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089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089A
KR20040023089A KR1020020054709A KR20020054709A KR20040023089A KR 20040023089 A KR20040023089 A KR 20040023089A KR 1020020054709 A KR1020020054709 A KR 1020020054709A KR 20020054709 A KR20020054709 A KR 20020054709A KR 20040023089 A KR20040023089 A KR 20040023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short message
message
typ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경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089A/ko
Publication of KR2004002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특정 타입의 단문 메시지를 타인에게 노출하지 않아 개인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 메시지 타입별로 정보 보호 유무를 설정하는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보호설정 초기화단계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보호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보호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보호타입 판단단계와; 상기 보호타입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는 메시지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인 또는 특정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타인으로부터 보호하여 사무실, 집안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있는 공간에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SHORT MESSAGE INFORMATION SECURIT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특정 타입의 단문 메시지를 타인에게 노출하지 않아 개인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도착 유무를 알리는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11534호(명칭: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실시간 표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는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서비스 사업자의 특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저장 표시정보의 실시간 처리 액세스가 행해지는 휘발성 메모리와; 수신된 공용 단문 메시지의 표시 요구에 따라 메시지 표시창을 화면상에 별도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구분된 메시지 표시창에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로부터 미리 정의된 식별자의 참조로서 식별되는 공용 단문 메시지의 포함 여부를 검출하는 공용 단문 메시지 검출부와; 공용 단문 메시지가 검출되면 이 검출된 공용 단문 메시지를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공용 단문 메시지에 대응한 표시정보를 상기 구분 표시된 메시지 표시창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공용 단문 메시지로 판단하면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동작 메모리인 버퍼에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화면의 별도 메시지 창에 표시하고, 그 외의 메시지로 판단하면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후 확인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확인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확인 알람음을 울려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화면에 바로 보여주지 않고 단문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사용자가 전체 메시지의 내용을 바로 볼 수 있게 하거나 도착 유무를 알리는 방법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대로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는 바로 볼 수 있고 정보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는 볼 수 없게 하는 선택 기능이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확인의 편리함과 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 확인의 편리함과 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메시지 타입 또는 전화번호 별로 정보 보호 유무를 설정하여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호 기능의 설정 화면을 보인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 메시지 타입별로 정보 보호 유무를 설정하는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보호설정 초기화단계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보호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보호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보호타입 판단단계와; 상기 보호타입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고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와 메시지의 내용을 바로 알리는 메시지 표시단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 메시지 타입별로 정보 보호 유무를 설정하는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보호설정 초기화단계(S11)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보호여부 판단단계(S12, S13)와; 상기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보호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보호타입 판단단계(S14~S18, S20, S21)와; 상기 보호타입 판단단계(S14~S18, S20, S21)의 판단 결과에 의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고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와 메시지의 내용을 바로 알리는 메시지 표시단계(S19, S22)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정보 보호 기능을 설정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정보 보호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에 정보 보호 설정 유무를 묻는 화면(11)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 기능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정보 보호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에 정보 보호 타입을 묻는 화면(12)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 화면(12)에 표시된 전화 번호, 메시지 타입, 그리고 전체 보호 등의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함을 대기한다.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에 정보 보호할 단문 메시지의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묻는 화면(13)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타인으로부터 보호하고 싶은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와 달리 사용자가 메시지 타입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에 정보 보호할 메시지 타입을 나열한 리스트(14)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 리스트(14)에 나열된 개인 메시지, 공용 메시지 등의 메시지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함을 대기하고 선택한 메시지 타입에 대응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만약, 사용자가 전체 보호를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메시지의 도착여부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는다.
이상,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 보호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대기 화면으로 복귀한다(S11).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S12)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보호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3).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보호 타입을 결정하고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보호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14).
보호 타입이 전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을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는다(S15, S16).
그리고, 상기와 달리 보호 타입이 메시지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타입이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7, S18).
또한, 보호 타입이 전화 번호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송신측 전화 번호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 S21).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부에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는 화면(16)을 표시하고(S19)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부에 메시지의 도착 여부와 메시지의 내용을 바로 알리는 화면(17)을 표시한다(S22).
이후, 사용자가 정보 보호된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확인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인 또는 특정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타인으로부터 보호하여 사무실, 집안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있는 공간에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각 메시지 타입별로 정보 보호 유무를 설정하는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보호설정 초기화단계와;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보호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였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보호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보호타입 판단단계와; 상기 보호타입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고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도착 여부와 메시지의 내용을 바로 알리는 메시지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설정 초기화단계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정보 보호를 설정하는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보호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정보 보호를 설정하면 표시부에 보호 타입을 나열하고 사용자가 이 표시부에 나열된 보호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함을 대기하는 보호타입 선택단계와; 상기 보호 타입이 전화 번호이면 정보 보호할 단문 메시지의 송신측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번호 입력단계와; 상기 보호 타입이 메시지 타입이면 표시부에 개인 메시지, 공용 메시지 등의 메시지 타입을 나열하고 사용자가 이 표시부에 나열된 메시지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함을 대기하고 선택한 메시지 타입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타입 설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타입 판단단계는 메모리에 저장된 보호설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보호 타입을 결정하고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보호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타입종류 판단단계와; 상기 보호 타입이 전체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메시지의 도착 여부만을 알리고 메시지의 내용은 표시하지 않는 전체보호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의 보호 타입이 메시지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타입이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타입보호 판단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의 보호 타입이 전화 번호 보호로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전화 번호가 정보 보호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번호보호 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KR1020020054709A 2002-09-10 2002-09-10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KR20040023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09A KR20040023089A (ko) 2002-09-10 2002-09-10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09A KR20040023089A (ko) 2002-09-10 2002-09-10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089A true KR20040023089A (ko) 2004-03-18

Family

ID=3732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09A KR20040023089A (ko) 2002-09-10 2002-09-10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0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99B1 (ko) * 2005-03-02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기능을 해제하는 단말기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100898055B1 (ko) * 2008-12-18 2009-05-1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Uicc의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20010045885A (ko) * 1999-11-09 2001-06-05 박종섭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20037416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단말기의 전화 잠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20010045885A (ko) * 1999-11-09 2001-06-05 박종섭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20037416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단말기의 전화 잠금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99B1 (ko) * 2005-03-02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기능을 해제하는 단말기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100898055B1 (ko) * 2008-12-18 2009-05-1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Uicc의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4629A (en) Automatic routing of incoming telephone calls to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based on caller identification
KR100735421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6584323B1 (en)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 short message in real time in a digital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05387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US9191491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JP4203738B2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KR1011081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400230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WO200505085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ivacy protection ability and cal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0784085B1 (ko) 비밀 메시지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단말기
KR2005000938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0778363B1 (ko) 단문 서비스의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KR100312316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856707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4545124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60046819A (ko)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2622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 저장 방법
JP2000196732A (ja) 通信端末
JP4559088B2 (ja) データ管理装置、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6263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정보 저장 방법
KR100692010B1 (ko) 통신내역 및 알림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그 방법
JP2004048344A (ja) 携帯電話機、着信履歴削除方法、および着信履歴表示方法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200400857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20070077418A (ko)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관련 항목을 숨기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