상기 UDP을 변경하여 신뢰성을 개선한 UDP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무선망에서 데이터 전송을 빠르게 하기 위해 ARDP, WP-TCP 와 같은 전송 효율을 개선하고자 하는 프로토콜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등을 감안하여 무선망에서 최적화되도록 사용되는 신뢰성있는 UDP를 발명한 것으로, UDP와 TCP의 장점을 결합하고 전송데이터의 량을 무선망의 전송가능 대역폭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 보다 빠른 데이터통신뿐만 아니라 상기 UDP의 패킷손실에 대한 보상을 위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디피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유디피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전체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해 놓은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유디피제어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헤더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트래픽제어 처리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에러정정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동기화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타임아웃처리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라이언트 11 : PDA
12 : 노트북컴퓨터 13 : 스마트폰
20 : 서버 21 : 이동통신망
22 : 인터넷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10)와 서버(20)가 이동통신망(21)과 인터넷망(22)을 통해 연결되고 전송프로토콜로 UDP/IP를 사용하도록 함에 있어서, UDP 신뢰성보장을 위해 OSI 7 레이어중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의 위치를 나타내고, 이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어플리케이션(30, 30')과 UDP(32, 32')사이에 있으며, 이 UDP(32, 32')의 밑단에는 IP(33, 33'), 데이터링크(34, 34') 및 물리층(35, 35')순으로 되어 있고; 상기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트래픽제어모듈(41), 에러정정모듈(42), 동기화모듈(43) 및 타임아웃 처리모듈(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유디피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3 계층 기술에 속하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UDP를 개선하여 무선망 환경하에서도 보다 빠르고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디피 제어시스템인 것이다. 이는 클라이언트(10)와 서버(20)가 이동통신망(21)과 인터넷망(22)을 통해 연결된 전체구성도로서 전송프로토콜로 UDP/IP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10)에는 PDA(11), 노트북컴퓨터(12) 및 스마트폰(13)등이 연결되어 UDP/IP를 통해 이동통신망(21)이 접속되고, 이동통신망(21)의 IWF(Interworking Function)는 인터넷망(22)에 접속하여 UDP/IP를 통해 서버(20)에 접속된다. 상기 UDP/IP를 사용하여 보다 빠르고 최적화된 전송을 위해 UDP 윗단에 UDP를 제어하는 도 2 에 도시된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을 구성하여, UDP에 대한 흐름제어, 트래픽제어, 에러정정 및 동기화 기능등을 수행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전체프로토콜스택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UDP 신뢰성보장을 위해 OSI 7 레이어중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바, 상기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어플리케이션 (30, 30')과 UDP(32, 32')사이에 있는 한편, 상기 UDP(32, 32')의 밑단에는 IP(33, 33'), 데이터링크(34, 34') 및 물리층(35, 35')순으로 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UDP를 제어함으로 보다 빠른 데이터전송 및 패킷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보다 빠른 응답시간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증가, 패킷손실 최적화로 인한 가입자의 패킷요금 감소등을 기여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유디피제어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로서, 도 2 에 도시된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트래픽제어모듈(41), 에러정정모듈(42), 동기화모듈(43) 및 타임아웃 처리모듈(44)로 구성되는 바, 상기 트래픽제어모듈(41)은 무선망 상태에 따라 전송데이터를 조절하여 최적화된 데이터송/수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로써, 전송제어폭 제어수단(51), 느린시작수단 (52) 및 선택적 ACK수단(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러정정모듈(42)은 무선망 상태의 폭주에 따라 데이터가 손실시 이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빠른 재전송과 복구수단(54)과 요구데이터 재전송수단(55)이 구성된다. 따라서, 각 패킷을 보낼시 첫 패킷 시퀀스번호(PPSN), 현재 패킷의 시퀀스번호(PSN), 한번에 전송될 패킷수(PCNT)를 보내며, 이 값을 기준으로 에러 정정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기화모듈(43)은 송/수신 데이터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적응패킷 블록동기제어수단(56)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송/수신의 패킷 시퀀스번호가 망지연, 폭주등의 원인에 의해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타임아웃 처리모듈(44)은 송신 타임아웃 처리수단(57)과 수신 타임아웃 처리수단(58)으로 구성된다. 망지연과 폭주에 의해 데이터가 유실 또는 지연등이 발생하여 지정된 시간내에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을 때 처리하기 위한 모듈로써, 빠른 데이터복구, 에러정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에서 헤더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UDP 헤더(60)는 송수신 응용프로토콜의 서비스 엑세스포인트로써 소스포트넘버(16비트)와 목적지포트넘버(16비트), UDP길이(16비트), UDP 체크섬(16비트)로 구성된다. 소스포트넘버는 소스의 포트번호, 목적지 포트넘버는 목적지의 포트번호, UDP길이는 UDP 데이터그램의 길이, UDP 체크섬은 헤더데이터에 대한 에러 검사용 정보를 나타낸다.
