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109A -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109A
KR20040023109A KR1020020054734A KR20020054734A KR20040023109A KR 20040023109 A KR20040023109 A KR 20040023109A KR 1020020054734 A KR1020020054734 A KR 1020020054734A KR 20020054734 A KR20020054734 A KR 20020054734A KR 20040023109 A KR20040023109 A KR 20040023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op shower
washing
guide
supp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109A/ko
Publication of KR2004002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110)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가이드(130), 그리고 상기 세척수가이드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척수공급공(133c)과; 상기 세척수공급공과 직각을 이루면서, 세척수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샤워(150)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워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상면에,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결되고,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벽(154a,154b)을 구비하는 것을 주제로 한다. 세척수공급공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탑샤워의 상면에서 상기 벽에 부딪히는 것에 의하여 탑샤워를 회전시키면서, 방사상으로 하부로 뿌려진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Upper water spray device fo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식기 세척을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의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상부 물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의 세척을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터브(16)에 의하여 내부케이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브(16)의 내부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올려놓기 위한 상부랙어셈블리(12a)와 하부랙어셈블리(12b)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랙어셈블리(12)에 올려진 식기에 세척수를 분출하기 위한 상부 분사아암(14a)와, 하부분사아암(14b)이, 각각의 랙어셈블리(12)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분사아암(14)을 통하여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그리고 상술한 분사아암(14a,14b)은, 그 상면에 형성된 분사공에서 물이 분사되는 압력에 대한 반력으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부분사아암(14a)은, 상부랙어셈블리(12a)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부랙어셈블리(12a)를 향하여 상부로 분사하게 된다. 또는 상부분사아암(14a)은 하부랙어셈블리(12b)를 향하여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면에도 분사공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하부분사아암(14a)은, 하부랙어셈블리(12b)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하부랙어셈블리(12b)의 상부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사시스템에 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시스템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랙어셈블리(12b)에 올려진 식기에는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부랙어셈블리(12a)에 올려진 식기에는 하부에서만이 세척수가 분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부랙어셈블리(12a)에 올려진 식기에는 상부에서는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척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술한 상부분사아암(14a)과 거의 동일한 분사아암을, 터브(16)의 상단부에 장착하여 상부랙어셈블리(12a)의 상부로 향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분사아암(14a) 및 하부분사아암(14b)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즉,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물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해야 하고, 그 상면 또는 양면에 분사공이 형성되어야 하는 등,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분사아암을 터브(16)의 내부 상단에 설치하는 것은, 식기세척기 전체의 구성부품이 복잡해지고 조립공정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으로 대두될 것이다. 또한 상단부에 별도의 분사아암을설치하는 것은, 식기세척기 내부의 공간에 대한 제약을 초래하여 효율적인 공간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흐를 수 있는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체척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물분사상태 예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탑샤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탑샤워가 장착되는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수 분사 시스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터브122 ..... 상부랙어셈블리
124 ..... 하부랙어셈블리130 ..... 세척수가이드
133 ..... 상부아암133a ..... 지지축
133b ..... 세척수분사공133c ..... 돌출부분
150 ..... 탑샤워152 ..... 지지공
154 ..... 분사용골154a, 154b ..... 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가이드, 그리고 상기 세척수가이드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척수공급공과; 상기 세척수공급공과 직각을 이루면서, 세척수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샤워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워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상면에,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고,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분사용골(1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가이드, 그리고 상기 세척수가이드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척수공급공과; 상기 세척수공급공과 직각을 이루면서, 세척수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샤워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워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상면에,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결되고,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벽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탑샤워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분사용골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는, 소형임과 동시에 아주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부품의 생산 및 조립공정에서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소형이면서도, 식기세척기의 터브 내부에서 세척수를 전체적으로 뿌려줄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식기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외부케이싱은, 상면(102)과, 상기 상면의 양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양측면(104,106)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는, 실질적인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110)가 설치된다.
상기 터브(110)의 내부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올려놓기 위한 상부랙어셈블리(122) 및 하부랙어셈블리(12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10)의 내부 후방부분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가이드(130)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가이드(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터브(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섬프어셈블리(도시 생략)에서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공급되는 세척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랙어셈블리(12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34)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134)에는 상부분사아암(132)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가이드(13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세척수가이드(130)의 공급공(131)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134)로 공급되고, 상기 가이드(134)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부분사아암(132)으로 공급되어, 세척수가 상부랙어셈블리(122)를 향하여 분사된다.
하부랙어셈블리(124)의 하부에는, 하부분사아암(1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분사아암(136)은, 섬프어셈블리(도시 생략)에 연결된 홀더(139)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분사아암(136)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하부랙어셈블리(124)를 향하는 상방으로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세척수가이드(130)의 상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 성형되고 내부에 세척수를 안내할 수 있는 상부아암(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아암(133)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탑샤워(Top shower)(150)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아암(133)의 단부 하측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공급공(133b)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세척수공급공(133b)을 통하여 세척수가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탑샤워(150)는실질적으로 상기 세척수공급공(133b)에 직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공(133b)으로 토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방사상으로 뿌려주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 4 및 도 5를 같이 참조하면서, 상기 상부아암(133)의 단부에 설치되는 탑샤워(Top shower)(1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탑샤워(Top shower)(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아암(133)을 통하여 공급되어, 그 단부의 세척수공급공(133b)을 통하여 떨어지는 세척수를, 상부랙어셈블리(122)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탑샤워(Top shower)(150)는, 상기 상부아암(13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세척수공급공(133b)이 형성된 상부아암(133)의 자유단부 하면에는, 지지축(133a)(도 3 참조)이 연장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33a)은, 예를 들면 다수개의 세척수공급공(133b)의 중심부분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샤워(Top shower)(150)의 중심부분에는 지지공(152)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33a)이 지지공(15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탑샤워(Top shower)(150)가 상부아암의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지지축(133a)이 탑샤워(Top shower)(150)의 지지공(152)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에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3a)의 하단부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한 돌출부분(133c)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돌출부분(133c) 또는 플랜지부분은 지지공(15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지축(133a) 하단부의 돌출부분(133c) 또는 플랜지부분은 지지축(133a)의 하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탑샤워(Top shower)(150)가 삽입된 후, 별도의 부재를 지지축(133a)의 하단부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공(152)을 통하여 지지축(133a)에 탑샤워(1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샤워(Top shower)(1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탑샤워(1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사용골(15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용골(154)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벽(154a,154b)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사용골(154)은, 상술한 세척수공급공(133b)에서 낙하하는 세척수를 외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세척수공급공(133b)을 통하여 낙하하는 세척수는 상기 분사용골(154)을 따라 흘러서 원심력에 의하여, 그 하부의 랙어셈블리(122)의 상부로 분사되는데, 이렇게 분사되는 세척수는 샤워방식으로 하방으로 낙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용골(154)은 직선형상이 아니라 도시한 바와 같은 반시계방향을 향하는 곡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분사용골(154)은,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고,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사용골(154)은 일방향의 곡선형을 가지는 유선형과 유사한 형상을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공급공(133b)에서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기 분사용골(154)을 따라 흘러내기게 되면, 물의 압력이 곡면형상을 가지는 분사용골(154)의 일측벽(154b)에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분사용골(154)을 가지는 탑샤워(1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탑샤워(150)가 공급되는 세척수의 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탑샤워(150)의 분사용골(15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는 방사상으로 회전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분사용골(154)에 동시에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부랙어셈블리(122)에는 전체적으로 샤워방식으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세척수의 흐름이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150)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판형상의 상면에,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의 벽(154a 또는 154b)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벽(154a,154b)을 탑샤워(150)의 상면에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순히 원판상에 복수개의 벽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탑샤워(150)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세척수공급공(133b)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탑샤워(150)가 회전하면서 물을 방사상으로 뿌려주는 기능은 상술한 바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탑샤워(150)는, 분사아암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소형으로 구현되고 있음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소형이면서도, 샤워방식으로 하부의 랙어셈블리(150)로 물을 충분하게 뿌릴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치위치 및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150)는, 상기 세척수공급공(133b)과 직각으로 설치되고, 세척수공급공(133b)이 형성된 세척수가이드(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세척수공급공(133b)이 세척수가이드(130)의 수직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직방향으로 성형된 세척수공급공의 전면에서 직각으로 탑샤워(15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세척수공급공(133b)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탑샤워(150)는 회동하면서 그 방사상으로 물을 뿌려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식기세척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상부분사아암(132) 및 하부분사아암(136)을 통하여 물이 분사되면서 식기 세척이 진행된다. 