데이터영역에서 트랜스퍼프로토콜 헤더(70)를 사용하여 신뢰성 있는 UDP 제어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헤더파라메터로서 플래그 VER 은 현재 버전에 대한 사항, 초기 0000, 향후 업그레이드시 0001, 0010으로 사용한다. 플래그 rsv는 예약되고 향후 사용으로 예약된다. 플래그 PCNT는 한번에 전송할 패킷갯수이고, 플래그 FIN은 세션종료시 사용한다. 플래그 WAT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세션 유지시 사용한다.
플래그 NWT는 수신측에서 수신버퍼가 찼을 때 송신단으로 전송하고, 송신측에서는 이 플래그를 받으면 송신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송신대기 상태로 만들며, 수신측에서 ACK신호를 보내서 송신측에서 이 신호를 수신하면 송/수신을 재개한다. 플래그 RDR은 송신측에서 수신단이 아무런 응답이 없을 때 송신에서 수신으로 응답요구시 사용한다. 플래그 ACK는 수신측에서 송신측의 데이터에 오류가 없을 때에 사용한다.
플래그 NACK은 수신측에서 송신측의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때 사용하고, 플래그 DAT는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플래그 SYN은 송신과 수신측이 첫 동기화할 때 사용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SYN을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DAT을 보내 초기화를 실행한다. 플래그 SWIN은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한번에 전송되어야 할 그룹의 패킷수이다.
16비트로써 PFSN(PACKET FIRST SEQUENCE NUMBER)는 한번에 여러 패킷 전송시 전송되는 패킷그룹의 첫패킷 시퀀스번호, 이것을 사용하여 패킷 동기화기능을 수행한다. PSN(PACKET SEQUENCE NUMBER)는 전송되는 패킷의 시퀀스 번호이다. TPN(TOTAL PACKET NUMBER)는 송신에서 수신으로 전송되는 총 패킷 개수이다. EPN(ERROR PACKET NUMBER)는 송신측에서 받은 패킷이 에러가 있을 때 에러패킷넘버에 해당하는 위치의 비트를 설정하고, 최대 16 개의 패킷에 대한 오류측정이 가능하다. RPN(REMAIN PACKET NUMBER)는 총 데이터에 TPN을 뺀 나머지이고, 수신측에서 전송할 총 데이터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다. 총 데이터 = TPN * 패킷크기 + RPN 이다.
따라서, 데이터영역에서 트랜스퍼프로토콜 헤더(70)는 플래그로써 4비트의 VER, rsv, rsv, rsv, rsv 및 8비트의 PCNT; 플래그로써 FIN, WAT, NWT, RDR, NACK, ACK, SYN 및 SWIN; 16비트의 PFSN; 16비트의 PSN; 16비트의 TPN; 16비트의 EPN; 그리고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된 트래픽 제어모듈(41)에서 원도우(이하 Swin 라 칭함) 조절기능으로의 전송대역폭 제어수단(51)은 무선망에서 폭주를 최소화하기 위해 망에 따라 원도우(Swin)의 개수를 조정한다. 이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대역폭을 조정하여 폭주를 최소화하고 망 전송효율을 극대화한다. 즉, 망상태가 좋을 때 Swin은 커지고, 망상태가 안 좋을 때 Swin은 작아진다.
예컨데, 데이터 전송은 한번에 Swin * 1 패킷(디폴트 : 482 바이트)이 전송되는 바, 상기 Swin은 개수를 무한정 증가/감소시킬 수 없으므로 한계값(Swin_MAX, Swin_MIN)을 정해 이 범위내에서 Swin 값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느린 시작수단(52)은 처음에 패킷을 전송할 때 무선망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작은 Swin을 사용하여 적은 패킷을 보내는 것을 말하는 바, 이후 망상태가 좋을 때 Swin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선택적 ACK수단(53)은 여러 개의 패킷 전송시 각 패킷에 대하여 ACK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한 패킷그룹에 대해 ACK을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수신단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 수신시에는 ACK을, 데이터 비정상적으로 데이터 수신시에는 NACK을 전송한다.