상부분사아암(132) 및 하부분사아암(136)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 및 이들에 의한 세척 과정은 실질적으로 종래의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분사아암(132) 및 하부분사아암(136)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가이드(130) 내부의 물은, 상단부에 있는 세척수공급공(137)을 통하여 일정한 유속을 가지고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세척수공급공(137)에서의 물은,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150)의 상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탑샤워(150)의 상부로 흘러내리는 물은, 상술한 분사용골(154)의 내측을 타고 흐르면서 분사용골(154)의 일측벽(154b)에 부딪혀서 상기 탑샤워(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탑샤워(150)의 회전과 같이, 세척수는 분사용골(154)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세척수를 전체적으로 뿌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용골(154)의 내부가 아닌 벽(154a,154b) 사이로 흘러내리는 물은, 탑샤워의 회전에 따라서 벽(154a,154b)에 부딪히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뿌려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공급공을 통하여 낙하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방사상으로 물을 뿌려주도록 구성되는 탑샤워를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탑샤워는, 실질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세척수공급공의 하부에 설치되는 범위 내에서, 식기세척기 내부에서 응용할 수 있는 부분은 상기와 같은 상단부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는, 상하부의 분사아암과 같이 동작하게 되면서 상부랙어셈블리에 올려진 식기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분사아암(132) 또는 하부분사아암(136)과 같이 식기를 세척하는 고압의 세척수를 식기로 분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식기의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탑샤워는, 소형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탑샤워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매우 쉽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탑샤워를 소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보다 저가의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가이드, 그리고 상기 세척수가이드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척수공급공과;
    상기 세척수공급공과 직각을 이루면서, 세척수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샤워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워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상면에,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고,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분사용골(1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2.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가이드, 그리고 상기 세척수가이드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척수공급공과;
    상기 세척수공급공과 직각을 이루면서, 세척수가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샤워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워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상면에,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결되고, 일방향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샤워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분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용골(154)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벽(154a,154b)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분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공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세척수가이드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상부아암(133)의 자유단부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탑샤워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샤워는 터브의 내부 상단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 분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공이 형성된 세척수가이드에는지지축(133a)이 연장 성형되고, 상기 탑샤워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133a)이 삽입되는 지지공(152)이 형성되며, 지지축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공(152) 보다 직경이 큰 돌출부분(133c)이 형성되어, 상기 탑샤워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세척수 분사장치.
KR1020020054734A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KR20040023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34A KR20040023109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34A KR20040023109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09A true KR20040023109A (ko) 2004-03-18

Family

ID=3732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34A KR20040023109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1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9291B2 (en) * 2016-12-20 2022-09-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ing liq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dishwash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3214B (de) * 1961-12-13 1964-12-10 Siemens Elektrogeraete Gmbh Geschirrspuelmaschine
EP0524102A1 (fr) * 1991-07-16 1993-01-20 Esswein S.A. Lave-vaisselle à fonctionnement amélioré
EP0766945A2 (en) * 1995-10-03 1997-04-09 SMEG S.p.A. Device for washing the ceiling of a dishwasher's tank
EP1232720A2 (de) * 2001-02-16 2002-08-21 AEG Hausgeräte GmbH Sprüheinrichtung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3214B (de) * 1961-12-13 1964-12-10 Siemens Elektrogeraete Gmbh Geschirrspuelmaschine
EP0524102A1 (fr) * 1991-07-16 1993-01-20 Esswein S.A. Lave-vaisselle à fonctionnement amélioré
EP0766945A2 (en) * 1995-10-03 1997-04-09 SMEG S.p.A. Device for washing the ceiling of a dishwasher's tank
EP1232720A2 (de) * 2001-02-16 2002-08-21 AEG Hausgeräte GmbH Sprüheinrichtung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9291B2 (en) * 2016-12-20 2022-09-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ing liq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dish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639B2 (en) Washing arm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7695571B2 (en) Wash/rinse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KR200464747Y1 (ko) 식기 세척기용 상부 회전 분사장치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CN103654667A (zh) 用于洗碗机的喷嘴组件和具有该喷嘴组件的洗碗机
KR20050105718A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구조
KR100457573B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CN108366708A (zh) 包括洗涤臂装置的洗碗机
US20050178414A1 (en) Dishwasher
CN109965804B (zh) 一种清洗机
KR20040023109A (ko) 식기세척기용 상부 물분사장치
KR20050122359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KR20070113639A (ko) 식기 세척기
KR102493157B1 (ko) 식기세척기
KR200386332Y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20060013790A (ko) 집중 세척 기능이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0176673B1 (ko) 상단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
CN211093877U (zh) 洗碗机清洗组件及洗碗机
CN109528125A (zh) 一种具有悬浮喷淋臂的洗碗机
CN113729584B (zh) 一种具有洗锅功能的清洗机及清洗方法
CN217429935U (zh) 一种清洗机
CN216984830U (zh) 一种清洗机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KR100307821B1 (ko) 식기세척기용 세척노즐의 연결장치
KR970002540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회전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