상기 에러 정정모듈(42)에서 빠른 재전송과 복구수단(54)은 수신단에서 데이터 수신시, 데이터를 패킷별로 체크하여 모든 데이터를 수신할 때 ACK을, 비정상데이터나 수신되지 못한 패킷이 있을 때에는 NACK을 송신단으로 보낸다. NACK을 송신할 때 에러 패킷의 위치를 EPN에 설정하여 송신단으로 보낸다. 송신단에서는 NACK을 수신시에 EPN을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한 패킷에 대해 재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요구데이터 재전송수단(55)은 송신단에서 패킷 전송후 수신단에서 아무런 응답이 없을 때 RDR을 수신단에 송신한다. 수신단에서는 이를 수신하며, 지금까지 수신된 패킷에 대한 정보를 셋팅하여 응답(ACK/NACK)한다. 종래의 TCP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응답이 없을 때는 전송된 패킷을 재전송하므로서 패킷손실을 유발시키고 있다.
적응 패킷블록 동기제어수단(56)은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송/수신 패킷이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때 데이터 송/수신이 비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송/수신단의 동기를 수신단에 맞추어 사용한다. 즉, 송/수신단이 동기가 틀려서 송신단은 수신단으로부터 ACK을 수신하면 수신단의 PFSN으로 동기를 맞추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타임아웃 처리모듈(44)에서 송신타임 아웃처리수단(57)은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재타이머를 걸고, 타임아웃이 3회 발생하면 실패로 처리한다. 수신타임 아웃처리수단(58)은 첫패킷 타임아웃(WD_T), 패킷간 타임아웃(DR_T)와 ACK를 보내고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때 타임아웃(DA_T)로 구성된다.
상기 타임아웃(WD_T)은 수신 불가능상태로 간주하고 오류 처리한다. 상기 타임아웃(DR_T)은 한 패킷이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여 수신 패킷 카운터를 1 증가시킨다. 받아야 할 패킷수와 수신 패킷카운터와 같아지면 ACK/NACK를 송신단으로 전송하고 타이머(DA_T)를 건다. 같지 않으면 다시 타이머(DR_T)를 건다. 상기 타이머(DR_T)는 이전에 전송한 ACK/NACK을 송신단으로 재전송한다. 이 타이머 (DR_T)가 3 회 발생시 오류처리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유디피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흐름도로써, UDP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초기설정을 위해, 클라이언트(10)는 서버(20)로 연결요구신호(SYN)을 보내고, 서버(20)에서는 이 신호를 받으면 응답(ACK)을 보낸다. 상기 클라이언트(10)는 서버(20)로부터 ACK을 수신하며, 서버(20)와 클라이언트 (10)는 초기 연결설정이 종료된다. 만약 SC_T로 설정된 시간내에 서버 (20)로부터 응답을 못 받으면 클라이언트(10)는 서버(20)로 재차 연결요구(디폴트 : 10회)한다.
연결설정이 종료되면, 상기 서버(20)는 클라이언트(10)로 한 그룹의 패킷(Swin *패킷)을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이 클라이언트(10)는 패킷이 수신되면 동기가 정상인지를 체크하여 비정상이면 동기화 알고리즘(도 8 참조)에 따라수신단에 맞게 동기화하고 있다. 도 8a 는 동기가 맞지 않을 때 송신단의 흐름도이고, 도 8b 는 동기가 맞지 않을 때 수신단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동기가 정상이면 수신된 데이터가 정상인지 체크하여 비정상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일 때에는 ACK을 송신하는 에러 정정알고리즘(도 7 참조)을 수행한다. 도 7a 은 송신단에서 NACK 데이터수신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b 는 수신단에서 NACK 데이터송신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현재 받은 패킷이 마지막 패킷인지를 체크하여 마지막 패킷이면 정상 종료하고, 받을 패킷이 있으면 수신 대기상태가 된다. 일정한 시간내에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때 타임아웃 처리알고리즘(도 9 참조)을 수행한다. 도 9a 은 송신단에서 데이터 전송후 ACK/NACK을 수신하지 못할 때의 흐름도이고, 도 9b 는 수신단에서 패킷 수신한 다음 패킷 수신하지 못할 때의 타임아웃 흐름도이며, 도 9c 는 ACK 전송후 패킷 수신하지 못할 때의 흐름도이고, 도 9d 는 수신단에서 첫패킷 수신하지 못할 때의 흐름도이다.
송신단에서 패킷을 전송한 다음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때 전술한 바 있는 타임아웃 처리알고리즘을 수행한다. 패킷을 수신하면 동기가 정상인지를 체크하여 수신단의 PFSN에 동기를 맞추는 동기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전송 대역폭을 조정하는 트래픽 제어 알고리즘(도 6 참조)과 망지연/ 폭주로 인해 데이터 손실에 대해 복원하는 에러 정정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보낼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를 전송하고 보낼 데이터가 더 이상없으면 정상적으로 종료한다.
도 6 은 느린 시작기능에서 Swin = 4(디폴트), 망에서 최적화되는 Swin값을설정한다. 도 6a 는 선택적 ACK 기능으로 한데이터에 한 응답이 아닌 여러 데이터에 한 응답이고 Swin = 4 일 때의 도면이고, 도 6b 는 전송 대역폭 제어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UDP와 TCP의 장점을 결합하고 전송데이터의 량을 무선망의 전송가능 대역폭에 따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 보다 빠른 데이터통신뿐만 아니라 상기 UDP의 패킷손실에 대한 보상을 위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디피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후 무선망에서의 데이터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디피 제어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클라이언트(10)와 서버(20)가 이동통신망(21)과 인터넷망(22)을 통해 연결되고 전송프로토콜로 UDP/IP를 사용하도록 함에 있어서,
    UDP 신뢰성보장을 위해 OSI 7 레어어중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의 위치를 나타내고, 이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어플리케이션(30, 30')과 UDP(32, 32')사이에 있으며, 이 UDP(32, 32')의 밑단에는 IP(33, 33'), 데이터링크 (34, 34') 및 물리층(35, 35')순으로 되어 있고;
    상기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트래픽제어모듈(41), 에러정정모듈 (42), 동기화모듈(43) 및 타임아웃 처리모듈(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디피 제어시스템.
  2. 트랜스퍼 프로토콜스택(31, 31')은 무선망 상태에 따라 전송데이터를 조절하여 최적화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트래픽제어모듈(41)과, 무선망 상태의 폭주에 따라 데이터가 손실시 이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에러정정모듈(42), 송/수신 데이터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모듈(43), 그리고 망지연과 폭주에 의해 데이터가 유실 또는 지연등이 발생하여 지정된 시간내에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을 때 처리하기 위한 타임아웃 처리모듈(44)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디피 제어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제어모듈(41)은 전송제어폭 제어수단(51), 느린시작수단(52) 및 선택적 ACK수단(5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에러정정모듈(42)은 빠른 재전송과 복구수단(54)과 요구데이터 재전송수단(55)이 구성되어 각 패킷을 보낼시 첫 패킷 시퀀스번호(PPSN), 현재 패킷의 시퀀스번호(PSN), 한번에 전송될 패킷수(PCNT)를 보내며, 이 값을 기준으로 에러 정정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모듈(43)은 적응패킷 블록동기제어수단(56)으로 구성되어 송/수신의 패킷 시퀀스번호가 망지연, 폭주등의 원인에 의해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상기 타임아웃 처리모듈(44)은 송신 타임아웃 처리수단(57)과 수신 타임아웃 처리수단(58)으로 구성되어 빠른 데이터복구, 에러정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디피 제어시스템.
  4. 데이터영역에서 트랜스퍼프로토콜 헤더(70)는 플래그로써 4비트의 VER, rsv, rsv, rsv, rsv 및 8비트의 PCNT; 플래그로써 FIN, WAT, NWT, RDR, NACK, ACK, SYN 및 SWIN; 16비트의 PFSN; 16비트의 PSN; 16비트의 TPN; 16비트의 EPN; 그리고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디피 제어시스템.
  5. 연결설정이 종료되면 서버(20)는 클라이언트(10)로 한 그룹의 패킷(Swin *패킷)을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고, 이 클라이언트(10)는 패킷이 수신되면 동기가 정상인지를 체크하여 비정상이면 동기화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단에 맞게 동기화하며;
    동기가 정상이면 수신된 데이터가 정상인지 체크하여 비정상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일 때에는 ACK을 송신하는 에러 정정알고리즘을 수행하고;
    현재 받은 패킷이 마지막 패킷인지를 체크하여 마지막 패킷이면 정상 종료하고, 받을 패킷이 있으면 수신 대기상태가 되며, 일정한 시간내에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때 타임아웃 처리알고리즘을 수행하며;
    송신단에서 패킷을 전송한 다음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때 타임아웃 처리알고리즘을 수행하고, 패킷을 수신하면 동기가 정상인지를 체크하여 수신단의 PFSN에 동기를 맞추는 동기화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전송 대역폭을 조정하는 트래픽 제어알고리즘과 망지연/ 폭주로 인해 데이터 손실에 대해 복원하는 에러 정정알고리즘을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디피 제어시스템.
KR10-2002-0055203A 2002-09-12 2002-09-12 유디피 제어시스템 KR10046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03A KR100468290B1 (ko) 2002-09-12 2002-09-12 유디피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03A KR100468290B1 (ko) 2002-09-12 2002-09-12 유디피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629A true KR20040024629A (ko) 2004-03-22
KR100468290B1 KR100468290B1 (ko) 2005-01-27

Family

ID=3732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203A KR100468290B1 (ko) 2002-09-12 2002-09-12 유디피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2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47B1 (ko) * 2006-12-05 2008-09-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디피 제어 기반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48865B1 (ko) * 2009-03-16 2011-07-13 주식회사 팬택 전송계층 성능 향상을 위한 전송계층 제어장치 및 전송속도와 신뢰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패킷 송신 방법
KR101365182B1 (ko) * 2008-01-09 2014-03-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송 제어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 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5064841A1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CN113992766A (zh) * 2021-10-25 2022-01-2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udp的数据传输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323A (ja) * 1995-01-10 1996-07-23 Nissin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H10107823A (ja) * 1996-10-01 1998-04-24 Toshiba Corp 同一メッセージ伝送方法及びデータ伝送ステーション
US6078964A (en) * 1997-08-29 2000-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two hosts without using a high performance LAN connection
JP2000201183A (ja) * 1999-01-08 2000-07-18 Sony Corp デ―タ送信方法
US6222857B1 (en) * 1999-12-02 2001-04-24 Palm, Inc. Technique for handling undesired data over a limited bandwidth channe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47B1 (ko) * 2006-12-05 2008-09-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디피 제어 기반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182B1 (ko) * 2008-01-09 2014-03-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송 제어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 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048865B1 (ko) * 2009-03-16 2011-07-13 주식회사 팬택 전송계층 성능 향상을 위한 전송계층 제어장치 및 전송속도와 신뢰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패킷 송신 방법
US8332706B2 (en) 2009-03-16 2012-12-11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Transport layer control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and method for receiving packet
WO2015064841A1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CN113992766A (zh) * 2021-10-25 2022-01-2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udp的数据传输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290B1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293B1 (ko) 다중 tcp확인응답을 이용한 tcp 혼잡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Brown et al. M-TCP: TCP for mobile cellular networks
EP1771742B1 (en) High performance tcp for systems with infrequent ack
US7609697B2 (en) Optimizing IEEE 802.11 for TCP/IP data transfer
US8843654B2 (en) Data packet transfer over wide area network in fast and reliable manner
US7139822B2 (en) Intercep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dis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 protocol
Casetti et al. Westwood SCTP: load balancing over multipaths using bandwidth-aware source scheduling
JP2000224261A (ja) ネットワ―ク層プロトコルを直接サポ―トするデ―タリンク制御プロトコルおよび方法
Caini et al. Transport layer protocols and architectures for satellite networks
CN108965322B (zh) 空间网络传输控制协议
WO2022116178A1 (zh) 一种tcp mss调整方法、装置及系统
CN101895332B (zh) 一种空间tcp流量控制和差错控制方法
KR100468290B1 (ko) 유디피 제어시스템
US20060107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virtual block information for multiple segment recovery in data network us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JP3434231B2 (ja) Tcp制御方法
KR20040024628A (ko) 유디피 제어시스템의 송수신처리방법
EP1483843B1 (en) Method and system of load control
EP15057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acknowledged transport layer protocols
Rohrer Performance and disruption tolerance of transport protocols for airborne telemetry networks
KR100913897B1 (ko) 재전송 타임아웃 수를 줄이기 위한 전송 제어 프로토콜혼잡제어방법
WO2020154872A1 (zh) 一种传输控制协议加速方法和装置
KR101231793B1 (ko) Tcp 세션 최적화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
KR101398589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티시피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uglio et al. The impact of efficient flow control and OS features on TCP performance over satellite links
KR101396785B1 (ko) 네트워크 장치에서 tcp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